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0510Y1 - 와이어 로드 디스케일러 - Google Patents

와이어 로드 디스케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0510Y1
KR200180510Y1 KR2019990024388U KR19990024388U KR200180510Y1 KR 200180510 Y1 KR200180510 Y1 KR 200180510Y1 KR 2019990024388 U KR2019990024388 U KR 2019990024388U KR 19990024388 U KR19990024388 U KR 19990024388U KR 200180510 Y1 KR200180510 Y1 KR 2001805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wire rod
casing
descaler
roll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43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성도
Original Assignee
고려제강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제강주식회사 filed Critical 고려제강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900243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051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05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051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3/00Devices for cleaning metal product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B21C43/02Devices for cleaning metal product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drawing or winding machines or apparatus
    • B21C43/04Devices for de-scaling wire or like flexible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1/00Cleaning flexible or delicate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re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소재 와이어 로드의 표면에 생성된 스케일을 롤러와의 마찰접촉에 의해 물리적으로 제거되도록 하는 와이어 로드 디스케일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와이어 로드 디스케일러는, 사각통형의 서로 인접하는 케이싱(2) 내벽 각각에 수직위치를 달리하는 인입측 상,하부 롤러(3a)(3b)와 인출측 상,하부 롤러(4a)(4b)가 장착되어 구성된 와이어 로드 디스케일러에 있어서, 인입측 하부 롤러(3b)의 케이싱 외측으로 연장된 롤러 중심축(3ba)을 케이싱의 외부에 장착된 실린더(10)의 구동에 의해 승강구동되는 실린더 로드(10a)의 단부에 결합하고, 인출측 상부 롤러(4a)의 케이싱 외측으로 연장된 롤러 중심측(4aa)을 케이싱의 외부에 장착된 실린더(11)의 구동에 의해 승강되는 실린더 로드(11a)의 단부에 결합하여 이루어진 구조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본 고안의 와이어 로드 디스케일러는 상하 수직위치를 달리하여 각기 다른 케이싱면상에 설치된 한쌍의 인입측 롤러와 인출측 롤러중 어느 한 롤러가 다른 롤러의 위치까지 승강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와이어 로드를 디스케일러의 각 롤러상에 장착할 때 전체 롤러의 위치가 대략 동일한 높이가 유지되도록 한 상태에서 장착할 수 있음에 따라 종래 디스케일러에서 와이러 로드를 좁은 공간에서 여러번에 걸쳐 굴곡시켜가면서 롤러상에 장착하는 데 따르는 어려움이 없이 손쉽게 와이어 로드의 장착을 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와이어 로드 디스케일러{Descaler for wire rod}
본 고안은 소재 와이어 로드의 표면에 생성된 스케일(scale)의 제거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그 배열방향과 수직위치가 서로 엇갈리도록 설치된 다수개의 롤러를 지나는 과정에서 표면에 형성된 스케일의 제거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기계식 디스케일러의 일부 롤러를 상하 승강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디스케일러의 각 롤러에 와이어 로드를 장착하는 작업이 보다 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와이어 로드 디스케일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재 와이어 로드는 코일상으로 권회된 상태로 출하되어 선재 가공업체나 선재를 소재로 하는 제품의 제작업체로 공급되는 데, 이때 상기 소재 와이어 로드는 운반과정이나 보관중에 대기에 노출되어 표면에 부식이 발생하게 된다.
물론, 일부 소재 와이어 로드의 경우에는 그러한 부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전에 표면에 대한 기본적인 방식처리가 행해진 상태로 출하되는 경우가 있기도 하나 운반과정에서의 접촉마찰이나 외부충격 등에 의해서 방식층이 벗겨져 나가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고 또한 야적상태에서 장시간 노출됨에 따라 점차적으로 부식이 진행됨이 일반적이라 할 것이다.
이에따라, 와이어 로드를 소재로 하여 이를 신선 또는 신선에 이어지는 열처리 등의 가공을 행하거나 와이어 로프 등의 선재 제품을 제작하는 업체에서는 일차적으로 소재 와이어 로드의 표면에 생성된 스케일의 제거작업을 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와이어 로드의 스케일 제거는 그 방식에 따라 브러쉬나 샌드 페이퍼 또는 디스케일리링 롤러등에 의한 직접적인 마찰을 통해서 제거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기계적인 디스케일링과 황산등의 산용액을 이용하여 화학적으로 스케일의 제거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화학적 디스케일링(산세)의 두가지 형태로 대별된다.
