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0405Y1 - 조립식 안전 펜스 - Google Patents

조립식 안전 펜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0405Y1
KR200420405Y1 KR2020060009552U KR20060009552U KR200420405Y1 KR 200420405 Y1 KR200420405 Y1 KR 200420405Y1 KR 2020060009552 U KR2020060009552 U KR 2020060009552U KR 20060009552 U KR20060009552 U KR 20060009552U KR 200420405 Y1 KR200420405 Y1 KR 2004204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unit
beams
safety fence
vertical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95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빈
Original Assignee
이종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빈 filed Critical 이종빈
Priority to KR20200600095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040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04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040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2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free-standing; portable, e.g. for guarding open manholes ; Portable signs or signa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 portable barri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20Posts therefo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05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cluding pedestrian guidance indicat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람이나 차량이 통행하는 도로 등에서 공사를 할 경우 주변을 통행하는 차량 및 보행자에게 이를 인식시키고 위험구역으로의 진입을 차단하는 조립식 안전펜스로서,
수평부와 수평부의 양측에서 각각 수직 하방을 향하도록 굽힘 성형을 통해 형성된 한 쌍의 조립용 삽입부를 구비하는 상부빔과, 상기 상부빔의 수평부와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대적으로 짧은 하부빔과, 상부빔과 하부빔을 연결하는 한 쌍의 세로빔과, 상기 세로빔 내측으로 설치되어 상부빔과 하부빔을 연결하며 표시부가 설치되는 한 쌍의 고정빔으로 이루어지는 표시부 프레임과;
상기 표시부 프레임의 고정빔에 그 양단부가 각각 고정 설치되는 표시부와;
수평지지부와, 상기 수평지지부에 수직 형성된 수직빔과, 및 수직빔의 소정 높이에서 수직빔의 양측방에 설치되어 상기 표시부 프레임의 조립용 삽입부를 수용하는 한 쌍의 수용부재로 이루어지는 지지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조립식 안전펜스에 관한 것으로,
조립과 분해를 반복적으로 실시함에 따른 연결부위의 파손을 최소화하고, 다수의 표시부가 고정 설치된 표시부 프레임과 다수의 지지대를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안전 펜스를 설치하는 경우에 인접하는 표시부 프레임 간에 다양한 각도를 갖도록 배치할 수 있으며, 표시부 프레임에 설치되는 표시부가 안정적이고 정돈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표시부 프레임, 표시부, 상부빔, 조립용 삽입부, 지지대, 조립용 수용부재

Description

조립식 안전 펜스{Fabricated Safety Fenc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안전 펜스의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안전 펜스를 사용한 일 예를 도시한 평면적 개념도이다.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안전 펜스의 다른 일 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안전 펜스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A-A선에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안전 펜스의 설치형태를 도시한 평면적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표시부 프레임과 표시부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에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안전 펜스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안전 펜스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8의 B-B선에 따르는 단면도로서, 고정빔과 세로빔의 단면이 사각형으로 형성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안전 펜스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안전 펜스의 설치형태를 도시한 평면적 개념도이다.
