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8042Y1 - 약탕기 - Google Patents

약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8042Y1
KR200228042Y1 KR2020000028224U KR20000028224U KR200228042Y1 KR 200228042 Y1 KR200228042 Y1 KR 200228042Y1 KR 2020000028224 U KR2020000028224 U KR 2020000028224U KR 20000028224 U KR20000028224 U KR 20000028224U KR 200228042 Y1 KR200228042 Y1 KR 2002280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movable
rotating body
driven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82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종필
Original Assignee
한종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종필 filed Critical 한종필
Priority to KR20200000282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804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80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8042Y1/ko

Links

Landscapes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열체의 열에 의하여 피조리품이 익혀지면서 기화되는 증기를 다시 환원시켜 조리시의 냄새를 최대한 억제 및 방지할 수 있으며 피조리품이 타거나 연소되는 현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열체 위에 가열용기를 위치시키거나 분리시킬 경우에 가동 회전체에 연동되는 피동 회전체의 제자리 회전에 의하여 승강 이동체의 승강 이동관이 강제적으로 뚜껑의 중심구멍에 연통되거나 이격될 수 있도록 한 약탕기에 관한 것으로, 가열체(13) 위에 가열용기(10)를 위치시키거나 분리시킬 경우에 가동 회전체(40)의 수평 회전력을 수직 회전력으로 변환시키는 피동 회전체(50)에 의하여 승강 이동체(60)의 승강 이동관(61)이 피동 회전관(53)의 내부에서 강제적으로 상승 또는 하강될 수 있게 되고, 이러한 승강 이동관(61)의 승강 움직임에 따라 증기 응결기(90)의 응축관(91)과 뚜껑(11)의 중심구멍(11a)이 상호 강제적이면서 자연스럽게 연통되거나 분리될 수 있게 되어 증기 응결기(90)의 응축관(91)과 뚜껑(11)의 중심구멍(11a)의 연통 및 분리상태를 매우 긴밀하게 유지할 수 있고, 이로써 사용상의 편리함이 한층 증진되는 탁월한 효과를 지닌 고안이다.

Description

약탕기{PIPKIN FOR PREPARING DECOCTIONS}
본 고안은 약탕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열체 위에 가열용기를 위치시키거나 분리시킬 경우에 회전축의 회전에 연동되는 가동 회전체의 수평 회전력을 수직 회전력으로 변환시키는 피동 회전체에 의하여 피동 회전관의 내부에서 강제적으로 승강되는 승강 이동체의 승강 이동관이 증기 응결기의 응축관과 뚜껑의 중심구멍을 긴밀하게 연통시키거나 자연스럽게 분리시킬 수 있는 약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리(調理)는 식품재료를 먹기 좋고 맛있게 하기 위하여 음식물을 다듬고 썰고 장만하여 익히거나, 또는 절이거나 담가서 양념 등으로 맛을 내는 기술을 말한다.
그리고, 조리는 소화되기 어려운 식품을 익혀주고, 주재료가 되는 식품에 다른 재료를 첨가하여 맛을 낸 뒤 인체에 유용한 영양소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기도 한다.
조리법 중 특히 익히는 방법에는 끓이기·볶기·굽기·삶기·튀기기·지지기·조리기·찜 등 다양한 방법이 있다.
이러한 다양한 조리방법에는 고온의 열을 받으면서 음식물에 열을 전달하여 끓이거나 볶고, 굽고, 삶고, 튀기고, 지지고, 쪄서 식품화시키는 용기(VESSEL)라는 조리기구가 동원된다.
이때, 용기 속에 담겨진 음식물은 고온의 열에 의하여 조리되는 과정에서 증기를 유발시킬 수밖에 없는데, 이 증기는 냄새를 가질 뿐만 아니라 모두 증기화될 경우에는 피조리품을 건조시켜 결국은 고온의 열에 의하여 태워버리거나 그을림을 발생시켜 식품의 변질은 물론이고 화재의 위험까지 발생될 수 있다.
냄새(SMELL)는 음식물이 익혀지면서 분산된 미립자가 공기 속에 떠돌아다니면서 사람의 후각에 접촉하여 감각세포를 자극함에 따라 생기는 감각적인 느낌이라 할 수 있는데, 이러한 냄새는 특히 우리가 전통적으로 끓여먹는 된장의 일종인 청국장(淸國醬)을 조리하는 과정에서는 더욱 심하게 나타난다. 생선 또는 육류를 요리하거나 넓은 개념의 조리의 일종인 커피와 같은 기호식품을 끓일 때 그 냄새의 강도는 더더욱 심해진다.