한편, 선재 가공업체나 선재 제품 제조업체에서는 통상적으로 상기 두가지 방식의 디스케일링 방법중 어느 한 방식을 채택하여 스케일의 제거를 행하기 보다는 이들 두 방식을 조합하여 표면 스케일의 보다 완벽한 제거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음이 일반적이다.
상기 기계적 디스케일링 방식중에서 디스케일링 롤러를 이용한 스케일 제거방식은 별도의 동력을 필요로 함이 없이 와이어 로드의 연속적인 이동간에 자동적으로 스케일의 제거가 이루어짐에 따라 소재 와이어 로드에 생성된 스케일의 일차적인 제거에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도1은 이러한 디스케일링 롤러를 이용한 스케일 제거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인 사시도로서 이에 의거하여 롤러 방식의 디스케일러 구조 및 디스케일링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같이, 종래 기계식 롤러 디스케일러(1)는 지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세워진 사각통형의 케이싱(2)과, 케이싱의 일측 내벽에 서로 상하 수직위치를 달리하며 설치되는 인입측 상,하부 롤러(3a)(3b)와, 상기 인입측 상,하부 롤러 설치면과 직각을 이루는 케이싱의 또 다른 일측 내벽에 서로 수직위치를 달리하며 설치되는 인출측 상,하부 롤러(4a)(4b) 및 소재 와이어 로드(W)가 케이싱(2) 내부의 각 롤러(3a)(3b)(4a)(4b)를 지나서 이동하도록 케이싱(2)의 롤러 설치면 이외의 두 면상에 형성된 와이어 인입,출공(5)(6)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상기 인입공(5)은 인입측 상부 롤러(3a)와 대략 같은 수평위치상에 설치되며, 인출공(6)은 인출측 하부롤러(4b)와 대략 동일한 수평위치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싱(2)은 인입공 형성면과 인출공 형성면에 걸쳐 개폐가능한 도어(도면상에서는 내부구조를 보이기 위해 도어의 도시를 생략하였음)가 장착되어 디시케일링 작업시 도어를 닫아서 케이싱 내부에서 발생되는 소음의 차단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며, 또한 케이싱(2)의 하부에는 디스케일링 과정에서 제거되어 낙하하는 스케일의 수집을 위한 스케일 받이(2a)가 구비되어 있다.
한편, 상기 각 롤러(3a)(3b)(4a)(4b)는 케이싱의 각면상에 고정된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와이어 로드(W)와 직접 접촉하는 외주면은 만곡요입면으로 형성되어 와이어 로드가 롤러를 벗어나는 것이 방지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기계식 디스케일러(1)를 이용한 스케일 제거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와이어 로드 공급대(도면 미도시)나 공급보빈으로부터 와이어 로드(W)의 선단부를 인출해 내어 디스케일러(1)의 인입공(5)을 통해 케이싱(2) 내부로 유입되도록 한 상태에서 인입측 상,하부 롤러(3a)(3b)와 인출측 상,하부 롤러(4a) (4b)의 외주면을 순차적으로 거쳐서 지나도록 한 다음 인출공(6)을 통해 케이싱의 외부로 빠져 나오도록 한 상태에서 인출공(6)을 빠져나온 와이어 로드의 선단부를 후속되는 인출드럼등에 걸어서 인출드럼을 동작시킴에 의해서 와이어 로드의 연속적인 이송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와같은 와이어 로드(W)의 이동간에 와이어 로드의 표면은 각 롤러(3a)(3b) (4a)(4b)의 외주면과 접촉마찰 내지는 미끄럼 접촉을 이루면서 이동함에 따라 그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스케일이 떨어져 나오게 된다. 특히, 상기 롤러군의 배열방향은 인입측 상,하부 롤러(3a)(3b)에 대하여 인출측 상,하부 롤러(4a)(4b)가 90°각도로 틀어진 방향을 취하고 있고 각 롤러간의 수직위치가 서로 다름에 따라 이를 롤러를 지나는 와이어 로드(W)는 그 전체 표면이 고르게 롤러의 외주면과 접촉을 이루게 되어 와이어 로드 외주면 전체에 걸쳐서 스케일의 제거가 이루어지게 된다.
