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60747A - 액상물 자동 포장장치 - Google Patents

액상물 자동 포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60747A
KR20000060747A KR1019990009330A KR19990009330A KR20000060747A KR 20000060747 A KR20000060747 A KR 20000060747A KR 1019990009330 A KR1019990009330 A KR 1019990009330A KR 19990009330 A KR19990009330 A KR 19990009330A KR 20000060747 A KR20000060747 A KR 200000607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phragm
packaging material
packaging
plate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93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10202B1 (ko
Inventor
안용순
Original Assignee
안용순
주식회사 동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용순, 주식회사 동이 filed Critical 안용순
Priority to KR10199900093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0202B1/ko
Priority to CN99119410A priority patent/CN1267617A/zh
Publication of KR200000607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07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02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02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00Packaging plastic material, semiliquids, liquids or mixed solids and liquid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3/04Methods of, or means for, filling the material in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12Feeding flexible bags or carton blanks in flat or collapsed state; Feeding flat bags connected to form a series or chain
    • B65B43/14Feeding individual bags or carton blanks from piles or magazines
    • B65B43/16Feeding individual bags or carton blanks from piles or magazines by grippers
    • B65B43/18Feeding individual bags or carton blanks from piles or magazines by grippers by suction-operated gri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42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 B65B43/50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using rotary tables or turr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5/00Details peculiar to packaging machin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s of such details
    • B65B65/02Driving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210/00Specific aspects of the packaging machine
    • B65B2210/06Sterilising or cleaning machinery or cond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9/00Nozzles, funnels or guides for introducing articles or materials into containers or wra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26Opening or distending bags; Opening, erecting, or setting-up boxes, cartons, or carton blanks
    • B65B43/34Opening or distending bags; Opening, erecting, or setting-up boxes, cartons, or carton blanks by internal pressure
    • B65B43/36Opening or distending bags; Opening, erecting, or setting-up boxes, cartons, or carton blanks by internal pressure applied pneumat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1/00Devices for, or methods of, sealing or securing package folds or closures; Devices for gathering or twisting wrappers, or necks of bags
    • B65B51/10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 B65B51/14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by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members
    • B65B51/146Closing bags

Abstract

본 발명은 액상물 자동 포장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액상물을 자동적으로 포장하고 청결상태를 양호하게 유지하며 이동 및 사용이 편리한 액상물 자동 포장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은, 저장조(12a)와 내설된 제 1,2 격판(16)(18)을 갖는 본체부(10); 격판(16)의 상부 일측으로 설치된 적재브라켓트(34)의 내측으로 마련되고, 격판(16)의 중앙에 이동토록 설치된 이동부재(92)와 연설되는 흡착수단(44)를 구비하는 포장재 투입부(30); 저장조 (12a)와 펌프(54)를 개재하여 연결되고, 상,하 운동토록 설치되는 주입수단(60)을 구비하는 액 공급부(50); 격판(16)상에 설치된 송풍기(72)와 연통되어 포장재(S)를 개방토록 하는 에어수단(74)과, 격판(16)의 저면에 밀착토록 설치되는 제 1, 2 고정부재(74)(76)를 구비하는 액 주입부(70); 상기 이동부재(92)의 하측으로 연설되는 이동블록(94)의 전방에 설치되는 제 1 실링판(100)과 제 2 실링블록(102)을 구비하는 포장재 실링부(90); 및, 격판(18)상에 설치된 회전블록(118)에 고정되는 캠플레이트(120)를 개재하여 회전 작동토록 설치되며, 적재블록(114)이 상부에 결합된 회전부재(112)를 구비하는 포장재 이송부(110);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액상물 자동 포장장치{A automatic packing device for liquid material}
본 발명은 추출된 한약액등과 같은 액상물을 자동적으로 포장토록 하는 액상물 자동 포장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로는 한약액등의 액상물을 수작업 없이 간편하고 자동적으로 포장토록 하며, 포장장치의 청결상태가 항상 양호하게 유지됨과 아울러, 이동 및 보관이 간단하여 사용이 편리하게 될 수 있도록 한 액상물 자동 포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한약액등과 같은 액상물은 사용자가 한 번 복용할 수 있는 일정량을 포장재에 주입, 밀봉하여 사용이 편리하게 하며, 특히 현재에는 한약액 등을 개인이 달여서 복용하기 보다는 한 번에 다량을 추출한 후, 개별 포장하여 사용하는 것이 일반화되어 있는 추세이다.
