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0707Y1 - 액즙 자동 포장기 - Google Patents

액즙 자동 포장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0707Y1
KR200210707Y1 KR2020000022595U KR20000022595U KR200210707Y1 KR 200210707 Y1 KR200210707 Y1 KR 200210707Y1 KR 2020000022595 U KR2020000022595 U KR 2020000022595U KR 20000022595 U KR20000022595 U KR 20000022595U KR 200210707 Y1 KR200210707 Y1 KR 2002107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uice
bag
packaging
open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25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영직
Original Assignee
곽영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영직 filed Critical 곽영직
Priority to KR20200000225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070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07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0707Y1/ko

Links

Landscapes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봉투낱장투입장치와, 정량공급장치와, 실링장치 그리고 배출장치를 순차적으로 배치해두고 회전이송 및 구동장치를 통해 세팅된 포장봉투를 낱장씩 순차적으로 통과시키면서 액즙을 일정량씩 자동 포장하는 액즙 자동 포장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투입구(12)에 적재된 포장봉투를 낱장씩 공급하는 낱장공급장치(20)와; 공급된 포장봉투를 전달받아 그 입구부를 벌려 이에 액즙저장통(11)으로부터 정량의 액즙을 공급하는 정량공급장치(30)와; 가동히터(52)부와 고정히터(51)부로 구성되어 그 사이에 이송된 액즙이 담긴 포장봉투의 개구부를 융착하여 밀봉시키는 실링장치(50)와; 실링된 포장봉투를 배출시키는 배출장치와; 상기 장치들을 지지하면서 상부에 액즙저장통(11)을 갖고 일측면에는 투입구(12)와 다른 일측면에는 배출구(13)를 가지며, 상부에는 콘트롤판넬부(14)가 설치된 본체(10)로 구성된 액즙 자동 포장기에 있어서, 낱장공급장치와, 정량공급장치와 실링장치(50) 및 배출장치를 본체(10)내에 수평으로 설치된 상부지지판(19a)상에 정사각구조를 이루도록 배치하고, 상부지지판의 하부에 낱장공급장치에 의해 공급된 포장봉투를 각 장치로 순차적으로 이송시키는 회전이송장치(60)와, 낱장공급장치(20)와, 정량공급장치(30) 및 실링장치(50)들을 작동시키는 구동장치(70)를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액즙 자동 포장기{The automatic wrapping device of juice}
본 고안은 봉투낱장투입장치와, 정량공급장치와, 실링장치 그리고 배출장치를 순차적으로 배치해 두고 회전이송 및 구동장치를 통해 세팅된 포장봉투를 낱장씩 순차적으로 통과시키면서 액즙을 일정량씩 자동 포장하는 액즙 자동 포장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한약이나 녹즙, 쥬스, 각종 보약 등과 같은 액즙은 액즙자동포장기를 통해 일정한 크기의 합성수지재 또는 알루미늄 등의 포장봉투 또는 용기에 정량씩 넣고 밀봉하여 판매한다.
이러한 액즙 자동포장기는 포장봉투가 이송장치에 의해 단위 행정별로 이동되면서 액즙 주입공정과, 포장봉투 밀봉공정과, 배출공정을 차례로 수행하면서 액즙저장탱크내의 액즙이 포장봉투로 일정량씩 주입되어 자동포장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자동포장기는 낱장공급장치와, 액즙 주입장치에서 포장봉투의 양단을 지지하는 가동몸체 및 고정몸체와, 실링장치에서 가동히터를 전후진 시키는 장치들이 각각 개별적으로 구성되어 있고, 또 회전이송장치 또한 낱장공급시 액즙이 유입된 상태의 포장봉투를 이송할 때의 회전이송장치가 각각 별도로 구성되어 있어 조잡할 뿐만 아니라 많은 부품들이 필요하게 됨에 따라 고장이 잦음은 물론 가격이 상승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정량공급장치에서 액즙을 일정량 공급한 후에는 공급관에 액즙이 남아있게 됨에 따라 정확한 량을 공급할 수가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실링장치시 포장봉투내의 공기가 배출되지 않아 실링공정시 액즙이 외부로 방출되거나 실링불량이 발생될 우려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낱장공급장치와, 정량공급장치에서 포장봉투를 지지하는 고정 및 가동몸체와, 실링장치에서 가동히터를 전후진 시키는 장치들을 하나의 장치로 가능하게 하고, 낱장공급공정에서부터 배출공정까지 포장봉투를 이송하는 회전이송장치를 하나의 장치로 단순화하여 적은 부품으로도 정확하게 공정을 수행할 수 있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고장이 적고 저렴한 가격의 자동포장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정량공급장치로 액즙을 공급할 때 공급호스의 내에 잔류된 액즙까지 배출되도록 하여 정확한 양의 액즙을 포장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더욱더 위생적인 자동포장기를 이루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실링장치에서 포장봉투의 개구부를 실링할 때 내부의 공기를 방출시킨 후 실링작업을 실시하도록 하므로써 실링공정시 액즙이 외부로 유출되는 현상을 방지하고, 실링불량이 최소화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포장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포장기의 정면에서본 내부구조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포장기의 배면에서본 내부구조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포장기의 요부 사시도.