도 13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안전 펜스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표시부 프레임 110: 표시부
120: 상부빔 121: 수평부
123: 조립용 삽입부 125: 세로빔
130: 하부빔 135: 고정빔
140: 보강빔 145: 나사못
150: 고정 클립 200: 지지대
210: 곡선보강빔 213: 중앙부
215: 측면부 220: 수평지지부
230: 수직빔 240: 조립용 수용부재
본 고안은 사람이나 차량이 통행하는 도로 등에서 공사를 할 경우 주변을 통 행하는 차량 및 보행자에게 이를 인식시키고 위험구역으로의 진입을 차단하며 안전한 통행방향을 안내해 줄 용도로 사용되는 안전 펜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표시부 프레임과, 상기 표시부 프레임에 고정 설치되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 프레임의 양단부와 각각 연결되어 표시부 프레임을 지지하는 지지대로 이루어지는 조립식 안전 펜스에 있어서, 조립과 분해를 반복적으로 실시함에 따른 연결부위의 파손을 최소화하고, 다수의 표시부 프레임과 다수의 지지대를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안전펜스를 설치하는 경우에 인접하는 표시부 프레임 간에 다양한 각도를 갖도록 배치할 수 있으며, 표시부 프레임에 구비되는 직물지 형태의 표시부를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조립식 안전 펜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전 펜스는 도로상의 공사현장이나 각종 건물이나 시설을 건설하는 공사현장 등에서 위험요소가 상존하는 구역을 주변의 안전구역과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서, 주변을 통행하는 차량이나 사람에게 공사중인 사실을 인식시킴은 물론 위험한 공간으로의 접근을 차단하고 안전한 통행방향을 안내함으로써 공사현장 주변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안전사고의 발생을 사전에 방지하고자 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안전 펜스의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안전 펜스를 사용한 일 예를 도시한 평면적 개념도이다.
종래기술에 따른 기본적 형태의 일 예로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안전 펜스(10)는 주로 용접을 통해 구성 요소간의 결합이 이루어지며, 크게 안전표지나 안전관련 경고문구를 포함하며 공간을 양분하는 벽이 되는 수직표시부와, 이 수직표시부가 지면에 수직의 상태로 서 있을 수 있도록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프레임(30)으로 구성된다. 수직표시부는 중앙에 소정 길이의 수평부(11)와 양측에 상호 평행한 한 쌍의 측면수직부(13)로 구분되는 주 프레임(20)과, 수평으로 배치되어 한 쌍의 측면수직부(13)를 상호 연결하도록 용접 결합되는 다수의 수평보강빔(17)과, 이 수평보강빔(17)의 일측면을 이용하여 용접 등의 결합 방법으로 결합되는 안전 표지 또는 경고 문구를 구비한 금속재의 표시판(19)과, 주 프레임(20) 상부의 수평부(11)와 두 측면수직부(13) 및 최상부에 위치한 수평보강빔(17)으로 둘러싸이는 공간에 결합되는 철망(21) 등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주 프레임(20)의 각 측면수직부(13)의 하단에 주 프레임(20)의 수평부(11)와 평면도 상에서 수직을 이룸과 동시에 측면수직부(13)와 수직을 이루도록 한 쌍의 지지프레임(30)을 수평으로 용접하여 결합하게 된다. 더불어 경사진 형태로 배치된 상태에서 양단부가 각각 지지프레임(30)과 주 프레임(20)의 측면수직부(13)에 용접으로 결합되어 안전 펜스를 구조적으로 보강하는 경사보강프레임(35)을 구비한 형태로 제공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안전 펜스(10)는 공사현장 등에서 단독으로 사용되기보다는 일반적으로 다수의 안전 펜스를 연속적으로 배치하여 일정한 구역을 주변구역과 구분하는 방식으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안정적이고도 정돈된 형태로 설치하기 위하여 다수의 안전 펜스를 연속적으로 배치한 상태에서 인접하게 되는 안전 펜스 간에는 굵은 철사 등으로 묶는 방식으로 일체성을 같도록 하는데, 설치시 이러한 작업 을 필요로 함에 따라 많은 인력을 요구하게 되며 철거시에도 마찬가지로 많은 인력을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수직표시부와 지지프레임(20)이 서로 직각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형태적으로 입체성을 갖게 되고 따라서 창고 등에 보관할 경우에 많은 공간을 필요로 하게 되며 운반시 많은 수의 안전 펜스를 차량에 적재하기에 다소 불리한 등의 문제점이 있으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곡선 형태로 설치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인접한 안전 펜스가 일직선이 아닌 임의의 일정한 각도를 갖도록 배치하게 되면 각 안전 펜스의 지지프레임(30)이 상호 간섭되는 문제가 있고 따라서 인접한 두 안전 펜스 사이에 틈이 발생할 수밖에 없어 굵은 철사 등으로 묶더라도 다소 불안정한 상태로 설치할 수밖에 없는 등의 문제점이 있는 실정이다.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안전 펜스의 다른 일 예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안전 펜스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3의 안전 펜스의 설치 형태를 도시한 평면적 개념도이다.
