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5440Y1 - 액상물 포장기의 액 주입장치 - Google Patents

액상물 포장기의 액 주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5440Y1
KR200175440Y1 KR2019990021735U KR19990021735U KR200175440Y1 KR 200175440 Y1 KR200175440 Y1 KR 200175440Y1 KR 2019990021735 U KR2019990021735 U KR 2019990021735U KR 19990021735 U KR19990021735 U KR 19990021735U KR 200175440 Y1 KR200175440 Y1 KR 2001754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packaging material
fixed
fixing
pack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17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용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동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동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동이
Priority to KR20199900217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544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54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544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00Packaging plastic material, semiliquids, liquids or mixed solids and liquid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3/04Methods of, or means for, filling the material in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 B65B3/10Methods of, or means for, filling the material in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by application of pressure to material
    • B65B3/12Methods of, or means for, filling the material in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by application of pressure to material mechanically, e.g. by pistons or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12Feeding flexible bags or carton blanks in flat or collapsed state; Feeding flat bags connected to form a series or chain
    • B65B43/14Feeding individual bags or carton blanks from piles or magazines
    • B65B43/16Feeding individual bags or carton blanks from piles or magazines by grippers
    • B65B43/18Feeding individual bags or carton blanks from piles or magazines by grippers by suction-operated gri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26Opening or distending bags; Opening, erecting, or setting-up boxes, cartons, or carton bl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1/00Devices for, or methods of, sealing or securing package folds or closures; Devices for gathering or twisting wrappers, or necks of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65B57/02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binding or wrapp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1/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61/28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discharging completed packages from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액상물 포장기의 액 주입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투입된 포장재의 개방 및 개방된 포장재내의 액주입등을 원활하게 수행함과 아울러, 액주입장치의 구조를 극히 간소시키도록 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은, 케이스 상부격판(10')의 저부 일측에 나사 결합되며, 중앙 및 선단부에는 제 1,2 고정단(220a)(220b)이 일체로 형성되며, 후단부에는 포장재의 개방을 감지하는 리미트 스위치(230)가 착설되며, 상기 제 1 고정단(220a)에는 조정볼트(270)가 결합되는 제 1 고정플레이트(210) 및, 상기 상부격판(10') 내측으로 일단이 힌지 고정되고 타측단부에는 상기 상부격판(10')을 통하여 그 하측으로 좌우 이동가능토록 설치된 이동블록(30)과 연결수단(250)으로 연결되며, 중앙 및 선단부에는 상기 제 1 고정플레이트(210)의 제 1,2 고정단(220a)(220b)과 밀착되어 투입된 포장재(S)의 양단부를 고정하는 제 3,4 고정단(260a)(260b)이 각각 일체로 형성되는 제 2 고정플레이트(2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서, 액상물을 포장하기 위한 포장재의 액 주입이 정밀하게 수행되고, 이를 위한 포장재의 개방, 개방상태의 감지, 액주입 및 포장재 두께에 대한 간격조정등이 정밀하고 간편하게 수행되는 한편, 특히 구조가 극히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액상물 포장기의 액 주입장치{Device for pouring liquid into packing-sheet in liquid material packing apparatus}
본 고안은 추출된 한약액등과 같은 액상물을 사용자가 간편하게 1회용으로 복용토록 포장하기 위하여 포장재 투입, 액 주입, 포장재 실링 및 배출등의 작업을 하나의 장치로서 수행하는 액상물 포장기에 있어서, 이송된 포장재의 개방 및 액주입을 수행하는 액 주입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구조를 극히 간소화하면서도 액 주입작동은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한 액상물 포장기의 액 주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한약액등과 같은 액상물은 사용자가 한 번 복용할 수 있는 일정량을 포장재에 주입, 밀봉하여 보관 및 복용을 편리하게 하며, 특히 현재에는 한약액 등을 개인이 달여서 복용하기 보다는 한 번에 다량을 추출한 후, 개별 포장하여 사용하는 것이 일반화되어 있는 추세이며, 이와 같은 일반적인 액상물의 포장작업에 있어서는, 공압실린더등으로 흡착 공급된 포장재에 한약액 등과 같은 액상물을 저장조에서부터 연결된 노즐로서 주입한 후, 다음 공정인 포장재의 실링작업순으로 수작업으로 진행하여 액상물의 포장공정을 완료하는 대부분 수작업으로서 포장작업을 수행하였다.