이와 같은 액상물의 종래의 포장작업에 있어서는, 공압실린더등으로 흡착 공급된 포장재에 한약액 등과 같은 액상물을 저장조에서부터 연결된 노즐로서 주입한 후, 다음 공정인 포장재의 실링작업순으로 진행되어 액상물의 포정공정이 완료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의 액상물 포장공정의 액상물 주입작업에 있어서는, 공급된 포장재를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개방시킨 후, 추출된 액상물이 저장된 저장조로 부터 연결된 주입노즐로서 액상물을 포장재내에 주입하는 수작업을 통하여 수행되거나, 또는 포장장치에서, 공급된 포장재가 주입위치에 도달하면, 따뜻한 바람을 불어주는 송풍기로서 포장재를 개방시킨 후, 그 상측으로 위치하는 액상물 저장조와 연결호스로서 연결된 주입노즐을 통하여 포장재내로 액상물을 주입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수작업에 의한 액상물 포장작업인 전자에 있어서는, 작업자의 수작업을 통하여 포장재내에 액상물을 주입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수작업에 의한 액 주입작업이 지연되거나 포장재내에 주입되는 액상물의 주입량도 일정하지 않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포장장치에 의한 액상물 포장작업인 후자의 경우에 있어서는, 포장재의 개방작동이 균일하지 않아 포장재가 개방되지 않은 상태에서 액상물의 주입작동이 이루어 지거나, 또는 포장재의 액 주입작업시 포장재가 겹쳐져 주입위치로 투입되는 등의 불량작동이 빈번하게 발생되는 한편, 액상물의 주입, 실링 및 배츨등의 전체 공정이 하나의 순환작업으로서 원활하게 이루어 지기 어려우며, 특히 장치를 손쉽게 이동 및 보관할 수 없을 뿐 만 아니라, 청소작업도 자동적으로 수행할 수 없이 수작업에 의존하는 하여 사용이 불편한 등의 여러 문제점들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여러 문제점들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한약액등의 액상물을 사용자의 수작업 없이 자동적으로 포장토록 함으로써, 포장재 투입, 액 주입, 포장재 실링 및, 배출 작동이 순환적으로 원활하게 수행되어 작업성이 극히 향상되는 액상물 자동 포장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포장장치의 이동 및 보관이 극히 용이하여 보다 실용적인 액상물 자동 포장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필요시 조작 스위치를 작동시키는 간단한 동작으로 포장장치의 청소작업을 간편하게 자동적으로 수행함으로써, 포장장치의 청결상태를 항상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어 제품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액상물 자동 포장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도 1의 (a)및 (b)는 본 발명에 따른 액상물 자동 포장장치를 도시한 좌,우측 외관도
도 2는 본 발명인 포장장치를 도시한 정면 구성도
도 3의 (a) 및 (b)는 본 발명인 포장장치의 내측 상부를 도시한 전체 사시도 및 요부 사시도
도 4의 (a) 및 (b)는 본 발명인 포장장치의 내측 중앙부를 도시한 사시도 및 구조도
도 5는 본 발명인 포장장치의 포장재 이송부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인 포장장치의 저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인 포장장치의 이송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 구성도