여기서, 본 출원인은 조리(調理)의 개념을 단순히 음식물을 식품화시키는 것에 국한하지 않고 커피와 같은 기호식품 또는 한약재 등과 같은 다양한 피조리품(被調理品)을 가열하는 것 등을 망라하여 정의하고, 이에 동원되는 용기는 단순히 음식물을 담을 수 있는 한정된 조리기구가 아닌 기호식품 또는 한약재 등과 같이 가열에 의하여 증기를 유발시키는 모든 피조리품을 담을 수 있는 넓은 개념의 수단으로 정의한다.
한편, 한방의학에서 쓰이는 약물, 즉 한약재는 인체의 건강상태 및 생리적인 상태에 따라 음양의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복용하는 건강증진용의 보약과, 환자의 체질적·병상적·병세적·병위적 조건 등에 의하여 특정처방으로 복용하는 치료용의 처방약 등으로 대별할 수 있다.
이러한 한방약은 주로 약용으로 이용되는 초근목피(草根木皮)·동물·광물 등의 약 400여종이 있으며 그 중 150종 정도가 상용되는데, 그 비율은 대부분 식물성 76%, 동물성 14%, 나머지 광물성이 10% 정도이다.
그리고, 한방약은 1종류만으로 사용되는 일은 거의 드물고 대개 여러 종류의 생약이 배합되어 쓰인다.
이렇게 여러 종류의 약재를 배합하여 사용하는 이유는 복용자의 건강상태와 약재와의 반응에 따라 주작용의 증진과 부작용의 경감을 도모하기 위하여 적절한 비율로 중합시키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피조리품의 일종인 한약재는 고온의 열에 의하여 탕제화되는 과정에서 증기를 유발시킬 수밖에 없는데, 이 증기는 인삼, 홍삼 등과 같은 각종 한약재 속에 포함된 유효한 성분, 예를 들면 사포닌 배당체·파나센(향성분)·폴리아세틸렌계화합물·함질소성분·플라보노이드·비타민B군·효소·항산화물질 등을 함유하고 있는데, 이러한 유효한 성분이 물과 함께 증기화되어 증발되어 버린다면 매우 안타까운 일이 아닐 수 없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물과 함께 증발되기 쉬운 약효성분이 포함된 증기를 액화시켜 다시 회수할 수 있으며 증기 속에 포함된 냄새 미립자를 응결시켜 냄새유발을 방지할 수 있는 약탕기를 이하에 제안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제안으로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가열체의 열에 의하여 피조리품이 익혀지면서 기화되는 증기를 다시 환원시켜 조리시의 냄새를 최대한 억제 및 방지할 수 있으며 피조리품이 타거나 연소되는 현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열체 위에 가열용기를 위치시키거나 분리시킬 경우에 가동 회전체에 연동되는 피동 회전체의 제자리 회전에 의하여 승강 이동체의 승강 이동관이 강제적으로 뚜껑의 중심구멍에 연통되거나 이격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하기에 매우 편리한 약탕기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약탕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a는 본 고안에 따른 약탕기에 적용된 가열용기와 증기 응결기의 분리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b는 본 고안에 따른 약탕기에 적용된 가열용기와 증기 응결기의 연통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c는 도 2b의 지시선 A를 확대하여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약탕기를 나타내는 요부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약탕기를 나타내는 요부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가열용기 11 : 뚜껑
11a : 중심구멍 12 : 조리용 필터
12a : 필터구멍 12b : 회수구멍
13 : 가열체 14 : 지지대
20 : 안착판 21 : 가이드 관
22 : 테프론 안내관 22a : 결합나사산
22b : 너트 22c : 개스킷
22d : 패킹 30 : 보조판
31 : 가이드 구멍 31a : 가이드 돌기
32 : 축구멍 32a : 회전축
40 : 가동 회전체 41 : 가동 베벨기어
42 : 가동 스크류 50 : 피동 회전체
51 : 피동 베벨기어 52 : 피동 기어
53 : 피동 회전관 53a : 나사홈
60 : 승강 이동체 61 : 승강 이동관
62 : 나사산 63 : 가이드 홈
64 : 밀착패킹 65 : 내부관
65a : 테프론 관 65b : 테이퍼 돌기
65c : 테이퍼진 통로 70 : 개폐봉
71 : 볼록돌기 80 : 나사
90 : 증기 응결기 91 : 응축관
92 : 냉각통 93 : 냉매
