KR200227875Y1 - 약탕기 - Google Patents

약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7875Y1
KR200227875Y1 KR2020000025825U KR20000025825U KR200227875Y1 KR 200227875 Y1 KR200227875 Y1 KR 200227875Y1 KR 2020000025825 U KR2020000025825 U KR 2020000025825U KR 20000025825 U KR20000025825 U KR 20000025825U KR 200227875 Y1 KR200227875 Y1 KR 2002278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filter
cooking
guide
heating vess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58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종필
Original Assignee
한종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종필 filed Critical 한종필
Priority to KR20200000258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787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78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7875Y1/ko

Links

Landscapes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리용 필터(10)를 내장하며 중심구멍(34a)을 갖는 뚜껑(30)에 의하여 개폐되는 가열용기(40)를 히팅시키는 히터(50)의 측면으로부터 직립된 지지대(51)에 결합되어 응축부재(81)를 내장한 증기 응결기(80)를 받쳐주는 안착판(5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약탕기(100)에 있어서; 상기 조리용 필터(10)는 상기 뚜껑(30)에 착탈 가능하게 일체 조립되어 상기 가열용기(40)의 상단 테두리(41)에 얹혀지는 상기 뚜껑(30)에 매달리는 형태로 상기 가열용기(40)의 내부에 위치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조리용 필터(10)를 뚜껑(30)에 착탈 가능하게 일체 조립시켜 가열용기(40)의 상단 테두리(41)에 얹혀지는 뚜껑(30)에 매달리는 형태로 가열용기(40)의 내부에 위치시키므로써, 한약재나 고구마·감자·옥수수와 같은 피조리품을 내장한 조리용 필터(10)가 뚜껑(30)이 씌워진 채로 가열용기(40)의 내부에 용이하게 위치시킬 수 있으며, 특히 조리용 필터(10)의 유무에 관계없이 증기 응결기(80)의 응축부재(81)와 연통되는 중심구멍(34a)의 높낮이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사용하기에 매우 편리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약탕기{PIPKIN FOR PREPARING DECOCTIONS}
본 고안은 약탕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리용 필터를 뚜껑에 착탈 가능하게 일체 조립하여 가열용기의 상단 테두리에 얹혀지는 뚜껑에 매달리는 형태로 가열용기의 내부에 위치시켜 한약재나 고구마·감자·옥수수와 같은 피조리품을 내장한 조리용 필터가 뚜껑이 씌워진 채로 가열용기의 내부에 용이하게 위치시킬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조리용 필터의 유무에 관계없이 증기 응결기의 응축부재와 연통되는 중심구멍의 높낮이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더불어 약효성분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약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리(調理)는 식품재료를 먹기 좋고 맛있게 하기 위하여 음식물을 다듬고 썰고 장만하여 익히거나, 또는 절이거나 담가서 양념 등으로 맛을 내는 기술을 말한다.
그리고, 조리는 소화되기 어려운 식품을 익혀주고, 주재료가 되는 식품에 다른 재료를 첨가하여 맛을 낸 뒤 인체에 유용한 영양소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기도 한다.
조리법 중 특히 익히는 방법에는 끓이기·볶기·굽기·삶기·튀기기·지지기·조리기·찜 등 다양한 방법이 있다.
가열하는 조리방법으로는 화(火)·수(水)·목(木)·금(金)·토(土)의 5종류로 크게 나눌 수 있는데, 화(火)는 직접 불에 쬐어 굽는 것으로 생선을 굽거나 감자를 굽는 것 등이 이 부류에 속하고, 수(水)는 수증기를 이용해서 가열하는 일종의 찌는 조리법이다. 또한, 목(木)은 목질(木質)을 통해서 가열하는 방법으로 열의 불량도체인 목질을 통해서 뜸을 들여가며 찌면 독특한 맛이 난다. 금(金)은 끓임·튀김·부침 등 철·구리·알루미늄과 같은 금속냄비를 사용하여 만드는 요리방법을 말하고, 마지막으로 토(土)는 설구이냄비·곱돌솥·돌 등을 사용하는 요리법이다.
이러한 다양한 조리방법에는 고온의 열을 받으면서 음식물에 열을 전달하여 끓이거나 볶고, 굽고, 삶고, 튀기고, 지지고, 쪄서 식품화시키는 용기(VESSEL)라는 조리기구가 동원된다.
이때, 용기 속에 담겨진 음식물은 고온의 열에 의하여 조리되는 과정에서 증기를 유발시킬 수밖에 없는데, 이 증기는 냄새를 가질 뿐만 아니라 모두 증기화될 경우에는 피조리품을 건조시켜 결국은 고온의 열에 의하여 태워버리거나 그을림을 발생시켜 식품의 변질은 물론이고 화재의 위험까지 발생될 수 있다.
냄새(SMELL)는 음식물이 익혀지면서 분산된 미립자가 공기 속에 떠돌아다니면서 사람의 후각에 접촉하여 감각세포를 자극함에 따라 생기는 감각적인 느낌이라 할 수 있는데, 이러한 냄새는 특히 우리가 전통적으로 끓여먹는 된장의 일종인 청국장(淸國醬)을 조리하는 과정에서는 더욱 심하게 나타난다. 생선 또는 육류를 요리하거나 넓은 개념의 조리의 일종인 커피와 같은 기호식품을 끓일 때 그 냄새의 강도는 더더욱 심해진다.
여기서, 본 출원인은 조리(調理)의 개념을 단순히 음식물을 식품화시키는 것에 국한하지 않고 커피와 같은 기호식품 또는 한약재 등과 같은 다양한 피조리품(被調理品)을 가열하는 것 등을 망라하여 정의하고, 이에 동원되는 용기는 단순히 음식물을 담을 수 있는 한정된 조리기구가 아닌 기호식품 또는 한약재 등과 같이 가열에 의하여 증기를 유발시키는 모든 피조리품을 담을 수 있는 넓은 개념의 수단으로 정의한다.
한편, 한방의학에서 쓰이는 약물, 즉 한약재는 인체의 건강상태 및 생리적인 상태에 따라 음양의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복용하는 건강증진용의 보약과, 환자의 체질적·병상적·병세적·병위적 조건 등에 의하여 특정처방으로 복용하는 치료용의 처방약 등으로 대별할 수 있다.