따라서, 수작업에 의한 액상물의 포장작업은 포장속도가 극히 지연될 뿐 만 아니라, 포장재에 주입되는 액상물 즉, 한약액의 양이 일정하지 않는 등의 문제가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수작업의 액상물 포장작업의 문제를 해결하는 액상물 포장기는 도1 내지 도 4에서 도시하고 있다.
즉, 이와 같은 액상물 포장기를 간략하게 살펴보면, 케이스(10)의 상측 저장조(12)와 상부 격판(10')상에 설치된 펌프(14)가 연결되고, 이와 구동모터(22)로서 승,하강하는 작동블록(24)에 연설된 힌지판(24a)로서 연결된 주입노즐(20)이 상기 펌프(14)와 연결되어 저장조(12)의 충진된 액이 주입노즐(20)을 통하여 배출되며, 상기 상부격벽(10')의 저부에 좌우 이동토록 설치된 이동블록(30)의 일측 에 설치된 흡착노즐(33)로서 케이스 개구부(10a)를 통하여 포장재(S)가 투입되면, 상기 케이스(10)내 하부격벽(10')상에 대략 90도 각도로 이송되는 회전블록(40)에 의하여 포장재(S)가 액 주입위치에 도달되며, 이때 상기 주입노즐(20)이 구동모터 (22)의 작동으로 상부격판(10')을 통하여 하강하여 포장재(S)내에 액을 주입한후, 회전블록(40)으로서 이송되어 이동블록(30)의 일측 및 케이스(10) 측벽에 설치된 실링블록(50a)(50b)로서 실링 배출되며, 이때 상기 포장재는 상부격판(10')상에 설치된 팬모터(60)와 에어관(60a) 으로부터 송풍되는 에어에 의하여 개방된다.
이때, 상기 이동블록(30)은 상기 상부격판(10')상에 설치된 구동모터(32)와 연설되어 회동하는 회동기어(34)의 하측 회전바아(36)에 핀고정되고, 상기 상부격판(10')상에 설치된 고정블록(38a)의 내측 이동볼(38b)로서 좌우 이동하는 이동판 (38)과 상부격판(10')을 통하여 연결되어 상기 구동모터(32)의 작동시 좌우 이동토록 설치된다.
한편, 이와 같은 액상물 포장기(1)에 있어서 종래의 액 주입장치(100)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3 내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블록(40)으로서 포장재(S)가 액주입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이동블록(30)에 연설되고 상부격판(10')을 통하는 이송볼트(110)가 전,후진하며, 상기 상부격판(10')의 저부에 일단이 힌지 고정된 제 1,2 이송판(120)(130)이 벌어진 상태에서 서로 접촉토록 오무려지고, 따라서 상기 제 1,2 이송판(120)(130)의 전,후측에 일체로 형성된 각각의 고정단 (124)(132)(134) 및 조정볼트(122)사이에서 포장재의 양단부가 고정된다.
즉, 상기 상부격판(10')의 팬모터(60)가 작동하면 그 에어관(60a)이 상기 상부격판(10')을 통하여 에어를 송풍하고, 이는 상기 제 1,2 이송판(120)(130)사이에 고정된 포장재(S)를 개방시키고, 상술한 주입노즐(20)이 하강하여 포장재에 액을 주입하는데, 이때 상기 주입노즐(20)은 상기 제 1 고정플레이트(120)에 설치된 리미트스위치(126)의 작동편(126a)이 포장재(S)의 개방시 탄성작동하여 상기 주입노즐(20)이 하강하여 포장재내에 액을 주입토록 된다.