도 8의 (a) 및 (b)는 본 발명인 포장장치의 제 1,2 고정플레이트 및 그 작동상태를 도시한 평면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인 포장장치의 작동단계에 따른 회전플레이트와 캠플레이트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개략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인 포장장치의 크리닝부를 도시한 평면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액상물 포장장치 10.... 본체부
12a.... 저장조 30.... 포장재 투입부
36,52,62,72a,96,122,148.... 제 1 - 7 구동모터
44.... 흡착수단 50.... 액 공급부
54.... 펌프 60.... 주입수단
70.... 액 주입부 74,76.... 제 1,2 고정부재
76c.... 리미트 스위치 90.... 포장재 실링부
92.... 이동부재 100.... 제 1 실링판
102.... 제 2 실링블록 110.... 포장재 이송부
112.... 회전부재 130.... 장치 크리닝부
132.... 배출관 134.... 이동판
S.... 포장재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인 구성은, 저장조와 내부에 횡설되는 제 1,2 격판을 갖는 본체부와,
상기 제 1 격판의 상부 일측으로 포장재를 적재토록 설치된 적재브라켓트의 내측으로 마련되고, 격판의 중앙에 이동토록 설치된 이동부재와 연설되는 흡착수단을 구비하여 포장재를 투입하는 포장재 투입부와,
상기 저장조와 펌프를 개재하여 연결되고, 격판의 제 2 개구부를 통하여 상,하 운동토록 설치되는 주입수단을 구비하여 액상물을 공급하는 액 공급부와,
상기 제 2 개구부를 향하도록 설치되며, 격판상에 설치된 송풍기와 연통되어 포장재를 개방토록 하는 에어수단과, 제 1 격판의 저면에 회전 작동토록 설치되는 제 1, 2 고정부재를 구비하여 포장재에 액을 주입하는 액 주입부와,
상기 이동부재의 하측으로 제 1 격판을 통하여 전,후 이동토록 연설되는 이동블록의 전방에 설치되는 제 1 실링판과, 그 전방으로 케이스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포장재를 실링토록 열선이 횡설된 제 2 실링블록을 구비하여 포장재를 실링토록 하는 포장재 실링부 및,
상기 제 2 격판상에 설치된 회전블록에 고정되는 캠플레이트와, 전후 및 좌우측에 포장재를 이송토록 하는 적재블록이 결합되고, 상기 캠플레이트를 개재하여 격판상에 회전 가능토록 착설되는 회전부재를 구비하여 포장재를 단계별로 이송시키는 포장재 이송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액상물 자동 포장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9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포장장치(1)는, 한약 추출액등과 같은 액상물이 저장되는 저장조(12a)가 설치되는 본체부(10)와, 포장재(S)를 장치(1)내로 투입하는 투입부(30)와, 저장조(12a)의 액상물을 공급하는 액 공급부(50)와, 투입된 포장재(S)를 자동으로 저장하고 액을 주입하는 액 주입부(70)와, 액이 주입된 포장재(S)를 자동 실링하는 포장재 실링부(90) 및, 포장재(S)를 투입, 액 주입, 실링 및, 배출작동으로 단계적으로 이송시키는 포장재 이송부(110)로서 구성됨으로써, 각 작동단계를 순환식으로 반복 수행하여 포장작업을 신속하게 수행함은 물론, 작동적으로 포장하며, 이동 및 청소작업이 간편하여 극히 실용적인데, 이와 같은 본 발명인 액상물 자동 포장장치(1)는 다음과 같다.
도 1의 (a) 및 (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얇은 철판으로 이루어 진 사각형상의 케이스(14) 상부에는 상판(12)이 나사 결합되고, 상기 상판(12)의 상측 중앙부분에는 보통 투명 유리로 몸체부분을 이루는 저장조(12a)가 착설되어 내부에 한약액등이 충진되며, 상기 케이스(14)의 양측에 설치된 투명도어(22a)와 도어판(20)을 통하여 장치(1) 내부를 관찰할 수 있고, 평상시에는 닫혀있는 투명도어(22a)를 통하여 장치(1)의 작동상태를 점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4)의 하측으로 전후 및 좌우측에 일체로 설치된 다리(14b)의 하단에는 바퀴(14a)가 설치됨으로써, 포장장치(1)의 이동이 용이한 것이다.