이러한 한방약은 주로 약용으로 이용되는 초근목피(草根木皮)·동물·광물 등의 약 400여종이 있으며 그 중 150종 정도가 상용되는데, 그 비율은 대부분 식물성 76%, 동물성 14%, 나머지 광물성이 10% 정도이다.
그리고, 한방약은 1종류만으로 사용되는 일은 거의 드물고 대개 여러 종류의 생약이 배합되어 쓰인다.
이렇게 여러 종류의 약재를 배합하여 사용하는 이유는 복용자의 건강상태와 약재와의 반응에 따라 주작용의 증진과 부작용의 경감을 도모하기 위하여 적절한 비율로 중합시키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피조리품의 일종인 한약재는 고온의 열에 의하여 탕제화되는 과정에서 증기를 유발시킬 수밖에 없는데, 이 증기는 인삼, 홍삼 등과 같은 각종 한약재 속에 포함된 유효한 성분, 예를 들면 사포닌 배당체·파나센(향성분)·폴리아세틸렌계화합물·함질소성분·플라보노이드·비타민B군·효소·항산화물질 등을 함유하고 있는데, 이러한 유효한 성분이 물과 함께 증기화되어 증발되어 버린다면 매우 안타까운 일이 아닐 수 없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물과 함께 증발되기 쉬운 약효성분이 포함된 증기를 액화시켜 다시 회수할 수 있으며 증기 속에 포함된 냄새 미립자를 응결시켜 냄새유발을 방지할 수 있는 약탕기를 이하에 제안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제안으로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조리용 필터를 뚜껑에 착탈 가능하게 일체 조립하여 가열용기의 상단 테두리에 얹혀지는 뚜껑에 매달리는 형태로 가열용기의 내부에 위치시켜 한약재나 고구마·감자·옥수수와 같은 피조리품을 내장한 조리용 필터를 뚜껑이 씌워진 채로 가열용기의 내부에 용이하게 위치될 수 있도록 하고, 조리용 필터의 유무에 관계없이 증기 응결기의 응축부재와 연통되는 중심구멍의 높낮이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히터의 열에 의하여 피조리품이 익혀지면서 기화되는 증기를 다시 환원시켜 조리시의 냄새를 최대한 억제 및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피조리품이 타거나 연소되는 현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며, 히터 위에 가열용기를 위치시키거나 분리시킬 경우에 편심판에 의하여 연통관이 뚜껑의 중심구멍에 자연스럽게 연통되거나 이격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상의 편리함을 크게 증진시킬 수 있는 약탕기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약탕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a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약탕기에 적용된 가열용기와 증기 응결기의 분리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b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약탕기에 적용된 가열용기와 증기 응결기의 연통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약탕기에 적용된 조리용 필터 및 뚜껑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약탕기에 적용된 조리용 필터 및 뚜껑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약탕기에 적용된 조리용 필터 및 뚜껑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약탕기에 적용된 조리용 필터 및 뚜껑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약탕기에 적용된 조리용 필터 및 뚜껑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약탕기에 적용된 조리용 필터 및 뚜껑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약탕기에 적용된 조리용 필터 및 뚜껑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10은 도 2b의 지시선 A를 확대하여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약탕기를 나타내는 요부 분해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조리용 필터 11a : 안내(案內)홈
11b : 유도(誘導)홈 11c : 회수로(回收路)
11d : 회수구멍 12a : 고정테
12b : 유도테 13 : 암나사
14 : 필터 테두리 14a : 안내로
14b : 융기(隆起)테 20 : 덮개부재
21 : 축 22 : 덮개
23 : 간극편(間隙片) 24 : 융기턱
30 : 뚜껑 31 : 돌출테
31a : 밀봉패킹 32 : 하부 테두리
32a : 걸림턱 32b : 내향(內向)턱
33 : 수나사 34 : 돌출관
34a : 중심구멍 34b : 호퍼(hopper)홈
34c : 파지(把持)홈 40 : 가열용기
41 : 상단 테두리 50 : 히터
51 : 지지(支持)대 52 : 안착판(安着板)
52a : 가이드 관 53 : 보조판(補助板)
53a : 가이드 구멍 53b : 축구멍
60 : 샤프트 61 : 편심판(偏心板)
62 : 레버 70 : 연통부재(連通部材)
71 : 연통관 71a : 외륜(外輪)
71b : 수납홈 71c : 걸림판
71d : 내부관 72 : 오링
73 : 탄성부재 80 : 증기 응결기
81 : 응축부재 82 : 냉매
83 : 냉각통 84 : 커버
90 : 개폐패킹 91 : 원판부재
91a : 절개라인 100 : 약탕기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조리용 필터를 내장하며 중심구멍을 갖는 뚜껑에 의하여 개폐되는 가열용기를 히팅시키는 히터의 측면으로부터 직립된 지지대에 결합되어 응축부재를 내장한 증기 응결기를 받쳐주는 안착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약탕기에 있어서;
상기 조리용 필터는 상기 뚜껑에 착탈 가능하게 일체 조립되어 상기 가열용기의 상단 테두리에 얹혀지는 상기 뚜껑에 매달리는 형태로 상기 가열용기의 내부에 위치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약탕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는 다수 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들 실시예를 통하여 본 고안의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을 보다 더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약탕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약탕기(100)는 히터(50)의 고온의 열에 의하여 달궈져 피조리품(被調理品)을 가열시키는 가열용기(VESSEL; 40)가 준비되고, 이 가열용기(40)는 중심구멍(34a)을 갖는 뚜껑(30)에 의하여 개폐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가열용기(40)에 담겨지는 피조리품은 가열에 의하여 증기를 유발시키는 음식물 또는 기호식품, 인삼·홍삼과 같은 한약재 등 다양한 종류의 제품으로 정의할 수 있고, 가열용기(40)는 히터(50)에 의하여 고온의 열을 피조리품에 용이하게 전달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느 것이라도 좋다.
