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1354Y1 - 수납장용 회전식 프레임의 회전가이드 구조 - Google Patents

수납장용 회전식 프레임의 회전가이드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1354Y1
KR200181354Y1 KR2019970030169U KR19970030169U KR200181354Y1 KR 200181354 Y1 KR200181354 Y1 KR 200181354Y1 KR 2019970030169 U KR2019970030169 U KR 2019970030169U KR 19970030169 U KR19970030169 U KR 19970030169U KR 200181354 Y1 KR200181354 Y1 KR 20018135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rotation
roller
rail
guide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01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6712U (ko
Inventor
전재권
Original Assignee
전재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재권 filed Critical 전재권
Priority to KR20199700301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1354Y1/ko
Publication of KR1999001671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671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13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135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9/00Revolving cabinets or racks; Cabinets or racks with revolving parts
    • A47B49/004Cabinets with compartments provided with trays revolving on a vertical axi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22Slides

Landscapes

  • Drawers Of Furni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의류나 식기를 보관할 수 있도록 한 수납장에 있어서, 수납장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식프레임의 회전시 프레임이 전후방으로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회전가이드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히는 프레임의 회전과 동시에 반타원형으로 된 사이드레일에 의하여 프레임을 직선형으로 된 센터레일상에서 전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는 회전식프레임의 가이드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반타원형으로 된 사이드레일(180)의 단면이 |형인 것을 설치하고 강구(141d)가 탄설된 롤러(140)를 프레임(100)의 편심축(120)에 취부하여 롤러(140)의 강구(141d)가 사이드레일(180)의 양쪽면에 점접촉하면서 프레임(100)의 회전운동과 직선운동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프레임(100)의 회전시 롤러(140)에 탄설되어 있는 강구(141d)가 사이드레일(180)에 항상 점접촉하면서 구름운동을 하므로 완충작용과 유동방지작용을 하게됨으로 프레임(100)의 회전에 따른 소음발생을 줄여 수납장의 사용자의 불쾌감을 방지할 수 있으며 프레임(100)의 회전도 원활해지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수납장용 회전식프레임의 회전가이드구조
본 고안은 의류나 식기를 보관할 수 있도록 한 수납장에 있어서, 수납장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식프레임의 회전시 프레임이 전후방으로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회전가이드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히는 프레임의 회전과 동시에 반타원형으로 된 사이드레일에 의하여 프레임을 직선형으로 된 센터레일상에서 전후 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는 회전식프레임의 가이드구조에 관한 것이다.
수납장에 구비되는 회전식프레임은 용도에 따라 선반, 행거가 결합되며, 사용할 때 프레임을 회전시킴으로써 보관물을 선반이나 행거에 용이하고 편리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회전가이드구조가 적용된 회전식프레임을 도시한 것으로, 대략 직사각형으로 된 프레임(10)에는 행거(15)와 선반(16)이 층층히 결합되어 있으며, 이 프레임(10)에는 중심축(11)과 편심축(12)이 형성되어 있고 각각 베어링(13)과 롤러(14)가 취부되어 있어 케이스(20)의 상판과 하판에 고정된 센터레일(17)과 사이드레일(18)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수납장을 사용할 때에는 프레임(10)의 일측을 잡고 앞으로 당기면 프레임(10)이 중심축(11)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편심축(12)은 사이드레일(18)을 따라 주행하게 된다. 그런데, 사이드레일(18)이 반타원형으로 되어 있으므로 그 곡률중심의 변화에 따라 중심축(11)과 함께 프레임(10)이 직선형으로 된 센터레일(17)을 따라 전후방으로 이동되어 의류 등의 수납이 편리해 진다.
