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1278Y1 - 연료탱크의 가스압을 제거할 수 있는 안전캡 - Google Patents

연료탱크의 가스압을 제거할 수 있는 안전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1278Y1
KR200151278Y1 KR2019950047165U KR19950047165U KR200151278Y1 KR 200151278 Y1 KR200151278 Y1 KR 200151278Y1 KR 2019950047165 U KR2019950047165 U KR 2019950047165U KR 19950047165 U KR19950047165 U KR 19950047165U KR 200151278 Y1 KR200151278 Y1 KR 2001512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tank
fuel
cap
gas
gas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471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30694U (ko
Inventor
김재관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500471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1278Y1/ko
Publication of KR97003069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3069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12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127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15/0406Filler caps for fuel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35Fuel tanks characterised by venting means
    • B60K2015/03542Mounting of the venting means
    • B60K2015/03547Mounting of the venting means the venting means are integrated in the fuel cap or inlet co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주로 자동차의 연료탱크내에 저장된 가솔린(Gasoline)이 증발하여 연료탱크내에 증발가스가 팽창하였을시 그 증발가스를 미리 배출시킨 다음 연료캡을 열도록 하므로서 증발가스가 순간적으로 분출되므로서 야기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연료탱크의 가스압을 제거할 수 있는 안전캡에 관한 것으로, 연료탱크내에 가솔린의 증발가스가 많이 존재하고 있을 경우에는 가스압의 팽창압력에 의하여 연료캡이 절대 열리지 않도록 하는 한편, 연료캡을 열고자 할 때에는 연료탱크내에 팽창된 가스압력을 배출시킨 후 열도록 하므로서 가스압력의 순간적인 분출시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안전캡을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고안한 것이다.