94 : 덮개 100 : 약탕기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적어도 중심구멍을 갖는 뚜껑에 의하여 개폐되는 가열용기를 히팅시키는 가열체의 측면으로부터 직립된 지지대에 결합되어 응축관을 내장한 증기 응결기를 받쳐주는 안착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약탕기에 있어서;
상기 안착판의 중심으로부터 하측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 관과;
둘레에 축구멍을 구비하고 저면에 가이드 구멍을 갖추어 상기 안착판의 하부에 결합되는 보조판과;
상기 축구멍에 끼워져 수평방향으로 정회전 및 역회전의 회전력을 제공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수평방향 회전력을 증가시키는 가동 회전체와;
상기 보조판에 안착되어 상기 가동 회전체의 수평방향 회전력을 수직방향으로 변환시키는 피동 회전체와;
상기 피동 회전체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의 수직방향 회전력에 연동되어 상기 가이드 관에 끼워지면서 상기 증기 응결기의 응축관과 상기 뚜껑의 중심구멍을 연통시키거나 분리시키는 승강 이동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약탕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는 다수 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들 실시예를 통하여 본 고안의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을 보다 더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약탕기(1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약탕기(100)는 가열체(13)의 고온의 열에 의하여 달궈져 피조리품(被調理品)을 가열시키는 가열용기(VESSEL; 10)가 준비되고, 이 가열용기(10)는 중심구멍(11a)을 갖는 뚜껑(11)에 의하여 개폐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가열용기(10)에 담겨지는 피조리품은 가열에 의하여 증기를 유발시키는 음식물 또는 기호식품, 인삼·홍삼과 같은 한약재 등 다양한 종류의 제품으로 정의할 수 있고, 가열용기(10)는 가열체(13)에 의하여 고온의 열을 피조리품에 용이하게 전달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느 것이라도 좋다.
도 2a는 본 고안에 따른 약탕기(100)에 적용된 가열용기(10)와 증기 응결기(90)의 분리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b는 본 고안에 따른 약탕기(100)에 적용된 가열용기(10)와 증기 응결기(90)의 연통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2c는 도 2b의 지시선 A를 확대하여 나타낸 요부 단면도이다.
가열용기(10)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종 한약재 또는 고구마·감자·옥수수를 찔 때 고온의 물 또는 수증기의 통로가 되는 필터구멍(12a)과 회수구멍(12b)을 구비한 조리용 필터(12)를 내장할 수 있다.
조리용 필터(12)는 피조리품이 가열체(13)를 통하여 끓여지는 고온의 물 또는 수증기에 의하여 찜 요리 또는 삶은 요리, 끓임 요리화되거나 탕재화된 후 그 내용물이 외부로 빠져나와 가열용기(10)의 액체 속에 혼합되는 것을 막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용기(10)의 윗테두리에 조리용 필터(12)가 놓여져 가열체(13)에 의하여 끓여지는 물의 표면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존재하거나 조리용 필터(12)가 가열체(13)에 의하여 끓여지는 물의 표면에 근접 또는 침수한 경우에는, 가열용기(10)의 내부 및 조리용 필터(12)의 내부 상호간의 압력차가 발생되어 뜨거운 물이 사이펀(siphon) 원리에 의하여 필터구멍(12a)을 통하여 유입된 후 피조리품에 직접 작용되어 찜 또는 달임요리, 삶은 요리를 가능하게 한다.
이때, 가열용기(10)의 내부에서 끓여지는 물이 기포화되어 발생되는 거품은 회수구멍(12b)을 통하여 회수되면서 일부는 조리용 필터(12) 내부의 증기와 함께 증기 응결기(90)의 응축관(91)으로 상승되어 응결되어져 떨어지고, 다른 일부는 필터구멍(12a)을 통하여 가열용기(10) 내부로 회수되어진다.
증기 응결기(90)는 냉매(冷媒; 93)를 내장한 냉각통(92)을 기본으로 하고 승강 이동체(60)를 통하여 가열용기(10)에 연통되어 피조리품이 익혀지면서 기화되는 증기를 냉매(93)에 작용시켜 다시 액화시키는 응축관(91)이 냉각통(92)의 냉매(93)에 침수되는 구조로 배치되며, 냉각통(92)은 덮개(94)에 의하여 개폐된다.
