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2945Y1 - 폴리에틸렌 배관의 연결구 - Google Patents

폴리에틸렌 배관의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2945Y1
KR200182945Y1 KR2019990027630U KR19990027630U KR200182945Y1 KR 200182945 Y1 KR200182945 Y1 KR 200182945Y1 KR 2019990027630 U KR2019990027630 U KR 2019990027630U KR 19990027630 U KR19990027630 U KR 19990027630U KR 200182945 Y1 KR200182945 Y1 KR 2001829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connector
heating wire
outside
ex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76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용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폴리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폴리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폴리텍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29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2945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F16L47/02Welded joints; Adhesive joints
    • F16L47/03Welded joints with an electrical resistance incorporated in the joint

Abstract

본체 내부에 전열선의 일부분이 노출되게 배치함으로써, 본체와 본체의 양단에 결합되는 폴리에틸렌 배관을 동시에 가열시켜서 전기융착 시킬 수 있는 폴리에틸렌 배관의 연결구가 개시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폴리에틸렌 배관의 연결구는 내측에는 일단에서 타단까지 동일한 직경을 가지며 연장되고 중앙부분에는 환형의 형상을 가지며 돌출된 스토퍼를 가지는 중공부가 형성되고, 외부면상에는 복수의 연결홈이 형성된 원통형상의 본체를 구비한다. 또한, 복수의 연결홈 일측에 배치되고, 상부가 개방된 형상을 가지며, 본체 외측에서 본체의 방사상 외부로 연장되고, 내측에는 일단이 본체에 매몰되고 타단은 외부로 노출된 복수의 접지단자를 가지는 복수의 돌출부를 구비하며 그리고, 중공부내에 배치되며, 일단은 접지단자의 하단에 부착되고 일부분은 중공부에 매몰되고 나머지 부분은 중공부의 외부로 노출되어 중공부를 따라서 나선형으로 감기면서 타단은 또 다른 접지단자의 하단에 부착되는 전열선을 포함하는 폴리에틸렌 배관의 연결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폴리에틸렌 배관의 연결구{Connecting member for polyethylene pipes}
본 고안은 폴리에틸렌 배관의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본체 내부에 전열선의 일부분이 노출되게 배치함으로써, 본체와 본체의 양단에 결합되는 폴리에틸렌 배관을 동시에 가열시켜서 전기융착 시킬 수 있는 폴리에틸렌 배관의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배관용 전기융착 연결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종래의 전기융착 연결구(10)는 폴리에틸렌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본체(11) 및 전열선(12)을 구비한다.
본체(11)는 속이 빈 원통형상을 가진다. 전열선(12)은 피복된 코일형상을 가지며 본체(11)의 내경 내측으로 매몰된다. 전열선(12)의 양단부에는 단자(13)가 형성된다. 단자(13)는 본체(11)의 외부측으로 돌출된다.
그런데, 전술한 바와같이 구성된 전기융착 연결구(10)는 전열선(12)으로 피복된 코일을 사용하기 때문에 전열선(12)의 두께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것이 어렵고, 그 결과 전열선(12)의 두께 차이로 인하여 본체(11)와 배관(도시되지 않음)의 표면에 전달되는 열량에서 차이가 나게된다. 따라서, 본체(11)의 내경 부분과 결합되는 배관의 표면이 융착시에 발생하는 융착압력의 차이로 인하여 융착면이 불균일하게 융착되어 가스등이 누설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전열선(12)을 본체(11)측으로 매립하기 위해서 피복공정이 필수적으로 요구되기 때문에 작업시간이 길어지고 관리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본체 내부에 전열선의 일부분이 노출되게 배치함으로써, 본체와 본체의 양단에 결합되는 폴리에틸렌 배관을 동시에 가열시켜서 전기융착 시킬 수 있는 폴리에틸렌 배관의 연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폴리에틸렌 배관의 연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선 A-A를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연결구에 배관이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그리고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배관용 전기융착 연결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00 : 연결구 110 : 본체
112 : 중공부 114 : 돌출부
116 : 접지단자 120 : 연결홈
130 : 중공부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내측에는 일단에서 타단까지 동일한 직경을 가지며 연장되고 중앙부분에는 환형의 형상으로 돌출된 스토퍼를 가지는 중공부가 형성되고, 외부면상에는 복수의 연결홈이 중공부측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형성된 원통형상의 본체;
