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9803Y1 - 부탄가스의 캔으로부터 잔류가스를 배출시키기 위한 안전캡 - Google Patents

부탄가스의 캔으로부터 잔류가스를 배출시키기 위한 안전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9803Y1
KR200179803Y1 KR2019990022743U KR19990022743U KR200179803Y1 KR 200179803 Y1 KR200179803 Y1 KR 200179803Y1 KR 2019990022743 U KR2019990022743 U KR 2019990022743U KR 19990022743 U KR19990022743 U KR 19990022743U KR 200179803 Y1 KR200179803 Y1 KR 2001798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gas container
container
consumable
safety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27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남식
Original Assignee
김남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남식 filed Critical 김남식
Priority to KR20199900227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980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98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9803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12Arrangements or mounting of devices for preventing or minimising the effect of explosion ; Other safety meas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부탄가스의 캔으로부터 잔류가스를 배출시키기 위한 안전캡에 관한 것으로, 사용을 다한 부탄가스의 용기 내에 남아있는 잔류가스를 완전히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 개량된 캡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소모성 가스용기로부터 가스를 선택적으로 분출시키기 위한 노즐부재를 보호하는 통상의 캡에 있어서, 상기 캡의 외주면 상부에 돌기환부가 형성되고, 그 상면 중앙부에 하부방향으로 다단의 요입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요입홈부의 바닥면 중앙부에는 소모성 가스용기에 남아있는 잔류가스가 배출되도록 상기 노즐부재의 스템을 가압하기위해 상기 소모성 가스용기의 노즐부재의 스템 끝단의 직경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 배출통공이 형성된 본 고안의 안전캡을 이용하여 소모성 가스용기내에 잔존해 있는 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부탄가스의 캔으로부터 잔류가스를 배출시키기 위한 안전캡인 것이다.

Description

부탄가스의 캔으로부터 잔류가스를 배출시키기 위한 안전캡{The safety cap device of the butane gas's can for exhaustig the remaining gas from the butane gas's can}
본 고안은 부탄가스의 캔으로부터 잔류가스를 배출시키기 위한 안전캡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을 다한 부탄가스의 용기 내에 남아있는 잔류가스를 완전히 배출시킬수 있도록 한 개량된 안전캡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일반적으로 소모성 가스인 부탄가스의 용기는 간이 렌지 전용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그 구조는 일반적인 구조를 갖는 것으로서, 즉 원통형의 구조를 가지며 충전된 가스압력에 대한 충분한 내구성을 갖도록 일정 두께이상의 금속재질로, 소모성 가스용기(101)의 일단부에 결합되어 밀폐된 일정공간을 형성하게 되며, 상기 소모성 가스용기(101)의 상부 중심부에는 가스의 분출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도록 노즐부재(103)가 구비되고, 상기 노즐부재(103)의 가스분출을 제어하기 위한 스템 가스켓(104), 스템(105), 하우징(106) 및 스프링(107)을 갖는 돔체(109)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소모성 가스용기(101)와 돔체(109)의 결합은 그 단부가 시이밍(Seaming)가공되어 일체화되고, 상기 돔체(109)는 아도나밸브(Adona valve)(110)와 크림핑(Crimping)가공된 구조로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노즐부재(103)의 결합 또한 크림핑(Crimping)가공된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소모성 가스용기(101)에 가스의 분출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구비된 상기 노즐부재(103)에는 상기 노즐부재(103)를 보호하기 위한 캡(113)이 쒸어진 상태로써, 하나의 제품을 이루게 된다.
그러나, 상기 소모성 가스용기(101)는 보통 사용한 후 폐기 처분함에 있어, 용기에 반드시 구멍을 뚫어 잔여가스를 대기 중에 방출한 다음 버리도록 가스용기의 주의사항에 인쇄되어 있고 많은 사람이 알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렇게 시행되지 않는 것이 다반사인데, 그 이유는 보통 가정에서 또는 야외에서 다쓰고 난 용기를 새 것으로 교체시 용기 내에 남아있는 미량의 가스를 배출하기위한 별도의 도구가 준비되어 있지 못한 관계로 미량의 가스가 잔존된 체 일반쓰레기와 함께 소각되므로 써, 소각시 발생되는 고열에 의하여 용기 내에 있는 잔존된 가스에 의해 폭발의 위험성을 지니고 있을 뿐만 아니라 더 크게는 폭발음과 함께 화염이 발생하여 화상을 입게 되는 일이 빈번히 발생되었다.