한편, 상기 제 1,2 이송판(120)(130)의 조정간격은 조정볼트(122)로서 결정되는데, 예를 들어 포장재의 두께에 맞추어 조정볼트(122)로서 고정단(132)간의 간격을 포장재의 낱장 두께에 맞추어 조정하고, 만약 2장의 포장재가 제 1,2 이송판(120)(130)사이에 투입 고정되면, 상기 조정볼트(122)로서 조정된 간격이상이 되기 때문에 상기 포장재(S)는 견고하게 고정되고, 결국 송풍 에어에 의한 포장재의 개방작동으로 인한 리미트스위치(126)의 작동이 차단되어 액 주입노즐(20)의 하강 및 액주입작동이 중지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액 포장기의 액 주입장치(100)에 있어서는, 도 5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포장재(S)의 양단부를 고정하는 제 1,2 이송판(120)(130)의 이동이 힌지 고정되어 이동블록(30)에 연결된 이송볼트(110)로서 서로 오무려지고 벌려지는 전체적으로 복잡한 구조로 인하여 포장재의 액 주입장치 (100)의 제작이 어렵고 그 비용 또한 상승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포장재의 고정간격을 조정하는 제 1 이송판(120)의 조정볼트(122)가 제 2 이송판(130)의 고정단(132)과 접촉하여 포장재를 고정함으로써, 반복적인 포장재 고정작동시 상기 조정볼트(122)에 의한 고정간격이 불안정하며, 특히 이송볼트(110)에 의한 이송작동도 지속적인 반복작동시 볼트(110)의 마모에 의한 파손등으로 작동이 중지되는 등의 여러 문제점들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여러 문제점들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액상물을 포장하기 위한 포장재의 액 주입작동이 정밀하게 수행되고, 이를 위한 포장재의 개방, 개방상태의 감지, 액주입 및 포장재 두께에 대한 간격조정등이 보다 정밀하고 간편하게 수행되는 한편, 특히 구조가 극히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제조비용이 절감되는 액상물 포장기의 액 주입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도 1은 액상물 포장기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2는 액상물 포장기를 도시한 전체 구성도
도 3의 (a) 및 (b)는 액상물 포장기의 액 공급부분을 도시한 요부 사시도
도 4는 액상물 포장기의 이동블록 작동상태를 도시한 정면 구성도
도 5의 (a) 및 (b)는 종래 포장기의 액 주입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및 작동상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액상물 포장기의 액 주입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인 액상물 포장기의 액 주입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평면 구성도
도 8은 본 고안인 액상물 포장기의 액 주입장치의 이동블록을 도시한 정면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액상물 포장기 10.... 케이스
20... 주입노즐 30.... 이동블록
40.... 회전블록 50.... 실링블록
60.... 팬모터 200.... 액 주입장치
210,240.... 제 1 및 제 2 고정플레이트
220a,220b,260a,260b.... 제 1 - 4 고정단
230... 리미트 스위치 250.... 연결수단
270.... 조정볼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기술적인 구성은, 상부격판의 저부 일측에 나사 결합되며, 중앙 및 선단부에는 제 1,2 고정단이 일체로 형성되며, 후단부에는 포장재의 개방을 감지하는 리미트 스위치가 착설되며, 상기 제 1 고정단에는 조정볼트가 결합되는 제 1 고정플레이트 및,
상기 상부격판 내측으로 일단이 힌지 고정되고 타측단부에는 상기 상부격판을 통하여 그 하측으로 좌우 이동가능토록 설치된 상기 이동블록과 연결수단으로 연결되며, 중앙 및 선단부에는 상기 제 1 고정플레이트의 제 1,2 고정단과 밀착되어 투입된 포장재(S)의 양단부를 고정하는 제 3,4 고정단이 각각 일체로 형성되는 제 2 고정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액상물 포장기의 액 주입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액상물 포장기의 액 주입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인 액상물 포장기의 액 주입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평면 구성도이며, 도 8은 본 고안인 액상물 포장기의 액 주입장치의 이동블록을 도시한 정면 구성도로서, 본 고안인 액상물 포장기의 액 주입장치(200)는 제 1, 2 고정플레이트 (210)(240)로서 구성되며, 이때, 액상물 포장기(1)의 종래 기술과 동일한 구성은 동일부호로서 나타낸다.
액상물 포장기(1)의 케이스(10) 내부 상측으로 설치된 상부격판(10')의 저부에 좌우 이동토록 설치된 이동블록(30)의 일측 흡착노즐(33)에 의한 포장재(S) 투입과, 케이스(10)의 내부 하측에 설치된 하부격판(10')상에 그 저부의 구동모터로서 일정각도 회전 이송토록 설치된 회전블록(40)으로서 투입된 포장재(S)가 액 주입위치에 도달하면 저장조(12)와 펌프(14) 및 주입노즐(20)로서 액 주입하는 액 주입과, 상기 액 주입된 포장재를 상기 회전블록(40)의 타측 및 케이스(10)의 내측 에 설치된 실링블록(50a)(50b)에 의한 포장재 실링 및 회전블록(40)의 이송으로 액주입 및 실링된 포장재의 배출등의 작업을 수행하는 액상물 포장기(1)가 마련된다.
