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8354Y1 - 버스차량의 리어 엔진 플랩 고정구조 - Google Patents

버스차량의 리어 엔진 플랩 고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8354Y1
KR200178354Y1 KR2019950045811U KR19950045811U KR200178354Y1 KR 200178354 Y1 KR200178354 Y1 KR 200178354Y1 KR 2019950045811 U KR2019950045811 U KR 2019950045811U KR 19950045811 U KR19950045811 U KR 19950045811U KR 200178354 Y1 KR200178354 Y1 KR 20017835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p
rear engine
bracket
fixed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458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43655U (ko
Inventor
조영중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500458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8354Y1/ko
Publication of KR97004365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365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83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835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5/00Arrangement or mounting of internal-combustion or jet-propulsion units
    • B60K5/12Arrangement of engine 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리어 엔진을 장착한 버스 차량에 있어서, 리어 엔진 플랩의 고정을 보다 용이하게하여 작업성을 좋게하고 작업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하여, 리어 엔진 버스 차량의 리어 엔진 플랩 고정구조에 있어서,
상기한 플랩(4)의 내측에 고정되는 브라켓트(16)와,
이 브라켓트의 내측에 위치하여 고정되며 내부에 플랜지(32)를 보유하는 패스너와,
상기한 플랜지(32)에 결려지거나 걸림이 해제될 수 있는 걸림돌기(24)를 보유하며 고정부재인 브라켓트(12)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볼트를 포함하는 버스 차량의 리어 엔진 플랩 고정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버스 차량의 리어 엔진 플랩 고정구조
제1도는 리어 엔진 장착 버스차량의 배면도.
제2도는 제1도의 D-D선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관련하는 볼트의 측면도.
제4도는 본 고안에 관련하는 패스너의 측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에 의한 플랜 고정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 플랩 12, 16 : 브라켓트
22 : 삽입돌기 24 : 걸림돌기
28 : 고정부 30 : 틀체
32 : 플랜지
[산업상 이용분야]
본 고안은 버스 차량의 리어 엔진 플랩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체결이 용이하고 작업시간을 줄일 수 있는 리어 엔진 플랩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버스 차량은 실내 공간의 확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엔진을 바디의 후방에 장착하고 있다.
엔진이 바디의 후방에 장착되는 버스 차량은, 승강 도어를 바디의 앞쪽에 설치하는 경우 승하차가 편리하며, 실내 공간확보에 매우 유리하다.
그리고 엔진이 바디의 후방에 장착되기 때문에 실내로 전달되는 엔진 소음이 작아 프론트 엔진 차량에 비하여 실내 정숙성에 있어서도 유리하다.
그리고 이러한 리어 엔진 차량은 프론트 엔진 차량에 비하여 추진축을 짧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추진축의 우력에 의한 비틀림 등을 방지할 수 있는 측면에서도 유리하다.
이러한 리어 엔진 차량은 바디의 후방에 플랩이 설치되어 엔진 정비시나 점검시 이들 플랩을 열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제5도는 리어 엔진 차량의 배면도로서, 엔진 장착부에는 센터 플랩(2)과, 좌측 플랩(4), 그리고 우측 플랩(6)으로 이루어진 3조각의 플랩이 1셋트를 이루며 장착된다.
상기한 좌우측 플랩(4), (6)은 제1도의 D-D선 단면도를 나타내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4각 튜브(8)에 볼트(10)로 고정된 브라켓트(12) 하단부에 나비볼트(14)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한 나비볼트(14)는 플랩(4)내측면에 고정된 브라켓트(16)의 공간이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나사를 돌려서 고정하는 방식은 작업이 용이하지 않다.
특히 상기한 나비볼트(14)는 10mm-15mm가 적합한데, 이러한 나비볼트는 개발되어 있지 않으므로 대개의 경우 25mm 볼트를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조일 때 힘이 많이 들고 작업시간이 오래걸리는등 작업성이 좋지 않다.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1회의 회전조작으로 간단하게 록킹이 이루어지도록하여 조립라인의 작업 및 정비작업을 용이하게 하며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버스 차량의 리어 엔진 플랩 고정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리어 엔진 버스 차량의 리어 엔진 플랩 고정구조에 있어서, 상기한 플랩의 내측에 고정되는 브라켓트와, 이 브라켓트의 내측에 위치하여 고정되며 내부에 플랜지를 보유하는 패스너와, 상기한 플랜지에 결려지거나 걸림이 해제될 수 있는 걸림돌기를 보유하며 고정부재인 브라켓트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볼트를 포함하는 버스 차량의 리어 엔진 플랩 고정구조를 제공한다.
[실시예]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 명 한다.
제3도는 본 고안에 관련하는 볼트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외주에 너얼링이 된 손잡이(20)와, 이 손잡이(20)의 일측에 형성되는 삽입돌기(22)와, 이 삽입돌기(22)의 선단부에 양측으로 돌출하는 걸림돌기(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손잡이(22)이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보스부(26)는 브라켓트(12)에 회동가능하게 삽입된다.
제4도는 제3도의 볼트와 결합되는 패스너의 측단면도로서, 이 패스너는 플랩(4)의 내측 브라켓트(16)에 고정된다.
이 패스너는 플랩의 브라켓트(16)가 고정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고정판(28)과, 이 고정판과 일정한 간격을 띄우고 형성되는 틀체(30)와, 이 틀체의 내부에 돌출하는 플랜지(32)를 갖는다.
상기한 플랜지(32)는 틀체(30)내부에서 상기한 삽입돌기(22)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며 형성되고, 틀체와의 사이에 걸림돌기(24)가 위치할 수 있는 공간(34)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리어 엔진 플랩 고정구조는,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랩(4)의 내측 브라켓트(16)에 본 실시예의 패스너 고정판(28)을 고정하여 내부에 틀체(30)가 위치하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4각 튜브(8)에 고정된 브라켓트(12)에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볼트의 보스부(26)를 회동가능하게 결힙시키고 이 볼트의 삽입돌기(22)를 틀체(30)내부로 삽입한 후 손잡이(20)를 잡고 1/2회 돌리게 되면 걸림돌기(24)가 플랜지(32)에 걸려 고정된다.
그리고 반대로 볼트를 조일때와 반대 방향으로 1/2회 돌리게 되면 걸림돌기(24)가 플랜지(32)로부터 걸림이 해제되므로 플랩(4)은 록킹이 해제된다.
[효과]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리어 엔진 플랩 고정구조는, 나사방식이 아닌 걸림방식의 구조를 볼트에 적용하고, 플랩에 록킹부를 형성하여 상호간 원수방향에서 걸림이 행하여지거나 걸림이 풀릴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다수회 볼트를 돌려서 고정하는데 따른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Claims (1)