한편, 도 1의 (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14)의 외측면에 설치되는 콘트롤 조작판(22)은, 전원조작, 작동조작, 크리닝조작 및 액 주입량조작등으로 구분된 다수의 조작스위치(22a)(22b)(22c)(22d)가 구비되어 사용자는 상기 각 스위치를 조작하여 간단하게 포장장치(1)를 작동시킬 수 있게 된다.
먼저, 도 1 내지 도 3 및, 도 7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콘트롤 조작판(22)의 전원스위치(22a)를 작동시킨 후 작동 조작스위치(22b)를 누르면, 케이스(14)의 내측으로 제 1 격판(16)상에 설치된 제 7 구동모터(148)가 작동하면서 워엄 및 회전기어(148a)(148b)를 통하여 연결된 링크(150)를 일정각도 회전시키고, 따라서, 상기 제 1 격판(16)의 중앙에 설치된 가이드블록(140)의 내측 상,하 고정판(142)(144)사이에 이동볼(146)을 개재하여 설치된 플레이트로 형성된 이동부재 (92)는 상기 링크(150)와 연결되어 일체로 전,후방으로 이동토록 된다.
이때, 도 2, 도 3 및 도 7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이동플레이트(92)가 전진하면 이와 연결된 패드로 된 흡착수단(44)이 적재브라켓트(34)내에 적재된 포장재(S)측으로 이동하여 밀착되면, 상기 제 1 격판(16)상에 설치된 제 1 구동모터(36)가 작동하여 링크(38)로서 연결된 로드(40)가 후진하고, 상기 로드(40)가 밀봉 삽입된 실린더(42)의 진공 작동으로 호스로서 연결된 흡착패드(44)는 한장의 포장재(S)를 흡착한다.
결국, 상기 제 7 구동모터(148)의 역회전으로 이동플레이트(92)가 후진하면, 상기 흡착패드(44)에 흡착된 포장재(S)가 일정거리 후진하여 상기 제 1 격판(16) 상에 형성된 제 1 개구부(46a)위에 도달하고, 상기 로드(40)가 재차 전진하면 포장재(S)가 흡착패드(44)에서 이탈되면서 제 1 개구부(46a)의 하측으로 설치된 가이드(48)에 낙하되면서 그 하측으로 위치하는 적재블록(114)내에 안착되어 포장재(S)의 투입단계가 이루어 지는 것이다.
더하여, 도 2,도 4, 도 5 및, 도 7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14)의 하측으로 제 2 격판(18) 저부에 설치된 제 6 구동모터(122)가 회전 작동하면, 제 6구동모터(122)의 구동기어(122a)와 맞물리고, 격판(18)의 중앙부분을 통하여 결합된 회전블록(118)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회전기어(126)가 회전 작동한다.
따라서, 회전블록(118)상에 고정된 캠플레이트(120)의 상측으로 상기 회전기어(126)의 상부에 고정볼트(118a)로서 나사 결합되는 플레이트로 구성된 회전부재 (112)가 일체로 회전하며, 이와 같은 회전플레이트(112)는 그 상부 전후 및 좌우측에 설치된 적재블록(114)이 회전하면서 상술한 바와 같이, 가이드(48)를 통하여 투입된 포장재(S)가 회전 이송토록 된다.
이때, 도 4 내지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포장재(S)가 이송되어 액 주입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제 1 격판(16)의 저부에 서로 밀착토록 회전 작동토록 설치된 제 1,2 고정부재(74)(76)의 전방 양측으로 설치된 제 1 - 4 고정판(74a) (74b)(76a)(76b)에 의하여 상기 포장재(S)의 상부 양단이 고정된다.
즉, 상기 제 1 격판(16)상에 형성된 안내로(16a)을 따라 이동하는 고정볼트(92b)가 양측으로 결합된 연결판(92a)이 상기 전후 작동하는 이동플레이트(92)에 연결되어 이동플레이트(92)가 이동하면, 상기 고정볼트(92b)가 직선 운동하면서 스프링(미도시)과 탄설되어 외측으로 힘을 받으며 부쉬(92c)로서 일단이 고정된 제 1,2 고정부재(74)(76)를 안쪽으로 밀면서 서로 밀착 이동하여 포장재(S)를 고정시킨다.