냉각통(92)은 냉매(93)의 주입 및 배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대략 원통형상으로 성형되며 별도의 손잡이가 구비되어 이동시의 편리함과 냉매(93) 배출시의 용이함을 함께 제공한다. 더불어, 냉각통(92)에 내장된 냉매(93)는 피조리품이 익혀지면서 기화되는 증기(기체)를 액화시키는 매체로서 상온(常溫)의 물이나 차가운 냉수, 그리고 고체상태의 얼음, 냉장 냉동용으로 사용되는 프레온 가스 또는 대기 속에서 -78.5℃에서 승화하며 액체단계를 거치지 않고도 낮은 온도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는 드라이아이스, 차가운 냉풍 등과 같이 증기를 응결시킬 수 있는 매체라면 제한하지 않는다.
냉매(93)의 예로서 고체상태의 얼음을 활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냉동된 얼음을 조각내어 냉각통(92)에 넣어 사용할 수도 있고, 일반적인 물을 냉각통(92)에 채운 후 냉각통(92)과 함께 직접 냉각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응축관(91)은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 이동체(60)를 통하여 가열용기(10)에 연통됨과 동시에 냉각통(92)에 내장된 냉매(93)에 접촉되는 표면적이 극대화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약탕기(100)를 나타내는 요부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기 응결기(90)는 가열용기(10)를 히팅시키는 가열체(13)의 측면으로부터 직립되는 지지대(14)에 결합된 안착판(20) 위에 놓여진다. 그리고, 안착판(20)은 그 중심으로부터 하측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 관(21)을 구비하고, 그 하부에는 보조판(30)이 나사(80) 조립되고, 보조판(30)의 중심에는 안착판(20)의 가이드 관(21)과 가열용기(10)를 개폐시키는 뚜껑(11)의 중심구멍(11a)이 상호 직선형으로 배치되도록 가이드 구멍(31)이 뚫려지며, 이 가이드 구멍(31)은 내주연에 가이드 돌기(31a)를 더 구비하여 후술하는 승강 이동체(60)의 구성이 되는 승강 이동관(61)의 외주연에 상하방향으로 절개된 가이드 홈(63)을 받아들여 승강 이동체(60)가 상하방향으로만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보조판(30)의 둘레에는 회전축(32a)이 끼워져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축구멍(32)이 수평방향으로 뚫려지고, 도면 중 미설명 부호 64는 뚜껑(11)의 중심구멍(11a)과 승강 이동체(60)가 상호 연통될 경우 밀착시키면서 연통될 수 있도록 보조하는 밀착패킹을 지시한다.
가이드 관(21)과 가이드 구멍(31) 사이에는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승강 이동체(60)가 조립되는데, 이 승강 이동체(60)의 상하방향 이동에 의하여 증기 응결기(90)의 응축관(91)은 가열용기(10)의 뚜껑(11)에 뚫려진 중심구멍(11a)과 연통되거나 분리될 수 있게 된다.
승강 이동체(60)가 뚜껑(11)의 중심구멍(11a)으로부터 분리될 경우에는 가열용기(10)를 가열체(13)에 용이하게 위치시키거나 이탈시킬 수 있기 때문에 좋고, 승강 이동체(60)가 뚜껑(11)의 중심구멍(11a)에 연통될 경우에는 가열체(13)의 작동시 피조리품의 증기를 증기 응결기(90)의 응축관(91)에 자연스럽게 제공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더욱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판(20)은 중심으로부터 하측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 관(21)을 더 구비하고, 보조판(30)의 내부에는 축구멍(32)에 끼워져 수평방향으로 정회전 또는 역회전의 회전력을 제공하는 회전축(32a)에 고정되어 그 회전력을 수평방향으로 더욱 증가시키는 가동 회전체(40)에 치합되어 수직방향의 회전력으로 변환시키는 피동 회전체(50)가 안착되고, 이 피동 회전체(50)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의 수직방향 회전력에 의하여 승강 이동체(60)는 안착판(20)의 가이드 관(21)에 끼워지면서 증기 응결기(90)의 응축관(91)과 뚜껑(11)의 중심구멍(11a)을 연통 또는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회전축(32a)은 축구멍(32)에 끼워져 정회전 또는 역회전되면서 가동 회전체(40)에 의하여 그 회전력이 더욱 증가되어지고, 아울러 이러한 배가된 회전력은 피동 회전체(50)를 제자리 회전시키면서 승강 이동체(60)를 강제적으로 승강시키는 작용을 발휘하게 된다.