도 2a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약탕기에 적용된 가열용기와 증기 응결기의 분리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b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약탕기에 적용된 가열용기와 증기 응결기의 연통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가열용기(40)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종 한약재 또는 고구마·감자·옥수수를 내장하는 조리용 필터(10)를 내장하고, 이 조리용 필터(10)는 피조리품이 히터(50)를 통하여 끓여지는 고온의 물 또는 수증기에 의하여 찜 요리, 삶은 요리, 끓임 요리화되거나 탕재화된 후 그 내용물이 외부로 빠져나와 가열용기(40)의 액체 속에 혼합되는 것을 막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가열용기(40)의 상단 테두리(41)에 조리용 필터(10)가 놓여져 히터(50)에 의하여 끓여지는 물의 표면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존재하거나 조리용 필터(10)가 히터(50)에 의하여 끓여지는 물의 표면에 근접 또는 침수한 경우에는, 가열용기(40)의 내부 및 조리용 필터(10)의 내부 상호간의 압력차가 발생되어 뜨거운 물이 사이펀(siphon) 원리에 의하여 필터 테두리(14)의 공간을 통하여 유입된 후 피조리품에 직접 작용되어 찜 또는 달임요리, 삶은 요리를 가능하게 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약탕기에 적용된 조리용 필터 및 뚜껑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고안에 적용된 가열용기(40)는 조리용 필터(10)를 내장하며 중심구멍(34a)을 갖는 뚜껑(30)에 의하여 개폐되고, 히터(50)의 측면으로부터 직립된 지지대(51)에 결합되는 안착판(52) 위에 놓여진 증기 응결기(80)의 응축부재(81)와 연통되고, 특히 조리용 필터(10)는 뚜껑(30)에 착탈 가능하게 일체 조립되어 가열용기(40)의 상단 테두리(41)에 얹혀지는 뚜껑(30)에 매달리는 형태로 가열용기(40)의 내부에 위치된다.
현재까지 개발되고 알려진 약탕기(100)는 대부분 조리용 필터(10)의 필요성을 강조하면서 가열용기(40)의 저면에 직접 놓여지거나 가열용기(40)의 상단 테두리(41)에 걸쳐지는 형태로 조립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형태는 조리용 필터(10)의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별도의 패킹과 뚜껑(30)의 기밀을 보장하기 위한 또 다른 패킹을 준비하여야만 하고, 조리용 필터(10)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뚜껑(30)이 직접 가열용기(40)의 상단 테두리(41)에 얹혀지는 형태로 조립되어 뚜껑(30)의 위치, 즉 미세하지만 조리용 필터(10)가 제거된 높이만큼의 뚜껑(30)의 위치가 낮아져 결국 안착판(52) 위에 놓여진 증기 응결기(80)의 응축부재(81)와 연통시에 중심구멍(34a)의 높낮이의 변화에 따라 상호간의 연통오차가 발생되는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조리용 필터(10)는 도 2b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30)과 착탈 가능하게 일체 조립되어 가열용기(40)의 상단 테두리(41)에 얹혀지는 뚜껑(30)에 매달리는 형태로 가열용기(40)의 내부에 위치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뚜껑(30)과 함께 조리용 필터(10)가 일체 조립되어 사용될 수 있으므로써 뚜껑(30)이 씌워진 채로 각종 한약재나 고구마·감자·옥수수와 같은 피조리품을 내장한 조리용 필터(10)를 가열용기(40)의 내부에 위치시키거나 빼내는 동작을 더욱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게 되고, 특히 조리용 필터(10)의 유무에 관계없이 증기 응결기(80)의 응축부재(81)와 연통되는 중심구멍(34a)의 높낮이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연통오차가 전혀 발생되지 않는 이점이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약탕기에 적용된 조리용 필터 및 뚜껑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약탕기에 적용된 조리용 필터 및 뚜껑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고안에 적용된 뚜껑(30)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연으로부터 하측방향으로 직경이 좁게 연장된 하부 테두리(32)를 포함하고, 이 하부 테두리(32)의 최하단에는 외측방향으로 돌출 성형된 복수 개의 걸림턱(32a)을 구비한다.
그리고, 조리용 필터(10)는 상단부 내주연에 뚜껑(30)의 걸림턱(32a)을 하측방향으로 안내함과 동시에 가열용기(40)로부터 올라오는 증기의 회수통로가 되는 복수 개의 안내홈(11a)이 성형되고, 뚜껑(30)을 조립시키기 위하여 회전시킬 경우 안내홈(11a)에 끼워진 걸림턱(32a)을 회전방향으로 안내하면서 고정하는 고정테(12a)를 더 구비한다.
걸림턱(32a)과 고정테(12a)의 결합에 의하여 조리용 필터(10)는 가열용기(40)의 상단 테두리(41)에 얹혀지는 뚜껑(30)에 자연스럽게 매달릴 수 있게 되고, 뚜껑(30)의 걸림턱(32a)을 하측방향으로 안내하는 복수 개의 안내홈(11a)은 가열용기(40)로부터 기포화되어 올라오는 증기를 다시 회수하여 일부는 조리용 필터(10)의 필터 테두리(14)에 의하여 제공되는 공간을 통하여 가열용기(40)에 다시 떨어뜨리고 다른 일부는 조리용 필터(10)의 내부에서 상승하는 증기와 합류시켜 증기 응결기(80)의 응축부재(81)를 따라 올라가도록 한 후 응축시켜 지속적인 액체의 증기화 및 응축화의 순환을 가능하게 한다.
여기서, 안내홈(11a)의 회수기능은 매우 중요하다. 즉, 히터(50)의 가열에 의하여 끓여지면서 기화되는 증기는 대부분 필터 테두리(14)에 의하여 제공되는 공간을 따라 상승하여 응축부재(81)에 다다르게 되고, 다른 일부는 가열용기(40)의 내부에서 상승한 후 안내홈(11a)을 따라 회수될 수 있게 되는 데, 예를 들어 증기의 회수기능을 수행하는 안내홈(11a)이 없다면 가열용기(40)의 내부 압력은 상승할 수밖에 없고 결국 이러한 압력에 의하여 가열용기(40)의 뚜껑(30)이 밀쳐지면서 증기를 토해낼 수밖에 없어 안내홈(11a)의 기능은 매우 중요한 것이다.