도 5는 도 4의 평면도.
도 6은 도 4의 저면도.
도 7은 도 4의 배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포장기의 투입구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액즙정량공급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회전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본체 11 - 액즙저장통 12 - 투입구
13 - 배출구 14 - 콘트롤판넬부 15 - 드레인콕
16 - 스위치 17 - 코드선 18 - 바퀴
19a,19b - 상,하부지지판 20 - 낱장공급장치 21 - 지지편
22 - 밀착판 23 - 스프링 24a,24b - 가이드레일
25 - 슬라이더 26 - 진공흡착판 27 - 지지관
28a - 구멍 29 - 실린더 30 - 정량공급장치
31 - 공급관 32 - 고정몸체 33 - 가동몸체
34a,34b - 요홈 35a,35b - 가이드레일 36 - 위치센서
37 - 온풍기 38 - 브래킷 39 - 개폐밸브
40 - 개폐레버 41 - 안내브래킷 42 - 안내홈
43a,43b - 수직,개폐구간 44 - 슬라이딩핀 45 - 정량공급모터
46 - 구동레버 47 - 작동홈 48 - 바이브레이터
49a,49b - 위치센서 50 - 실링장치 51 - 고정히터
52 - 가동히터 53 - 지지편 60 - 회전이송장치
61 - 이송모터 62 - 회전판 63a∼63d - 이송박스
64 - 배출구멍 70 - 구동장치 71 - 구동모터
72 - 회전구동판 73a∼73b - 아암 74 - 에어밸브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상기 투입구에 적재된 포장봉투를 낱장씩 공급하는 낱장공급장치와; 공급된 포장봉투를 전달받아 그 입구부를 벌려 이에 액즙저장통으로부터 정량의 액즙을 공급하는 정량공급장치와; 가동히터부와 고정히터부로 구성되어 그 사이에 이송된 액즙이 담긴 포장봉투의 개구부를 융착하여 밀봉시키는 실링장치와; 상기 실링된 포장봉투를 배출시키는 배출장치와; 상기 장치들을 지지하면서 상부에 액즙저장통을 갖고 일측면에는 투입구와 다른 일측면에는 배출구를 가지며, 상부에는 콘트롤판넬부가 설치된 본체로 구성된 액즙 자동 포장기에 있어서,
상기 낱장공급장치와, 정량공급장치와 실링장치 및 배출장치를 본체내에 수평으로 설치된 지지판상에 사방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하고,
상기 지지판의 하부에 낱장공급장치에 의해 공급된 포장봉투를 각 장치로 순차적으로 이송시키는 회전이송장치와,
상기 낱장공급장치와, 정량공급장치 및 실링장치들을 작동시키는 구동장치를 구성하여 달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포장기의 사시도로서, 액즙 자동포장기 본체(10)의 상부에는 액즙저장통(11)이 구성되고, 정면 상부에는 콘트롤판넬부(14)가 구성되며, 우측면에는 포장봉투가 적재되는 투입구(12)가 설치되고, 정면 하부에는 배출구(13)가 구성된다. 또 투입구(12)의 측부에 드레인콕(15)이 설치되고, 그 상부에는 스위치(16)가 설치되며, 다른 일측에는 외부전원을 연결하는 코드선(17)이 구비된다. 그리고 이러한 자동포장기의 하부에는 이동이 용이하도록 바퀴(18)가 설치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포장기의 정면에서 본 내부구조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포장기의 배면에서 본 내부구조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포장기의 요부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4의 저면도이며, 도 7은 도 4의 배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포장기의 내부에는 두 개의 지지판이 횡으로 설치되어 있다.
