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0164Y1 - 교통 표시판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교통 표시판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0164Y1
KR200180164Y1 KR2019990027213U KR19990027213U KR200180164Y1 KR 200180164 Y1 KR200180164 Y1 KR 200180164Y1 KR 2019990027213 U KR2019990027213 U KR 2019990027213U KR 19990027213 U KR19990027213 U KR 19990027213U KR 200180164 Y1 KR200180164 Y1 KR 2001801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fixing plate
crossbar
pontoon
close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72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창식
Original Assignee
신창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창식 filed Critical 신창식
Priority to KR20199900272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016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01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0164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5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 E01F9/673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for holding sign posts or the like
    • E01F9/681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for holding sign posts or the like the sign posts being fastened by removable means, e.g. screws or bo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교통 표시판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도로의 위치 및 상황을 운전자 및 보행자가 식별하여 판단하는 교통 표시판(70)을 도로의 일측 상부 소정의 높이로 설치할 수 있도록, 소정의 폭과 크기를 갖고 지면으로 부터 상부방향으로 직립되게 설치되며, 몸체 상부로는 끼움홈(11)이 구비되는 철주(10)와, 상기 철주(10)의 끼움홈(11)에 삽입되어 철주(10)의 일측 횡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고 설치되는 가로대(20)와, 상기 가로대(20)의 일측 단부에 설치되어 가로대(20)의 단부가 돌출되게 몸체 중앙부에는 철주(10)와 밀착될 수 있도록, 반원형의 안착부(50)가 구비되며, 상기 안착부(50)의 양측으로는 고정부(55)가 구비되는 제 1 고정판(30)과, 상기 제 1 고정판(30)의 설치되는 철주(10)의 후측에 위치되며, 몸체 중앙부에는 철주(10)와 밀착될 수 있도록, 반원형의 안착부(50)가 구비되며, 상기 안착부(50)의 양측으로는 고정부(55)가 형성되는 제 2 고정판(40)과, 상기 제 1 고정판(30)와 제 2 고정판(40)의 양측부에 형성되는 고정부(55)를 상호 밀착시킨 후 제 1,2 고정판(30)(40)을 고정시키는 체결부재(60)로 구성되므로, 체결작업성 및 가로대의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품성 및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Description

교통 표시판 설치구조 {Structure for fixing a traffic sign}
본 고안은 교통 표시판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교통 표시판을 설치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철주와 가로대를 고정을 스플릿 머프 이음 방식으로 고정시켜, 체결작업성 및 가로대의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통 표시판은 도로의 위치 및 상황을 운전자 및 보행자가 식별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교통 표시판을 설치하는 방식으로는 철주의 일측으로 가로대를 고정시킨 후 가로대에 교통 표시판을 부착시키는 방식을 이용하고 있다.
그리고,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교통 표시판 설치구조는 소정의 폭과 크기를 갖고 지면으로 부터 상부방향으로 직립되게 설치되며, 몸체 상부로는 끼움홈이 형성되는 철주와, 상기 철주의 끼움홈에 삽입되며, 몸체 전면으로는 플랜지부 구비된 연결구와, 상기 연결구의 플랜지부와 고정될 수 있도록, 몸체 일측으로는 플랜지부가 형성된 가로대를 상호 고정시켜 가로대의 후측에서 교통 표시판을 밴드형식 및 걸림고리방식 등과 같은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교통 표시판을 고정시켜 사용하고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철주와 가로대를 플랜지타입으로 고정시키는 이유는 철주에 삽입 고정되는 연결관이 철주에 작용하는 가로대의 하중과 모멘트를 연결과 주변으로 분산시킴으로써, 철주에서 응력이 국부적으로 