Description

연료탱크의 가스압을 제거할 수 있는 안전캡
제1도는 본 고안의 안전캡에 가스압이 작용하지 않을 때의 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안전캡에 가스압이 작용할 때의 작동상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연료캡 2 : 주연단
3 : 수용부 4 : 요홈
5 : 푸쉬보턴 6 : 스프링
7 : 가스배출관 8 : 가스배출공
9 : 가스배출노즐 10 : 연료탱크
11 : 주입구 12 : 목부
13 : 환홈 14 : 통공
20 : 팽창고무판
[산업상 이용 분야]
본 고안은 주로 자동차의 연료탱크내에 저장된 가솔린(Gasoline)이 증발하여 연료탱크내에 증발가스가 팽창하였을시 그 증발가스를 미리 배출시킨 다음 연료캡을 열도록 하므로서 증발가스가 순간적으로 분출되므로서 야기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연료탱크의 가스압을 제거할 수 있는 안전캡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일반적인 가솔린연료의 증발가스는 주로 탄화수소이기 때문에 대기중에 방출될 경우 대기를 오염시키게 되기 때문에 종래에는 연료탱크에 증발가스를 엔진의 연소실로 유도하는 장치인 가스배출억제장치(차콜 캐니스터방식)를 설치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 가스배출억제장치에 문제가 생기게 되면 연료탱크내에서 발생된 증발가스가 배출되지 않고 연료탱크내에 그대로 존재하게 되며, 이러한 경우 연료캡을 열게 되면 가스압력이 순간적으로 분출되는 관계로 화재를 발생시키는 등 위험한 상황을 만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본 고안은 종래와 같이 연료탱크내에서 발생된 가스가 가스배출억제장치로 배출되지 않고 탱크내에 그대로 존재하고 있을 경우에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연료탱크내에 가솔린의 증발가스가 많이 존재하고 있을 경우에는 연료캡이 절대 열리지 않도록 하는 한편, 연료캡을 열고자 할 때에는 연료탱크내에 팽창된 가스압력을 배출시킨 후 열도록 하므로서 가스압력의 순간적인 분출시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안전캡을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고안한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연료탱크의 주입구에 나사조립되는 연료캡에 있어서. 상기 연료탱크의 주입구 목부에 감착되어 가스배출공으로 배출되는 가스압에 의해 팽창되는 특수고무로 된 팽창고무판과;
상기 연료캡의 내주연단에 형성되어 팽창고무판의 팽창작용을 수용하는 수용부와;
상기 연료캡의 상단에는 연료탱크내로 진입시킨 가스배출관과 일체로 형성되어 스프링으로 탄력지지시킨 푸쉬보턴과; 및
상기 가스배출관에 형성되어 푸쉬보턴 압압시 가스배출노즐을 통해 가스를 배출시킬 수 있는 가스배출공과;
로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고 있는 것이다.
[실시예]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안전캡에 가스압이 작용하지 않을 때의 단면도이며,
제2도는 본 고안의 안전캡에 가스압이 작용할 때의 작동상태 단면도로서,
도면부호 1은 연료캡을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연료캡(1)은 연료탱크(10)의 주입구(11)에 나사조립되며, 상기 주입구(11)의 목부(12)외주면에는 환홈(13)을 형성하고, 또 목부(12)에는 연료탱크(10) 내부와 상통하는 통공(1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주입구(11)의 목부(12)에는 특수재질로 된 팽창고무판(20)이 착설되어 연료탱크(10)내에서 가스압이 팽창될 때에는 가스압이 통공(14)을 통해 팽창고무판(20)을 팽창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한편, 상기 연료캡(1)의 주연단(2) 내측으로는 상기 팽창고무판(20)의 팽창시 그 팽창된 팽창고무판(20)을 수용하는 수용부(3)를 형성하였으며, 또한 상단의 중심부에 형성된 요홈(4)에는 푸쉬보턴(5)을 스프링(6)으로 탄력지지하여 푸쉬보턴(5)과 일체적으로 결합되어 연료탱크(1) 내부로 진입된 가스배출관(7)을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가스배출관(7)에는 가스배출노즐(9)을 통해 가스압을 배출시킬 수 있는 가스배출공(8)을 형성하였는데, 상기 가스배출공(8)은 푸쉬보턴(5)을 압압하지 않았을시에는 가스배출노즐(9)의 상측에 위치하여 폐쇄상태로 있다가 푸쉬보터(5) 압압작동시 가스배출노즐(9)과 일치하여 가스압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연료탱크(10)에 저장된 가솔린에서 발생되는 증발가스가 가스배출억제장치(도시 없음)를 통해 정상적으로 배출될 경우에는 연료탱크(10)내에 가스압이 팽창되지 않고 있는 상태이므로 주입구(11)의 목부(12)에 감착되어 있는 팽창고무판(20)은 팽창되지 않은 상태가 되며, 이때에는 연료캡(1)을 열수 있는 상태가 된다.(제1도 참조)
그런데 연료탱크(10)의 가스압을 배출시키는 가스배출억제장치에 이상이 생겨 가스압이 제대로 배출되지 않게 될 경우에는 연료탱크(10)내에는 가스압이 팽창되는데, 연료탱크(10)내에서 발생된 가스의 팽창압력은 통공(14)을 통해 배출되며, 통공(14)을 통해 배출된 가스압은 환홈(13)에 의해 고루 확산되면서 팽창고무판(20)을 균일하게 팽창시키게 되며, 이같이 가스압에 의해 팽창된 팽창고무판(20)은 연료캡(1)의 주연단(2)에 형성된 수용부(3)에 꽉차게 팽창되는데, 이와같이 팽창된 팽창고무판(20)의 팽창압력이 수용부(3)를 강하게 밀고 있는 상태가 되므로서 연료캡(1)을 회전시킬 수 없게 된다.(제2도 참조)
따라서 취급자는 연료캡(1)을 열수 없게 될 경우에는 연료탱크(10)내에 가스압이 꽉차있는 상태임을 인지하고 연료캡(1) 상단에 있는 푸쉬보턴(5)을 눌러 가스압을 배출시키는데, 푸쉬보턴(5)을 눌러주게 되면 가스배출관(7)의 가스배출공(8)이 가스배출노즐(9)에 일치되므로서 연료탱크(10)에 팽창되어 있던 가스압은 가스배출관(7)을 통해 가스배출공(8)을 거쳐 가스배출노즐(9)로 배출되게 되며, 연료탱크(10)에 팽창되었던 가스압이 배출되면 수용부(3)에 팽창압력을 가하고 있던 팽창고무판(20)은 다시 원위치로 복귀하게 되므로서 연료캡(1)을 열수 있게 된다.
[효과]
본 고안에 의하면 연료탱크에 장치한 가스배출억제장치가 고장을 일으켜 연료탱크내에 가스압이 배출되지 않고 연료탱크내에서 팽창하게 될 때에는 연료탱크의 목부에 있는 팽창고무판이 팽창하면서 연료캡의 주연단에 밀착됨과 동시 팽창압력을 가하여 연료캡을 열수 없게 하므로서 연료캡을 열때 가스압이 순간적으로 분출되므로 해서 야기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연료캡을 열고자 할 때에는 푸쉬보턴을 눌러 가스압을 배출시키므로서 연료캡을 안전하게 열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는 실용적인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연료탱크의 주입구에 나사조립되는 연료캡에 있어서, 상기 연료탱크의 주입구 목부와 연료캡의 주연단 사이에 설치되어 가스배출공으로 배출되는 가스압에 의해 팽창되는 특수고무로된 팽창고무판과; 상기 연료캡의 내주연단에 형성되어 팽창고무판의 팽창작용을 수용하는 수용부와; 상기 연료캡의 상단에 설치되고, 연료탱크내로 진입시킨 가스배출관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스프링에 의해 탄력지지되는 푸쉬보턴과; 상기 가스배출관의 중간부에 형성되어 푸쉬보턴 압압시 연료캡의 상단 일측으로 형성된 가스배출노즐과 연통되면서 가스배출노즐을 통해 가스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된 가스배출공; 으로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탱크의 가스압을 제거할 수 있는 안전캡.
KR2019950047165U 1995-12-26 1995-12-26 연료탱크의 가스압을 제거할 수 있는 안전캡 KR2001512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7165U KR200151278Y1 (ko) 1995-12-26 1995-12-26 연료탱크의 가스압을 제거할 수 있는 안전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7165U KR200151278Y1 (ko) 1995-12-26 1995-12-26 연료탱크의 가스압을 제거할 수 있는 안전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0694U KR970030694U (ko) 1997-07-24
KR200151278Y1 true KR200151278Y1 (ko) 1999-07-15

