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9279Y1 - 슬라이드 도어가 구비된 차량에 있어서 연료필러도어충돌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슬라이드 도어가 구비된 차량에 있어서 연료필러도어충돌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9279Y1
KR200179279Y1 KR2019970034896U KR19970034896U KR200179279Y1 KR 200179279 Y1 KR200179279 Y1 KR 200179279Y1 KR 2019970034896 U KR2019970034896 U KR 2019970034896U KR 19970034896 U KR19970034896 U KR 19970034896U KR 200179279 Y1 KR200179279 Y1 KR 2001792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fuel filler
slide door
hook
filler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48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1399U (ko
Inventor
강호석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700348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9279Y1/ko
Publication of KR1999002139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139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92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927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소형 승합차와 같이 슬라이드 도어가 구비된 차량에 있어서 연료필러도어가 슬라이드 도어에 의해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연료필러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슬라이드 도어를 개방되지 않도록 하여 슬라이드 도어에 의해서 연료필러도어 또는 연료주입건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연료필러도어충돌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연료필러도어충돌방지장치는 슬라이드도어(4)와 상기 슬라이드도어의 후방에 연료필러도어(1)가 구비된 차량에 있어서, 연료필러도어(1)의 개폐와 연동되어 쿼터패널(5)의 내향경사부(5a)의 외부로 출몰할수 있도록 후크(7)와, 상기 슬라이드 도어(1)의 후단부에 설치된 것으로서 상기 후크(7)가 걸림위치에 있을 때 후크(7)의 걸림돌기(7a)에 걸리는 걸림턱(11)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슬라이드 도어가 구비된 차량에 있어서 연료필러도어충돌방지장치 {FUEL FILLER DOOR IMPACT PREVENTING STRUCTURE FOR VEHICLE}
본 고안은 소형 승합차와 같이 슬라이드 도어(slide door)가 구비된 차량에 있어서 연료필러도어(fuel filler door)가 슬라이드 도어에 의해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연료필러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슬라이드 도어를 개방되지 않도록 하여 슬라이드 도어에 의해서 연료필러도어 또는 연료주입건(fuel filler gun)이 파손되거나, 또는 연료필러도어 또는 연료주입건에 의해서 슬라이드 도어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슬라이드 도어가 구비된 차량에 있어서 연료필러도어충돌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는 소형 승합차의 경우와 같이 차체측면과 평행으로 열고 닫는 슬라이드 도어가 구비된 차량이 있다.
또한 차량보디의 쿼터패널(quarter panel)에는 연료탱크에 연료를 주입할 때 개방하는 연료필러도어가 구성되어 있다. 연료필러도어는 연료를 주입할 때에만 개방하고 평상시에는 닫혀진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사람이 타거나 내리기 위해서 슬라이드 도어를 개방하였을 경우에 슬라이드 도어가 연료필러도어에 겹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연료탱크에 연료를 주입하고자 연료필러도어를 개방하고 연료주입건을 삽입하여 연료를 주입하고 있는 상태에서 슬라이드 도어를 개방하면 슬라이드 도어의 후단부가 연료필러도어에 충돌하여 슬라이드 도어에 의해서 연료필러도어 또는 연료주입건이 파손되거나, 또는 연료필러도어 또는 연료주입건에 의해서 슬라이드 도어가 파손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경우를 방지하기 위하여 연료를 주입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슬라이드 도어를 개방하지 말라고 차를 타고 내리는 사람에게 주의를 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연료필러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슬라이드 도어를 자동으로 개방되지 않도록 하여 슬라이드 도어가 연료필러도어 또는 연료주입건에 충돌하는 경우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그에 따라서 연료필러도어, 연료주입건 또는 슬라이드 도어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슬라이드 도어가 구비된 차량에 있어서 연료필러도어충돌방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연료필러도어충돌방지장치는 슬라이드도어와 상기 슬라이드도어의 후방에 연료필러도어가 구비된 차량에 있어서,연료필러도어의 개폐와 연동되어 쿼터패널의 내향경사부의 외부로 출몰할수 있도록 후크와, 상기 슬라이드 도어의 후단부에 설치된 것으로서 상기 후크가 걸림위치에 있을 때 후크의 걸림돌기에 걸리는 걸림턱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는 본 고안의 슬라이드 도어가 구비된 차량에 있어서 연료필러도어충돌방지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연료필러도어 2: 힌지
3: 힌지연결판
4: 슬라이드도어 5: 쿼터패널
5a: 내향경사부 6: 로드(rod)
6a: 힌지 7: 후크
7a: 걸림돌기 8: 힌지
9: 후크브라켓트 10: 복귀스프링
11: 걸림턱 11a: 오목부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는 본 고안의 슬라이드 도어가 구비된 차량에 있어서 연료필러도어충돌방지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연료필러도어충돌방지장치는 연료필러도어(1)의 개폐와 연동되어 쿼터패널(5)의 내향경사부(5a)의 외부로 출몰할수 있도록 후크(7)와, 상기 슬라이드 도어(1)의 후단부에 설치된 것으로서 상기 후크(7)가 걸림위치에 있을 때 후크(7)의 걸림돌기(7a)에 걸리는 걸림턱(11)을 포함한다.