각각의 연결홈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부가 개방된 형상을 가지며, 본체 외측에서 본체의 방사상 외부로 연장되고, 내측에는 일단이 본체에 매몰되고 타단은 외부로 노출된 복수의 접지단자를 가지는 복수의 돌출부; 그리고
중공부내에 배치되며, 일단은 접지단자의 하단에 부착되고 일부분은 중공부에 매몰되고 나머지 부분은 중공부의 외부로 노출되어 중공부를 따라서 나선형으로 감기면서 타단은 또 다른 접지단자의 하단에 부착되는 전열선을 포함하는 폴리에틸렌 배관의 연결구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본체 내부에 전열선의 일부분이 노출되게 배치함으로써, 본체와 본체의 양단에 결합되는 폴리에틸렌 배관을 동시에 가열시켜서 전기융착 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폴리에틸렌 배관의 연결구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폴리에틸렌 배관의 연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선 A-A를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연결구에 배관이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폴리에틸렌 배관의 연결구(100)는 원통형의 본체(110) 및 전열선(130)을 구비한다.
본체(110)는 중공부(112), 돌출부(114) 및 돌출부(114)의 내측에 배치되는 접지단자(116)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본체(110)는 폴리에틸렌 등의 합성수지재로 제작되며, 배관(P)(도 3참조)과 결합하여 배관(P)이 허용하는 압력에서 견딜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본체(110)의 내측에 형성된 중공부(112)는 본체(110)의 일단에서 본체(110)의 타단까지 동일한 직경을 가지며 연장된다. 중공부(112)의 중앙부분에는 스토퍼(119)가 형성된다. 스토퍼(119)는 환형의 형상을 가지며 중공부(112)의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스토퍼(119)는 중공부(112)의 양측에서 각각의 배관(P)의 위치를 잡아준다. 한편, 본체(110)의 외측에는 돌출부(114)가 형성된다.
돌출부(114)는 본체(110)의 방사상 외부로 연장되며,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돌출부(114)는 본체(110)의 일단 및 본체(110)의 타단에 각각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돌출부(114)는 융착기계(도시되지 않음)의 제 1 케이블(C1)과 연결이 용이한 직경을 갖는다.
각각의 돌출부(114)의 내측에는 접지단자(116)가 끼워진다. 접지단자(116)의 일단은 본체(110)의 내측으로 매몰되고 타단은 돌출부(114)의 상단측으로 노출된다. 각각의 돌출부(114)중 어느하나에는 저항핀(118)이 형성된다. 저항핀(118)은 융착기계가 융착조건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각각의 돌출부(114) 일측에는 연결홈(120)이 형성된다. 각각의 연결홈(120)은 본체(110)의 외부에서 중공부(112) 측으로 소정의 깊이를 가지며 형성된다. 이러한 연결홈(120)에는 압력 감지센서(도시되지 않음)가 내장된 융착기계의 제 2 케이블(C2)이 끼워진다.
전열선(130)은 본체(110)의 중공부(112)에 배치된다. 전열선(130)의 일단은 접지단자(116)의 하단에 부착되고, 중공부(112)의 일측에서 내경을 따라 나선형으로 연장되며 스토퍼(119)를 지나 중공부(112)를 타측 내경을 따라 나선형으로 연장된다. 이때, 전열선(130)의 타단은 또 다른 접지단자(116)의 하단에 부착된다.
이렇게 나선형으로 연장되는 전열선(130)의 일부분은 본체(110)의 내측으로 매몰되며 나머지 부분은 중공부(112)측으로 노출된다. 또한, 스투퍼(119)를 지나는 전열선(130)는 스토퍼(119)의 양측으로 일부분이 매몰되며 나머지 부분은 노출된다.
도 3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연결구(100)에 배관(P)이 장착되는 상태를 간략하게 설명한다.
먼저, 연결구(100)의 양측에 배관(P)을 삽입시킨다. 이때, 배관(P)은 연결구(100)와 동일한 재질을 갖는다. 이렇게 배관(P)이 삽입되면 융착기계(도시되지 않음)의 제 1 케이블(C1)을 각각의 돌출부(114)에 결합시킨다. 이때, 각각의 제 1 케이블(C1)은 접지단자(116)에 밀착된다. 이와같이 제 1 케이블(C1)의 결합이 완료되면 융착기계의 각각의 제 2 케이블(C2)을 각각의 연결홈(120)에 결합시킨다.
이런 상태하에서 융착기계를 작동시키면 제 1 케이블(C1)에서 고주파전류가 발생한다. 이러한 고주파전류를 하나의 접지단자(116)에서 전열선(130)을 지나서 또 다른 접지단자(116)까지 전달된다. 이와같이 고주파전류가 흐르게되면 본체(110)에 일부분이 매몰된 전열선(130)의 중공부(112) 표면을 용융시키고, 중공부(112)의 외부로 노출된 전열선(130)이 삽입된 배관(P)의 표면을 용융시킨다. 이때, 중공부(112)측에서 용융된 폴리에틸렌 수지는 연결홈(120)을 따라 상측으로 올라오게된다. 그 결과, 제 2 케이블(C2) 내에 장착된 센서(도시도지 않음)를 작동시키고, 센서는 융착기계의 신호를 보내 전기 공급을 중단시킨다.
이렇게 전기 공급이 중단되면 중공부(112)의 표면에서 용융된 수지와 배관(P)의 표면에서 용융된 수지가 융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폴리에틸렌 배관의 연결구(100)는 전열선(130)이 중공부(112) 및 스토퍼(119)의 외부측으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중공부(112)의 표면과 배관(P)표면 및 배관의 단부를 동시에 가열시킬 수 있고, 용융되는 수지의 양이 일정하게 유지되기 때문에 융착압력이 융착되는 배관(P)의 외측에 균일하게 작용하게된다.
또한, 융용되는 수지가 연결홈(120)을 따라 올라오기 때문에 융착이 끝나는 시점을 감지할 수 있어서 수지의 성질 변화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실용신안등록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3)