또,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위험으로부터 안전사고를 유지 위해 별도로 쓰레기내에 버려진 가스용기를 분리 수거하여 소도구(송곳, 못이나, 망치)등을 이용하여 구멍을 뚫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으며, 또 다른 방법으로는 잔여가스를 쉽게 배출하기 위해 노즐을 손가락 등으로 눌러 배출하는 것이 용이하나 이 경우 상기 노즐을 눌러줄때 노즐 입구가 막히게 되므로 가스가 쉽게 방출되지 아니하며, 특히 가스와 접촉에 의해 감촉이 불쾌하고 또 피부손상을 가져오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가스용기에 잔존된 가스를 쉽게 제거하므로 써 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부탄가스의 캔으로부터 잔류가스를 배출시키기 위한 안전캡을 제공하는데 있는 것이다.
상기 본 고안에 맞추어 기재된 목적을 제공하는 부탄가스의 캔으로부터 잔류가스를 배출시키기 위한 안전캡은 노즐부재의 스템을 가압하여 가스용기에 남아있는 잔류가스가 배출되도록 하기 위해 안전캡의 외주면 상부에 돌기환부가 형성되고, 그 상면 중앙부에 하부방향으로 다단의 요입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요입홈부의 바닦면 중앙부에는 소모성 가스용기에 남아있는 잔류가스가 배출되도록 상기 노즐부재의 스템을 가압하기위해 상기 소모성 가스용기의 노즐부재의 스템 끝단의 직경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 배출통공이 형성된 본 고안의 안전캡을 이용하여 소모성 가스용기내에 잔존해 있는 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 본 고안의 반단면 사시도
도 2A - 본 고안의 작용도로서, 소모성 가스용기인 노즐부재를 보호하기위해안전캡이 끼워진 상태도
도 2B - 본 고안의 작용도로서, 소모성 가스용기인 노즐부재의 스템을 가압하여 가스용기에 남아있는 잔류가스를 배출시키기 위한 상태도
도 3 - 종래의 캡을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안전캡 1a: 돌기환부
3: 요입홈부 5: 배출통공
도 1은 본 고안의 반단면 사시도이고, 도 2A는 본 고안의 작용도로서, 가스 용기인 노즐부재를 보호하기 위해 안전캡이 끼워진 상태도이며, 도 2B는 본 고안의 작용도로서, 소모성 가스용기인 노즐부재의 스템을 가압하여 가스용기에 남아있는 잔류가스를 배출시키기 위한 상태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보면 소모성 가스용기(101)로부터 가스를 선택적으로 분출시키는 노즐부재(103)의 스템(105)를 보호하는 통상의 캡(113)에 본 고안은 안전캡(1)의 상면 중앙부에 하부방향으로 2단의 요입홈부(3)가 형성되고, 상기 요입홈부(3)의 바닥면 중앙부에는 소모성 가스용기(101)에 남아있는 잔류가스가 배출되도록 상기 노즐부재(103)의 스템(105)을 가압하기위해 상기 소모성 가스용기(101)의 노즐부재(103)의 스템(105) 끝단의 직경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 배출통공(5)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안전캡(1)의 일측끝 외주면에는 상기 아도나 밸브(110)에 끼워져 상기 안전캡(1)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돌기환부(1a)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소모성 가스용기(101)에 채워진 가스를 다쓰고 새것으로 교체할 경우 소모성 가스용기(101)내에는 미쳐 소진되지 않은 잔류가스가 남게되므로 사용자는처음 가스용기가 제공될 때 통상의 수단으로 노즐부재(103)를 보호하기 위해 소모성 가스용기(101) 상부에 끼워져 제공되는 본 고안의 안전캡(1)을 이용하여 잔존된 가스를 배출시키게 된다.