승강 이동체(60)를 강제적으로 승강시킬 수 있는 작용은 후술하는 내부관(65)이 뚜껑(11)의 중심구멍(11a)과 연통될 때 하측방향으로 가압해 주어야 하는 힘을 특별히 요구하지 않아, 예를 들면 탄발력을 갖는 탄성수단을 별도로 요구하지 않아 바람직하고, 더욱이 내부관(65)과 중심구멍(11a)의 연통상태를 더욱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는 측면에서 매우 유용하며, 역으로 내부관(65)을 중심구멍(11a)으로부터 이탈시킬 경우 역시 승강 이동체(60)를 자연스럽게 상승시킬 수 있게 되어 그 조작이 간소하고 부드러움은 물론이다.
한편, 가동 회전체(40)는 가동 베벨기어(41)인 것이 바람직하고, 피동 회전체(50)는 외주연에 가동 베벨기어(41)에 치합되는 피동 베벨기어(51)를 구비하며 내주연에 나사홈(53a)이 형성된 피동 회전관(53)을 포함하는 것이 좋다. 아울러 승강 이동체(60)는 외주연에 피동 회전관(53)의 나사홈(53a)에 치합되는 나사산(62)을 구비한 승강 이동관(61)을 구비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가동 회전체(40) 및 피동 회전체(50)를 베벨기어라고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수평방향의 회전력을 수직방향으로 바꾸어주면서 승강 이동체(60)를 상하방향으로 움직이게 하는 것이라면 적용할 수 있을 것이고, 예를 들면 헬리컬 기어 등을 제안할 수 있으며, 후술하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른 실시예 역시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약탕기(100)를 나타내는 요부사시도이다.
실시예적으로, 본 고안에 따른 약탕기(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 회전체(40)를 가동 스크류(42)로 채용할 수 있고, 피동 회전체(50)는 외주연에 가동 스크류(42)에 치합되는 피동 기어(52)를 구비하고 내주연에 나사홈(53a)이 형성된 피동 회전관(53)을 포함할 수 있으며, 승강 이동체(60)는 외주연에 피동 회전관(53)의 나사홈(53a)에 치합되는 나사산(62)을 구비한 승강 이동관(61)을 적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승강 이동관(61)의 내주연에는 피동 회전체(50)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에 따라 가이드 관(21)에 끼워지면서 증기 응결기(90)의 응축관(91)과 뚜껑(11)의 중심구멍(11a)을 연통시키거나 분리시키는 내부관(65)을 추가로 끼움 결합시킬 수 있고, 이 내부관(65)은 테프론 관(65a)인 것이 좋으며, 가이드 관(21)의 내부에는 테프론 관(65a)을 슬라이딩 받아들이는 테프론 안내관(22)을 더 구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테프론 안내관(22)은 가이드 관(21)의 내부에 끼워진 후 하측방향으로 더 연장되어 그 외주연에 결합나사산(22a)을 더 성형시키고, 이 테프론 안내관(22)의 결합나사산(22a)에는 개스킷(Gasket; 22c)을 사이에 두고 너트(22b)가 조임 결합되도록 하여 가열용기(10)로부터 올라오는 고온의 열에 의하여 테프론 안내관(22)의 이탈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테프론 관(65a) 또는 테프론 안내관(22)은 상호 정밀하게 연마된 상태로 맞춤 끼워질 수 있도록 설계되어 그 기밀성을 보장할 수 있으며 별도의 오링(O-Ring)과 같은 부품을 요구하지 않아 본 고안에 매우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다.
테프론 관(65a) 또는 테프론 안내관(22)은 열에 강한 합성수지로서 예를 들면 플루오르수지 관(FLUOROCARBON RESIN PIPE)이라 불리우며 비활성이고 내약품성·발수성(물을 받지 않는 성질)·내후성·내열성이 특히 뛰어나고, 마찰계수가 작아 미끄러지기 쉬우며 점착되지 않는 특성이 있어 증기와 응결수의 누수현상을 긴밀하게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본 고안에서 매우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더불어, 테프론 안내관(22)의 상단 외주연에는 증기 응결기(90)의 내부에 조립된 응축관(91)의 결합을 긴밀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패킹(22d)을 끼워 증기의 유출을 최대한 방어한다.
그리고, 테프론 안내관(22)의 내주연에는 중심방향으로 돌출되어 테이퍼진 통로(65c)를 제공하는 테이퍼 돌기(65b)가 더 구비되고, 상기 테이퍼진 통로(65c)는 개폐봉(70)에 의하여 개폐될 수 있게 된다.