종래기술에 따른 개선된 형태의 다른 일 예로서,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은 안전 펜스는 기본적으로 공간을 양분하는 벽이 되는 수직표시부(50)와, 이 수직표시부(50)의 양단부와 각각 연결되어 수직표시부(50)를 지면에 수직의 상태로 서 있을 수 있도록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대(80)가 각각 독립적으로 구비되고, 공사현장 등에서 안전 펜스로 사용시 수직표시부(50)와 지지대(80)를 현장에서 간편하게 조립함으로써 설치할 수 있는 조립식으로 이루어진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수직표시부(50)는 단면이 사각형인 파이프로 이루어지는 표시부 프레임과 표시시트(70)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표시부 프레임 은 소정길이를 갖는 수평의 상부빔(51)과, 상부빔(51)과 상호 평행하게 수평으로 배치되며 상대적으로 소정의 길이 만큼 짧은 하부빔(53)과, 상부빔(51)과 하부빔(53)의 중심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하부빔(53)의 양 단부 및 상부빔(51)의 대응하는 부분과 수직으로 각각 결합하여 하부빔(53)과 상부빔(51)을 소정의 상하간격을 갖도록 연결하는 한 쌍의 측면빔(55)과, 이 한 쌍의 측면빔(55) 각각의 내측으로 소정의 간격을 갖는 위치에서 수직으로 상부빔(51)과 하부빔(53)을 연결하며 전후방향으로 관통하는 다수의 볼트 관통공을 구비하는 한 쌍의 표시시트 고정빔(57), 및 길이 차에 따라 측면빔(55) 외측으로 돌출하는 상단빔(51)의 양단부에서 수직 하방으로 연장되는 조립용 삽입부재(60)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용도에 따라 표시부 프레임의 길이가 길어질 경우 상기 한 쌍의 표시시트 고정빔(57) 사이에 소정의 간격으로 상부빔(51)과 하부빔(53)을 수직으로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보강빔(61)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표시시트(70)는 상부빔(51)과 하부빔(53) 사이의 간격에 대응하는 상하폭과 한 쌍의 표시시트 고정빔(57) 사이의 간격에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되며 '안전 제일' 등과 같은 표시 문구가 표시된 직사각형의 직물지 형태로 제공되는 것으로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부 프레임을 구성하는 한 쌍의 표시시트 고정빔(57)에 그 양단부가 다수의 볼트(63) 및 너트(65)를 사용하여 각각 고정된다.
또한, 상기 지지대(80)는 역시 단면이 사각형인 파이프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소정 길이의 사각형 파이프를 중심부의 소정 부분이 완만한 곡선을 이루고 좌우대칭이 되며 양단부가 하방을 향하도록 굽힘 성형한 곡선형빔(81)과, 서로 마주 보는 곡선형빔(81) 양단부 내측면의 소정 높이의 위치를 연결하는 수평보강빔(83)과, 곡선형빔(81)의 중심부 저면과 수평보강빔(83)의 중심부 상면을 연결하는 수직보강빔(85), 및 수직보강빔(85) 양측면의 소정 높이의 위치에 수직보강빔(85)과 평행하게 수직으로 결합되는 한 쌍의 조립용 수용부재(9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조립용 수용부재(90)는 곡선형빔(81)과 수직보강빔(85) 및 수평보강빔(83)이 형성하는 동일한 수직의 평면에서 양측방으로 돌출하는 형태가 되며, 조립용 수용부재(90)는 내부에 삽입될 조립용 삽입부재(60)의 단면 형상 및 크기에 대응하는 규격을 구비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이상과 같은 조립식 안전 펜스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지지대(80)를 적당한 간격으로 유지하도록 서로 평행하게 세우고, 수직표시부(50)의 양측단에 각각 구비된 조립용 삽입부재(60)를 각 지지대(80)에 구비된 조립용 수용부재(90)에 삽입함으로써 간단하게 기본단위의 안전 펜스로 설치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연속적인 형태로 설치하는 경우에는, 하나의 지지대(80)가 양측에 한 쌍의 조립용 수용부재(90)를 구비함에 따라 인접하는 두 개의 수직표시부(50)가 하나의 지지대(80)를 공유하는 형태로 설치할 수 있으며, 따라서 (N)개의 수직표시부(50)와 (N+1)개의 지지대(80)를 사용하여 일정한 구역을 주변 구역과 구분하는 안전 펜스를 설치하게 된다.