이와같이, 프레임(10)이 회전과 동시에 전후방으로 이동되게하기 위해서는 센터레일(17)을 직선형으로 된 것을 구비하고 사이드레일(18)은 반타원형으로 된 것을 구비하여야 하는데, 종래의 회전식프레임은 프레임(10)을 회전시킬 때 사이드 레일(18)측에서 소음이 발생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도 2는 종래의 회전가이드구조를 보인 단면도로서, 종래에는 단면이 ∪형으로 된 사이드레일(18)의 골을 따라 프레임(10)의 편심축(12)에 취부된 롤러(14)가 주행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프레임(10)을 회전시키면 사이드레일(18)의 곡률이 변화함에 따라 프레임(10)이 유동되면서 롤러(14)가 사이드레일(18)의 양쪽 벽면에 번갈아 부딪히게 되고, 이때 금속성 충격음이 생기고 행거(15)와 선반(16)에 진동이 전달되는 등으로 인하여 사용자의 청각을 자극시켜 불쾌감을 초래함은 물론 프레임(10)의 회전도 원활하지 못한 단점도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은 사이드레일과 이 사이드레일을 따라 주행하는 롤러의 구조를 개선하여 프레임의 회전시 소음을 줄일 수 있고 회전이 원활하게 되는 회전식프레임의 가이드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제1도는 종래의 회전가이드구조가 적용된 회전식 프레임의 설치상태 사시도.
제2도는 종래의 회전가이드구조를 보인 단면도.
제3도는 본고안에 따른 가이드구조의 분해 사시도.
제4도는 본고안의 회전가이드구조가 적용된 회전식프레임의 설치상태 사시도.
제5도는 본고안에 따른 가이드구조의 작동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프레임 110 : 중심축
120 : 편심축 130 : 베어링
140 : 롤러 141 : 슬라이더
141a : 안착홈 141b : 나사체결공
141c : 스프링 141d : 강구
141e : 볼트 141f : 고정돌기
141g : 홈 141h : E-링
142 : 베어링 143 : 컨넥터
143a : 관통공 150 : 행거
160 : 선반 170 : 센터레일
180 : 사이드레일 200 : 케이스
본 고안에 따른 수납장용 회전식프레임의 회전가이드구조는 중심축(110)과 편심축(120)이 형성되어 있어 케이스(200)의 상판과 하판에 고정된 직선형 센터레일(170)과 반타원형 사이드레일(180)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편심축(1200)은 롤러(140)가 취부되어 상기 사이드레일(180)을 따라 주행할 수 있도록 수납장에 구비되는 프레임(100)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레일(180)은 단면을 |형인 것을 사용하고, 상기 롤러(140)는 상기 사이드레일(180)의 곡률에 부합되는 형상으로 저면에 안착홈(141a)이 형성되고 안착홈(141a)쪽으로 돌출되도록 양쪽편에 강구(141d)가 탄설되며 상단에는 고정돌기(141f)가 형성된 슬라이드(141)와, 베어링(142)을 매개로 슬라이더(141)의 고정돌기(141f)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프레임(100)의 폄심축(120)에 취부되는 컨넥터(143)로 이루어진 것에 그 특징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가이드구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회전 가이드구조가 적용된 회전식프레임의 설치상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가이드구조의 작동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3에서, 사이드레일(180)은 반타원형으로되어 있으며, 그 단면은 |형으써 직선형으로 된 센터레일(170)과 함께 케이스(200)의 상판과 하판에 고정되어 프레임(100)의 회전시 편심축(120)에 취부되는 롤러(140)를 가이드한다.
롤러(140)는 슬라이더(141)와 베어링(142)과 컨넥터(143)로 구성되어 있는바, 슬라이더(141)는 저면에 안착홈(141a)이 센터레일(170)의 상단에 끼워질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되고, 슬라이더(141)의 양쪽편에는 나사체결공(141b)을 형성함으로써 이 나사체결공(141b)에 강구(141d)를 빠지지 않게 삽입하고 코일스프링(141c)으로 탄지한 상태로 볼트(141e)로 조인다. 그리고 슬라이더(141)의 상단에 형성된 고정돌기(141f)는 원기둥형으로서 그 상단 주연부에는 E-링(141h)을 끼우기 위한 홈(141g)이 형성된다.