또한, 상기 제 1 고정플레이트(210)는, 상기 상부격판(10')의 저부 외측으로 나사 결합되어 고정되며, 상기 제 1 고정플레이트(210)의 중앙 및 선단부에는 수직방향으로 절곡된 제 1, 2 고정단(220a)(220b)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고정플레이트(210)의 후방 내측에는 포장재의 개방시 이를 감지토록 절곡된 작동편 (232)이 연결된 리미트 스위치(230)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격판(10')의 저부 외측으로 고정된 제 1 고정플레이트 (210)와 접촉하여 그사이에서 포장재(S)의 양단부를 고정토록 하는 상기 제 2 고정플레이트(240)는, 상기 제 1 고정플레이트(210)의 내측으로 상부 격판(10')의 저부에 일단부가 힌지판(240a)으로서 나사 결합되며, 상기 제 2 고정플레이트(240)의 타측단부에는 상기 상부격판(10')의 하측에 좌우 이동토록 설치된 상기 이동블록 (30)과 연결수단(250)으로서 연결되며, 상기 제 2 고정플레이트(240)의 중앙 및 선단부에는 상기 제 1,2 고정단(220a)(220b)과 서로 밀착 접촉하면서 수직 절곡되어 포장재(S)의 양단부를 고정하는 제 3,4 고정단(260a)(260b)이 각각 일체로 형성토록 된다.
또한, 상기 제 1,2 고정플레이트(210)(240)의 제 1 및 제 3 고정단(220a) (260a)에는 상기 제 1 고정플레이트(210)의 후방 내측으로 설치된 상기 리미트스위치(230)의 작동편(232)이 포장재(S)의 개방시 탄성 이동토록 하는 안내홈(212) (242)이 각각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고정플레이트(210)의 제 1 고정단(220a)에는 제 1, 3 고정단(220a)(260a)사이의 간격을 포장재의 두께에 맞추어 조정하는 조정볼트(270)가 설치된다.
한편, 상기 제 1,2 고정플레이트(210)(240)의 사이에는 상기 상부격판(10')을 통하여 하강하는 상기 주입노즐(20)이 위치되며, 상기 이동블록(30)과 제 2 고정플레이트(240)를 연결하는 연결수단(250)은 이동블록(30)의 좌우 이동에 따라 제 2 고정플레이트(240)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직선형의 코일스프링으로 형성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 진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추출한 한약액과 같은 액상물을 사용자가 1회 복용할 수 있는 분량으로 포장재(S)에 자동적으로 포장하는 포장기에 있어서, 투입된 포장재(S)를 한약액을 주입토록 포장재(S)의 상부 양단을 고정하고 포장재(S)를 송풍된 에어로서 개방시킨후, 하강하는 주입노즐(20)로서 저장조(12)내의 한약액을 주입한후에는, 다음의 실링공정을 수행토록 하는 구조를 극히 간소화시킨 본 고안의 액상물 포장기의 액 주입장치(200)는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 내지 도 3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액상물 포장기(1)의 전체 작동을 간략하게 살펴보면, 포장기(1)의 내측 상부격판(10')상에 설치된 구동모터 (32)와 연설된 회동기어(34)가 상기 구동모터(32)의 작동으로 회전하면, 상기 회동기어(34)의 하측으로 핀고정된 회전바아(36)가 일체로 회전한다.
이때, 상기 회전바아(36)가 회전하면 이와 핀 고정된 상기 이동판(38)은 상기 상부격판(10')상에 설치된 고정블록(38a)의 내측 이동볼(38b)사이에 위치되어 일체로 좌우 이동하며, 상기 이동판(38)의 하측에는 상부격판(10')을 통하여 이동블록(30)이 고정되고, 따라서 상기 구동모터(32)가 구동하면, 상기 이동블록(30)이 좌우 이동된다.
