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0675Y1 - 전동식 브라인드 - Google Patents

전동식 브라인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0675Y1
KR200180675Y1 KR2019990022779U KR19990022779U KR200180675Y1 KR 200180675 Y1 KR200180675 Y1 KR 200180675Y1 KR 2019990022779 U KR2019990022779 U KR 2019990022779U KR 19990022779 U KR19990022779 U KR 19990022779U KR 200180675 Y1 KR200180675 Y1 KR 2001806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gear
spiral shaft
motor
spi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27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명수
Original Assignee
이명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명수 filed Critical 이명수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06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0675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3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vertical lamellae ; Supporting rails therefor
    • E06B9/368Driving means other than pulling co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lin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프레임의 내부에 장착되어 있는 나선축을 통해 격판이 장착된 홀더들을 이동시킴으로서 프레임의 전장이 길 경우에도 모터의 부하로 인한 오동작을 방지함은 물론, 사용중 수동작동으로 인한 고장을 방지할 수 있는 전동식 브라인드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통상의 브라인드에 있어서, 프레임의 내부 일측에는 나선축 모터와 +축 모터가 수평위치로 장착되고,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는 상기 나선축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가로방향의 나선축이 장착되며, 상기 나선축에는 이동홀더와 연결되며 탭공이 형성된 이동브라켓이 체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전동식 브라인드{An eletric blinder}
본 고안은 전동식 브라인드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프레임의 내부에 장착된 나선축을 통해 격판이 장착된 홀더들을 이동시킴으로서 프레임의 전장이 길 경우에도 모터의 부하로 인한 오동작을 방지함은 물론, 사용중 수동작동으로 인한 고장을 방지할 수 있는 전동식 브라인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브라인드는 수직이동식과 수평이동식으로 나누어지며, 이는 작동방식에 따라 수동식과 전동식으로 구분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수평이동식 브라인더중 전동식(이하, 전동식 브라인더라 한다)을 개량한 것이다.
따라서, 도 6은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전동식 브라인더를 나타낸 것으로서, 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면이 천정에 고정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구동부을 통해 작동되는 +축(61) 및 와이어(62)가 장착되어 있는 프레임(6)과, 상기 +축(61)에 삽입 장착되며 하부에는 격판(71)이 끼워지고 별도의 클립을 통해 서로가 연결되어 있는 다수의 홀더(7)와, 상기 홀더(7)들의 제일 외측에 위치되어 양측에는 상기 와이어(62)의 양단이 고정되어 있는 이동홀더(8)와, 상기 프레임(6)의 일측에 위치되며 상기 +축(61)과 와이어(62)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제 1,2모터(91,92)가 구비된 구동부(9)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와이어(62)을 이동시키는 구동부(9)의 제 2모터(92)는 수직으로 위치되어 그 회전축(921)에는 주동풀리(922)가 장착되고, 이 주동풀리(922)의 타측에는 상기 프레임(6)에 고정되는 종동풀리(63)가 장착됨으로서, 상기 주,종동풀리(922,63)에는 상기 와이어(62)가 권취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전동식 브라인더를 작동시킬 경우에는, 먼저 구동부(9)의 제 1모터(91)를 동작시켜 +축(61)을 회전시킴으로서 격판(71)의 경사각을 조정한후, 구동부(9)의 제 2모터(92)를 동작시켜 와이어(62)를 이동시킴으로서 이동홀더(8)와 다수의 홀더(7)에 장착된 격판(71)이 폐쇄 또는 개방 위치로 이동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격판을 개폐함에 있어서, 구동부(9)의 제 2모터(92)와 와이어(62)를 이용함으로서, 상기 프레임(6)의 전장이 길 경우(약 4M이상)에는 모터의 부하로 인하여 브라인드가 작동중 오동작을 일으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상기 와이어(62)는 제 2모터(92)의 주동풀리(922)에 권취되어 있음에 따라서, 격판을 사용자가 직접 개폐(수동조작)할 경우에는 와이어(62)가 쉽게 절단되는 등의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또, 상기와 같이 구성된 브라인더를 양 방향 개폐용으로 적용할 경우에는, 구동부(9)를 프레임(6)의 양단에 설치하고 와이어(62)를 양방향으로 분리 시켜야 함으로서, 브라인더의 제작원가가 올라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 상기 구동부(9)를 이루는 제 2모터(92)가 프레임(6)의 하부로 돌출됨으로서, 브라인드의 장착시 상기 구동부(9)가 천정에서 하부로 돌출되어 미관을 해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또, 브라인더를 장기간 동안 사용할 경우에는 와이어(62)가 자체적으로 장력을 잃게 됨으로서, 와이어(62)가 +축과 엉키게 되어 브라인더가 작동이 되지 않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고안된 것으로서, 프레임의 내부에는 수평방향으로 위치된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나선축을 설치하여 격판이 장착된 홀더들을 이동시킴으로서, 프레임의 전장이 길 경우(약 4M이상)에도 브라인드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는 전동식 브라인드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리모콘등의 자동작동은 물론, 사용자가 격판을 이동시키는 등의 수동작동도 가능하게 하는 목적도 있다.