상기 후크(7)와 연결필러도어(1)의 연동은, 연료필러도어(1)에 연결되어 있고 힌지(2)에 의해서 회동가능하고 설치된 힌지연결판(3), 그리고 일단이 상기 힌지연결판(3)에 힌지(6a)에 의해서 연결되어 있고, 타단이 슬라이드 도어(4)가 닫혔을 때 슬라이드 도어(4)의 후단부와 접촉하는 쿼터패널(5)의 내향경사부(5a)의 근방까지 뻗어 후크(7)에 힌지(6b)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는 로드(6)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후크(7)는 일단이 상기 로드(6)의 타단에 힌지(6b)에 의해서 연결되어 있고 타단이 걸림돌기(7a)가 형성되어 상기 쿼터패널(5)의 내향경사부(5a)의 외부로 돌출될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중심부의 힌지(8)에 의해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후크(7)는 후크 브라켓트(9)에 의하여 지지되며, 힌지(8)상에 설치되어 있는 복귀스프링(10)에 의하여 복원력을 받고 있다.
상기 후크(7)가 쿼터패널(5)의 내향경사부(5a)의 내부로 들어가도록 복원력을 가하는 복귀스프링(10)은 코일스프링으로서 후크(7)에 강한 복원력을 가하는 것이 아니고 연료필러도어(1)를 개방상태에서 닫을 때 힘이 많이 소요되지 않도록 할 정도의 복원력을 가한다.
상기 슬라이드 도어(4)의 걸림턱(11)은 후크(7)의 걸림돌기(7a)가 운동을 하는데 지장을 받지 않고 또한 쿼터패널(5)의 내향경사부(5a)로 부터 걸림돌기(7a)가 돌출하였을 때 확실하게 걸리는 형태로 되어 있다.
즉 걸림돌기(7a)의 끝단에 아무런 충격을 가하지 않도록 오목홈(11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연료필러도어(1)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에서 외력이 없이 저절로 닫히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이 구비되어 있으나 이는 종래 기술이고 본 고안과는 관계가 없으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점선으로 표시한 것을 연료필러도어(1)를 개방하였을 때 연료필러도어충돌방지장치가 작동한 상태를 나타낸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슬라이드 도어가 구비된 차량에 있어서 연료필러도어충돌방지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슬라이드 도어(4)가 닫혀진 상태에서 연료탱크에 연료를 주입하고자 연료필러도어(1)를 개방하면 연료필러도어(1)와 일체로 된 힌지연결판(3)이 동시에 우측으로 회동한다. 힌지연결판(3)이 우측으로 회동하면 힌지연결판(3)과 힌지(6a)로 연결되어 있는 로드(6)가 점선으로 표시된 위치까지 우측으로 이동한다.
로드(6)가 우측으로 이동하면 후크(7)가 힌지(8)에 의해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후크(7)타단의 걸림돌기(7a)가 쿼터패널(5)의 내향경사부(5a)의 외부로 돌출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는 슬라이드 도어(4)의 후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걸림턱(11)이 상기 돌출된 걸림돌기(7a)에 걸러져 있으므로 슬라이드 도어(4)를 개방할려고 할 때에 슬라이드 도어(4)가 개방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연료주입시 슬라이드 도어(4)가 연료필러도어(1) 또는 연료주입건에 충돌하는 현상은 절대 일어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연료를 주입할 때에 작업자는 차내 탑승자가 내리는지 또는 외부에서 누가 탈려고 하는지 신경을 쓸 필요가 없이 안심하고 연료주입을 할수 있게 된다.
