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2067Y1 - 전동식 버티컬 블라인드용 기어조립체 - Google Patents

전동식 버티컬 블라인드용 기어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2067Y1
KR200382067Y1 KR20-2005-0000590U KR20050000590U KR200382067Y1 KR 200382067 Y1 KR200382067 Y1 KR 200382067Y1 KR 20050000590 U KR20050000590 U KR 20050000590U KR 200382067 Y1 KR200382067 Y1 KR 2003820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shaft
shaft
motor
coupled
rot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05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관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성브라인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성브라인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성브라인드
Priority to KR20-2005-00005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206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20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2067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3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vertical lamellae ; Supporting rails therefor
    • E06B9/362Travellers; Lamellae suspension stems
    • E06B9/364Operating mechanisms therei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3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vertical lamellae ; Supporting rails therefor
    • E06B9/368Driving means other than pulling co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linds (AREA)
  • Curtains And 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프레임 내에 배치되어 회전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을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1모터와,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을 따라 이동하되 단위커튼막이 하나씩 결합되는 복수의 캐리어를 갖는 전동식 버티컬 블라인드에 장착되는 기어조립체로써, 상기 제1모터에 결합된 구동기어와 치형맞물림되는 피동기어와; 일단이 상기 피동기어에 결합되어 상기 피동기어와 함께 회전하되, 측부에 양단이 폐쇄된 나선형홈부를 가지며 내부에 상기 회전축이 결합되는 축부와; 상기 나선형홈부에 수용되어 상기 나선형홈부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회전축의 정역방향으로의 이동한계점을 형성하는 볼과; 상기 축부를 외측에서 커버링하는 커버하우징과; 상기 커버하우징과 상기 축부를 고정하는 고정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일반 수동버티컬 블라인드를 전동식 버티컬 블라인드 전용부품과 전용레일을 사용하지 않고도 간편하게 일반 수동버티컬 블라인드를 전동식 버티컬 블라인드로 전환 사용함으로 발생할 수 있는 일반 수동버티컬 블라인드부품의 조기마모와 파손되는 것을 저지하면서도 단위커튼막이 완전히 좌우로 회전했을 경우, 모터의 동작을 온오프(ON/OFF)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모터에 과부하가 걸리는 것을 저지하면서도 단위커튼막의 자연스럽게 회전시키는 한편 회전시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동식 버티컬 블라인드용 기어조립체{Gear assembly for vertical blind}
본 고안은, 전동식 버티컬 블라인드용 기어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일반 수동식 버티컬 블라인드를 전동식 버티컬 블라인드전용부품과 전용레일을 사용하지 않고도 간편하게 전동식 버티컬 블라인드로 전환 사용함으로 발생할 수 있는 일반 수동버티컬 블라인드부품의 조기마모와 파손되는 것을 저지하면서도 모터가 작동되어 단위커튼막이 완전히 좌우로 회전했을 경우, 모터의 작동여부에 관계없이 회전축의 회전을 정지시켜 회전축과 연동되는 캐리어에 과부하가 걸리는 것이 방지되어 캐리어의 마모에의한 소음이나 작동불량이 방지되게 하므로서 단위커튼막의 자연스럽게 회전시키는 한편 회전시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도록 한 전동식 버티컬 블라인드용 기어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창문에 장착되어 빛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커튼에는 수직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창문을 개폐하는 것과 수평방향을 따라 움직이면서 개폐하는 것이 존재한다.
전자의 것에는 소위, 로만쉐이드, 롤스크린 및 라인 블라인드라 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로만쉐이드란 최하단의 커튼천이 점차 포개지면서 상측으로 말아 올려지는 것을 일컫는다. 그리고 롤스크린이란 회전가능한 회전축에 커튼천의 일단이 고정된 상태에서 회전축을 회전시킴으로써 회전축에 커튼천을 권취하거나 권취해제함으로서 창문을 개폐하는 것을 말하며, 라인 블라인드는 빛차폐판을 승강시키면서 창문을 개폐하는 것을 가리킨다.