또, 프레임 내부에 장착되는 나선축의 양측을 오른나사와 왼나사로 형성함으로서, 단일의 구동부로 작동되는 저가의 양 방향용 브라인드를 제작하고자 하는 목적도 있다.
또, 구동부를 프레임의 내부에 장착함으로서 외관의 심미감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목적도 있다.
또, 나선축의 외측에는 별도의 레일의 형성함으로서, 장기간 사용시 나선축이 프레임의 하부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고자 하는 목적도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통상의 브라인드에 있어서, 프레임의 내부 일측에는 나선축 모터와 +축 모터가 수평위치로 장착되고,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는 상기 나선축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가로방향의 나선축이 장착되며, 상기 나선축에는 이동홀더와 연결되며 탭공이 형성된 이동브라켓이 체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동식 브라인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도 2의 B-B선 단면도.
도 4는 도 2의 C-C선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브라인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
도 6은 종래의 전동식 브라인드를 나타낸 개략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프레임
11 : +축
111 : 제 4기어
12 : 나선축 모터
121 : 회전축, 122 : 제 1기어
13 : +축 모터
131 : 회전축, 132 : 제 3기어
14 : 나선축
141 : 제 2기어
15 : 이동브라켓
151 : 탭공
2 : 홀더
3 : 이동홀더
4 : 격판
5 : 나선축
51 : 오른나선부
511 : 이동브라켓, 512 : 오른탭공
52 : 왼나선부
521 : 이동브라켓, 522 : 왼탭공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브라인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B-B선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C-C선 단면도로서, 먼저 그 구성을 설명한다.
상면이 천정에 고정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축(11)이 장착되어 있는 프레임(1)과, 상기 +축(11)에 삽입되며 하부에는 격판(4)이 끼워지고 별도의 클립을 통해 서로가 연결되어 있는 다수의 홀더(2)와, 이 홀더(2)들의 제일 외측에 위치되며 상기 홀더(2)와 클립을 통해 연결되는 이동홀더(3)가 구비되어 있는 통상의 브라인드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의 내부 일측에는 나선축 모터(12)와 +축 모터(13)가 수평위치로 장착되고, 상기 프레임(1)의 내부에는 상기 나선축 모터(12)에 의해 회전되는 가로방향의 나선축(14)이 장착되며, 상기 나선축(14)에는 상기 이동홀더(3)와 연결되며 탭공(151)이 형성된 이동브라켓(15)이 체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특히, 상기 나선축 모터(12)의 회전축(121)에는 제 1기어(122)를 장착하고, 상기 나선축(14)에는 상기 제 1기어(122)와 맞물려 회전되며 제 1기어(122)보다 상대적으로 치수가 적은 제 2기어(141)를 장착한다.