한편, 케이스(10)의 입구(10a)를 통하여 포장재(S)가 공급되면, 상기 이동블록(30)이 구동모터(32)로서 죄측으로 이동하고, 이때 상기 이동블록(30)의 좌측부분에는 흡착패드(33)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흡착패드(33)는 연결된 실린더에 의하여 포장재(S)를 흡착하면서 케이스(10)의 하부격판(10')상에 대략 90도간격으로 회전토록 설치된 회전블록(40)에 상기 포장재(S)를 투입시키면, 다시 회전블록(40)이 회전하여 액 주입위치로 이송되는데, 상기 포장재(S)는 그 상부부분이 다음에 설명하는 제 1,2 고정플레이트(210)(240)사이에 위치토록 조정된다.
다음, 도 2 및 3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10)의 상측 저장조(12)와 연결된 상부격판(10')상의 펌프(14)가 작동하면, 상기 펌프(14)와 연결되고 상부격판(10')상에 일측으로 설치된 구동모터(22)로서 승,하강하는 작동블록(24)과 힌지 고정된 힌지판(24a)으로서 승,하강하는 주입노즐(20)이 상부격판(10')을 통하여 하강하면서 저장조(12)내에 충진된 액을 하측의 포장재(S)내에 주입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포장재(S)는 액 주입위치에서 먼저 그 상부부분이 개방되어야 하는데, 이는 하강하는 주입노즐(20)이 포장재(S)내에 인입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액 주입위치에 도달한 포장재(S)의 양단부를 고정한 상태에서 에어로서 개방시키는 등의 작업을 수행하는 본 고안인 액상물 포장기의 액 주입장치(200)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6 내지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부격판(10')의 저부에는 서로 접촉하면 회전블록(40)으로 이송되는 포장재(S)의 상측 양단부를 고정하기 위하여 제 1,2 고정플레이트(210)(240)가 각각 설치되는데, 상기 제1 고정플레이트 (210)는 상부격판(10')의 저부에 나사결합으로 고정식으로 설치되며, 상기 제 2 고정플레이트(240)는 회전 작동하도록 설치되어 다음에 상세하게 설명하듯이, 이는 종래의 제 1,2 이송판(120)(130) 모두를 회전하여 그 고정단들을 서로 밀착토록 한 구성에 비하여 극히 간소화된 것이다.
즉, 상기 상부격판(10')의 저부 외측으로 견고하게 나사 결합된 상기 제 1 고정플레이트(210)의 중앙 및 선단부에는 수직으로 절곡된 제 1,2 고정단 (220a)(220b)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고정플레이트(210)의 내측으로 상부 격판(10')에 힌지판(240a)으로서 회전 가능하게 나사 결합되는 제 2 고정플레이트 (240)의 중앙 및 선단부에도 수직절곡된 제 3,4 고정단(260a)(260b)이 일체로 형성되고, 이에 따라 고정위치의 상기 제 1,2 고정단(220a)(220b)과 초기에 벌려진 상태로 위치되어 회전 이동하는 상기 제 3,4 고정단(260a)(260b)사이에 위치한 포장재(S)의 상측 양단부가 상기 각 고정단(220a)(220b)(260a)(260b) 사이에서 고정되는 것이다.
더하여, 도 6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 2 고정플레이트(240)는 상기 상부격판(10')의 하측에 좌우 이동하는 상기 이동블록(30)과 연결수단(250) 즉, 직선형의 코일 스프링으로서 그 일단 및 타단에 각각 연결됨으로써, 결국 구동모터 (32)의 작동으로 이동하는 상기 이동블록(30)이 포장재 흡착후 반대측(우측)으로 이동하면, 상기 스프링(250)의 탄성으로 상기 제 2 고정플레이트(240)는 힌지판( 240a)을 축으로 회전하면서 상술한 포장재 고정작업이 수행되며, 이와 같은 회전작동을 위한 구조도 종래에 비하여 극히 간소화된 것이다.
특히, 상기 제 1 고정플레이트(210)의 제 1 고정단(220a) 조정볼트(270)가 결합됨으로써, 제 1 고정단(220a)을 통한 상기 조정볼트(270)의 선단부는 결국 상기 제 1 고정단(220a)과 밀착하는 제 2 고정플레이트(240)의 제 3고정단(260a)간의 일정간격을 유지시키며, 이때 상기 간격은 포장재의 두께와 일치토록 조정볼트 (270)를 조정한다.