  1. 리어 엔진 버스 차량의 리어 엔진 플랩 고정구조에 있어서, 상기한 플랩(4)의 내측에 고정되는 브라켓트(16)와, 이 브라켓트의 내측에 위치하여 고정되며 내부에 플랜지(32)를 보유하는 패스너와, 상기한 플랜지(32)에 결려지거나 걸림이 해제될 수 있는 걸림돌기(24)를 보유하며 고정부재인 브러켓트(12)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볼트를 포함하는 버스 차량의 리어 엔진 플랩 고정구조.
KR2019950045811U 1995-12-22 1995-12-22 버스차량의 리어 엔진 플랩 고정구조 KR20017835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5811U KR200178354Y1 (ko) 1995-12-22 1995-12-22 버스차량의 리어 엔진 플랩 고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5811U KR200178354Y1 (ko) 1995-12-22 1995-12-22 버스차량의 리어 엔진 플랩 고정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3655U KR970043655U (ko) 1997-07-31
KR200178354Y1 true KR200178354Y1 (ko) 2000-08-01

Family

ID=19437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45811U KR200178354Y1 (ko) 1995-12-22 1995-12-22 버스차량의 리어 엔진 플랩 고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835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3655U (ko) 1997-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86641Y2 (ja) パイプ式モジユラワイパ装置のパイプ締結構造
KR200178354Y1 (ko) 버스차량의 리어 엔진 플랩 고정구조
JP4482538B2 (ja) 車両用フード構造
CA1289991C (en) Enclosure panel for tractor
KR200156717Y1 (ko) 자동차용 인스트로먼트판넬의 체결구조
JP2593108Y2 (ja) ハンドル取付構造
JPH0610049Y2 (ja) キ−シリンダの取付構造
JP3232804B2 (ja) 車両用ブロアエアインテーク部構造
KR0128841Y1 (ko) 자동차 트렁크 리드 힌지의 체결구조
KR0134325Y1 (ko) 라이센스 램프용 나비 너트의 유동방지구조
JPH0342223Y2 (ko)
JPH07285341A (ja) 自動車のドアアウトサイドハンドル装置
KR0130628Y1 (ko) 일래스틱 호스의 취부구조
JP3433852B2 (ja) 自動車用ドア構造
KR930010899B1 (ko) 회전축의 공회전방지장치
KR100405355B1 (ko) 자동차의 테일 게이트 래치 취부구조
KR0166310B1 (ko) 자동차 패널 체결용 볼트
JPH0564373U (ja) ドアロック用アクチュエーター
KR200151410Y1 (ko) 화물차의 적재함용 사이드게이트 힌지 구조
JP2000110415A (ja) 自動車のドアハンドル構造およびドアハンドル取付方法
JPH0357562Y2 (ko)
JP2528595Y2 (ja) 車室内部品の取付け構造
JP2540746Y2 (ja) ルーフライニングの取付構造
JPH0712118Y2 (ja) 窓部のガードバー取付装置
KR200147828Y1 (ko) 자동차의 판넬장착용 너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0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