상부지지판(19a)에는 투입구(12)에 적재된 포장봉투를 낱장씩 공급하는 낱장공급장치(20)와, 공급된 포장봉투를 전달받아 그 입구부를 벌려 이에 액즙저장통(11)으로부터 정량의 액즙을 공급하는 정량공급장치(30)와, 가동히터(52)와 고정히터(51)로 구성되어 그 사이에 이송된 액즙이 담긴 포장봉투의 개구부를 융착하여 밀봉시키는 실링장치(50)와, 실링된 포장봉투를 배출시키는 배출장치가 설치되어 있고, 이들 낱장공급장치(20)와, 정량공급장치(30)와 실링장치(50) 및 배출장치들은 사방 일정한 간격으로 마치 정사각 구조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지지판(19a)의 저면에는 낱장공급장치(20)와, 정량공급장치(30)에서 포장봉투를 지지하는 가동몸체(33)와, 실링장치(50)에서 가동히터(52) 등을 동시에 전후진 시키는 구동장치(7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하부지지판(19b)에는 낱장 공급된 포장봉투를 각각의 장치로 이송시키는 회전이송장치(60)가 구성되어 있다.
세부적으로 낱장공급장치(20)는 도 8에서와 같이 바닥이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고, 그 양측에는 측벽이 형성되어 여러장의 포장봉투를 가지런히 정렬시켜 적재할 수 있는 투입구(12)가 구비되고, 투입구(12)의 내측에 적재된 포장봉투의 상하단 또는 양측단을 지지하는 지지판(21)이 설치되고, 지지판(21)의 양측에 설치된 스프링(23)에 의해 투입구(12)에 적재된 포장봉투의 후측을 지지판(21) 쪽으로 밀착시키는 밀착판(22)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본체내의 상부지지판(19a)에는 투입구(12) 쪽을 향하여 양측 복수개의 가이드레일(24a)(24b)이 설치되어 있고, 이 가이드레일(24a)(24b) 상에는 구동장치(70)에 의해 전·후진되는 슬라이더(25)가 설치되며, 슬라이더(25)의 전면에는 수평한 지지관(74)과 그 단부에 설치된 진공흡착판(26)이 설치된다. 이 진공흡착판(26)은 전진시 투입된 포장봉투의 전면에 밀착되어 후퇴시 진공흡착력에 의해 투입구(12)에 정렬되어 있는 포장봉투중 최전면에 위치한 낱장의 포장봉투를 분리시킨 다음 후퇴완료 후 정위치에서 진공상태를 해지시켜 분리시키므로 자연낙하에 의해 낱장의 포장봉투가 회전이송장치(60)로 세팅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포장봉투가 낙하하는 지점의 상부지지판(19a)에는 포장봉투가 회전이송장치(60)로 공급될 수 있도록 구멍(28a)이 형성되어 있고, 정확한 위치로 세팅될 수 있도록 가이드판(28b)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후술될 에어밸브(74)와 진공흡착판(26)이 연결되어 진공흡착판(26)에 부착되어 있는 포장봉투를 분리할 때 진공흡착판(26)에 공기를 공급시켜 진공상태를 해지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낱장공급장치(20)의 일측에는 슬라이더(25)와 연결되어 작동하는 실린더(29)가 설치되어 있고, 상부지지판(19a)의 일측에 설치된 에어밸브(74)와 공기이송관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에어밸브(74)는 실린더(29)의 전진시 압축되는 공기를 임시 저장하여 두었다가 후술될 정량공급장치(30)에서 개구부가 벌어진 포장봉투의 내부로 순간 분사하여 내부의 용적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액즙공급관(31)의 단부와 공기이송관으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정량공급장치(30)는 도 9에서와 같이 상부지지판(19a)의 저면부에 설치되는데, 회전이송장치(60)로 이송된 포장봉투를 지지하는 두 개의 몸체가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고, 그 상부에는 액즙저장통(11)과 연결된 액즙 공급관(31)이 설치되어 있다.