그런데, 상기 종래의 롤러식 디스케일러에 있어서는 인입측 상,하부 롤러와 인출측 상하부 롤러사이에 있어서 그 수직위치의 차이와 또한 배열방향의 차이에 의해서 와이어 로드가 이들 각 롤러의 외주면에 접촉하면서 지나도록 하는 초기 설치작업시 와이어 로드에 인위적으로 힘을 가해서 굴곡시키는 한편 그 진행 방향을 비틀어 주어야 하기 때문에 작업자에게 가해지는 노동강도가 높고 또한 그러한 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다시말하면, 초기에 와이어 로드의 장착을 위해서는 인입공을 통해 케이싱 내부로 유입된 와이어 로드가 인입측 상부 롤러를 경유하도록 한 후 수직하방으로 굴곡시켜 인입측 하부 롤러를 감아돌아서 다시 수직상부로 향하도록 하여야 하고, 이어서 인출측 상부 롤러를 감아돌도록 약 180°정도로 굴곡시킴과 아울러 와이어 로드 자체를 비튼 후 다시 인출측 하부 롤러를 경유하여 케이싱의 인출공을 통해서 빠져나가도록 하는 과정이 매우 번거롭고 상당한 노력을 필요로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작업은 협소한 케이싱 내부공간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더욱 더 어려운 면이 있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 로드의 장착작업시에 나타나는 문제점은 와이어 로드의 직경이 증가될 수록 심해지는 데, 통상적으로 롤러식 디스케일러를 이용하여 스케일의 제거가 이루어지는 와이어 로드는 상대적으로 그 직경이 굵다는 점에서 롤러식 디스케일러에 대한 개선이 요망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종래 롤러 방식의 기계식 디스케일러에서 지적되고 있는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디스케일러의 케이싱 내면에 그 수직위치 및 배열방향을 서로 달리하여 장착된 다수의 롤러중 일부 롤러가 상,하 승강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와이어 로드의 초기 장착작업이 보다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와이어 로드 디스케일러를 제공함에 고안의 목적을 두고 있다.
도1은 종래 와이어 로드 디스케일러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와이어 로드 디스케일러의 일부절결 정면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와이어 로드 디스케일러의 일부절결 측면도.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와이어 로드 디스케일러에 와이어를 물리는 과정을 보 인 동작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케이싱 3a, 3b. 인입측 상,하부 롤러
4a, 4b. 인출측 상,하부 롤러
5. 인입공 6. 인출공
10, 11. 실린더 10a, 11a. 실린더 로드
12, 13. 롤러 안내공 W. 와이어 로드
본 고안의 상기 목적은 와이어 로드가 케이싱 내부에 배열방향과 수직위치가 서로 엇갈리도록 설치된 다수개의 롤러를 지나는 과정에서 표면에 형성된 스케일의 제거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기계식 디스케일러에 있어서, 인입측 상하 롤러중의 어느 한 롤러와 인출측 상,하부 롤러중의 어느 한 롤러가 나머지 롤러와 동등한 수평위치로 수직 승강이동이 가능하도록 한 구조에 의해서 달성된다.
이때, 상기 롤러의 수직승강이동은 케이싱의 롤러 장착면상에 가이드 홈을 형성하고 그 가이드 홈을 관통하는 롤러중심축이 케이싱의 외부에 장착된 승강구동장치와 결합되어 가이드 홈을 따라 수직승강 이동을 하도록 함에 의해서 달성된다.
상기, 승강구동장치의 구체적인 예로는 유,공압 실린더를 들 수 있으며, 그 외의 통상적인 직선이동용 구동장치가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다음, 상하 위치를 달리하는 인입측 상,하부 롤러와 인출측 상,하부 롤러중 수직승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롤러로는 인입측 롤러의 경우에는 인입공과 멀리 떨어져 위치하는 하부 롤러가 유리하고, 인출측 롤러의 경우에는 인출공과 멀리 떨어져 위치하는 상부 롤러가 유리하다.
본 고안의 상기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그에따른 작용효과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설명에 의해서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먼저,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와이어 로드 디스케일러의 일부절결 정면도이고,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와이어 로드 디스케일러의 일부절결 측면도이다.