이와 같은 조립식 안전 펜스는, 상기한 바와 같은 기본적 형태의 안전 펜스와는 달리, 설치시 인접하는 안전 펜스를 철사 등으로 묶는 등의 별도의 작업을 하지 않더라도 안정적이고 정돈된 상태로 설치할 수 있으며, 조립 및 분해가 매우 간 단하여 설치 및 철거에 많은 인력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조립되기 전의 상태에서 수직표시부(50)나 지지대(80)는 소정의 두께를 구비하지만 기본적으로 평면적인 형태를 구비함에 따라 보관시에 공간적인 효율성이 증가하며 운반시에 적재가 용이하여 같은 차량에 더 많은 양을 적재하여 운반할 수 있는 등의 장점을 갖는다.
이상과 같은 다양한 장점을 구비함에도 불구하고,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은 조립식 안전 펜스는 표시부 프레임 및 지지대를 제작함에 있어서 각 결합부분을 용접을 통해 결합하게 되는 것으로서, 특히 상부빔(51)에 용접으로 결합되는 조립용 삽입부재(60)가 조립 및 분해시 지지대(80)에 구비되는 조립용 수용부재(90)와 정확하게 평행을 유지한 상태에서 조립용 수용부재(90) 내부를 출입하지 아니하는 한, 조립용 삽입부재(60)의 용접부위에 모멘트와 같은 외력이 작용하게 되고, 이와 같은 외력의 작용은 용접부위의 결합강도를 현저히 감소시키게 되며, 설치와 철거를 반복적으로 수행함에 따라 결국 쉽게 파손되어 상부빔(51)으로부터 분리되는 등 내구성에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조립식 안전 펜스는, 조립용 삽입부재(60) 및 그와 대응하는 조립식 수용부재(90)의 단면형상이 모두 사각형임에 따라 인접하는 두 수직 표시부가 임의의 일정한 각도를 갖도록 설치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지 일직선의 형태 또는 직각의 형태로만 설치할 수밖에 없어 설치현장에서 곡선 형태로 설치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적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더불어, 표시시트(70)를 표시시트 고정빔(57)에 고정함에 있어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물지 형태의 표시시트(70) 양단부를 각 표시시트 고정빔(57)에 다수의 볼트(63)와 너트(65)로 고정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고정 방식은 표시시트에 작용하는 장력과 같은 힘이 특정부분에 집중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음에 따라 결과적으로 표시시트(70)가 부분적으로 쉽게 찢어질 수 있으며, 외관적으로 표시시트의 양단부가 깔끔하게 정돈되지 못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고안한 것으로서, 설치와 철거시 조립과 분해를 반복하는 과정에서 특정 부위에 외력이 집중되더라도 부분적인 파손이 발생할 염려가 없으며, 각각 독립적으로 구비되는 표시부가 고정 설치되는 다수의 표시부 프레임과 다수의 지지대를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안전펜스를 설치하는 경우에 인접하는 표시부 프레임 간에 다양한 각도를 유지하도록 배치할 수 있으며, 표시부 프레임에 구비되는 직물지 형태의 표시부가 안정적이면서도 정돈된 형태로 고정되는 조립식 안전 펜스를 제공하려는데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르는 조립식 안전 펜스는 표시부 프레임과, 상기 표시부 프레임에 고정 설치되는 표시부와, 표시부 프레임의 양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대로 이루어지며,
상기 표시부 프레임은 수평부와 수평부의 양측에서 각각 수직 하방을 향하도 록 굽힘 성형을 통해 형성된 한 쌍의 조립용 삽입부를 구비하는 상부빔과, 상기 상부빔의 수평부와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대적으로 짧은 하부빔과, 상부빔과 하부빔을 연결하는 한 쌍의 세로빔과, 상기 세로빔 내측으로 설치되어 상부빔과 하부빔을 연결하여 표시부가 설치되는 한 쌍의 고정빔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표시부는 상기 표시부 프레임의 고정빔에 그 양단부가 각각 고정 설치되며;