개폐봉(70)은 승강 이동체(60)가 하강할 경우 중심구멍(11a)의 테두리에 걸려 테이퍼진 통로(65c)를 개방시키고 승강 이동체(60)가 상승할 경우 테이퍼 돌기(65b)에 안착되어 테이퍼진 통로(65c)를 밀폐시키므로써 가열용기(10)가 가열체(13) 위에 장착 또는 이탈될 경우에 발생될 수 있는 증기 또는 응결수의 누수현상을 최대한 억제한다. 이때, 개폐봉(70)은 그 하단에 중심구멍(11a)의 테두리에 걸려지는 2 내지 3개의 볼록돌기(71)를 돌출 성형하여 승강 이동체(60)가 하강하여 내부관(65)이 뚜껑(11)의 중심구멍(11a)에 연통될 경우 이격되는 공간을 제공하여 증기 및 응결수의 이동통로, 즉 테이퍼진 통로(65c)를 보장한다.
상기 보조판(30)의 가이드 구멍(31)의 내주연에는 중심방향으로 돌출 성형된 2개 1조의 가이드 돌기(31a)가 더 구비되고, 상기 승강 이동관(61)의 외주연에는 상기 2개 1조의 가이드 돌기(31a)를 받아들일 수 있도록 2개 1조의 가이드 홈(63)이 상하방향으로 절개되어 형성된다. 상기 2개 1조의 가이드 돌기(31a) 및 가이드 홈(63)의 맞물림 조립에 의하여 승강 이동체(60)는 피동 회전체(50)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에도 불구하고 자연스럽게 상하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으며, 이때의 원리는 볼트와 너트의 원리를 응용하면 충분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약탕기(100)의 사용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가열용기(10)를 지지대(14) 사이의 가열체(13) 위에 위치시키기 위하여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32a)을 역회전시켜 승강 이동관(61)이 상측방향으로 상승되도록 한 후 가열용기(10)를 정위치시킨다.
그리고, 다시 회전축(32a)을 정회전시키면, 도 2b 및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 이동체(60)는 가동 회전체(40)의 수평 회전력을 수직 회전력으로 변환시키는 피동 회전체(50)에 의하여 승강 이동관(61)과 함께 하강되면서 가열용기(10)를 개폐시키는 뚜껑(11)의 중심구멍(11a)에 내부관(65)이 맞춰지게 된다.
이때, 내부관(65)의 테이퍼진 통로(65c)를 막고 있던 개폐봉(70)은 중심구멍(11a)의 테두리에 걸려지면서 소폭 상승하여 가열용기(10)와 증기 응결기(90)의 응축관(91)이 상호 연통될 수 있도록 한다.
회전축(32a)이 정회전 또는 역회전될 경우 피동 회전체(50)는 가동 회전체(40)의 배가된 회전력에 의하여 제자리에서 회전될 것이고, 이 피동 회전체(50)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에 따라 승강 이동체(60)는 피동 회전관(53)의 내부에서 상하방향으로 강제적으로 승강 가능하게 되어 증기 응결기(90)의 응축관(91)과 뚜껑(11)의 중심구멍(11a)을 상호 연통시키거나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물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 회전체(40)를 가동 스크류(42)로, 피동 회전체(50)를 피동 기어(52)로 활용할 경우 역시 도 2a 및 도 2b의 실시예와 동일한 동작 및 작용을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 후, 가열체(13)를 동작시키면 피조리품은 증기를 발생하게 되고, 이 증기는 내부관(65) 및 응축관(91)을 통하여 상승하면서 냉각통(92)에 내장된 냉매(93)에 작용되어 액화된 후 다시 응축관(91) 및 내부관(65)의 내주연을 따라 하강하여 가열용기(10)에 담겨진 피조리품 속으로 떨어지게 된다.
여기서, 고온의 열에 의하여 수증기 등이 증발되어 피조리품이 타거나 연소되는 현상은 증기 응결기(90)의 응축과정을 통한 수증기의 환원으로 최소화될 수 있고, 더불어 증기 속에 함유된 냄새 미립자는 냉매(93)에 의한 응축작용으로 다시 액화되어 가열용기(10) 속으로 대부분 떨어져 없어지거나 일부는 냉매(93)와 함께 완전히 응결되어 외부의 공기 속으로 분산되는 냄새 미립자의 최소화 내지는 완전한 제거를 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인삼, 홍삼 등과 같은 각종 한약재를 끓일 때 발생되는 증기 속에 포함된 유효한 성분, 예를 들면 사포닌 배당체·파나센·폴리아세틸렌계화합물·함질소성분·플라보노이드·비타민B군·효소·항산화물질 등은 다시 회수되어 약효성분의 극대화를 기할 수 있게 된다.