부연하면, 히터(50)에 의하여 끓여지는 증기 중 가열용기(40)의 내부에서 상승되는 증기는 조리용 필터(10)의 내부에서 상승하는 증기와는 다르게 외부의 공기와 면접촉하면서 미약하게나마 응결작용을 하는 가열용기(40)의 내주연에 직접 부딪히면서 비교적 낮은 온도를 갖게 되어 조리용 필터(10)의 안내홈(11a)을 따라 회수될 경우, 대부분 필터 테두리(14)의 공간을 따라 가열용기(40)의 저면에 떨어지고 다른 일부는 조리용 필터(10)의 내부에서 상승되는 증기와 합류되어 응축부재(81)에 다다를 수 있다는 측면에서 증기의 사이펀(siphon) 원리를 실현할 수가 있는 것이고, 이와 같이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는 안내홈(11a)은 이하에 설명되는 회수구멍(11d), 회수로(11c) 및 유도홈(11b)과 더불어 동일한 원리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본 고안에서는 안내홈(11a)이나 회수구멍(11d), 회수로(11c) 및 유도홈(11b)과 같은 명칭과 구조에 제한을 두지 않고 가열용기(40)로부터 상승되는 증기를 다시 회수할 수 있도록 조리용 필터(10)에 회수통로를 제공하는 것이라면 모두 적용할 수 있다.
조리용 필터(1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면 중심의 하측방향으로 직경이 좁게 개구되면서 연장된 필터 테두리(14)를 구비한다. 이 필터 테두리(14)에 의하여 제공되는 개구된 공간은 가열용기(40)로부터 상승되고 응축부재(81)로부터 하강되는 증기와 응결수의 이동통로가 되고, 이 필터 테두리(14)에는 간극편(23)에 의하여 덮개부재(20)가 이격된 상태로 결합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조리용 필터(10)는 필터 테두리(14)의 상하방향의 외측으로 확대되어 가열용기(40)로부터 올라오는 증기의 이동통로가 되면서 응축부재(81)를 통하여 응축된 응결수의 하향통로가 되는 복수 개의 안내로(14a)를 구비하고, 이 복수 개의 안내로(14a) 사이에는 수평방향으로 융기테(14b)가 돌출 성형된다.
그리고, 덮개부재(20)는 조리용 필터(10)의 필터 테두리(14)에 끼워지는 축(21)을 구비하고, 이 축(21)의 상부에는 조리용 필터(10)의 저면에 간극편(23)을 통하여 이격 지지되는 덮개(22)가 일체 성형되고, 축(21)의 하단에는 외측방향으로 돌출되어 필터 테두리(14)의 안내로(14a)를 따라 끼워진 후 덮개(22)의 회전에 따라 융기테(14b)에 안내되면서 고정되는 복수 개의 융기턱(24)이 구비된다.
상기 복수 개의 안내로(14a)는 가열용기(40)로부터 상승되는 증기의 상승통로가 되면서 응축부재(81)로부터 응축된 응결수의 하강통로가 된다. 그리고, 덮개부재(20)는 조리용 필터(10) 내부에 저장되는 피조리품의 외부 유출을 방지하기 위함이고, 인삼이나 각종 한약재 또는 탕재를 끓일 경우 스테인레스나 금속재는 쉽게 부식되거나 변질되기 쉬우므로 본 고안에서는 가열용기(40)를 비롯한 증기 응결기(80) 및 조리용 필터(10)를 유리재질로 제조함을 특징으로 하고, 인체에 무해한 재질이라면 어느 것도 가능하다. 그런데, 유리재질로 제조할 경우 조리용 필터(10)의 하면에 구멍을 뚫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그 구멍에 의하여 오히려 쉽게 파손되는 경우가 빈번하기 때문에 필터 테두리(14)에 의하여 제공되는 공간에 덮개부재(20)를 조립하여 깨짐현상을 방지하면서 필터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약탕기에 적용된 조리용 필터 및 뚜껑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약탕기에 적용된 조리용 필터 및 뚜껑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본 고안에 따른 약탕기(100)에 적용된 뚜껑(30)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연으로부터 하측방향으로 직경이 좁게 연장된 하부 테두리(32)의 외주연에 수나사(33)를 구비하고, 뚜껑(30)에 결합되는 조리용 필터(10)는 그 내주연에 암나사(13)를 구비하여 상호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조리용 필터(10)의 내주연에 형성된 암나사(13)의 높이보다 수나사(33)의 높이를 더 작게 성형하고 상기 암나사(13)의 내경보다 수나사(33)의 외경을 더 작게 성형(물론 상호 나사결합이 가능한 정도의 대소를 갖는 크기임)하여 상호 결합될 경우 이격되면서 조립될 수 있도록 하여 가열용기(40)로부터 올라오는 증기의 회수통로가 되는 회수로(11c; 일종의 나사홈을 따라 이어지는 나선형 회수로가 됨)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 이러한 경우의 조리용 필터(10)는 히터(50)에 의하여 끓여지면서 상승되는 증기를 원활히 회수할 수 있도록 다수 개의 회수구멍(11d)을 더 포함한다. 한편,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도면에서 덮개부재(20)와 필터 테두리(14) 역시 뚜껑(30)과 조리용 필터(10)의 조립구조에서처럼 상호 나사 결합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약탕기에 적용된 조리용 필터 및 뚜껑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약탕기에 적용된 조리용 필터 및 뚜껑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고안에 따른 약탕기(100)에 적용된 뚜껑(30)은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연으로부터 하측방향으로 연장된 하부 테두리(32)로부터 내측방향으로 돌출 성형된 복수 개의 내향턱(32b)을 더 구비한다. 그리고, 조리용 필터(10)는 상단부 외주연에 뚜껑(30)의 내향턱(32b)을 하측방향으로 안내하면서 가열용기(40)로부터 기포화되어 올라오는 증기의 회수통로가 되는 복수 개의 유도홈(11b)을 구비하고, 뚜껑(30)이 회전될 경우 유도홈(11b)에 끼워진 내향턱(32b)을 회전방향으로 안내하면서 고정하는 유도테(12b)를 더 포함한다.