즉,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입홈부(3)가 있는 쪽으로 안전캡(1)을 뒤집은 상태에서 소모성 가스용기(101)의 아도나 밸브(Adona valve)(110)의 크림핑 부분에 끼우게되면, 상기 요입홈부(3)는 상기 노즐부재(03)에서 선택적인 가스배출 역할을 하는 스템(105)을 가압하게 되고, 가압을 받은 상기 스템(105)은 노즐부재(103)에 탄성체를 갖는 스프링(107)에 의해 밀리게되어 소모성 가스용기(101)내에 잔존해 있던 잔류가스는 상기 스템(105)의 배출구를 통하여 상기 안전캡(1)의 요입홈부(3)에 형성되어 있는 배출통공(5)을 통하여 배출된다.
이때, 상기 아도나밸브(Adona valve)(110)에 끼워지는 요입홈부(3)쪽인 상기 안전캡(1)의 외주면 상부에는 상기 아도나밸브(Adona valve)(110)의 크램핑 부분에 끼워져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돌기환부(1a)가 형성된다.
이는, 상기 돌기환부(1a)쪽으로 안전캡(1)을 아도나밸브(Adona valve)(110)에 끼워 소모성 가스용기(101)의 잔류가스를 배출하기 위해선 선택적 배출역할을 하는 노즐부재(103)의 스템(105)을 가압된 상태를 계속 유지시켜야 하므로 돌기환부(1a)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돔체(109)에 구비되어 있는 상기 하우징(106)은 재질이 합성수지인 관계로 소모성 가스용기(101)에 열을 가할 경우 온도가 131°C 이상 되면 상기하우징(16)은 용융되기 시작하여 상기 노즐부재(103)에 구비된 스템(105) 사이로 상기 가스용기(101)내에 잔존된 가스가 배출된다.
또한, 소모성 가스용기의 표준시험 결과에 따르면 소모성 가스용기 내의 압력이 13㎏/㎠가 되면 가스용기의 변형이 일어나기 시작하고 상기 가스용기 내의 압력이 15㎏/㎠ 에 도달하면 용기의 파열이 일어나게 된다.
따라서,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내에 가스를 뺀 용기와 액상가스를 아예 집어넣지 않은 용기에 열을 가하여 실험한 결과 131°C에서 액상가스를 모두 뺀 가스용기의 압력은 약 0.8㎏/㎠이 나왔으며, 아예 액상가스를 넣지않은 가스용기 내부의 압력은 약0.2㎏/㎠로 나온 결과를 고찰해 볼 때, 본 고안의 안전캡(1)을 이용하여 가스용기에 잔존된 가스를 제거한 경우에는 가스용기 내부의 압력이 용기의 변형 또는 파열이 발생하는 압력에 훨씬 못미친 상태에서 돔체(109)에 구비되어 있는 하우징(106)이 먼저 용융되어 상기 노즐부재(103)에 구비된 스템(105) 사이로 상기 가스용기(101)내에 잔존된 가스가 배출되므로써 가스용기의 폭발이 일어나지 않게 된다.
즉, 본 고안이 적용될 경우에는 가스용기 내의 잔존 가스량이 극히 미미하게 되어 가스 용기내의 압력이 가스용기에 아무런 액상 가스를 주입하지 않았을 때와 거의 동일한 압력 값을 나타내게 되므로 가스용기에 아무리 높은 온도가 가해지더라도 용기의 폭발은 절대로 발생하지 않으며, 이에 따라 가스용기의 안전성이 확실하게 확보된다.
한편, 참고적으로 가스를 뺀 소모성 가스용기와 가스를 넣지 않은 소모성 가스용기의 압력을 비교하여 나타내면 다음의 표 1과 같다.