즉, 고온의 열에 의하여 피조리품으로부터 증기화되어 외부로 유출되려고 하는 냄새 미립자는 냉매(93)의 응축과정에서 응결핵으로 작용되어 물방울로 환원된 후 가열용기(10) 속으로 다시 회수될 수 있게 되어 냄새의 유출방지는 물론 수증기의 증발에 의한 피조리품의 타는 현상, 즉 연소현상까지 방지할 수 있게 되고, 피조리품으로부터 증기화되어 외부로 유출되는 수증기를 다시 환원시킬 수 있기 때문에 피조리품의 양이 줄어들지 않아 각종 한방약이나 커피 등을 끓일 때 별도의 물 등을 추가할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조리하고 있는 상황을 망각하더라도 고온의 열에 의한 화재의 위험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으며 한약재의 약효성분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약탕기(100)는 다음과 같은 유익한 효과가 있다.
첫째, 피조리품이 익혀지면서 기화되는 증기를 다시 응축시켜 환원시키므로써 조리시의 냄새를 최대한 억제 및 방지할 수 있으며 한약재의 이로운 성분을 다시 회수하여 약효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둘째, 증발되는 수증기를 다시 액화시켜 환원시키므로써 가열체(13)의 고온의 열에 의하여 수증기 등이 증발되어 피조리품이 타거나 연소되는 현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셋째, 피조리품으로부터 증기화되어 외부로 유출되는 수증기를 다시 환원시킬 수 있으므로써 피조리품의 양이 줄어들지 않아 각종 탕이나 커피 등을 끓일 때 별도의 물 등을 추가할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조리하고 있는 상황을 망각하더라도 고온의 열에 의한 화재의 위험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다.
넷째, 가열체(13) 위에 가열용기(10)를 위치시키거나 분리시킬 경우에 가동 회전체(40)의 수평 회전력을 수직 회전력으로 변환시키는 피동 회전체(50)에 의하여 승강 이동체(60)의 승강 이동관(61)이 피동 회전관(53)의 내부에서 강제적으로 상승 또는 하강될 수 있게 되고, 이러한 승강 이동관(61)의 승강 움직임에 따라 증기 응결기(90)의 응축관(91)과 뚜껑(11)의 중심구멍(11a)이 상호 강제적이면서 자연스럽게 연통되거나 분리될 수 있게 되어 증기 응결기(90)의 응축관(91)과 뚜껑(11)의 중심구멍(11a)의 연통 및 분리상태를 매우 긴밀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이로써 사용상의 편리함이 한층 증진되는 탁월한 효과를 지니게 된다.
다섯째, 증기 응결기(90)와 가열용기(10)를 연통시키기 위한 다수 개의 부품, 예를 들면 가동 회전체(40), 피동 회전체(50) 및 승강 이동체(60) 등을 조립된 상태로 보조판(30)의 내부 속에 미리 위치시킨 후 안착판(20)의 하부에 간단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구조로 설계되어 그 조립성이 매우 좋아진다.

Claims (9)

  1. 적어도 중심구멍(11a)을 갖는 뚜껑(11)에 의하여 개폐되는 가열용기(10)를 히팅시키는 가열체(13)의 측면으로부터 직립된 지지대(14)에 결합되어 응축관(91)을 내장한 증기 응결기(90)를 받쳐주는 안착판(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약탕기(100)에 있어서;
    상기 안착판(20)의 중심으로부터 하측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 관(21)과;
    둘레에 축구멍(32)을 구비하고 저면에 가이드 구멍(31)을 갖추어 상기 안착판(20)의 하부에 결합되는 보조판(30)과;
    상기 축구멍(32)에 끼워져 수평방향으로 정회전 및 역회전의 회전력을 제공하는 회전축(32a)과;
    상기 회전축(32a)의 수평방향 회전력을 증가시키는 가동 회전체(40)와;
    상기 보조판(30)에 안착되어 상기 가동 회전체(40)의 수평방향 회전력을 수직방향으로 변환시키는 피동 회전체(50)와;
    상기 피동 회전체(50)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의 수직방향 회전력에 연동되어 상기 가이드 관(21)에 끼워지면서 상기 증기 응결기(90)의 응축관(91)과 상기 뚜껑(11)의 중심구멍(11a)을 연통시키거나 분리시키는 승강 이동체(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탕기(100).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회전체(40)는 가동 베벨기어(41)이고,
    상기 피동 회전체(50)는 외주연에 상기 가동 베벨기어(41)에 치합되는 피동 베벨기어(51)를 구비하며 내주연에 나사홈(53a)이 형성된 피동 회전관(53)을 포함하고,
    상기 승강 이동체(60)는 외주연에 상기 피동 회전관(53)의 나사홈(53a)에 치합되는 나사산(62)을 구비한 승강 이동관(6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탕기(100).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회전체(40)는 가동 스크류(42)이고,
    상기 피동 회전체(50)는 외주연에 상기 가동 스크류(42)에 치합되는 피동 기어(52)를 구비하며 내주연에 나사홈(53a)이 형성된 피동 회전관(53)을 포함하고,