유도홈(11b)의 중요성은 앞서 설명한 안내홈(11a), 회수구멍(11d) 및 회수로(11c)와 동일하며, 그 설명상의 번잡함을 피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단,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용 필터(10)가 뚜껑(30)의 하부 테두리(32)의 내부에 조립되는 구조, 즉 하부 테두리(32)가 가열용기(40)로부터 상승되는 증기를 자연스럽게 포용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증기의 회수효율은 더욱 좋아진다.
한편,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약탕기(100)에 적용된 뚜껑(30)은 상측방향의 원판형상으로 연장 성형되어 중심구멍(34a)을 테이퍼진 호퍼홈(34b)의 중앙에 배치하며 외주연에 내측방향으로 라운딩되는 파지홈(34c)을 구비한 돌출관(34)을 구비한다. 테이퍼진 호퍼홈(34b)은 후술하는 개폐패킹(90)과의 결합시 더욱 용이하게 하고, 더불어 돌출관(34)의 파지홈(34c)은 피조리품을 내장한 조리용 필터(10)를 뚜껑(30)과 함께 들어 올릴 때 그 무게와 유리재질임을 감안하여 작업자의 손으로부터 미끄러지거나 이탈되는 현상을 극복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뚜껑(30)의 외주연에는 외측방향으로 돌출 성형되어 가열용기(40)의 상단 테두리(41)에 얹혀지는 돌출테(31)를 더 구비하고, 이 돌출테(31)에는 가열용기(40)를 밀봉시키기 위한 밀봉패킹(31a)이 씌워진다.
도 10은 도 2b의 지시선 A를 확대하여 나타낸 요부 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약탕기를 나타내는 요부 분해사시도이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적용되는 증기 응결기(80)는 냉매(冷媒; 82)를 내장한 냉각통(83)을 기본으로 하고 연통부재(70)를 통하여 가열용기(40)에 연통되어 피조리품이 익혀지면서 기화되는 증기를 냉매(82)에 작용시켜 다시 액화시키는 응축부재(81)가 냉각통(83)의 냉매(82)에 침수되는 구조로 배치되며, 냉각통(83)은 커버(84)에 의하여 개폐된다.
상기 냉각통(83)은 냉매(82)의 주입 및 배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대략 원통형상으로 성형되며 별도의 손잡이가 구비되어 이동시의 편리함과 냉매(82) 배출시의 용이함을 함께 제공한다. 더불어, 냉각통(83)에 내장된 냉매(82)는 피조리품이 익혀지면서 기화되는 증기(기체)를 액화시키는 매체로서 상온(常溫)의 물이나 차가운 냉수, 그리고 고체상태의 얼음, 냉장 냉동용으로 사용되는 프레온 가스 또는 대기 속에서 -78.5℃에서 승화하며 액체단계를 거치지 않고도 낮은 온도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는 드라이아이스, 차가운 냉풍 등과 같이 증기를 응결시킬 수 있는 매체라면 제한하지 않는다.
냉매(82)의 예로서 고체상태의 얼음을 활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냉동된 얼음을 조각내어 냉각통(83)에 넣어 사용할 수도 있고, 일반적인 물을 냉각통(83)에 채운 후 냉각통(83)과 함께 직접 냉각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응축부재(81)는 연통부재(70)를 통하여 가열용기(40)에 연통됨과 동시에 냉각통(83)에 내장된 냉매(82)에 접촉되는 표면적이 극대화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코일형상의 관을 채용할 수 있다.
증기 응결기(80)는 가열용기(40)를 히팅시키는 히터(50)의 측면으로부터 직립되는 지지대(51)에 결합된 안착판(52) 위에 놓여진다. 그리고, 안착판(52)은 그 중심으로부터 하측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 관(52a)을 구비하고, 그 하부에는 보조판(53)이 나사 조립되고, 보조판(53)의 중심에는 안착판(52)의 가이드 관(52a)과 가열용기(40)를 개폐시키는 뚜껑(30)의 중심구멍(34a)이 상하방향의 직선형으로 배치되도록 가이드 구멍(53a)이 뚫려진다.
가이드 관(52a)과 가이드 구멍(53a) 사이에는 상하 이동되는 연통부재(70)가 조립되어 가열용기(40)의 뚜껑(30)에 뚫려진 중심구멍(34a)과 연통되거나 분리된다.
연통부재(70)가 뚜껑(30)의 중심구멍(34a)과 분리될 경우에는 가열용기(40)를 히터(50)에 용이하게 위치시키거나 이탈시킬 수 있기 때문에 좋고, 연통부재(70)가 뚜껑(30)의 중심구멍(34a)에 연통될 경우에는 히터(50)의 작동시 피조리품의 증기를 증기 응결기(80)에 자연스럽게 제공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연통부재(70)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구멍(53a)에 지지되면서 상측방향 이동시 가이드 관(52a)의 내주연을 따라 상승하고 하측방향 이동시 뚜껑(30)의 중심구멍(34a)에 연통되는 연통관(71)을 구비하고, 더불어 상기 연통관(71)의 외주연에 이격 성형되어 보조판(53)의 저면에 지지되면서 압출압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73)를 수납하는 수납홈(71b)을 제공하는 외륜(71a)을 포함하며, 이 외륜(71a)의 하단으로부터 외측 수평방향으로 확대된 걸림판(71c)을 더 채용한다.
보조판(53)은 측면에 수평방향으로 관통 성형된 축구멍(53b)을 더 구비하고, 이 축구멍(53b)에는 레버(62)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되는 샤프트(60)가 끼워진다.
그리고, 보조판(53)의 축구멍(53b)에 끼워진 샤프트(60)에는 레버(62)의 회전에 따라서 걸림판(71c)의 상면에 맞닿아 연통관(71)을 하측 또는 상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편심판(61)이 장착된다.