상기 지지대는 수평지지부와, 상기 수평지지부에 수직 형성된 수직빔과, 및 수직빔의 소정 높이에서 수직빔의 양측방에 설치되어 상기 표시부 프레임의 조립용 삽입부를 수용하는 한 쌍의 수용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빔에 고정 설치되는 표시부는 각각 둘 이상의 나사못과 후면방향에서 체결되어 압착하는 각각 둘 이상의 고정 클립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에 있어서 상기 조립용 삽입부와 수용부재의 단면은 사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조립용 삽입부 또는 수용부재 중 어느 일측의 단면은 사각형으로 형성되고, 나머지 일측의 단면은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수직빔 양측방에 설치되는 수용부재 중 어느 일측의 단면은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표시부가 고정 설치된 표시부 프레임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에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안전 펜스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8의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안전 펜스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8의 B-B선에 따르는 단면도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로서, 도 7 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간을 양분하는 벽이 되는 것으로서 뼈대 역할을 수행하는 표시부 프레임(100)과, '안전 제일' 등과 같은 경고 문구를 표시한 표시부(110)와, 이 표시부 프레임(100)의 양단부에 각각 조립될 경우 표시부 프레임(100)을 지면에 대하여 수직인 상태로 서 있을 수 있도록 지지하는 지지대(200)로 이루어지는 조립식 안전 펜스가 제공된다.
표시부 프레임(100)은 서로 평행하게 수평으로 배치되는 상부빔(120) 및 하부빔(130)과, 상부빔(120)과 하부빔(130)을 소정의 상하간격을 갖도록 수직으로 연결하는 한 쌍의 세로빔(125)과, 각 세로빔(125)의 내측으로 소정의 간격을 갖는 위치에서 역시 수직으로 상부빔(120)과 하부빔(130)을 연결하는 표시부 고정빔(135)을 포함한다. 상부빔(120)은 하부빔과 평행한 상태로 배치되는 중앙의 수평부(121)와 굽힘 성형을 통해 수평부(121)의 양측에서 각각 수직 하방을 향하는 한 쌍의 조립용 삽입부(123)를 구비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조립용 삽입부(123)는 수평부(121)의 양단 소정 길이 부분이 굽힘 성형되어 수평부(121)와 일체로 형성된다. 하부빔(130)은 단순한 직선형으로 상부빔(120)의 수평부(121)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게 되며, 따라서 상대적으로 상부빔(120)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된다. 한 쌍의 세로빔(125)은 상부빔(120)과 하부빔(130)의 중심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하부빔(130)의 양 단부 및 상부빔(120)의 대응하는 부분과 수직으로 각각 결합하여 하부빔(130)과 상부빔(120)을 소정의 상하 간격을 갖도록 연결한다. 