따라서,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3 고정단(220a)(260a)은 포장재(S)의 두께 만큼 여유간격이 있고, 이와는 반대로 제 2,4 고정단(220b)(260b)에는 별도의 조정볼트가 없어 서로 긴밀하게 밀착하며, 결국 포장재의 상부 좌측단부는 여유간격이 있는 상태에서 고정되고, 반대로 우측단부는 여유간격없이 긴밀하게 고정된다.
즉, 도 3,6 및 도 7에서 도시한 비와 같이, 제 1,2 고정플레이트(210)(240) 사이에 포장재(S)가 고정되면, 상기 상부격판(10')의 내측으로 설치된 팬모터(60)가 작동하면 상기 팬모터(60)와 연결되고 출구가 상부격판(10')을 통하여 포장재 (S)의 상측에 위치되는 에어관(60a)에서 부터 에어가 송풍되어 상기 포장재(S)의 상부부분이 개방되며, 이때 포장재(S)의 좌측단부가 상술한 여유간격으로 인하여 개방과 동시에 제 1, 3 고장단(220a)(260a)에서 이탈되며, 우측단부는 고정된 상태로 유지되며, 개방된 포장재(S)에는 상기 주입노즐(20)을 통하여 액이 주입되는 것이다.
한편, 도 6 및 도 7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포장재(S)개방이 이루져 좌측단부가 제 1,3 고정단(220a)(260a)에서 이탈되면, 상기 제 1, 3 고정단 (220a) (260a)에는 안내홈(212)(242)이 각각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 1 고정플레이트(210)의 후방에 설치된 리미트 스위치(230)의 절곡된 작동편(232)이 초기에 포장재에 지지된 상태에서 포장재의 이탈과 동시에, 상기 안내홈(212)(242)에 삽입되면서, 리미트 스위치(230)는 작동토록 된다.
따라서, 상기 포장재(s)의 개방상태를 리미트스위치(230)가 감지한후에, 주입노즐(20)이 구동모터(22)의 작동으로 하강하며, 이는 만약 두개의 포장재(S)투입되면 조정볼트(270)로서 간격이 조정된 제 1,3 고정단(220a)(260a)사이에서 두겹의 포장재가 긴밀하게 고정되면서 송풍에 의한 개방이 수행되지 않고 이는 리미트 스위치(230)의 작동을 차단하여 결국 주입노즐(20)의 하강 및 다음 포장공정이 중지되어 포장재의 액 주입불량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 투입된 포장재(S)의 액주입이 완료되면 주입노즐(20)이 상승하여 포장재(S)에서 이탈되고, 상기 포장재(S)는 회전블록(40)에 의하여 회전하여 상기 이동블록(30)의 이동으로 그 일단 및 케이스(10)의 내측벽에 설치된 실링블록 (50a)(50b)에 의하여 포장재(S)의 상부가 실링된후, 재차 이송되어 포장기(1)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서, 종래에 비하여 포장재의 액주입을 위한 포장기 액 주입장치 (200)가 극히 간소화되면서도 포장재의 액 주입작동은 보다 원활하고 정밀하게 수행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인 액상물 포장기의 액 주입장치에 의하면, 액상물을 포장하기 위한 포장재의 액 주입작동이 정밀하게 수행되고, 이를 위한 포장재의 개방, 개방상태의 감지, 액주입 및 포장재 두께에 대한 간격조정등이 보다 정밀하고 간편하게 수행되는 한편, 특히 구조가 극히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청구 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고안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Claims (3)

  1. 케이스 상부격판(10')의 저부에 이동토록 설치된 이동블록(30)의 일측 흡착노즐(33)에 의한 포장재 투입과, 케이스내에 일정각도 회전이송되는 회전블록(40)으로서 투입된 포장재가 액 주입위치에 도달하면 저장조(12)와 펌프(14) 및 주입노즐(20)로서 액 주입하는 액 주입과, 상기 액 주입된 포장재를 상기 이동블록(30)의 타측 및 케이스에 설치된 실링블록(50a)(50b)에 의한 포장재 실링 및 회전블록(40)의 이송으로 액주입되고 실링된 포장재의 배출작업을 수행하는 액상물 포장기(1)에 있어서,
    상기 상부격판(10')의 저부 일측에 나사 결합되며, 중앙 및 선단부에는 제 1,2 고정단(220a)(220b)이 일체로 형성되며, 후단부에는 포장재의 개방을 감지하는 리미트 스위치(230)가 착설되며, 상기 제 1 고정단(220a)에는 조정볼트(270)가 결합되는 제 1 고정플레이트(210) 및,