상기 +축 모터(13)의 회전축(131)에는 제 3기어(132)를 장착하고, 상기 +축(11)에는 상기 제 3기어(132)와 맞물려 회전되며 제 3기어(132)보다 상대적으로 치수가 적은 제 4기어(111)를 장착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브라켓(15)의 외측에는 브라인드의 작동시 이동브라켓(15)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프레임(1)과 일체로 형성된 가이드 레일(16)이 장착되어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브라인드의 동작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리모콘등을 통해 상기 +축 모터(13)를 작동시키게 되면, 제 3기어(132)와 제 4기어(111)가 회전됨으로서, 상기 +축(11)이 회전되고 이에 따라 홀더(2)들과 이동홀더(3)에 장착되어 있는 격판(4)의 각도가 변경되는 것이다.
반대로, 나선축 모터(12)을 작동시키게 되면, 회전축(121)에 장착된 제 1기어(122)와 나선축(14)에 장착된 제 2기어(141)가 맞물려 회전됨으로서, 나선축(14)이 프레임 내부에서 회전되고, 이 나선축(14)에 체결되어 있는 탭공(151)을 갖는 이동브라켓(15)이 나사선으로 따라 이동된다.
따라서 상기 이동브라켓(15)과 연동되는 상기 이동홀더(3)와 홀더(2)들이 함께 이동됨으로서, 브라인드를 이루는 격판(4)들이 개폐되는 것이다.
한편,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브라인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프레임(1)내부에 장착되는 나선축과 이동브라켓을 제외한 부분은 상기한 구성과 동일하며, 상기 나선축(5)은 중간을 경계로 하여 일측에는 오른나선부(51)가, 타측에는 왼나선부(52)가 형성되는 한편, 상기 오른나선부(51)에 장착되는 이동브라켓(511)에는 오른탭공(512)이 형성되고, 상기 왼나선부(52)에 장착되는 이동브라켓(521)에는 왼탭공(522)이 형성됨으로서, 상기 오른탭공(512)이 형성된 이동브라켓(511)과 왼탭공(522)이 형성된 이동브라켓(521)은 상기 나선축(5)의 양측에 대칭되게 체결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나선축 모터(12)가 작동되게 되면, 나선축(5)은 일방향으로 회전되나 나선축(5)의 양측에 체결된 이동브라켓(511,521)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됨으로서, 격판(4)이 양쪽으로 개폐되는 양 방향용 브라인드로 사용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프레임의 내부에 장착된 나선축을 통해 격판이 장착되어 있는 홀더들을 이동시킴으로서, 프레임의 전장이 길 경우에도 모터의 부하로 인한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또한, 사용자가 격판을 이동시키는 등의 수동작동을 가능케 함으로서, 수동작동으로 인한 고장을 방지하는 효과도 가지는 것이다.
또, 프레임 내부에 장착되는 나선축의 양측을 오른나사와 왼나사로 형성함으로서, 단일의 구동부로 작동되는 저가의 양 방향용 브라인드를 제공하는 효과도 가지는 것이다.
또, 구동부를 프레임의 내부에 장착함으로서 브라인드의 미감을 높일 수 있는 효과도 가지는 것이다.
또, 브라인드를 장기간 동안 사용할 경우에도 나선축이 프레임의 하부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도 가지는 것이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를 참고로 설명 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지닌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Claims (4)

  1. 상면이 천정에 고정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축(11)이 장착되어 있는 프레임(1)과, 상기 +축(11)에 삽입되며 하부에는 격판(4)이 끼워지고 별도의 클립을 통해 서로가 연결되어 있는 다수의 홀더(2)와, 이 홀더(2)들의 제일 외측에 위치되며 상기 홀더(2)와 클립을 통해 연결되는 이동홀더(3)가 구비되어 있는 통상의 브라인드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의 내부 일측에는 나선축 모터(12)와 +축 모터(13)가 수평위치로 장착되고, 상기 프레임(1)의 내부에는 상기 나선축 모터(12)에 의해 회전되는 가로방향의 나선축(14)이 장착되며, 상기 나선축(14)에는 상기 이동홀더(3)와 연결되며 탭공(151)이 형성된 이동브라켓(15)이 체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브라인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축 모터(12)의 회전축(121)에는 제 1기어(122)를, 상기 나선축(14)에는 상기 제 1기어(122)와 맞물려 회전되며 제 1기어(122)보다 상대적으로 치수가 적은 제 2기어(141)를 장착하고, 상기 +축 모터(13)의 회전축(131)에는 제 3기어(132)를, 상기 +축(11)에는 상기 제 3기어(132)와 맞물려 회전되며 제 3기어(132)보다 상대적으로 치수가 적은 제 4기어(111)를 장착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브라인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브라켓(15)의 외측에는 브라인드의 작동시 이동브라켓(15)의 유동을 방지하는 프레임(1)과 일체로 형성된 가이드 레일(16)이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브라인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축(5)은 중간을 경계로 하여 일측에는 오른나선부(51)가, 타측에는 왼나선부(52)가 형성되고, 상기 오른나선부(51)에는 오른탭공(512)이 형성된 이동브라켓(511)이, 상기 왼나선부(52)에는 왼탭공(522)이 형성된 이동브라켓(521)이 체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브라인드.