Family

ID=19438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47165U KR200151278Y1 (ko) 1995-12-26 1995-12-26 연료탱크의 가스압을 제거할 수 있는 안전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1278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0133B1 (ko) * 2008-07-09 2010-12-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리어액슬의 에어브리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0694U (ko) 1997-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46298B2 (en) Cap-free neck end for a filler neck
US6279626B1 (en) Closure cap for a tank
US6076471A (en) Tank car manway cover assembly
US3945454A (en) Radiator for a vehicle engine
US4142648A (en) Cap assembly for a fuel tank
KR200151278Y1 (ko) 연료탱크의 가스압을 제거할 수 있는 안전캡
JP2019516933A (ja) 安全バルブおよびこれを具備したガス容器
US4245751A (en) Anti-theft filler cap
US4574967A (en) Sealing cap for a safety container
JPS6363761B2 (ko)
US2529329A (en) Safety tank closure
US5848740A (en) Container for dispensing a pressurized fluid including a safety device for release of excessive internal pressure
KR200179803Y1 (ko) 부탄가스의 캔으로부터 잔류가스를 배출시키기 위한 안전캡
JP2597850Y2 (ja) エアゾール缶の押ボタン装置
JP2002282747A (ja) 噴射ボタン装置
US2729354A (en) Universal bottle closure
US4360122A (en) Tank cap having sequential engagement and disengagement
JPH0577050U (ja) 液体射出装置
US3516569A (en) Radiator cap for vehicles
JP3563513B2 (ja) エアゾール容器に固定するためのワンタッチキャップおよび肩カバー
KR200371911Y1 (ko) 차량용 연료캡 구조
KR200203207Y1 (ko) 폐잔류가스 배출장치가 구비된 휴대용 가스용기
JPH0789568A (ja) 圧力容器の注入管用のキャップ
KR19980031678U (ko) 폐기 가스통의 잔류가스 배출 기능을 갖는 가스통 뚜껑
JPH02124180A (ja) 簡易消火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