표시부 프레임(100)을 구성하는 모든 부재는 용접을 통해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부빔(120) 뿐만 아니라 나머지의 부재들 역시 용접성을 감안했을 때 단면이 사각형인 파이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용도에 따라 표시부 프레임(100)을 이루는 표시부 프레임(100)의 길이가 길어질 경우 상기 한 쌍의 표시부 고정빔(135) 사이에 소정의 간격으로 상부빔(120)과 하부빔(130)을 수직으로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보강빔(140)을 더 포함한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은 표시부 프레임(100)에 표시부(110)가 고정 설치되는데, 표시부(110)는 상부빔(120)과 하부빔(130) 사이의 간격에 대응하는 상하폭과 한 쌍의 표시부 고정빔(135) 사이의 간격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는 직사각형의 직물지 형태로 구비되는 것으로서,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표시부(110)의 상하폭은 상부빔(120)과 하부빔(130) 사이의 간격보다 소정의 폭 만큼 작은 것이 바람직하고,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폭은 한 쌍의 표시부 고정빔(135)의 간격에 더하여 표시부(110)의 양단부가 표시부 고정빔(135)을 둘러싸는 형태로 접촉할 수 있을 정도의 여유분을 갖도록 구비된다. 이와 같은 표시부(110)는 그 양단부가 각각 둘 이상의 나사못(145)에 의해 1차적으로 고정되고, 둘 이상의 고정 클립(150)에 의해 2차적으로 고정됨으로써 표시부 고정빔(135)에 안정적이면서도 정돈된 형태로 고정된 다. 도 10을 참조하여 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면, 표시부(110)의 양단부를 각각 대응하는 표시부 고정빔(135)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복수의 나사못(145)을 전면방향에서 체결하여 1차적으로 고정하고, 소정의 상하폭을 갖는 복수의 'ㄷ'자형 고정 클립(150)을 후면방향에서 체결하여 후면 및 좌우면을 포함하는 3면을 압착하는 형태로 2차적으로 고정함으로써, 장력과 같은 힘이 국부적인 부분에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는 안정적이면서도 정돈된 형태로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지지대(200)는 수평으로 형성되는 수평지지부(220)와, 상기 수평지지부(220)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수직빔(230)과, 상기 수직빔(230)의 양측면에 고정 설치되어 조립용 삽입부(123)가 수용되는 조립용 수용부재(240)로 이루어진다.
지지대(200)는 이에 더하여 도 8, 도 9, 도 11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굽힘 성형을 통해 완만한 곡선을 이루는 중앙부(213)와 중앙부(213)의 양측에서 하방을 향하는 한 쌍의 측면부(215)를 구비하는 좌우 대칭의 곡선보강빔(210)을 더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지지부(220)의 양단에 측면부(215)를 연결하고, 상기 수직빔(230)의 자유단에 중앙부(213)를 연결함으로써 더욱 더 견고한 형태의 지지대(220)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곡선보강빔(210)의 중앙부(213)는 그 중심을 기준으로 좌우대칭인 형태로 굽힘 성형을 통해 소정의 길이에 해당하는 완만한 곡선형으로 형성되며, 중앙부(213)의 양단에서 각각 하방으로 연장되는 측면부(215)는 안정적인 지지를 감안하여 수직이 아닌 경사를 갖는 형태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 쌍의 조립용 수용부재(240)는 수직빔(230)과 평행함과 동시에 곡선 보강빔(210)과 수직빔(230) 및 수평지지부(220)가 형성하는 동일한 평면에서 양측방으로 돌출하는 형태로 결합되어 조립시 상기 수직표시부(100)의 조립용 삽입부(123)를 수용하게 된다.
상기에서 지지대(200)를 구성하는 각각의 부재 역시 용접성 등을 감안하여 단면이 사각형인 파이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조립시 표시부 프레임(100)의 조립용 삽입부(123)가 삽입되는 조립용 수용부재(240)는 단면이 사각형인 파이프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상부빔(120)의 조립용 삽입부(123)가 삽입가능하도록 동일한 단면형상을 갖되 상대적으로 큰 규격의 사각형 파이프로 구비된다.