이에 반해, 후자의 커튼은 소위, 버티컬 블라인드라 하는데 분할된 복수개의 단위커튼막을 정위치에서 회전시키거나 혹은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창문을 개폐하는 것을 가리킨다.
이러한 버티컬 블라인드는 그 구동방식에 따라 사용자가 직접 줄을 당김으로서 단위커튼막을 회전 및 이동시키는 소위, 수동식과 컨트롤부의 조작에 의한 모터의 구동에 의해 단위커튼막을 자동으로 회전 및 이동시키는 소위, 전동식이 존재한다.
그런데, 종래의 전동식 버티컬 블라인드에 있어서는, 기존에 사용 중인 수동식 버티컬 블라인드의 고장 유·무나 지속 사용 여부에 관계없이 철거하거나 폐기해야하고, 별도의 전동식 전용레일과 전용 부품을 사용한 전동식 버티컬 블라인드를 설치 사용해야 하는 고비용의 추가부담으로 일부 사회층에서만 사용하는 전동식 버티컬 블라인드로 인식되어져 왔고, 종래의 전동식 버티컬 블라인드는 제작규격에 제한으로 제한 규격보다 상위의 규격을 한창으로 제작할 수 없기 때문에, 일반 수동식 버티컬 블라인드는 한창으로 제작할 수도 있는 규격을 종래의 전동식 버티컬 블라인드는 추가 제작해야하는 단점을 완전히 보완했고 뿐만 아니라 종래의 버티컬 블라인드의 경우에는 단위커튼막이 완전히 좌우로 이동했음에도 불구하고 오작동시 전원을 차단하지 못할 경우 모터가 계속 동작하는 등의 폐단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모터에 지나친 과부하가 발생할 수도 있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단위커튼막이 완전히 좌우로 회전했을 경우, 모터가 일정시간 작동되더라도 모터의 작동에 관계없이 버티칼을 구동시키는 회전축의 회전을 방지하게 됨으로서 캐리어에 과부하가 걸리는 것을 저지하면서도 단위커튼막의 자연스럽게 회전시키는 한편 회전시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도록 한 전동식 버티컬 블라인드용 기어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프레임 내에 배치되어 회전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을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1모터와,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을 따라 이동하되 단위커튼막이 하나씩 결합되는 복수의 캐리어를 갖는 전동식 버티컬 블라인드에 장착되는 기어조립체로써, 상기 제1모터에 결합된 구동기어와 치형맞물림되는 피동기어와; 일단이 상기 피동기어에 결합되어 상기 피동기어와 함께 회전하되, 측부에 양단이 폐쇄된 나선형홈부를 가지며 내부에 상기 회전축이 결합되는 축부와; 상기 나선형홈부에 수용되어 상기 나선형홈부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회전축의 정역방향으로의 이동한계점을 형성하는 볼과; 상기 축부를 외측에서 커버링하는 커버하우징과; 상기 커버하우징과 상기 축부를 고정하는 고정링을 포함하는 전동식 버티컬 블라인드용 기어조립체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커버하우징의 내면에는 상기 볼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홈부가 상기 축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축의 이동한계점은 상기 볼이 상기 축부의 나선형홈부 중에서 폐쇄된 양단에 위치할 경우에 형성된다.