예를 들면, 도 2a는 레버(62)의 회전에 의하여 편심판(61)이 상측방향으로 회전된 상태로서 탄성부재(73)의 압출압력에 의하여 연통부재(70)가 상승되어 뚜껑(30)의 중심구멍(34a)으로부터 연통관(71)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고, 도 2b 및 도 10은 편심판(61)이 180°회전된 상태로서 걸림판(71c)의 상면을 하측방향으로 가압하여 연통부재(70)의 연통관(71)이 뚜껑(30)의 중심구멍(34a)과 연통되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때, 상기 연통관(71)의 내주연에는 유리재질로 된 내부관(71d)을 더 장착하여 가열용기(40)로부터 올라오는 고온의 증기에 의한 연통관(71)의 변형 또는 인체에 유해한 성분의 역투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연통관(71)의 상단 외주연에는 오링(O-RING; 72)이 끼워져 안착판(52)의 가이드 관(52a)과 연통부재(70)의 연통관(71) 사이에 흐를 수 있는 응결수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연통관(71)의 하단에는 개폐패킹(90)이 장착되어 가열용기(40)와 연통될 경우에는 개구되고 가열용기(40)로부터 이격될 경우에는 폐구되어 응축부재(81)의 응결수가 물방울화되어 외부로 떨어지는 현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외부로부터의 곤충침입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개폐패킹(90)은 연통관(71)의 하단에 결합되어 연통관(71)이 중심구멍(34a)에 위치될 경우 호퍼홈(34b)을 따라 눌려지면서 개구되고 연통관(71)이 중심구멍(34a)으로부터 이격될 경우 복귀되는 것이고, 이 개폐패킹(90)은 내열성·저온특성이 우수하며 내오존성·내코로나성·내유성·내화학 약품성 등의 특성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생물학적으로 안정적이고 무독하며 복원력이 매우 좋은 실리콘 고무를 실시예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구성으로는 연통관(71)이 중심구멍(34a)에 위치될 경우 돌출관(34)의 상면에 면접촉하면서 밀착되는 원판부재(91)를 포함하고, 이 원판부재(91)의 중앙에는 열십(十)자 형으로 절개된 절개라인(91a)이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약탕기(100)의 사용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가열용기(40)를 지지대(51) 사이의 히터(50) 위에 위치시키기 위하여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62)를 회전시켜 연통관(71)이 탄성부재(73)의 압출압력에 의하여 상측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한 후 가열용기(40)를 정위치시킨다.
그리고 다시 레버(62)를 돌리면,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심판(61)에 의하여 걸림판(71c)이 눌려지면서 연통부재(70)의 연통관(71)이 하강하여, 가열용기(40)를 개폐시키는 뚜껑(30)의 호퍼홈(34b)을 비롯한 중심구멍(34a)에 연통관(71)이 맞춰지면서 개폐패킹(90)이 개구되어 가열용기(40)와 증기 응결기(80)의 응축부재(81)가 상호 연통될 수 있게 된다.
그 후, 히터(50)를 동작시키면 피조리품은 증기를 발생하게 되고, 이 증기는 연통관(71) 및 응축부재(81)를 통하여 상승하면서 냉각통(83)에 내장된 냉매(82)에 작용되어 액화된 후 다시 응축부재(81) 및 연통관(71)의 내주연을 따라 하강하여 가열용기(40)에 담겨진 피조리품 속으로 떨어지게 된다.
여기서, 고온의 열에 의하여 수증기 등이 증발되어 피조리품이 타거나 연소되는 현상은 증기 응결기(80)의 응축과정을 통한 수증기의 환원으로 최소화될 수 있고, 더불어 증기 속에 함유된 냄새 미립자는 냉매(82)에 의한 응축작용으로 다시 액화되어 가열용기(40) 속으로 대부분 떨어져 없어지거나 일부는 냉매(82)와 함께 완전히 응결되어 외부의 공기 속으로 분산되는 냄새 미립자의 최소화 내지는 완전한 제거를 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인삼, 홍삼 등과 같은 각종 한약재를 끓일 때 발생되는 증기 속에 포함된 유효한 성분, 예를 들면 사포닌 배당체·파나센·폴리아세틸렌계화합물·함질소성분·플라보노이드·비타민B군·효소·항산화물질 등은 다시 회수되어 약효성분의 극대화를 기할 수 있게 된다.
즉, 고온의 열에 의하여 피조리품으로부터 증기화되어 외부로 유출되려고 하는 냄새 미립자는 냉매(82)의 응축과정에서 응결핵으로 작용되어 물방울로 환원된 후 가열용기(40) 속으로 다시 회수될 수 있게 되어 냄새의 유출방지는 물론 수증기의 증발에 의한 피조리품의 타는 현상, 즉 연소현상까지 방지할 수 있게 되고, 피조리품으로부터 증기화되어 외부로 유출되는 수증기를 다시 환원시킬 수 있기 때문에 피조리품의 양이 줄어들지 않아 각종 한방약이나 커피 등을 끓일 때 별도의 물 등을 추가할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조리하고 있는 상황을 망각하더라도 고온의 열에 의한 화재의 위험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으며 한약재의 약효성분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히터(50)의 가열에 의하여 끓여지면서 기화되는 증기는 대부분 필터 테두리(14)에 의하여 제공되는 공간을 따라 상승하여 응축부재(81)에 다다르게 되고, 다른 일부는 가열용기(40)의 내부에서 상승한 후 안내홈(11a), 회수로(11c), 회수구멍(11d) 또는 유도홈(11b)을 따라 회수될 수 있게 된다.