    상기 승강 이동체(60)는 외주연에 상기 피동 회전관(53)의 나사홈(53a)에 치합되는 나사산(62)을 구비한 승강 이동관(6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탕기(100).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이동관(61)의 내주연에 끼워맞춤 결합되어 상기 피동 회전체(50)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에 따라 상기 가이드 관(21)에 끼워지면서 상기 증기 응결기(90)의 응축관(91)과 상기 뚜껑(11)의 중심구멍(11a)을 연통시키거나 분리시키는 내부관(65)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탕기(100).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관(65)은 테프론 관(65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탕기(100).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관(21)의 내부에 끼워져 상기 테프론 관(65a)을 슬라이딩 받아들이는 테프론 안내관(22)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탕기(100).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테프론 안내관(22)은 상기 가이드 관(21)의 내부에 끼워진 후 하측방향으로 더 연장되어 외주연에 결합나사산(22a)을 더 구비하고,
    상기 테프론 안내관(22)의 결합나사산(22a)에는 너트(22b)가 조임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탕기(100).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테프론 안내관(22) 및 너트(22b) 사이에 개재되는 개스킷(22c)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탕기(100).
  9.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구멍(31)의 내주연으로부터 중심방향으로 돌출 성형된 2개 1조의 가이드 돌기(31a)와,
    상기 승강 이동관(61)의 외주연에 상하방향으로 절개되어 상기 2개 1조의 가이드 돌기(31a)를 받아들이는 2개 1조의 가이드 홈(63)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탕기(100).
KR2020000028224U 2000-10-10 2000-10-10 약탕기 KR2002280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8224U KR200228042Y1 (ko) 2000-10-10 2000-10-10 약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8224U KR200228042Y1 (ko) 2000-10-10 2000-10-10 약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8042Y1 true KR200228042Y1 (ko) 2001-06-15

Family

ID=73089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8224U KR200228042Y1 (ko) 2000-10-10 2000-10-10 약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804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1615B1 (ko) * 2013-12-18 2015-08-03 세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중탕기
CN115321731A (zh) * 2022-07-22 2022-11-11 广州市心德实业有限公司 一种蒸发式污水处理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1615B1 (ko) * 2013-12-18 2015-08-03 세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중탕기
CN115321731A (zh) * 2022-07-22 2022-11-11 广州市心德实业有限公司 一种蒸发式污水处理装置
CN115321731B (zh) * 2022-07-22 2023-09-01 广州市心德实业有限公司 一种蒸发式污水处理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703515B (zh) 圆筒式炊具
US20160345610A1 (en) Oil immersion cooker
CN111526762B (zh) 一种低温发酵式制作红参或黑参的设备及使用该制作设备制作红参或黑参的方法
CN101991352A (zh) 多功能压力双层电蒸锅
CN2719176Y (zh) 多功能组合早餐机
FR2908622A1 (fr) Appareil electromenager de preparation culinaire chauffant, comportant un recipient de cuisson intermediaire
KR200228042Y1 (ko) 약탕기
KR100812659B1 (ko) 조리 용기용 스팀 벤트 밸브
DE60313997T2 (de) Dampfherstellungsbasis für einen dampfkocher mit einem aromastoffträger
KR200228041Y1 (ko) 약탕기
KR101973909B1 (ko) 가정용 다기능 농축액 제조기
KR200227875Y1 (ko) 약탕기
KR200220377Y1 (ko) 약탕기
US6525299B2 (en) Electric garlic cooker
KR100346901B1 (ko) 증기 응결기
KR200236952Y1 (ko) 증기 응결기
KR200220380Y1 (ko) 약탕기
KR200297223Y1 (ko) 약탕기
KR200206682Y1 (ko) 증기 응결기
CN112704252B (zh) 多功能烧烤熏热气锅
KR200257000Y1 (ko) 증기 응결기
KR100346903B1 (ko) 증기 응결기
KR101066983B1 (ko) 고온진공 추출장치
KR100474264B1 (ko) 약탕기 겸용 증류주기
KR200298929Y1 (ko) 약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41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