상기 회전축은 비원형단면을 가지며, 상기 축부에는 상기 비원형단면의 회전축이 결합되는 비원형축공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링은 일부분이 절개된 씨링(C-Ring)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각각 본 고안에 따른 전동식 버티컬 블라인드의 동작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전동식 버티컬 블라인드용 기어조립체의 장착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전동식 버티컬 블라인드용 기어조립체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분해사시도, 도 6a 및 도 6b는 각각 전동식 버티컬 블라인드용 기어조립체의 작동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할 때, 본 고안에 따른 전동식 버티컬 블라인드는 프레임(10)에 대해 단위커튼막(12)을 일방향으로 이동(도 1 참조)시키거나 정위치에서 회전시키면서(도 2 참조) 창문을 개폐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프레임(10)은 천장 등에 고정되어 본 전동식 버티컬 블라인드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프레임(10)의 내부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종 부품들이 장착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프레임(10) 내에는 프레임(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된 비원형단면의 회전축(14)이 배치되어 있다. 프레임(10)의 일측단부에는 이하에서 설명할 전동식 버티컬 블라인드용 기어조립체(30)가 배치되어 있는데, 회전축(14)의 일단은 이 기어조립체(30)에 결합되어 있다.
단면이 대략 십자 형상을 갖는 회전축(14)에는 복수의 캐리어(16)가 부속되어 있다. 자세히 도시하고 있지는 않지만 캐리어(16)는 내부에 기어부품이 장착된 몸체(16a)와, 몸체(16a)로부터 돌출된 회전봉(16b)으로 이루어져 있다. 몸체(16a)는 회전축(14)을 따라 이동할 수 있으며, 회전봉(16b)은 몸체(16a)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단위커튼막(12) 하나씩에 별도의 브래킷(13)을 장착한 후, 이 브래킷(13)을 회전봉(16b)에 결합시킨 후, 본 전동식 버티컬 블라인드를 동작시키면, 회전축(14)을 따라 캐리어(16)가 왕복 이동할 수 있기에 도 1과 같이 단위커튼막(12)은 이동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회전봉(16b)이 몸체(16a)에 대해 회전할 수 있기에 단위커튼막(12)은 정위치에서 소정의 각도로 회전할 수도 있다.
이 때 단위커튼막(12)의 회전을 위해 회전봉(16b)을 몸체(16a)에 대해 회전시키는 것은 기어조립체(30)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는 제1모터(21)가 담당하고, 단위커튼막(12)의 이동을 위해 캐리어(16)를 회전축(14)에 대해 왕복 이동시키는 수단은 제2모터(22)와 도시 않은 회전불이 담당한다. 제2모터(22)와 회전줄에 대해서는 통상의 것을 전용하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모터(21)는 단위커튼막(12)을 회전시키는 수단으로 이용되고 제2모터(22)는 단위커튼막(12)을 왕복 이동시키는 수단으로 활용된다. 따라서 제1모터(21)와 제2모터(22)의 주변에는 이들을 제어하는 PCB기판(25)이 마련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의 단부에는 제2모터(22)에 연결된 풀리(24)와 제1모터(21)에 연결된 구동기어(23)가 노출되어 있다. 풀리(24)에는 앞서 기술한 회전줄이 권취되어 캐리어(16)의 몸체(16a) 내로 배치된다.
한편, 제1모터(21)와 제2모터(22) 사이에는 제1모터(21)와 연계하여 회전축(14)을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키되, 회전축(14)이 정역방향으로 더 이상 회전되지 않도록 회전축(14)의 이동한계점을 형성하여 제1모터(21)에 지나친 과부하가 걸리는 것을 저지하면서도 단위커튼막(12)의 자연스럽게 회전시키는 한편 회전시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도록 한 전동식 버티컬 블라인드용 기어조립체(30)가 장착되어 있다.
도 3을 포함하여 도 4 및 도 5를 참조할 때, 본 고안에 따른 전동식 버티컬 블라인드용 기어조립체(30)는, 제1모터(21)에 결합된 구동기어(23)와 치형맞물림되는 피동기어(31)와, 일단이 피동기어(31)에 결합되어 피동기어(31)와 함께 회전하되 측부에 양단(33a,33b)이 폐쇄된 나선형홈부(33)를 갖는 축부(32)와, 나선형홈부(33)에 수용되어 나선형홈부(33)를 따라 이동하면서 회전축(14)의 정역방향으로의 이동한계점을 형성하는 볼(36)과, 축부(32)를 외측에서 커버링하는 커버하우징(37)과, 커버하우징(37)과 축부(32)를 고정하는 고정링(38)을 갖는다.