즉, 안내홈(11a), 회수로(11c), 회수구멍(11d) 또는 유도홈(11b)은 가열용기(40)로부터 기포화되어 올라오는 증기를 다시 회수하여 일부는 조리용 필터(10)의 필터 테두리(14)로부터 제공되는 공간을 통하여 가열용기(40)에 떨어뜨리고(feed back), 다른 일부는 조리용 필터(10)의 내부에서 상승하는 증기와 합류시켜 증기 응결기(80)의 응축부재(81)를 따라 올라가도록 한 후 응축시켜 액체의 증기화 및 응축화의 순환을 지속적으로 가능하게 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히터(50)에 의하여 끓여지는 증기 중 가열용기(40)의 내부에서 상승하는 증기는 조리용 필터(10)의 내부에서 상승하는 증기와는 다르게 외부의 공기와 면접촉하면서 미약하게나마 응결작용을 하는 가열용기(40)의 내주연에 직접 부딪히면서 비교적 낮은 온도를 갖게 되어 조리용 필터(10)의 안내홈(11a)을 따라 회수될 경우 대부분은 필터 테두리(14)의 공간을 따라 가열용기(40)의 저면에 떨어져 피드백되고 다른 일부는 조리용 필터(10)의 내부에서 상승되는 증기와 합류되어 응축부재(81)에 다다를 수 있다는 측면에서 증기의 사이펀(siphon) 원리를 실현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약탕기(100)에 의하면, 조리용 필터(10)를 뚜껑(30)에 착탈 가능하게 일체 조립시켜 가열용기(40)의 상단 테두리(41)에 얹혀지는 뚜껑(30)에 매달리는 형태로 가열용기(40)의 내부에 위치시키므로써 뚜껑(30)이 조리용 필터(10)에 씌워진 채로 한약재나 고구마·감자·옥수수와 같은 피조리품을 가열용기(40)의 내부에 용이하게 위치시킬 수 있으며, 특히 조리용 필터(10)의 유무에 관계없이 증기 응결기(80)의 응축부재(81)와 연통되는 중심구멍(34a)의 높낮이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사용하기에 매우 편리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조리용 필터(10)와 뚜껑(30)의 결합 시 상호 이격되는 공간, 즉 안내홈(11a), 회수로(11c) 및 유도홈(11b)을 구비하여 뚜껑(30)의 조립을 더욱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회수구멍(11d)과 더불어 가열용기(40)로부터 올라오는 증기를 다시 회수하여 일부는 조리용 필터(10)의 필터 테두리(14)로부터 제공되는 공간을 통하여 가열용기(40)에 떨어뜨리고 다른 일부는 조리용 필터(10)의 내부에서 상승하는 증기와 합류시켜 증기 응결기(80)의 응축부재(81)를 따라 올라가도록 한 후 응축시켜 액체의 증기화 및 응축화의 순환을 지속적으로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증기의 넘침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가.
또한, 피조리품이 익혀지면서 기화되는 증기를 다시 응축시켜 환원시키므로써 조리시의 냄새를 최대한 억제 및 방지할 수 있으며 한약재의 이로운 성분을 다시 회수하여 약효를 극대화시킬 수 있고, 증발되는 수증기를 다시 액화시켜 환원시키므로써 히터(50)의 고온의 열에 의하여 수증기 등이 증발되어 피조리품이 타거나 연소되는 현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피조리품으로부터 증기화되어 외부로 유출되는 수증기를 다시 환원시킬 수 있으므로써 피조리품의 양이 줄어들지 않아 각종 탕이나 커피 등을 끓일 때 별도의 물 등을 추가할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조리하고 있는 상황을 망각하더라도 고온의 열에 의한 화재의 위험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더불어, 히터(50) 위에 가열용기(40)를 위치시키거나 분리시킬 경우에 편심판(61)에 의하여 연통관(71)이 뚜껑(30)의 중심구멍(34a)에 자연스럽게 연통되거나 이격될 수 있도록 하여 약탕기(100) 사용상의 편리함이 한층 증진되며, 가열용기(40)와 증기 응결기(80)의 상호 연결을 샤프트(60)의 편심판(61)에 의하여 연통부재(70)가 자연스럽게 상하 이동될 수 있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그 구조가 간단하며 조작이 용이하고, 또한 호퍼홈(34b)에 의하여 개폐패킹(90)이 긴밀하게 연통될 수 있고, 개폐패킹(90)에 의하여 응결수의 누수현상이 방지됨과 동시에 외부로부터 곤충들의 침입을 함께 차단할 수 있어 유용하고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3)

  1. 조리용 필터(10)를 내장하며 중심구멍(34a)을 갖는 뚜껑(30)에 의하여 개폐되는 가열용기(40)를 히팅시키는 히터(50)의 측면으로부터 직립된 지지대(51)에 결합되어 응축부재(81)를 내장한 증기 응결기(80)를 받쳐주는 안착판(5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약탕기(100)에 있어서;
    상기 조리용 필터(10)는 상기 뚜껑(30)에 착탈 가능하게 일체 조립되어 상기 가열용기(40)의 상단 테두리(41)에 얹혀지는 상기 뚜껑(30)에 매달리는 형태로 상기 가열용기(40)의 내부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탕기(100).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30)은 외주연으로부터 하측방향으로 직경이 좁게 연장된 하부 테두리(32)와, 상기 하부 테두리(32)로부터 외측방향으로 돌출 성형된 복수 개의 걸림턱(32a)을 구비하고;
    상기 조리용 필터(10)는 상단부 내주연에 상기 걸림턱(32a)을 하측방향으로 안내하면서 상기 가열용기(40)로부터 올라오는 증기의 회수통로가 되는 복수 개의 안내홈(11a)과, 상기 뚜껑(30)이 회전될 경우 상기 안내홈(11a)에 끼워진 걸림턱(32a)을 회전방향으로 안내하면서 고정하는 고정테(12a)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탕기(100).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용 필터(10)는 저면 중심의 하측방향으로 직경이 좁게 개구되면서 연장된 필터 테두리(14)와,
    상기 필터 테두리(14)에 이격되면서 결합되는 덮개부재(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탕기(100).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용 필터(10)는 상기 필터 테두리(14)의 상하방향의 외측으로 확대되어 상기 가열용기(40)로부터 올라오는 증기의 이동통로가 되면서 상기 응축부재(81)를 통하여 응축된 응결수의 하향통로가 되는 복수 개의 안내로(14a)와, 상기 복수 개의 안내로(14a) 사이에 수평방향으로 돌출된 융기테(14b)를 더 구비하고;
    상기 덮개부재(20)는 상기 필터 테두리(14)에 끼워지는 축(21)과, 이 축(21)의 상부에 일체 성형되어 상기 조리용 필터(10)의 저면에 간극편(23)을 통하여 이격 지지되는 덮개(22)와, 상기 축(21)의 하단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안내로(14a)를 따라 끼워진 후 상기 덮개(22)의 회전에 따라 상기 융기테(14b)에 안내되면서 고정되는 복수 개의 융기턱(24)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탕기(100).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30)은 외주연으로부터 하측방향으로 직경이 좁게 연장된 하부 테두리(32)와, 이 하부 테두리(32)의 외주연에 성형된 수나사(33)를 구비하고;