그리고 연료주입이 끝나 연료필러도어(1)를 닫으면 전술한 개방시와 반대로 작동하여 로드(6)가 좌측으로 이동하고 또한 후크(7)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후크(7)의 걸림돌기(7a)가 쿼터패널(5)의 내향경사부(5a)의 내부로 복귀한다. 이 때 복귀스프링(10)의 약간의 복원력이 후크(7)에 가해지고 있으므로 후크(7)가 원활하게 복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후크(7)의 걸림돌기(7a)가 쿼터패널(5)의 내향경사부(5a)의 내부로 복귀하면 슬라이드 도어(4)의 걸림턱(11)의 운동에 아무런 지장을 받지 아니 하므로 슬라이드 도어(4)는 개방될수 있는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의 슬라이드 도어가 구비된 차량에 있어서 연료필러도어충돌방지장치는 연료필러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자동으로 슬라이드 도어가 개방되지 않도록 되므로 슬라이드 도어가 연료필러도어 또는 연료주입건에 충돌하는 현상이 발생않으며 그에 따라서 연료필러도어, 연료주입건 또는 슬라이드 도어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Claims (1)

  1. 슬라이드도어(4)와 상기 슬라이드도어의 후방에 연료필러도어(1)가 구비된 차량에 있어서,
    연료필러도어(1)의 개폐와 연동되어 쿼터패널(5)의 내향경사부(5a)의 외부로 출몰할수 있도록, 연료필러도어(1)에 연결되어 있고 힌지(2)에 의해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힌지연결판(3), 그리고 일단이 상기 힌지연결판(3)에 힌지(6a)에 의해서 연결되어 있고, 타단이 슬라이드 도어(4)가 닫혔을 때 슬라이드 도어(4)의 후단부와 접촉하는 쿼터패널(5)의 내향경사부(5a)의 근방까지 뻗어 힌지(6b)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는 로드(6)로 이루어지는 후크(7)와;
    상기 슬라이드 도어(1)의 후단부에 설치된 것으로서, 상기 후크(7)가 걸림위치에 있을 때 후크(7)의 걸림돌기(7a)에 걸리도록 걸림돌기(7a)의 끝단에 아무런 충격을 가하지 않는 오목홈(11a)이 형성되어 있는 걸림턱(11);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도어가 구비된 차량에 있어서 연료필러도어충돌방지장치.
KR2019970034896U 1997-11-29 1997-11-29 슬라이드 도어가 구비된 차량에 있어서 연료필러도어충돌방지장치 KR2001792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4896U KR200179279Y1 (ko) 1997-11-29 1997-11-29 슬라이드 도어가 구비된 차량에 있어서 연료필러도어충돌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4896U KR200179279Y1 (ko) 1997-11-29 1997-11-29 슬라이드 도어가 구비된 차량에 있어서 연료필러도어충돌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1399U KR19990021399U (ko) 1999-06-25
KR200179279Y1 true KR200179279Y1 (ko) 2000-05-01

Family

ID=19515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4896U KR200179279Y1 (ko) 1997-11-29 1997-11-29 슬라이드 도어가 구비된 차량에 있어서 연료필러도어충돌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927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1399U (ko) 1999-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37648A (en) Rear seat back locking arrangement for a motor vehicle and the like
JPS6215705B2 (ko)
JPH08230464A (ja) 車両用のドア・インターロック機構
JPH0575003U (ja) 安全機能付き自動車用収納装置
US20050206173A1 (en) Tailgate latch structure of vehicle
JPS6313821A (ja) 燃料注入口用保護カバ−
KR200179279Y1 (ko) 슬라이드 도어가 구비된 차량에 있어서 연료필러도어충돌방지장치
JPH0575004U (ja) 安全機能付き自動車用収納装置
JP4498703B2 (ja) 開閉体のラッチ装置
KR100412901B1 (ko) 트렁크 처짐 방지장치
KR200145080Y1 (ko) 승합자동차의 연료주입구 덮개 보호구조
KR0140681Y1 (ko) 자동차의 후드록 래치 구조
JPS6126108Y2 (ko)
KR0122038Y1 (ko) 연료 주입구 도어의 안전장치
KR0120242Y1 (ko) 자동차의 연료 휠러 캡 분실 방지장치
KR0124272Y1 (ko) 자동차의 연료 주입구 도어 개폐장치
JPH11115496A (ja) スライドドアのストッパ装置
KR0143822B1 (ko) 차량의 연료 보충용 캡 개방구조
JPS6211698Y2 (ko)
KR100462403B1 (ko) 자동차용 도어의 웨이스트라인 몰딩 수납구조
KR0120246Y1 (ko) 자동차의 연료 주입구 도어 개폐장치
JPH0662161U (ja) 自動車収納装置の開閉用カム部材
JPH0515010Y2 (ko)
KR200141610Y1 (ko) 차량용 퓨엘리드 릴리스레버의 록킹구조
KR0130895Y1 (ko) 자동차용연료주입구 자동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3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