  1. 내측에는 일단에서 타단까지 동일한 직경을 가지며 연장되고 중앙부분에는 환형의 형상을 가지며 돌출된 스토퍼(119)를 가지는 중공부(112)가 형성되고, 외부면상에는 복수의 연결홈(120)이 형성된 원통형상의 본체(110);
    상기 복수의 연결홈(120) 일측에 배치되고, 상부가 개방된 형상을 가지며, 상기 본체(110)의 외부면 상에서 상기 본체(110)의 방사상 외부로 연장하여 형성되고, 내측에는 일단이 상기 본체(110)에 매몰되고 타단은 외부로 노출되는 접지단자(116)를 구비하는 돌출부(114); 그리고
    상기 중공부(112)내에 배치되며 양단은 상기 접지단자(116)의 하단에 각각 부착되고, 상기 중공부(112)를 따라서 나선형으로 감기며, 이때 일부분은 상기 중공부(112)에 매몰되고 나머지 부분은 상기 중공부(112)의 외부로 노출되는 전열선(1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틸렌 배관의 연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열선(130)은 상기 스토퍼(119)에 양측으로 일부분이 매몰되고 나머지 부분은 외부로 노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틸렌 배관의 연결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116)중 어느하나에는 융착기계의 융착조건을 인식할 수 있는 저항핀(118)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틸렌 배관의 연결구.
KR2019990027630U 1999-12-09 1999-12-09 폴리에틸렌 배관의 연결구 KR200182945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6032A KR20010054999A (ko) 1999-12-09 1999-12-09 폴리에틸렌 배관의 연결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6032A Division KR20010054999A (ko) 1999-12-09 1999-12-09 폴리에틸렌 배관의 연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2945Y1 true KR200182945Y1 (ko) 2000-05-15

Family

ID=1962446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7630U KR200182945Y1 (ko) 1999-12-09 1999-12-09 폴리에틸렌 배관의 연결구
KR1019990056032A KR20010054999A (ko) 1999-12-09 1999-12-09 폴리에틸렌 배관의 연결구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6032A KR20010054999A (ko) 1999-12-09 1999-12-09 폴리에틸렌 배관의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18294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4999A (ko) 2001-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221396B1 (en) An electrofusion coupler
KR0180893B1 (ko) 전기융착 연결구
CA2417954C (en) Device for connecting components made of fusible plastic
GB1577650A (en) Coupling and method for connecting two tubular members by welding
JP3608839B2 (ja) プラスチック成形コネクタ
JPH0330931A (ja) 低抗溶接用線状部材および電気抵抗を利用して管状部材を溶接する方法
JPH0868489A (ja) 電気融合カプラの製造方法および電気融合カプラ
KR200182945Y1 (ko) 폴리에틸렌 배관의 연결구
US5086213A (en) Device for detecting, during welding, variation in the physical state of the plastic material in a coupling piece of joining pipes
WO1995007432A1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pipe fittings
JP2013535634A (ja) 内部電気融合リングカプラ
JP2933202B2 (ja) 熱可塑性材料の成形部品
JPH10220676A (ja) 合成樹脂管用電気融着継手
WO1995015253A1 (en) Joining of hollow elongate members
JP3749062B2 (ja) 熱可塑性樹脂製管の接続方法及び接続構造
KR200194973Y1 (ko) 열융착 관연결구
JPS63111393A (ja) 電気融着式プラスチツク管の接続方法
JPH0534397Y2 (ko)
KR200275923Y1 (ko) 열융착부가 형성된 합성수지관
JP3569565B2 (ja) 電気融着継手
JPH071074B2 (ja) 管継手
JP3561600B2 (ja) 電気融着継手
KR200251564Y1 (ko) 이음부가 형성된 합성수지관
JP2001004089A (ja) 電熱コイル体及び電気融着継手の製造方法並びに電気融着継手
JPH08145268A (ja) 電気融着用長さ調整継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31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