축부(32)는 그 일단이 비원형단면을 형성하면서 피동기어(31)에 결합된다. 따라서 피동기어(31)에 대해 축부(32)가 헛도는 것이 저지된다. 이러한 축부(32)에는 그 내부에 십자 형상의 회전축(14)이 삽입되어 헛도는 것이 저지될 수 있도록 하는 십자 형상의 비원형축공(34)이 관통되어 있다.
커버하우징(37)의 내면에는 볼(36)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홈부(37a)가 축부(32)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이에, 기어조립체(30)의 피동기어(31)가 제1모터(21)의 구동기어(23)에 맞물려 구동기어(23)에 의해 회전하면, 피동기어(31)에 결합된 축부(32)가 피동기어(31)를 따라 회전하기 시작한다.
이 때, 고정홈부(37a)에 고정된 볼(36)은 축부(32)가 회전하는 것에 연동하여 고정홈부(37a)의 내에서 이동하다가 축부(32)의 나선형홈부(33) 중에서 어느 일단(33a)에 도달한다(도 6a 참조). 볼(36)이 폐쇄된 나선형홈부(33)의 일단(33a)에 도달하면 더 이상 축부(32)가 회전할 수 없기 때문에 회전축(14)의 회전은 중지되어 단위커튼막(12)이 완전히 일방향으로 회전하여 창문을 가린 상태가 될 수 있다. 이때 제1모터(21)가 1,2호간 작동되고 정리되더라도 회전축(14)의 회전이 방지되기 때문에 캐리어(16)의 작동이 정리되어 과부하에의한 캐리어(16)의 손상이 방지되게 되는 것이다.
반대로, 단위커튼막(12)을 회전시키기 위해 제1모터(21)가 역방향으로 동작하면 축부(32)가 전술한 반대방향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볼(36) 역시 나선형홈부(33) 내에서 회전하다가 이번에는 나선형홈부(33)의 타단(33b)에 도달하게 된다(도 6b 참조). 볼(36)이 폐쇄된 나선형홈부(33)의 타단(33b)에 도달하면 더 이상 축부(32)가 회전할 수 없기 때문에 회전축(14)의 회전은 중지된다. 물론제1모터(21)의 동작역시 오프(OFF)되는데 이상태가 단위커튼막(12)이 완전히 타방향으로 회전하여 창문을 가린상태가 된다. 이때에도 제1모터(21)의 작동에 관계없이 회전축(14)의 회전이 방지되므로 캐리어(16)의 작동이 정지되므로 제1모터(21)의 작동으로 인하여 캐리어(16)에 과부하가 걸려 캐리어(16)가 손상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이다.
결국, 커버하우징(37)의 고정홈부(37a)에서 고정된 상태에서 볼(36)이 축부(32)의 나선형홈부(33) 중에서 폐쇄된 양단(33a,33b)에 위치할 경우, 회전축(14)이 더 이상 회전할 수 없는 이동한계점이 형성되는 것이다. 한편, 기어조립체(30)에서 커버하우징(37)과 축부(32)를 고정하는 고정링(38)은 일부분이 절개된 씨링(C-Ring)이 채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전동식 버티컬 블라인드의 동작을 일련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1과 같이 단위커튼막(12)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고자 한다면, 컨트롤부(26)를 동작시킨다. 컨트롤부(26)의 동작에 의해 제1모터(21)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모터(21)에 결합된 구동기어(23) 역시 일방향으로 회전하기 시작한다.