본 고안에서 그 기본적인 구조로서의, 지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세워진 사각통형의 케이싱(2)과, 케이싱의 일측 내벽에 서로 상하 수직위치를 달리하며 설치되는 인입측 상,하부 롤러(3a)(3b)와, 상기 인입측 상,하부 롤러 설치면과 직각을 이루는 케이싱의 또 다른 일측내벽에 서로 수직위치를 달리하며 설치되는 인출측 상,하부 롤러(4a)(4b) 및 소재 와이어 로드(W)가 케이싱(2) 내부의 각 롤러(3a)(3b)(4a)(4b)를 지나서 이동하도록 케이싱(2)의 롤러 설치면 이외의 두 면상에 형성된 와이어 인입,출공(5)(6)으로 구성되어 있음은 도1을 통하여 살펴본 바의 종래 디스케일러와 일치된 구성을 취하고 있다.
본 고안의 특징적인 구성은 인입측 하부 롤러(3b)의 케이싱 외측으로 연장된 롤러 중심축(3ba)을 케이싱의 외부에 장착된 실린더(10)의 구동에 의해 승강구동되는 실린더 로드(10a)의 단부에 결합하고, 인출측 상부 롤러(4a)의 케이싱 외측으로 연장된 롤러 중심측(4aa)을 케이싱의 외부에 장착된 실린더(11)의 구동에 의해 승강되는 실린더 로드(11a)의 단부에 결합하여 이들 인입측 하부 롤러(3b)와 인출측 상부 롤러(4a)가 각각 인입측 상부 롤러(3a)와 인출측 하부 롤러(4b)와 동등한 수평위치로 승강이동이 가능하도록 한 데에 있다.
이때, 상기 인입측 하부 롤러(3b)가 설치된 케이싱(2)의 당해 면상에는 상하 직선상의 장공으로 이루어진 롤러 안내공(12)이 형성되어 인입측 하부 롤러의 승강이동을 안내하며, 역시 인출측 상부 롤러(4a) 설치면상의 케이싱에도 수직의 롤러 안내공(13)이 형성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14는 와이어 인입공(5)에 근접한 위치상에 설치되어 인입공을 통해서 케이싱 내부로 들어온 와이어 로드를 인입측 상부 롤러(3a)로 안내하는 인입가이드 롤러이고, 15는 와이어 인출공(6)의 직전방에 설치되어 인출공으로 향하는 와이어 로드의 이송을 안내하는 인출가이드 롤러이다.
이와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와이어 로드 디스케일러에서의 초기 와이어 장착과정 및 디스케일링 과정을 도4에 의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와이어 로드 디스케일러에 와이어를 물리는 과정을 보인 동작설명도로서, 와이어 로드(W)를 각 롤러에 장착시키기 위해서는 실린더(10)를 구동시켜 우선 인입측 하부 롤러(3b)가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같이 인입측 상부 롤러(3a)와 동등한 수평위치가 되도록 함과 아울러 인출측 상부 롤러(4a)는 최대한 아랫쪽으로 하강이동되도록 하여 인출측 하부 롤러(4b)와 유사한 높이가 되도록 한다.
즉, 이와같이 인입측 하부 롤러(3b)가 상승되고 인출측 상부 롤러(4a)가 내려온 상태에서는 네개의 롤러 위치가 대략 동일한 높이를 유지하게 되는 데, 다만 인입측 롤러(3a)(3b)와 인출측 롤러(4a)(4b)가 단지 그 배열방향에 있어서 차이를 보이게 된다.
이와같이 서로 대략 동일한 수평위치로 조절된 상태에서 디스케일링 대상 와이어 로드(W)의 선단부를 인입공(5)을 통해 케이싱 내부로 들여온 상태에서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같이 그 와이어 로드가 네개 롤러의 외주면 요홈부를 순차적으로 지나서 인출공을 통해 케이싱의 외부로 빠져나가도록 함으로써 일차적인 와이어 로드의 장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와이어 로드(W)를 각 롤러(3a)(3b)(4a)(4b)에 걸리도록 함에 있어서는 인입측 하부 롤러(3b)와 인출측 상부 롤러(4a) 사이의 구간에서 와이어 로드의 방향을 대략 직각으로 굴곡시켜 주기만 하면 된다.
이어서, 케이싱(2)의 외부에 장착된 실린더(10)(11)를 동작시켜 상승되었던 인입측 하부 롤러(3b)가 하강이동되도록 함과 아울러 하강되었던 인출측 상부 롤러(4a)가 상승되도록 하여(도면중 점선으로 도시된 상태)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도록 함으로써 와이어 로드를 디스케일러상에 장착하는 작업이 완료된다.