포장봉투를 지지하는 두 개의 몸체는 고정몸체(32)와, 구동장치(70)에 의해 고정몸체(32) 쪽으로 전후진되는 가동몸체(33)로 구성된다. 또 두 몸체가 접하는 각각의 면에는 오목한 요홈(34a)(34b)이 형성되어 있어 밀착시 포장봉투의 상단 양측을 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양측에는 가이드레일(35a)(35b)이 형성되어 가동몸체(33)가 고정몸체(32) 쪽으로 전·후진 작동을 안내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고정몸체(32)의 요홈(34a)(34b) 내측 하부에는 포장봉투가 벌어진 상태를 감지하는 위치센서(36)[도 9참조]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부지지판(19a)의 상부에는 고정몸체(32)와 가동몸체(33)사이에 개재된 포장봉투의 개구부를 향하여 온풍을 불어주어 개구부를 벌려주는 온풍기(37)가 설치되어 있다. 이때 온풍기(37)는 고정몸체의 센서에 포장봉투의 개구부가 벌어짐이 위치센서(36)에 감지되면 정지하도록 되어 있다.
공급관(31)의 하단부는 수평한 브래킷(38)이 결합되고, 이 브래킷(38)은 양측에 수직으로 설치된 가이드레일(35c)(35d)에 안내를 받아 승·하강 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일측 가이드레일에는 브래킷에 텐션을 가하는 스프링(38a)이 설치되어 있다. 승·하강되는 범위는 공급관(31)의 하단부가 세팅된 포장봉투의 개구부내로 삽입되고 액즙을 공급후 후퇴하여 포장봉투가 다음공정으로 이송될 때 간섭받지 않을 정도의 높이 이다.
또한 액즙공급관(31)의 하부에는 개폐밸브(39)가 설치되어 있고, 이 개폐밸브(39)의 측부에는 개폐밸브(39)를 작동시키는 개폐레버(40)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레버(40)의 단부는 안내브래킷(41)에 연결되어 있다. 이 안내브래킷(41)에는 공급관(31)의 하단을 개구된 포장봉투의 내부로 하강 안내하는 수직의 승하강구간과 그 하단에 개폐레버(46)를 작동시키는 호형상의 개폐구간(43b)으로 구분된 안내홈(42)을 갖고 있어 개폐밸브(39)의 단부가 이 안내홈(42)에 슬라이딩핀(44)으로 연결되어 있다.
안내브래킷(41)의 일측부에는 정량공급모터(45)가 설치되어 있고, 그 회전축에는 구동레버(46)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구동레버(46)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작동홈(47)을 구비하여 그 내부에 슬라이딩핀(44)을 삽입시켜 정량공급모터(45)의 회전에 따라 구동레버(46)는 슬라이딩핀(44)을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음과 아울러 개폐구간(43b)에서는 회동시켜 개폐밸브(39)를 개방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액즙공급관(31)에는 액즙을 배출시킨 후 잔류된 액즙을 배출시켜 주는 바이브레이터(48)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안내브래킷(41)에는 두 개의 위치센서(49a)(49b)가 설치되어 있다. 그 중 하나는 작동홈(47)의 수직구간(43a) 상단에 설치되어 개폐밸브(39)의 액즙공급이 완료되었음을 인식하는 센서(49a)이고, 다른 하나는 개폐레버(46)가 개폐밸브(39)를 일정시간 개방시킨 후 후퇴하여 개폐구간(43b)을 후퇴했음을 알리는 센서(49b)이다. 즉, 수직구간(43a)이 상단에 설치된 센서는 동작의 완료상태를 인식하여 다음 공정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용도이고, 개폐구간(43b)에 설치된 센서는 개폐동작을 완료한 것을 인식하여 일정시간동안 바이브레이터(48)를 동작시켜 잔류된 액즙을 완전히 배출시키기 위한 용도이다.
또한 실링장치(50)는 낱장공급장치(20)의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고, 고정히터(51)와 가동히터(52)로 구성되어 있다. 가동히터(52)와 고정히터(51)의 대면부에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평행한 실링날이 일정한 온도로 가열되어 있어 이송되는 포장봉투가 위치하게 되면 가동히터(52)가 고정히터(51) 쪽으로 전진하여 그 사이에 개재된 포장봉투의 상단부를 융착시켜 실링 하도록 되어 있다.