구동기어(23)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구동기어(23)에 치형 맞물림된 기어조립체(30)의 피동기어(31)가 회전하기 시작하면서 축부(32)를 회전시켜 회전축(14)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회전축(14)이 회전하면, 회전축(14)에 결합된 캐리어(16)가 회전축(14)을 따라 회전하면서 단위커튼막(12)이 회전하게 된다. 이 때 기어조립체(30)의 볼(36)은 고정홈부(37a)에 고정된 상태에서 나선형홈부(33)를 따라 회전하는 과정에 이른다.
단위커튼막(12)이 창문을 거의 가리는 시점에 이르면, 고정홈부(37a)에 고정된 볼(36)은 축부(32)가 회전하는 것에 연동하여 고정홈부(37a)의 내에서 회전하다가 나선형홈부(33)의 일단(33a)에 도달한다(도 6a 참조). 볼(36)이 폐쇄된 나선형홈부(33)의 일단(33a)에 도달하면 더 이상 축부(32)가 회전할 수 없기 때문에 회전축(14)의 회전은 중지된다. 따라서, 제1모터(21)의 작동에 관계없이 회전축(14)의 회전이 방지되므로 회전축(14)과 연동되는 캐리어(16)의 작동이 정지되므로 제1모터(21)의 작동에 의한 과부하로 인한 캐리어(16)의 손상이 방지되는 것이다.
이와는 반대로, 위해 도 1의 반대방향으로 단위커튼막(12)을 이동시키고자 한다면, 역시 컨트롤부(26)를 동작시킨다. 컨트롤부(26)의 동작에 의해 제1모터(21)가 전술한 역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모터(21)에 결합된 구동기어(23) 역시 역방향으로 회전하기 시작한다.
구동기어(23)가 역방향으로 회전하면 구동기어(23)에 치형 맞물림된 기어조립체(30)의 피동기어(31)가 회전하기 시작하면서 축부(32)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회전축(14)을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회전축(14)이 역방향으로 회전하면, 회전축(14)에 결합된 캐리어(16)가 회전축(14)을 따라 회전하면서 단위커튼막(12)이 회전하게 된다. 이 때 기어조립체(30)의 볼(36)은 고정홈부(37a)에 고정된 상태에서 나선형홈부(33)를 따라 회전하는 과정에 이른다.
단위커튼막(12)이 고정홈부(37a)에 고정된 볼(36)은 축부(32)가 회전하는 것에 연동하여 고정홈부(37a)의 내에서 회전하다가 나선형홈부(33)의 타단(33b)에 도달한다(도 6b 참조). 볼(36)이 폐쇄된 나선형홈부(33)의 타단(33b)에 도달하면 더 이상 축부(32)가 회전할 수 없기 때문에 회전축(14)의 회전은 중지된다. 이때 제1모터(21)의 동작 역시 오프(OFF)되는데 이상태가 단위커튼막(12)이 완전히 회전하여 창문을 가린상태가 되는 것이다.
따라서, 제1모터(21)의 작동에 관계없이 회전축(14)의 회전이 방지되므로 회전축(14)과 연동되는 캐리어(16)의 작동이 정지되므로 제1모터(21)의 작동에 의한 과부하로 인한 캐리어(16)의 손상이 방지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단위커튼막(12)이 완전히 좌우로 회전했을경우, 모터의 동작을 온오프(ON/OFF)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꺼 모터에 지나친 과부하가 걸리는 것을 저지하면서도 단위커튼막(12)을 자연스럽게 회전시키는 한편 회전시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단위커튼막이 완전히 좌우로 회전했을 경우, 모터의 동작을 온오프(ON/OFF)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모터에 과부하가 걸리는 것을 저지하면서도 단위커튼막의 자연스럽게 회전시키는 한편 회전시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각각 본 고안에 따른 전동식 버티컬 블라인드의 동작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전동식 버티컬 블라인드용 기어조립체의 장착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전동식 버티컬 블라인드용 기어조립체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분해사시도,
도 6a 및 도 6b는 각각 전동식 버티컬 블라인드용 기어조립체의 작동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프레임 12 : 단위커튼막
14 : 회전축 16 : 캐리어
21 : 제1모터 23 : 구동기어
26 : 컨트롤부 30 : 기어조립체
31 : 피동기어 32 : 축부
33 : 나선형홈부 36 : 볼
37 : 커버하우징 37a : 고정홈부
38 : 고정링

Claims (4)

  1. 프레임 내에 배치되어 회전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을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1모터와,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을 따라 이동하되 단위커튼막이 하나씩 결합되는 복수의 캐리어를 갖는 전동식 버티컬 블라인드에 장착되는 기어조립체로써,