베어링(142)은 슬라이더(141)의 고정돌기(141f)에 중심부가 일체식으로 끼워지며 이 베어링(142)을 매개로 컨넥터(143)를 끼운 후, E-링(141h)을 끼우기 위한 홈(141g)에 형성되어 있다.
컨넥터(143)는 중앙에 관통공(143a)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베어링(142)의 외주면에 끼워 고정되고 외형이 사각기둥형으로 되어 있어 프레임(100)의 편심축(120)에 끼워 고정시킬 수 있다. 이 컨넥터(143)의 외형은 사각기둥형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편심축(120)의 형태와 고정방법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같이, 강구(141d)가 탄설된 슬라이더(141)와 컨넥터(143)를 베어링(142)을 매개로 회전자재하게 조립한 롤러(140)는 컨넥터(143)에 의해 프레임(100)의 상하측에 있는 편심축(120)에 취부된다. 컨넥터(143)를 편심축(120)에 취부시킬 때에는 용접, 나사체결 또는 억지끼움식으로 고정시키면 된다. 이 프레임(100)은 철재로 된 선반(160)이나 행거(150)가 결합되고 케이스(200)에 고정된 센터레일(170)과 사이드레일(18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는데, 이때 중심축(110)은 베어링(130)을 매개로 하여 직선형으로 된 센터레일(170)상에 프레임(100)을 회전 가능하게 고정시키고 편심축(120)에 취부된 롤러(140)는 사이드레일(180)을 따라 주행 가능하게 위치시킨다. 즉, 슬라이더(141)의 안착홈(141a)이 사이드레일(180)의 상단에 약간의 여유를 두고 끼워지고, 이때 두개의 강구(141d)는 가이드레일(180)의 양면에 각각 점접촉을 하게 된다.
미설명 부호 181은 프레임(100)의 과도한 회전을 저지하기 위하여 사이드레일(180)의 일단에 형성한 스토퍼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에 도시한 바와같이, 센터레일(170)과 사이드레일(180)상에 회전 가능하게 프레임(100)이 설치된 수납장을 사용하기 위하여 프레임(100)의 일측을 잡고 당기면, 프레임(100)이 중심축(110)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편심축(120)은 사이드레일(180)의 궤적을 따라 주행하게 된다. 그리하여 사이드레일(180)의 곡률중심의 변화에 따라 중심축(110)과 함께 프레임(100)이 직선형으로 된 센터레일(170)의 궤적을 따라 전후방으로 이동되어 의류 등의 수납이 용이해진다.
프레임(100)의 편심축(120)에 취부된 롤러(140)는, 슬라이더(141)에 탄지된 2개의 강구(141d)가 사이드레일(180)의 양쪽면에 점접촉한상태로 구름운동을 하고 슬라이더(141)는 사이드레일(180)의 곡선형태를 따라 공전을 하며 컨넥터(143)는 슬라이더(141)의 고정돌기(141f)를 중심으로 자전과 동시에 공전을 하게 된다.