이와같이 와이어 로드의 장착이 완료된 다음에는 인출드럼 등을 구동시켜 와이어 로드의 연속적인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함에 의해 와이어 로드의 이동간에 각 롤러(3a)(3b)(4a)(4b)의 외주면과의 접촉 마찰 및 비틀림을 통해서 스케일의 제거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같이, 본 고안의 와이어 로드 디스케일러는 상하 수직위치를 달리하여 각기 다른 케이싱면상에 설치된 한쌍의 인입측 롤러와 인출측 롤러중 어느 한 롤러가 다른 롤러의 위치까지 승강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와이어 로드를 디스케일러의 각 롤러상에 장착할 때 전체 롤러의 위치가 대략 동일한 높이가 유지되도록 한 상태에서 장착할 수 있음에 따라 종래 디스케일러에서 와이러 로드를 좁은 공간에서 여러번에 걸쳐 굴곡시켜가면서 롤러상에 장착하는 데 따르는 어려움이 없이 손쉽게 와이어 로드의 장착을 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1)

  1. 사각통형의 서로 인접하는 케이싱(2) 내벽 각각에 수직위치를 달리하는 인입측 상,하부 롤러(3a)(3b)와 인출측 상,하부 롤러(4a)(4b)가 장착되어 구성된 와이어 로드 디스케일러에 있어서, 인입측 하부 롤러(3b)의 케이싱 외측으로 연장된 롤러 중심축(3ba)을 케이싱의 외부에 장착된 실린더(10)의 구동에 의해 승강구동되는 실린더 로드(10a)의 단부에 결합하고, 인출측 상부 롤러(4a)의 케이싱 외측으로 연장된 롤러 중심측(4aa)을 케이싱의 외부에 장착된 실린더(11)의 구동에 의해 승강되는 실린더 로드(11a)의 단부에 결합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로드 디스케일러.
KR2019990024388U 1999-11-09 1999-11-09 와이어 로드 디스케일러 KR2001805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4388U KR200180510Y1 (ko) 1999-11-09 1999-11-09 와이어 로드 디스케일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4388U KR200180510Y1 (ko) 1999-11-09 1999-11-09 와이어 로드 디스케일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0510Y1 true KR200180510Y1 (ko) 2000-05-01

Family

ID=19595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4388U KR200180510Y1 (ko) 1999-11-09 1999-11-09 와이어 로드 디스케일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051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3480B1 (ko) * 2012-03-22 2013-12-19 주식회사 우남산업 선재 산화막 박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3480B1 (ko) * 2012-03-22 2013-12-19 주식회사 우남산업 선재 산화막 박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7896552U (zh) 一种钢绞线收卷装置
KR100878464B1 (ko) 고온의 금속으로 이루어진 열연 예비 스트립의 권취 및권출 장치
KR200180510Y1 (ko) 와이어 로드 디스케일러
CN205645406U (zh) 一种电缆卷绕前滑石粉敷设装置
CN106185457B (zh) 一种线材卷绕装置
KR100396295B1 (ko) 하치식 권취기
CN112978490B (zh) 一种胎圈钢丝废丝捆绕装置
CN211330799U (zh) 一种用于矫直机的导入辊装置
CN109663826B (zh) 一种超薄管在线热处理拉拔设备
CN215845407U (zh) 一种建筑用钢丝的拉直机构
US4009869A (en) Apparatus for treatment of rolled wire
KR100347151B1 (ko) 압연기의 이형선재 가이딩장치
CN215625854U (zh) 一种线材快速打卷头
CN211169227U (zh) 一种高稳定性高成材率弹簧钢丝放线装置
CN115283477B (zh) 热轧钢盘条生产流水线的收卷换卷设备
KR20010046204A (ko) 선재 권취용 가이드장치
US2755033A (en) Vertical drum-type coil feeding reel
CN220033645U (zh) 一种不锈钢丝层绕排列装置
CN217780212U (zh) 一种钢带开卷机构
CN215402393U (zh) 一种建筑塔吊小车用自动收放线装置
CN216996961U (zh) 一种铜管生产线
CN220635933U (zh) 一种空调连接管伺服盘管装置
CN220426324U (zh) 一种钢丝绳拉拔装置
KR200209674Y1 (ko) 열연코일의 테일 엔드 권취장치
CN219195071U (zh) 一种厚壁铝合金管时效热处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228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