KR2019990022779U 1999-10-21 1999-10-21 전동식 브라인드 KR200180675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5893A KR100341605B1 (ko) 1999-10-21 1999-10-21 전동식 브라인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5893A Division KR100341605B1 (ko) 1999-10-21 1999-10-21 전동식 브라인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0675Y1 true KR200180675Y1 (ko) 2000-05-15

Family

ID=1961639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2779U KR200180675Y1 (ko) 1999-10-21 1999-10-21 전동식 브라인드
KR1019990045893A KR100341605B1 (ko) 1999-10-21 1999-10-21 전동식 브라인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5893A KR100341605B1 (ko) 1999-10-21 1999-10-21 전동식 브라인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18067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9993B1 (ko) 2008-07-08 2010-09-03 메코시스 주식회사 건물 차양용 루버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3323B1 (ko) * 2007-07-18 2008-10-15 메코시스 주식회사 건물 차양용 전동 루버장치
CN114893111A (zh) * 2022-05-09 2022-08-12 缪秉政 一种内置遮阳弧形中空玻璃窗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98197U (ko) * 1984-12-05 1986-06-24
JPH04116598U (ja) * 1991-03-29 1992-10-19 株式会社大井製作所 縦形ブラインドの駆動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9993B1 (ko) 2008-07-08 2010-09-03 메코시스 주식회사 건물 차양용 루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41605B1 (ko) 2002-06-22
KR20010038077A (ko) 2001-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95703B1 (en) Lift Mechanism For Venetian Blind
KR200180675Y1 (ko) 전동식 브라인드
JP3896342B2 (ja) 電動ブラインド
US6935398B2 (en) Operating unit for a window covering
KR20160134115A (ko) 영역별 블라인드 슬랫 조절 장치
CN109915005B (zh) 中空百叶顶部操作系统
KR930002107Y1 (ko) 전동식 커튼 개폐장치
JP3305660B2 (ja) 横型ブラインドのスラット角度調節装置及び電動ブラインドのスラット角度調節装置
JP2523292Y2 (ja) 電動ブラインド
JP2699857B2 (ja) シャッター等の駆動装置
JP2004143753A (ja) ブラインド内蔵複層ガラス
JP6796503B2 (ja) 巻き取り装置及び電動ローマンシェード装置
KR200231006Y1 (ko) 창문자동개폐장치
JP2511790Y2 (ja) 電動ブラインド
JP3691148B2 (ja) ヘッドボックス昇降型ブラインド
KR200419937Y1 (ko) 창호 자동 개폐 장치
JPH0422710Y2 (ko)
KR200382067Y1 (ko) 전동식 버티컬 블라인드용 기어조립체
JP2660710B2 (ja) 電動式ローマンシェード
KR200254722Y1 (ko) 전동 블라인드
KR200176435Y1 (ko) 원격제어형 이중커텐 개폐장치
JP2511791Y2 (ja) 電動ブラインド
JPH0522629Y2 (ko)
JPH0421432Y2 (ko)
KR0139201Y1 (ko) 수직형 자동 블라인드의 와이어 장력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1020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