특히, 가동히터(52)의 하부에는 고정히터(51) 쪽으로 만곡 돌출된 지지편(53)이 설치되어 고정히터(51)로 가동히터(52)가 이동하여 실링작업을 실시할 때 액즙이 채워진 비닐의 측면부를 눌러 공기를 빼고 개구부를 좁혀 용이하게 실링 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포장봉투를 이송하는 회전이송장치(60)는 도 10과 같이 하부지지판(19b)의 하부에 이송모터(61)가 설치되고, 상면에는 이송모터(61)와 연결되어 90°각으로 간헐적으로 회전되는 회전판(62)이 축결합되어 있으며, 각 장치와 대응되는 회전판(62) 상부에는 액즙이 담긴 포장봉투를 충분히 수용할 수 있는 크기 및 형상의 구멍이 상하로 관통된 구조의 이송박스(63a∼63d)들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배출장치의 하부와 대응되는 하부지지판(19b)에는 배출구멍(64)이 설치되어 있고, 이 배출구멍(64)의 하부는 배출구(13)와 연결되어 있다. 이 배출구멍(64)에 의해 실링 공정을 거친 포장된 액즙이 자유낙하 하여 배출구(13)로 배출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구동장치(70)는 회전구동판(72)이 각 장치의 중앙부이면서 상부지지판(19a)의 하부에 축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부지지판(19a)의 상부에는 구동모터(71)가 회전구동판(72)의 축과 연결되어 회전구동판(72)을 정역회전시킬 수 있게 설치되며, 회전구동판(72)의 둘레에 세 개의 아암(73)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때 일측 아암(73)의 선단은 낱장공급장치(20) 슬라이더(25)에, 그리고 다른 일측 아암(73)은 정량공급장치(30)의 가동몸체(33)에 연결되어 있고, 그리고 나머지 아암(73)의 일단은 실링장치의 가동히터(52)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일측 구동모터(71)가 정회전하면 회전판의 아암(73)이 낱장공급장치(20)의 아암(73)과 정량공급장치(30)의 가동몸체(33) 및 실링장치(50)의 가동히터(52)를 밀어 전진시키고, 역회전하게 되면 다시 후퇴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한 가동히터(52)가 이동하는 구간에는 가동히터(52)의 전진시 지지편(53)이 포장봉투의 측면과 밀착되는 지점에서 가동히터(52)의 위치를 센싱하는 위치센서가 설치되어 있고, 또 전진동작이 완료되어 실링 작동을 실시하는 위치에서 가동히터(52)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가 설치되어 있다. 이는 가동히터(52)가 포장봉투에 지지편(53)이 밀착되는 순간에서부터는 구동장치(70)가 서서히 작동하여 충진된 액즙이 충격에 의해 외부로 유출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전방의 센서에 가동몸체(33)가 센싱되면 가동몸체(33)는 실링 작동이 완료될 때가지 설정된 시간동안 정지해 있다가 후퇴하도록 되어 있다.
상술한 구성으로 되어 있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투입구(12)에 여러장의 포장봉투를 가지런히 정렬시켜 안착시킨 후 그 후측을 밀착판(22)으로 가압하여 고정시킨다.
이 상태에서 장치를 작동시키면 우선 구동장치(70)가 회전하여 슬라이더(25)를 전진시킨다. 슬라이더(25)는 전진하면서 전방에 설치된 진공흡착판(26)이 투입구(12) 최선단부에 위치한 포장봉투의 전면에 밀착된다. 이 상태에서 다시 구동장치(70)는 후퇴하게 되어 슬라이더(25)와 진공흡착판(26)은 후퇴하게 되고, 진공흡착판(26)에 의해 진공 흡착된 낱장의 포장봉투 한 장이 투입구(12)로부터 분리되어 이송된다. 후퇴가 완료되면 별도의 에어밸브(74)에 의해 진공흡착판(26)의 진공상태가 해지되어 낱장의 포장봉투는 낙하하게 되고, 상부지지판(19a)에 형성된 구멍(28a)을 지나 하부에 설치된 회전이송장치(60)의 이송박스(63a∼63d)에 세팅된다.
구동장치(70)의 작동이 완료되면 이번에는 회전이송장치(60)가 작동하여 90°가량 회전하여 다음공정 즉, 정량투입장치로 회전한 후 정지한다.
회전장치의 작동이 정지하게 되면 다시 구동장치(70)가 작동하여 가동몸체(33)가 전진하여 세팅된 비닐의 상단 양측을 물어 고정시킨다. 그리고는 상부에 설치된 온풍기(37)가 작동하여 개구부로 온풍을 불어 포장봉투의 비닐을 개구시킨다. 포장봉투가 개구된 상태에서는 다시 에어밸브(74)에 의해 압축되어 있던 공기를 순간적으로 불어주어 포장봉투의 내부에 용적을 최대한 벌려준다. 이와 같이 포장봉투가 완전히 벌어지게 되면 고정몸체(32)의 하부에 설치된 위치센서(36)가 벌어진 포장봉투를 인식하게 되어 이 신호에 의해 구동모터(71)를 작동시킨다. 만일 위치센서(36)에 포장봉투가 벌어진 상태가 감지되지 않게 되면 에러메시지를 발생시키거나, 액즙공급공정을 수행하지 않고 다음공정을 수행한 후 재차 동일한 에러가 발생되면 모든 작동을 정지시키도록 되어 있다.