집중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철주에 가로대를 고정시키면, 철주의 가로대에 대한 허용 지지력이 놓아져 가로대를 좀더 강하게 지지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철주의 일측방향으로 설치되는 가로대를 철주에 대하여 상,하로 설치한 후 각각의 가로대에 별도의 지지대를 용접고정한 후 교통 표시판을 장착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교통 표시판은 운전자가 중행중에도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도로 위쪽 소정의 높이로 설정하여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종래 교통 표시판 설치구조는 철주로 가해지는 응력 집중 현상은 어느정도 완화할 수는 있었는데 반하여 상대적으로 큰 굽힘모멘트가 작용하는 플렌지 이음부 상단부에서 응력이 집중되는 현상은 피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응력이 집중되는 플렌지 상단 용접부 또는 볼트가 파손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그리고, 용접부 또는 볼트의 파손은 가로대의 지지력 약화를 초래하며 이는 가로대의 낙하로 이어져 대형 교통사고를 초래할 위험성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철주의 상부에 가로대를 다단으로 설치한 후 교통 표시판을 설치하는 과정에서 가로대의 사이에 설치되는 지지대를 용접에 의해 고정시켜 사용하므로, 도로여견의 변화나 부득이 하게 교통 표시판 설치구조를 이동해야 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그 해체작업이 난해하여 작업능률이 저하되는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교통 표시판을 설치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철주와 가로대를 고정을 스플릿 머프 이음 방식으로 고정시켜, 체결작업성 및 가로대의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교통 표시판 설치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철주와 가로대 및 가로대 사이에 장착되는 지지대의 탈부착이 용이하여, 이동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교통 표시판 설치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제품의 상품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교통 표시판 설치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인 교통 표시판 설치구조가 도로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2는 본 고안 교통 표시판 설치구조의 구성을 도시한 요부 확대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교통 표시판 설치구조의 요부 확대 평면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철주 11 - 끼움홈
20 - 가로대 25 - 보강리브
30 - 제 1 고정판 31 - 이동홈
40 - 제 2 고정판 50 - 안착부
55 - 고정부 60 - 체결부재
70 - 교통 표시판 80 - 지지수단
81 - 브라켓트 82 - 지지대
83 - 체결수단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도로의 위치 및 상황을 운전자 및 보행자가 식별하여 판단하는 교통 표시판(70)을 도로의 일측 상부 소정의 높이로 설치할 수 있도록, 소정의 폭과 크기를 갖고 지면으로 부터 상부방향으로 직립되게 설치되며, 몸체 상부로는 끼움홈(11)이 구비되는 철주(10)와;
상기 철주(10)의 끼움홈(11)에 삽입되어 철주(10)의 일측 횡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고 설치되는 가로대(20)와;
상기 가로대(20)의 일측 단부에 설치되어 가로대(20)의 단부가 돌출되게 몸체 중앙부에는 철주(10)와 밀착될 수 있도록, 반원형의 안착부(50)가 구비되며, 상기 안착부(50)의 양측으로는 고정부(55)가 구비되는 제 1 고정판(30)과;
상기 제 1 고정판(30)의 설치되는 철주(10)의 후측에 위치되며, 몸체 중앙부에는 철주(10)와 밀착될 수 있도록, 반원형의 안착부(50)가 구비되며, 상기 안착부(50)의 양측으로는 고정부(55)가 형성되는 제 2 고정판(40)과;
상기 제 1 고정판(30)와 제 2 고정판(40)의 양측부에 형성되는 고정부(55)를 상호 밀착시킨 후 제 1,2 고정판(30)(40)을 고정시키는 체결부재(60)로 구성되어 달성된다.
따라서, 본 고안인 교통 표시판 설치구조는 교통 표시판(70)을 장착하기 위하여 형성되는 철주(10)와 가로대(20)의 결합을 스플릿 머프 이음 방식으로 고정시켜 사용하므로, 체결작업성 및 가로대의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품성 및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인 교통 표시판 설치구조가 도로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 교통 표시판 설치구조의 구성을 도시한 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 교통 표시판 설치구조를 요부 확대 평면도로 도시하고 있다.
즉, 도 1 ∼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교통 표시판 설치구조의 철주(10)는 소정의 폭과 크기를 갖고 지면으로 부터 상부방향으로 직립되게 설치되며, 몸체 상부로는 끼움홈(11)이 구비된다.