    상기 상부격판(10') 내측으로 일단이 힌지 고정되고 타측단부에는 상기 상부격판(10')을 통하여 그 하측으로 좌우 이동가능토록 설치된 상기 이동블록(30)과 연결수단(250)으로 연결되며, 중앙 및 선단부에는 상기 제 1 고정플레이트(210)의 제 1,2 고정단(220a)(220b)과 밀착되어 투입된 포장재(S)의 양단부를 고정하는 제 3,4 고정단(260a)(260b)이 각각 일체로 형성되는 제 2 고정플레이트(2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물 포장기의 액 주입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2 고정플레이트(210)(240)의 제 1,3 고정단 (220a)(260a)에는 상기 리미트 스위치(230)의 절곡된 작동편(232)이 삽입되는 안내홈(212)(242)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조정볼트(270)는 제 1, 3 고정단(220a)(260a)사이의 간격을 포장재의 두께와 일치토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물 포장기의 액 주입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블록(30)과 상부격판(10')의 저부에 회전토록 설치된 제 2 고정플레이트(240)에 일단 및 타단이 연결되어 상기 제 2 고정플레이트 (240)의 회전작동을 가능토록 하는 상기 연결수단(250)은 직선형의 코일스프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물 포장기의 액 주입장치
KR2019990021735U 1999-10-11 1999-10-11 액상물 포장기의 액 주입장치 KR2001754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1735U KR200175440Y1 (ko) 1999-10-11 1999-10-11 액상물 포장기의 액 주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1735U KR200175440Y1 (ko) 1999-10-11 1999-10-11 액상물 포장기의 액 주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5440Y1 true KR200175440Y1 (ko) 2000-03-15

Family

ID=19591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1735U KR200175440Y1 (ko) 1999-10-11 1999-10-11 액상물 포장기의 액 주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544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43425B1 (ko) 패키지 회전장치
KR100538048B1 (ko) 스파우트 파우치용기 충진포장 장치
CN102700771B (zh) 充填机
KR200175440Y1 (ko) 액상물 포장기의 액 주입장치
KR20050081699A (ko) 튜브용기의 내용물 충진장치
KR100452842B1 (ko) 충전기 내의 역류방법과 이러한 방법 실행을 위한 충전기
CN208732584U (zh) 灌装机
JPH1129194A (ja) 化粧用液体包装容器リサイクルシステム及びリサイクル用洗浄装置及びリサイクル用充填装置及びリサイクル装置
ITBO960171A1 (it) Struttura di macchine per il riempimento di contenitori con sostanze liquide
KR100330930B1 (ko) 회동형 충전노즐을 구비한 백포장기
KR200255338Y1 (ko) 액상물 포장기의 포장재 이송장치
KR20050005083A (ko) 파우치용기 자동 이송장치
US3465496A (en) Capsule forming apparatus with fluid metering valve
KR20000060747A (ko) 액상물 자동 포장장치
KR100873715B1 (ko) 자동 로터리 캡핑 장치의 캡 이송장치
CN112389781A (zh) 一种瓶装液体食品生产用具有间歇承接结构的输送装置
KR950008920B1 (ko) 용기에 대한 내용물의 주입 및 밀봉 장치
KR100371263B1 (ko) 액즙 자동 포장기
KR200210707Y1 (ko) 액즙 자동 포장기
JP3255457B2 (ja) アンプル等の充填密封装置
CN210944802U (zh) 一种直线式灌装机
JP2000062734A (ja) 包装機械の洗浄方法及び装置
CN219008270U (zh) 一种自动成型灌封机
JP2866991B2 (ja) ガス置換包装機におけるガス制限装置
KR100285039B1 (ko) 일회용 스푼 포장기의 스푼 투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10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