공급모터가 작동하면 이와 연결된 구동레버(46)가 회동하여 개폐레버(40)를 안내홈(42)을 따라 하강시키게 된다. 이때 구동레버(46)와 개폐레버(40)는 슬라이딩핀(44)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개폐레버(40)는 자연히 안내홈(42)의 수직구간(43a)을 따라 하강하기 때문에 액즙공급관(31)의 하단부가 하강하여 개구된 포장봉투의 상부 내에 위치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모터가 계속해서 작동하면 구동레버(46)가 안내브래킷(41)의 작동홈(47)에 형성된 개폐구간(43b)을 따라 개폐레버(40)를 회동시켜 액즙을 공급한다. 정량의 액즙이 공급될 시간이 지나면 다시 정량공급모터(45)는 역으로 작동하여 구동레버(46)가 개폐레버(40)를 회동시켜 액즙의 공급을 차단한다. 개폐레버(40)가 개폐구간(43b)을 후퇴하게 되면 센서가 이를 센싱하여 제어부에서 정량공급모터(45)를 일정시간 정지시키게 됨과 동시에 바이브레이터(48)를 일정시간도안 작동시킨다. 공급관(31)에 설치된 바이브레이터(48)가 진동하게 되면 공급관(31) 내부에 잔류되어 있는 액즙이 포장봉투내로 유입되게 되어 오차가 거의 없을 정도로 공급된다. 바이브레이터(48)의 진동이 완료되면 다시 정량공급모터(45)를 역회전시켜 구동레버(46)가 개폐레버(40)를 후퇴시키므로써 하강되어 있던 공급관(31)을 승강시키게 되고, 작동이 완료되면 센서가 개폐레버(40)의 위치를 감지하여 구동장치(70)의 구동모터(71)를 역회전시켜 가동몸체(33)를 후퇴시킨다.
이 작동이 완료되면 다시 회전장치가 회전하여 액즙이 담긴 포장봉투를 실링장치(50)로 이송하게 되게 된다. 이송이 완료되면 다시 구동장치(70)가 작동하여 가동히터(52)를 고정몸체(32)로 전진시킨다. 가동히터(52)가 전진하면 하부에 설치된 지지편(53)이 포장봉투의 측면에 면접되는 순간 가동히터(52)의 위치를 감지하여 구동장치(70)가 천천히 작동한다. 이 작동에 의해 가동히터(52)의 하부에 설치된 지지편(53)이 포장봉투의 측면을 서서히 밀어 개구부를 좁히므로써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방출시킨다. 이 상태에서 가동히터(52)가 고정히터(51)로 밀착되어 그 사이에 개재된 포장봉투의 상단을 실링 한다. 이때에도 센서가 가동히터(52)를 감지하게 되면 일정시간동안 정지하여 두었다가 다시 구동장치(70)는 역으로 작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실링장치(50)의 작동이 완료되면 다시 회전이송장치(60)가 회전하게 되고 실링 되어 포장 완료된 액즙은 회전하여 배출구(13)로 자동 배출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낱장공급장치, 정량공급장치, 실링장치 및 배출장치를 정사각 구조로 배치시킨 다음 회전이송장치로 포장봉투를 낱장씩 순차적으로 공급하면서 액즙을 포장하도록 함과 아울러, 낱장공급장치와, 정량공급장치에서 포장봉투를 지지하는 가동몸체와, 실링장치에서 가동히터를 전후진 시키는 장치들을 하나의 구동장치로 가능하게 하고, 낱장공급공정에서부터 배출공정까지 포장봉투를 이송하는 회전이송장치를 하나의 장치로 단순화하여 적은 부품으로도 정확하게 공정을 수행할 수 있고, 고장이 적고 가격을 낮추며,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정량공급장치로 액즙을 공급할 때 공급호스의 내에 잔류된 액즙까지 배출되도록 되어 있어 정확한 양의 액즙을 포장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더욱더 위생적인 효과가 있으며, 실링장치에서 포장봉투의 개구부를 실링할 때 내부의 공기를 방출시킨 후 실링작업을 실시하도록 되어 있어 실링 불량이 최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상기 투입구(12)에 적재된 포장봉투를 낱장씩 공급하는 낱장공급장치(20)와; 공급된 포장봉투를 전달받아 그 입구부를 벌려 이에 액즙저장통(11)으로부터 정량의 액즙을 공급하는 정량공급장치(30)와; 가동히터(52)부와 고정히터(51)부로 구성되어 그 사이에 이송된 액즙이 담긴 포장봉투의 개구부를 융착하여 밀봉시키는 실링장치(50)와; 상기 실링된 포장봉투를 배출시키는 배출장치와; 상기 장치들을 지지하면서 상부에 액즙저장통(11)을 갖고 일측면에는 투입구(12)와 다른 일측면에는 배출구(13)를 가지며, 상부에는 콘트롤판넬부(14)가 설치된 본체(10)로 구성된 액즙 자동 포장기에 있어서,
    상기 낱장공급장치(20)와, 정량공급장치(30)와 실링장치(50) 및 배출장치를 본체(10)내에 수평으로 설치된 상부지지판(19a)상에 정사각구조를 이루도록 배치하고,
    상기 상부지지판의 하부에 낱장공급장치(20)에 의해 공급된 포장봉투를 각 장치로 순차적으로 이송시키는 회전이송장치(60)와,