상기 철주(10)의 상부 일측에 형성되는 끼움홈(11)은 교통 표시판(70)의 설치방식에 따라 단수 또는 복수개로 설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는, 교통 표시판(70)의 설치방식이 가로대(20)의 하측에 고정수단으로 걸림고리를 이용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철주(10)의 끼움홈(11)을 단수개 형성하여 사용할 수 있고, 교통 표시판(70)의 설치방식이 가로대(20)를 상,하로 설치하여 사용하는 방식에 있어서는 단수가 아닌 복수개로 설정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철주(10)의 끼움홈(11)에는 철주(10)의 일측 횡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고 설치되는 가로대(2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가로대(20)는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철주(10)의 상부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하로 가로대(20)가 설치되는 경우에 있어서는 각각의 가로대(20) 사이에 지지수단(80)을 형성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가로대 지지수단(80)으로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가로대(20)의 하부와 상면에 브라켓트(81)를 형성한 후, 지지대(82)를 볼트등과 같은 체결수단(83)으로 고정시켜 사용하는 것이다.
즉, 상기 가로대 지지수단(80)이 볼트등과 같은 체결수단(83)으로 고정시켜 가로대(20)의 지지력을 강화시킬 수 있으므로, 도로 여건 및 부득이 하게 교통 표시판 설치구조를 이동할 경우에 용이하게 탈거시켜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철주(10)와 가로대(20) 그리고, 지지수단(80)을 용이하게 조립 및 분해시킬 수 있으므로,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철주(10)에 가로대(20)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가로대(20)의 일측단부에는 몸체 중앙부에 철주(10)와 밀착될 수 있도록, 반원형의 안착부(50)가 구비되며, 상기 안착부(50)의 양측으로는 고정부(55)가 구비되는 제 1 고정판(30)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고정판(30)은 몸체 중앙 안착부(50)에 가로대(20)의 단부가 관통될 수 있도록, 이동홈(31)이 형성되어 있어 가로대(20)의 단부가 외측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된다.
즉, 이는 철주(10)의 끼움홈(11)에 가로대(20)를 삽입 고정시킬 수 있도록, 제 1 고정판(30)의 안착부(50) 중앙부에는 이동홈(31)이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1 고정판(30)의 후측으로는 가로대(20)의 하중에 의한 제 1 고정판(30)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수개의 보강리브(25)를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그리고, 상기 제 1 고정판(30)의 안착부(50) 양측으로는 고정부(55)가 플랜지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고정판(30)은 철주(10)의 몸체에 밀착지지될 수 있도록, 안착부(50)가 반원형으로 형성되어, 가로대(20)를 철주(10)에 밀착지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 1 고정판(30)의 후측으로는 가로대(20)를 최종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몸체 중앙부에는 철주(10)와 밀착될 수 있도록, 반원형의 안착부(50)가 구비되며, 상기 안착부(50)의 양측으로는 고정부(55)이 형성되는 제 2 고정판(40)이 설치된다.
그러므로, 상기 제 1 고정판(30)과 제 2 고정판(40)은 철주(10)를 중심으로 반원형의 형상을 갖고 철주(10)를 감싸는 방식으로 상호 고정되어 가로대(20)를 철주(10)에 고정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제 1 고정판(30)과 제 2 고정판(40)의 결합은 체결용이성 및 이동시 작업성 향상을 위하여 볼트등과 같은 체결부재(60)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따라서, 본 고안인 교통 표시판 설치구조는 철주(10)에 가로대(20)를 설치한 후 철주(10)의 외측에서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된 제 1,2 고정판(30)(40)을 이용하여 가로대(20)를 철주(10)에 고정시켜 사용하므로, 가로대(20)의 지지력 향상 및 이동 및 분해 작업시에도 작업능률을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하면, 종래 교통 표시판 설치구조에 비해 가로대(20)에 대한 지지력 및 견고성을 향상시켜, 유지 보수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다.