    상기 조리용 필터(10)는 내주연에 상기 수나사(33)에 나사 결합되는 암나사(1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탕기(100).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암나사(13)의 높이보다 상기 수나사(33)의 높이가 더 작게 성형되고 상기 암나사(13)의 내경보다 상기 수나사(33)의 외경이 더 작게 성형되어 상호 결합시 이격되면서 조립되어 상기 가열용기(40)로부터 올라오는 증기의 회수통로가 되는 회수로(11c)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탕기(100).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용 필터(10)는 상기 히터(50)에 의하여 끓여지면서 상승되는 증기를 회수할 수 있도록 뚫려진 다수 개의 회수구멍(11d)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탕기(100).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30)은 외주연으로부터 하측방향으로 연장된 하부 테두리(32)와, 상기 하부 테두리(32)로부터 내측방향으로 돌출 성형된 복수 개의 내향턱(32b)을 구비하고;
    상기 조리용 필터(10)는 상단부 외주연에 상기 내향턱(32b)을 하측방향으로 안내하면서 상기 가열용기(40)로부터 올라오는 증기의 회수통로가 되는 복수 개의 유도홈(11b)과, 상기 뚜껑(30)이 회전될 경우 상기 유도홈(11b)에 끼워진 내향턱(32b)을 회전방향으로 안내하면서 고정하는 유도테(12b)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탕기(100).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30)은 상측방향의 원판형상으로 연장 성형되어 상기 중심구멍(34a)을 테이퍼진 호퍼홈(34b)의 중앙에 배치하며 외주연에 내측방향으로 라운딩되는 파지홈(34c)을 구비한 돌출관(34)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탕기(100).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30)의 외주연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돌출 성형되어 상기 가열용기(40)의 상단 테두리(41)에 얹혀지는 돌출테(31)와,
    상기 돌출테(31)에 씌워져 상기 가열용기(40)를 밀봉시키는 밀봉패킹(31a)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탕기(100).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판(52)의 중심으로부터 하측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 관(52a)과;
    상기 안착판(52)의 하부에 결합되어 중심에 가이드 구멍(53a)을 갖는 보조판(53)과;
    상기 가이드 구멍(53a)에 지지되면서 상측방향 이동시 상기 가이드 관(52a)의 내주연을 따라 상승하고 하측방향 이동시 상기 중심구멍(34a)에 연통되는 연통관(71)과, 이 연통관(71)의 외주연에 이격 성형되어 상기 보조판(53)의 저면에 지지되면서 압출압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73)를 수납하는 수납홈(71b)을 제공하는 외륜(71a)과, 이 외륜(71a)의 하단으로부터 외측 수평방향으로 확대된 걸림판(71c)을 구비한 연통부재(70)와;
    상기 보조판(53)의 측면에 수평방향으로 관통 성형된 축구멍(53b)과;
    상기 축구멍(53b)에 끼워져 레버(62)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되는 샤프트(60)와;
    상기 샤프트(60)에 결합되어 상기 레버(62)의 회전에 따라서 상기 걸림판(71c)의 상면에 맞닿아 상기 연통관(71)을 하측 또는 상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편심판(61)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탕기(100).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관(71)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연통관(71)이 상기 중심구멍(34a)에 위치되어 눌려질 경우 개구되고 상기 연통관(71)이 상기 중심구멍(34a)으로부터 이격될 경우 복귀되어 폐구되는 개폐패킹(9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탕기(100).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패킹(90)은 상기 연통관(71)이 상기 중심구멍(34a)에 위치될 경우 그 주위에 면접촉되면서 밀착되는 원판부재(91)와,
    상기 원판부재(91)의 중앙에 열십(十)자 형으로 절개되어 상기 연통관(71)이 상기 중심구멍(34a)에 위치될 경우 눌려지면서 개구되고 상기 연통관(71)이 상기 중심구멍(34a)으로부터 이격될 경우 복귀되는 절개라인(91a)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탕기(100).
KR2020000025825U 2000-09-09 2000-09-09 약탕기 KR2002278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5825U KR200227875Y1 (ko) 2000-09-09 2000-09-09 약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5825U KR200227875Y1 (ko) 2000-09-09 2000-09-09 약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7875Y1 true KR200227875Y1 (ko) 2001-06-15

Family

ID=73088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5825U KR200227875Y1 (ko) 2000-09-09 2000-09-09 약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787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0419B1 (ko) 2010-11-12 2013-02-06 쿠쿠전자주식회사 중탕조리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0419B1 (ko) 2010-11-12 2013-02-06 쿠쿠전자주식회사 중탕조리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80078B1 (en) Food steamer
US5584235A (en) Food steamer flavoring support
US5893320A (en) Device for cooking fowl
JP3137294B2 (ja) 蒸気調理器
US6526875B1 (en) Cooking vessel with removable trough
MXPA03006861A (es) Aparato para cocer carne y metodos de cocer la misma.
KR100682119B1 (ko) 고온진공 증숙기 및 이를 이용한 증숙법
WO2006020124A2 (en) Multi-chambered convertible grilling device
US20040187699A1 (en) Fowl steamer/smoker grilling device
KR200227875Y1 (ko) 약탕기
KR200228042Y1 (ko) 약탕기
KR200228041Y1 (ko) 약탕기
KR200220377Y1 (ko) 약탕기
KR200220380Y1 (ko) 약탕기
KR101066983B1 (ko) 고온진공 추출장치
KR200433838Y1 (ko) 다기능 쿠커
KR100346901B1 (ko) 증기 응결기
KR200257000Y1 (ko) 증기 응결기
KR200206682Y1 (ko) 증기 응결기
KR200198572Y1 (ko) 무압력 한약재의 엑기스 추출기
KR100346903B1 (ko) 증기 응결기
KR200183673Y1 (ko) 탈취장치
KR102027651B1 (ko) 건강보조식품용 농축기
KR200297223Y1 (ko) 약탕기
KR200236952Y1 (ko) 증기 응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41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