    상기 낱장공급장치(20)와, 정량공급장치(30) 및 실링장치(50)들을 작동시키는 구동장치(70)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즙 자동 포장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낱장공급장치(20)는 여러장의 포장봉투를 가지런히 정렬시켜 적재하는 적재부와, 이 탑재부의 전방 상하단을 지지하는 지지판(21)과, 상기 지지판(21)의 양측에 설치된 스프링(23)에 의해 상기 적재된 포장봉투의 후측을 지지판(21)쪽으로 밀착시키는 밀착판(22)과, 상기 투입구(12)쪽을 향하여 설치된 양측 가이드레일(24a)(24b)과, 이 가이드레일(24a)(24b)을 타고 구동장치(70)에 의해 전후진되는 슬라이더(25)와, 상기 슬라이더(25)의 전방에 설치되어 전진시 투입된 포장봉투를 흡착하고 후퇴시 정위치에서 분리시키는 진공흡착판(26)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즙 자동 포장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흡착판(26)의 후측에 연결되어 분리된 포장봉투를 진공상태를 해지하여 분리시키는 에어밸브(74)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즙 자동 포장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량공급장치(30)는 중앙부에 둥근 요홈(34a)(34b)을 갖고 이송된 포장봉투의 상부 일측면을 지지하는 고정몸체(32)와;
    상기 고정몸체(32)를 바라보는 면에 고정몸체(32)와 같은 요홈(34a)(34b)을 갖고 양측의 가이드레일(35a)(35b)을 타고 구동장치(70)에 의해 고정몸체(32)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회전이송장치(60)로 이송된 낱장의 포장봉투의 양측 상단을 고정시키는 가동몸체(33)와,
    상기 고정몸체(32)와 가동몸체(33)의 상부에 설치되어 고정몸체(32)에 의해 고정된 포장봉투의 개구부로 온풍을 일정시간동안 불어 개구부를 벌려주는 온풍기(37)와;
    액즙저장통(11)의 하부에 연결 설치됨과 아울러 하단부가 양측의 가이드레일(35c)(35d)에 안내되어 소정 높이로 승하강 가능하도록 충분한 길이를 갖는 공급관(31)과;
    그 하부에 개폐밸브(39) 및 그 개폐밸브(39)를 작동시키는 개폐레버(40)와;
    상기 액즙공급관(31)의 하단을 개구된 포장봉투의 내부로 하강 안내하는 수직의 승하강구간과 그 하단에 개폐레버(46)를 작동시키는 호형상의 개폐구간(43b)으로 구분된 안내홈(42)을 갖고 공급관(31)의 측부에 설치되는 안내브래킷(41)과;
    상기 안내브래킷(41)의 안내홈(42)에 개폐레버(46)의 단부가 슬라이딩핀(44)으로 연결되며, 중앙부에 길이방향으로 상기 슬라이딩핀(44)이 삽입 안내되는 길이방향의 작동홈(47)을 구비한 구동레버(46); 및
    상기 구동레버(46)를 회전시키는 정량공급모터(45)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즙 자동 포장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액즙공급관(31)에 액즙을 배출시킨 후 설정된 시간동안 진동하여 공급관(31)의 잔여 액즙을 배출시키는 바이브레이터(48)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즙 자동포장기.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브래킷(41)의 안내홈(42) 상부에 레버(40)가 복귀했음을 인식하는 위치센서(49a)(49b)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즙 자동 포장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이송장치(60)는 본체(10)내에 수평하게 설치되고, 상기 배출장치의 하부로 배출구멍(64)이 형성된 하부지지판(19b)과, 상기 하부지지판의 상부 중앙에 회전 가능하게 축착된 회전판(62)과, 액즙이 담긴 포장봉투를 충분히 수용할 수 있는 크기 및 형상의 구멍이 상하로 관통되면서 상기 각 장치와 대응되는 회전판(62)상에 각각 설치된 4개의 이송박스(63a∼63d)들과, 상기 회전판(62)의 회전축 하단에 연결되어 각 장치가 설치된 위치로 상기 회전판(62)을 간헐적으로 회전시키는 이송모터(61)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즙 자동 포장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70)는 각 장치의 중앙부 상부지지판(19a)상에 