그리고, 철주(10)에 고정되는 가로대(20)와 가로대(20)를 종방향으로 지지하는 지지수단(80)의 체결작업이 용이하여, 이동시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상품성 및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2)

  1. 도로의 위치 및 상황을 운전자 및 보행자가 식별하여 판단하는 교통 표시판(70)을 도로의 일측 상부 소정의 높이로 설치할 수 있도록, 소정의 폭과 크기를 갖고 지면으로 부터 상부방향으로 직립되게 설치되며, 몸체 상부로는 끼움홈(11)이 구비되는 철주(10)와;
    상기 철주(10)의 끼움홈(11)에 삽입되어 철주(10)의 일측 횡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고 설치되는 가로대(20)와;
    상기 가로대(20)의 일측 단부에 설치되어 가로대(20)의 단부가 돌출되게 몸체 중앙부에는 철주(10)와 밀착될 수 있도록, 반원형의 안착부(50)가 구비되며, 상기 안착부(50)의 양측으로는 고정부(55)가 구비되는 제 1 고정판(30)과;
    상기 제 1 고정판(30)의 설치되는 철주(10)의 후측에 위치되며, 몸체 중앙부에는 철주(10)와 밀착될 수 있도록, 반원형의 안착부(50)가 구비되며, 상기 안착부(50)의 양측으로는 고정부(55)가 형성되는 제 2 고정판(40)과;
    상기 제 1 고정판(30)와 제 2 고정판(40)의 양측부에 형성되는 고정부(55)를 상호 밀착시킨 후 제 1,2 고정판(30)(40)을 고정시키는 체결부재(6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표시판 설치구조.
  2. 청구항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철주(10)에 가로대(20)가 소정의 간격을 갖고 상,하로 설치되는 경우 가로대(20)의 지지수단(80)으로는 상부 가로대(20)의 저면과 하부 가로대(20)의 상면에는 브라켓트(81)를 형성하고, 지지대(82)를 체결수단(83)으로 고정시켜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표시판 설치구조.
KR2019990027213U 1999-12-06 1999-12-06 교통 표시판 설치구조 KR2001801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7213U KR200180164Y1 (ko) 1999-12-06 1999-12-06 교통 표시판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7213U KR200180164Y1 (ko) 1999-12-06 1999-12-06 교통 표시판 설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0164Y1 true KR200180164Y1 (ko) 2000-04-15

Family

ID=195998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7213U KR200180164Y1 (ko) 1999-12-06 1999-12-06 교통 표시판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016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2654B1 (ko) 2014-03-04 2014-07-24 (주)다빈메이저 표지판 구조물의 구조
KR101934559B1 (ko) * 2018-04-18 2019-01-03 이민철 원터치 밴드형 델리네이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2654B1 (ko) 2014-03-04 2014-07-24 (주)다빈메이저 표지판 구조물의 구조
KR101934559B1 (ko) * 2018-04-18 2019-01-03 이민철 원터치 밴드형 델리네이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3785B1 (ko) 랙 구조물용 로드빔
KR200180164Y1 (ko) 교통 표시판 설치구조
EP1233901B2 (en) Connection arrangement comprising a fifth wheel
CN201892005U (zh) 应答器的安装支架和应答器安装组件
KR101050527B1 (ko) 도로표지판의 조립구조
KR101909674B1 (ko) 무용접 조립식 도로 안내 표지판 및 이의 시공 방법
KR20190132709A (ko) 볼트체결조립식 평탄 도로표지판
KR200184757Y1 (ko) 교통 표시구 설치구조
KR200172600Y1 (ko) 차량 신호등용 고정구조물
KR200278471Y1 (ko) 도로표지판의 지주대
CN220645514U (zh) 一种围挡结构
CN214565130U (zh) 一种固定及支撑前保险杠的结构
KR100398437B1 (ko) 자동차의 라디에이터 지지용 브라켓 장착구조
JP5302028B2 (ja) 防護柵
JPH09254824A (ja) クロスメンバ
KR100496695B1 (ko) 카오디오의 마운팅 구조
KR200236356Y1 (ko) 베어 섀시형 차량의 변형 방지 구조
CN211308860U (zh) 一种摩托车的电机安装结构
KR100275819B1 (ko) 자동차 운반용 구조물
JP3921686B2 (ja) 組立式ラック
JP4108526B2 (ja) 道路用標識
KR200172243Y1 (ko) 자전거 주차대
KR200371078Y1 (ko) 지하철용 안전펜스
JP4569834B2 (ja) 組立式ラック
JP4518606B2 (ja) 組立式陳列什器におけるフレーム連結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21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