    상기 제1모터에 결합된 구동기어와 치형맞물림되는 피동기어와;
    일단이 상기 피동기어에 결합되어 상기 피동기어와 함께 회전하되, 측부에 양단이 폐쇄된 나선형홈부를 가지며 내부에 상기 회전축이 결합되는 축부와;
    상기 나선형홈부에 수용되어 상기 나선형홈부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회전축의 정역방향으로의 이동한계점을 형성하는 볼과;
    상기 축부를 외측에서 커버링하는 커버하우징과;
    상기 커버하우징과 상기 축부를 고정하는 고정링을 포함하는 전동식 버티컬 블라인드용 기어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하우징의 내면에는 상기 볼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홈부가 상기 축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축의 이동한계점은 상기 볼이 상기 축부의 나선형홈부 중에서 폐쇄된 양단에 위치할 경우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버티컬 블라인드용 기어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비원형단면을 가지며, 상기 축부에는 상기 비원형단면의 회전축이 결합되는 비원형축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버티컬 블라인드용 기어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링은 일부분이 절개된 씨링(C-Rin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버티컬 블라인드용 기어조립체.
KR20-2005-0000590U 2005-01-08 2005-01-08 전동식 버티컬 블라인드용 기어조립체 KR2003820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0590U KR200382067Y1 (ko) 2005-01-08 2005-01-08 전동식 버티컬 블라인드용 기어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0590U KR200382067Y1 (ko) 2005-01-08 2005-01-08 전동식 버티컬 블라인드용 기어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2067Y1 true KR200382067Y1 (ko) 2005-04-19

Family

ID=43683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0590U KR200382067Y1 (ko) 2005-01-08 2005-01-08 전동식 버티컬 블라인드용 기어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206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21360B2 (en) One-way drive for window coverings
US7174941B2 (en) One-way drive for window coverings
US7665502B2 (en) Architectural covering
US20060169418A1 (en) Window covering leveling method
EP3390757B1 (en) Window shade
US20060130980A1 (en) Window covering leveling mechanism
JP6872020B2 (ja) 窓シェード
US20220136324A1 (en) Covering for an architectural feature having a bottom rail leveling mechanism
KR101712142B1 (ko) 영역별 블라인드 슬랫 조절 장치
KR200382067Y1 (ko) 전동식 버티컬 블라인드용 기어조립체
KR101098843B1 (ko) 블라인드 장치
KR101957651B1 (ko) 승강 이동형 블라인드
US6957681B2 (en) Embedded type motorized blind device
KR101205520B1 (ko) 분리 조절형 블라인드 장치
KR200383952Y1 (ko) 전동 블라인드의 감김장치
US11713620B2 (en) Blind control having a narrow profile drive
KR200392782Y1 (ko) 내장형 전동 블라인드 장치
JP5270484B2 (ja) 建具
JP2004143753A (ja) ブラインド内蔵複層ガラス
KR101776205B1 (ko) 블라인드의 쉐이드 구동 장치
KR200180675Y1 (ko) 전동식 브라인드
KR200225320Y1 (ko) 버티칼 타입 블라인드의 전동장치
JP4953916B2 (ja) ブラインド、縦型ブラインド及び横型ブラインド
KR200287075Y1 (ko) 이중 유리창
KR20170112138A (ko) 조도 및 습도 자동감지를 통해 작동되는 다기능 블라인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