회전구동판(72)을 축회전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회전구동판(72)을 일정시간 간격으로 정역회전시키는 구동모터(71)를 구성하고, 상기 회전구동판(72)의 둘레에 세 개의 아암(73)을 회동 가능하게 구성하여 일측 아암(73)의 선단은 낱장공급장치(20)의 슬라이더(25)에, 그리고 다른 일측 아암(73)은 정량공급장치(30)의 가동몸체(33)에 연결하고, 그리고 나머지 아암(73)의 일단은 실링장치(50)의 가동히터(52)에 연결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즙 자동 포장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장치(50)의 가동히터(52)의 하부에고정히터(51)쪽으로 만곡 돌출된 구조로 가동히터(52)와 함께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지지편(53)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즙 자동 포장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장치(50)의 지지편(53)이 포장봉투에 밀착되면 이를 감지하여 상기 가동히터(52)가 천천히 작동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즙 자동 포장기.
KR2020000022595U 2000-08-08 2000-08-08 액즙 자동 포장기 KR2002107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2595U KR200210707Y1 (ko) 2000-08-08 2000-08-08 액즙 자동 포장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2595U KR200210707Y1 (ko) 2000-08-08 2000-08-08 액즙 자동 포장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5978A Division KR100371263B1 (ko) 2000-08-08 2000-08-08 액즙 자동 포장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0707Y1 true KR200210707Y1 (ko) 2001-01-15

Family

ID=73087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2595U KR200210707Y1 (ko) 2000-08-08 2000-08-08 액즙 자동 포장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070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0571B1 (ko) 직렬 순차 이송 방식의 신속 자동포장장치
KR101278451B1 (ko) 백-인-박스 방식의 포장시스템
US6295790B1 (en) Compact bag filling machine
CN111498154B (zh) 包装系统
KR101951347B1 (ko) 자동 포대 공급장치
US524940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e of wicketed bags with an encapsulated article and the bags formed thereby
JPH11189201A (ja) 袋詰め装置および方法
KR20170051973A (ko) 티백 포장장치
KR20170023647A (ko) 진단키트용 포장시스템
KR100798753B1 (ko) 포장기
JPS60204405A (ja) 高稠度組成物の袋詰め方法及びその装置
KR100371263B1 (ko) 액즙 자동 포장기
CN110451024A (zh) 一种塑料母粒半密封式袋装装置
KR200210707Y1 (ko) 액즙 자동 포장기
KR101019344B1 (ko) 알약 및 환약을 동시에 조제하기 위한 포장 장치
KR101323825B1 (ko) 블리스터 포장기
KR100547913B1 (ko) 파이프 및 바의 포장장치 및 그를 이용한 포장방법
EP2644519B1 (en) A fitment indexer for a pouch filler
JP4721024B2 (ja) 包装体製造装置
KR20090027309A (ko) 진공포장기
JP4233028B2 (ja) 包装機に対する包袋及び被包装物の供給装置
KR101156752B1 (ko) 모래 자동포장장치
KR950010540B1 (ko) 액체 한약제의 자동포장장치
KR20090116258A (ko) 진공포장기
KR20190136273A (ko) 로터리형 포장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107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