NO 구 분 10 °C 20°C 30°C 40°C 50°C 60°C 70°C 80°C 90°C 100°C
1 가스를 뺀 가스용기 0.4 0.4 0.4 0.5 0.5 0.5 0.6 0.6 0.6 0.7
2 가스를 집어넣지 않은 가스용기 0.0 0.0 0.0 0.0 0.1 0.1 0.1 0.1 0.1 0.1
NO 110°C 120°C 130°C 140°C
1 0.7 0.7 0.8 0.8
2 0.2 0.2 0.2 0.2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소모성 가스용기(101)내에 잔류가스를 완전히 배출시키기 위해 가스용기자체에 구멍을 뚫어주거나 또는 뚫기 위해 별도의 소도구(망치,못)를 이용하여 용기를 뚫어주는 것에 비하여 작업이 극히 용이할 뿐만 아니라 분리수거가 용이하며, 환경의 오염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또 가스용기에 잔류가스가 남아있는 상태로 버려지는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어 폐기된 가스용기로 인해 폭발 등의 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가스의 배출시 가스가 신체에 직접 접촉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소모성 가스용기(101)로부터 가스를 선택적으로 분출시키기 위한 노즐부재(103)를 보호하는 통상의 캡에 있어서,
    상기 캡(1)의 외주면 상부에 돌기환부(1a)가 형성되고, 그 상면 중앙부에하부방향으로 다단의 요입홈부(3)가 형성되고, 상기 요입홈부(3)의 바닦면 중앙부에는 소모성 가스용기(101)에 남아있는 잔류가스가 배출되도록 상기 노즐부재(103)를 가압하기위해 상기 소모성 가스용기(101)의 노즐부재(103) 끝단의 직경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 배출통공(5)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탄가스의 캔으로부터 잔류가스를 배출시키기 위한 안전캡.
KR2019990022743U 1999-10-21 1999-10-21 부탄가스의 캔으로부터 잔류가스를 배출시키기 위한 안전캡 KR2001798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2743U KR200179803Y1 (ko) 1999-10-21 1999-10-21 부탄가스의 캔으로부터 잔류가스를 배출시키기 위한 안전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2743U KR200179803Y1 (ko) 1999-10-21 1999-10-21 부탄가스의 캔으로부터 잔류가스를 배출시키기 위한 안전캡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9803Y1 true KR200179803Y1 (ko) 2000-04-15

Family

ID=19593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2743U KR200179803Y1 (ko) 1999-10-21 1999-10-21 부탄가스의 캔으로부터 잔류가스를 배출시키기 위한 안전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980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5114B1 (ko) 2015-03-13 2015-08-17 한윤영 가스용기의 잔류가스배출장치
KR102341701B1 (ko) * 2021-08-06 2021-12-20 김성우 가스용기 밸브용 밀봉커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5114B1 (ko) 2015-03-13 2015-08-17 한윤영 가스용기의 잔류가스배출장치
KR102341701B1 (ko) * 2021-08-06 2021-12-20 김성우 가스용기 밸브용 밀봉커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79803Y1 (ko) 부탄가스의 캔으로부터 잔류가스를 배출시키기 위한 안전캡
US20190120394A1 (en) Safety valve and gas cylinder having same
KR20050000662A (ko) 폭발방지용 소형고압 용기
US3664557A (en) Bistable safety dispensing valve for fluid dispensers
KR102654590B1 (ko) 복수의 분사 방식을 갖는 스프레이 헤드
JP4776938B2 (ja) 噴射部材
JP4545567B2 (ja) エアゾール装置
JP2001019067A (ja) 蓋を備えたエアゾール容器
JP2008105710A (ja) エアゾール容器のガス抜き具、ガス抜き具を備えたキャップ、及びエアゾール容器のガス抜き構造
JP5213617B2 (ja) エアゾール容器
JP2002012276A (ja) 廃ガス処理用バルブボタン及びこのボタンを備えたキャップ並びにエアゾール容器
JP4381919B2 (ja) バルブ開放機構、それを用いた取り替え用エアゾール容器およびエアゾール容器の取り替えシステム。
JP2008120441A (ja) エアゾール容器用噴射装置
KR200366755Y1 (ko) 가스라이타 잔류가스 배출장치
JP3409241B2 (ja) 可動弁を内蔵したエアゾール噴出装置
KR100365825B1 (ko) 프린터 카트리지용 잉크 주입장치
JP4775794B2 (ja) エアゾール容器
JPH0447102Y2 (ko)
JPH0543887Y2 (ko)
KR19980031678U (ko) 폐기 가스통의 잔류가스 배출 기능을 갖는 가스통 뚜껑
JP2725232B2 (ja) エアゾール噴出弁の安全弁機構によるエアゾール容器の爆発防止装置
KR200461491Y1 (ko) 잔여가스 배출구조를 갖는 용기마개
JPH0669600U (ja) 小形ガスボンベ用安全蓋兼用残留ガス抜き蓋
JPH02124180A (ja) 簡易消火具
KR200404393Y1 (ko) 잔존가스 폐기가 용이한 가스 용기용 안전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