도 11은 본 고안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안전 펜스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안전 펜스의 설치형태를 도시한 평면적 개념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일 실시 예로서,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대(200)에 구비되는 조립용 수용부재(240) 중 하나는 단면이 사각형인 파이프로 이루어지고, 다른 하나는 단면이 원형인 파이프로 이루어지는 조립식 안전 펜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3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안전 펜스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또 다른 일 실시 예로서,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대에 구비되는 조립용 수용부재(240)가 모두 단면이 원형인 파이프로 이루어지는 조 립식 안전 펜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조립식 안전 펜스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지지대(200)를 수직표시부의 좌우폭을 감안하여 적당한 간격으로 유지하도록 서로 평행하게 세우고, 표시부 프레임(100)의 양측단에 각각 구비된 조립용 삽입부(123)를 각 지지대(200)에 구비된 조립용 수용부재(240)에 삽입함으로써 간단하게 기본단위의 안전 펜스로 설치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연속적인 형태로 설치하는 경우에는, 하나의 지지대(200)가 양측에 한 쌍의 조립용 수용부재(240)를 구비함에 따라 인접하는 두 개의 표시부 프레임(100)이 하나의 지지대(200)를 공유하는 형태로 설치할 수 있으며, 따라서 (N)개의 수직표시부와 (N+1)개의 지지대를 사용하여 일정한 구역을 주변 구역과 구분하는 안전 펜스를 설치하게 된다.
조립식 안전 펜스를 설치함에 있어서, 연속되는 안전 펜스의 배치방식이 직선형태일 것을 요구하는 경우에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조립용 수용부재(240)가 모두 단면이 사각형인 파이프로 이루어지는 지지대(200)를 사용하여 조립식 안전 펜스를 설치하는 것이 설치상태의 안정성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그리고 인접하는 두 표시부 프레임(100)이 임의의 일정한 각도로 설치될 필요가 있거나 곡선구간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조립용 수용부재(240) 중 하나는 단면이 사각형인 파이프로 이루어지고 다른 하나는 단면이 원형인 파이프로 이루어지는 지지대(200)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접하는 두 수직표시부(100)가 요구되는 설치현장의 상황에 따라 0°내지 90° 범위 내에서 다양한 갖도록 설치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더불어, 설치상황에 따라 인접하는 두 수직표시부가 90°이상의 각도로 배치될 필요가 있는 등의 경우에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조립용 수용부재(240)가 모두 단면이 원형인 파이프로 이루어지는 지지대(200)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곡선구간을 포함한 형태로 설치함에 있어서, 일정한 공간을 둘러싸는 형태로 설치되어 시작과 끝이 일치하는 경우에는 (N)개의 수직표시부(100)와 역시 (N)개의 지지대(200)를 사용하여 일정한 구역을 주변 구역과 구분하는 안전 펜스를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안전 펜스를 제공함으로써, 조립 및 분해가 매우 간단하여 적은 인력으로도 설치 및 철거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조립되기 전의 상태에서 표시부 프레임과 지지대는 소정의 두께를 구비하지만 기본적으로 평면적인 형태를 구비함에 따라 보관시에 공간적인 효율성이 증가하며 운반시에 적재가 용이하여 같은 차량에 더 많은 양을 적재하여 운반할 수 있는 등의 종래기술에 따른 장점을 그대로 보유함과 더불어, 상부빔에 일체형으로 조립용 삽입부가 구비됨에 따라 조립 및 분해시 조립용 수용부재와의 간섭으로 조립용 삽입부에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파손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으며, 설치현장의 요구에 따라 적절한 형상 조합의 조립용 수용부재를 구비하는 지지대를 사용하여 직선구간뿐만 아니라 인접하는 두 표시부 프레임이 임의의 일정한 각도로 설치될 필요가 있는 경우 및 곡선구간에도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을 구비한다. 더불어, 나사못과 고정 클립을 사용하여 안정적으로 표시부를 고정함으로써, 장력이 국부적인 부분에 집중되어 표시부가 찢어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으며, 외관적으로 표시부의 양단부가 깔끔하게 정돈된 형태로 유지되는 장점을 구비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설계변경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5)