그런데, 본 고안에 따른 회전식프레임의 회전가이드구조는 슬라이더(141)에 탄지된 2개의 강구(141d)가 |형으로 된 사이드레일(180)의 양쪽면에 항상 점접촉하면서 구름운동을 하게되므로 프레임(100)의 회전시킬 때 유동되지 않으며 프레임(100)이 안정적인 상태에서 원활하게 회전하게 된다. 만약, 프레임(100)에 수평방향으로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양쪽 강구(141d)를 탄지하고 있는 스프링(141c)의 완충작용과 탄성에 의하여 프레임(100)을 사이드레일(180)상에 정위치시켜 줌으로 프레임(100)의 회전소음방지와 함께 원활한 회전을 유지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반타원형으로 된 사이드레일(180)의 단면이 |형인 것을 사용하고 강구(141d)가 탄설된 롤러(140)를 프레임(100)의 편심축(120)에 취부하여 롤러(140)의 강구(141d)가 사이드레일(180)의 양쪽면에 점접촉하면서 프레임(100)의 회전운동과 직선운동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프레임(100)의 회전시 롤러(140)에 탄설되어 있는 강구(141d)가 사이드레일(180)에 항상 점접촉하면서 구름운동을 하므로 완충작용과 유동방지작용을 하게됨으로 프레임(100)의 회전에 따른 소음발생을 줄여 수납장의 사용자의 불쾌감을 방지할 수 있으며 프레임(100)의 회전도 원활해지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중심축(110)과 편심축(120)이 형성되어 있어 케이스(200)의 상판과 하판에 고정된 직선형 센터레일(170)과 반타원형 사이드레일(180)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편심축(1200)은 롤러(140)가 취부되어 상기 사이드레일(180)을 따라 주행할 수 있도록 수납장에 구비되는 프레임(100)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레일(180)은 단면을 |형인 것을 사용하고, 상기 롤러(140)는 상기 사이드레일(180)의 곡률에 부합되는 형상으로 저면에 안착홈(141a)이 형성되고 안착홈(141a)쪽으로 돌출되도록 양쪽편에 강구(141d)가 탄설되며 상단에는 고정돌기(141f)가 형성된 슬라이더(141)와, 베어링(142)을 매개로 슬라이더(141)의 고정돌기(141f)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프레임(100)의 편심축(120)에 취부되는 컨넥터(14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장용 회전식프레임의 회전가이드구조.
KR2019970030169U 1997-10-24 1997-10-24 수납장용 회전식 프레임의 회전가이드 구조 KR20018135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0169U KR200181354Y1 (ko) 1997-10-24 1997-10-24 수납장용 회전식 프레임의 회전가이드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0169U KR200181354Y1 (ko) 1997-10-24 1997-10-24 수납장용 회전식 프레임의 회전가이드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6712U KR19990016712U (ko) 1999-05-25
KR200181354Y1 true KR200181354Y1 (ko) 2000-05-15

Family

ID=19512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0169U KR200181354Y1 (ko) 1997-10-24 1997-10-24 수납장용 회전식 프레임의 회전가이드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1354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0546B1 (ko) * 2005-10-20 2008-08-05 박윤식 롤러형 슬라이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6712U (ko) 1999-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18116B1 (ko) 서랍용미끄럼기구
WO2015180562A1 (zh) 一种空调器及其门板运动装置
JP4051845B2 (ja) 直動案内軸受装置
KR200181354Y1 (ko) 수납장용 회전식 프레임의 회전가이드 구조
JP3323370B2 (ja) 冷蔵庫の上ヒンジ構造
KR970024391A (ko) 회전 커넥터(rotating connector)
CN219451839U (zh) 一种淋浴房玻璃移门
JP2504812Y2 (ja) リニアベアリングのボ―ル保持器
CN108926117A (zh) 用于打开和关闭壳体的盖子的机械装置
CN213039590U (zh) 一种静音式伸缩结构
KR100401552B1 (ko)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의 하부구조
CN214303405U (zh) 一种新型冰箱铰链
CN218061954U (zh) 一种滑轮组件的纵向滚轮移动机构
KR200273815Y1 (ko) 곡면 개폐 칠판
JP2019070248A (ja) 戸パネルの支持構造
JP2003343558A (ja) リニアガイド装置
JP3646248B2 (ja) ローラ連結体及びローラ案内装置
JPH0317021Y2 (ko)
CN218324434U (zh) 一种合页结构
CN111485780A (zh) 一种铰链组件及安装有该铰链组件的器具
CN208831501U (zh) 滑块及圆柱直线导轨组件
JP2001336535A (ja) 転がり軸受用保持器
JPH0751898Y2 (ja) スピニングリール
JP3064452U (ja) リニアガイド装置
JP3950595B2 (ja) 案内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3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