  1. 표시부 프레임과 상기 표시부 프레임에 고정 설치되는 표시부를 구비하는 수직표시부와, 표시부 프레임의 양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대로 이루어지는 조립식 안전 펜스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 프레임은 수평부와 수평부의 양측에서 각각 수직 하방을 향하도록 굽힘 성형을 통해 형성된 한 쌍의 조립용 삽입부를 구비하는 상부빔과, 상기 상부빔의 수평부와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대적으로 짧은 하부빔과, 상부빔과 하부빔을 연결하는 한 쌍의 세로빔과, 상기 세로빔 내측으로 설치되어 상부빔과 하부빔을 연결하여 표시부가 설치되는 한 쌍의 고정빔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표시부는 상기 표시부 프레임의 고정빔에 그 양단부가 각각 고정 설치되며;
    상기 지지대는 수평지지부와, 상기 수평지지부에 수직 형성된 수직빔과, 및 수직빔의 소정 높이에서 수직빔의 양측방에 설치되어 상기 표시부 프레임의 조립용 삽입부를 수용하는 한 쌍의 수용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안전 펜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빔에 고정 설치되는 표시부는 각각 둘 이상의 나사못과 후면방향에서 체결되어 압착하는 각각 둘 이상의 고정 클립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안전 펜스.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용 삽입부와 수용부재의 단면은 사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안전 펜스.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용 삽입부 또는 수용부재 중 어느 일측의 단면은 사각형으로 형성되고, 나머지 일측의 단면은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조립식 안전 펜스.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빔 양측방에 설치되는 수용부재 중 어느 일측의 단면은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안전 펜스.
KR2020060009552U 2006-04-11 2006-04-11 조립식 안전 펜스 KR2004204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9552U KR200420405Y1 (ko) 2006-04-11 2006-04-11 조립식 안전 펜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9552U KR200420405Y1 (ko) 2006-04-11 2006-04-11 조립식 안전 펜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0405Y1 true KR200420405Y1 (ko) 2006-07-04

Family

ID=41769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9552U KR200420405Y1 (ko) 2006-04-11 2006-04-11 조립식 안전 펜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040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5779B1 (ko) 2018-10-09 2019-08-28 대한민국 차량 안전 유도 펜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5779B1 (ko) 2018-10-09 2019-08-28 대한민국 차량 안전 유도 펜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19614A (en) Concrete post reinforcing apparatus
US4930752A (en) Highway fencing
JP2011501005A (ja) 防護柵
US5379564A (en) Self-reinforcing mesh partition
US20070261333A1 (en) Enclosure panels
CN108487777B (zh) 金属围栏立柱
GB2230280A (en) A fence assembly
KR101437150B1 (ko) 교량 안전점검대
KR200420405Y1 (ko) 조립식 안전 펜스
JP5046900B2 (ja) 防護柵
KR101909674B1 (ko) 무용접 조립식 도로 안내 표지판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1568348B1 (ko) 평지와 경사로의 공용이 용이한 메쉬 펜스 및 이 시공 방법
KR20090007981U (ko) 에이치빔 안전난간용 지주받침대
KR101298689B1 (ko) 난간울타리 가로바 연결구조
JPH05287713A (ja) 道路用バリケード
EP2189597A1 (en) A temporary metal fence for restricting access
KR101893418B1 (ko) 가로보와 지주의 결합구조
JP3118003U (ja) プレキャスト鉄筋コンクリート製防護柵
EP2894257B1 (en) Protection system for avoiding obstacles in roadside trenches
CN210368764U (zh) 一种可拆装的护栏
CN220645514U (zh) 一种围挡结构
JP6257012B1 (ja) 中央分離帯
JPH0693763A (ja) フエンス
JP5485768B2 (ja) 防護柵及び防護柵の改修方法
KR200373591Y1 (ko) 조립식 휀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2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