특히,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 3,4 고정판(76a)(76b)에는 제 1,2 고정판(74a)(74b)과 밀착하는 리미트 스위치(76c)의 탄성판(76c')과 조정볼트(76d)가 연설됨으로써, 포장재(S)의 좌측 상단부는 상기 제 1 고정판(74a)과 리미트 스위치의 탄성판(76c')으로서 일정여유를 갖으며 고정되지만, 반대측은 제 2 고정판(74b)과 제 4 고정판(76b)의 조정볼트(76d)에 의하여 견고하게 고정된다.
따라서, 도 4의 (b)에서 상세하게 도시한 바와 같이, 포장재(S)가 액 주입위치로 이송되면, 제 1 격판(16)상에 설치된 송풍기(72)의 제 4 구동모터(72a)가 작동하여 연통토록 설치된 관으로 구성된 에어수단(74)의 출구(74a)를 통하여 에어를 송풍하고, 이와 같은 송풍된 에어는 투입된 포장재(S)의 상부를 강제 개방시키고, 이와 같은 포장재(S)의 개방작동은 리미트 스위치(76c)의 탄성판(76c')을 후방으로 밀도록 하며, 결국 리미트 스위치(76c)는 포장재(S)를 개방상태를 확인하면서 액 주입작동을 수행토록 하는 것이다. 즉, 포장재 불량으로 개방되지 않으면, 리미트 스위치(76c)가 작동되지 않아 액 주입작동이 수행되지 않거나 다음단계로 넘어가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도 3 ,도 4 및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포장재(S)가 개방되면, 제 1 격판(16)상에 설치된 제 3 구동모터(62)가 작동하여 제 1 격판(16)상에 수직 설치된 가이드(68)내에 지지된 가이드판(66)을 상,하 방향으로 운동시키면서 상기 가이드판(66)과 링크(64)로서 연결된 노즐로 된 주입수단(60)을 제 1 격판 (16)상에 형성된 제 2 개구부(46b)를 통하여 하강시키어 포장재(S)내로 투입한다.
이때, 도 2 내지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주입노즐(60)이 하강하여 포장재(S)내에 투입되면, 상기 저장조(12a)와 연결된 펌프(54)가 제 2 구동모터(52)에 의하여 작동하면, 저장조(12a)내의 액상물은, 펌프 인입관(56)과 배출관(58)을 통하여 연결된 주입노즐(60)을 통하여 포장재(S)내로 일정양이 주입되며,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가이드판(66)의 상,하작동시 주입노즐(60)의 단부에 설치된 개폐밸브가 개폐작동되어 액 주입량을 조절한다.
또한, 상기 포장재(S)내에 액상물이 주입 완료되면, 송풍기(72)에 의한 에어가 재차 포장재(S)측으로 불면서 포장재(S)내의 액상물 상태를 정돈하고, 상기 가이드판(66)의 상승으로 주입노즐(60)이 상승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포장재(S)가 적재된 회전플레이트(112)가 일정각도 회전하여 액 주입완료된 포장재(S)는 실링위치로 이송된다.
계속해서, 도 2 및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액 주입된 포장재(S)가 실링위치에 도달하면, 제 1 격판(16)의 중앙으로 가이드블록(140)내에 이동토록 설치된 이동플레이트(92)가 제 7 구동모터(148)의 구동으로 이동하면, 제 1 격판(16)을 통하여 하측으로 연결된 이동블록(94)과 전방에 연설된 제 1 실링판(100)을 전진시키고, 결국 상기 포장재(S)는 전진 작동하는 제 1 실링판(100)과 케이스 내측벽면에 설치된 제 2 실링블록(102)사이에 상부가 고정되면서 상기 제 2 실링블록(102)에 횡설된 열선(102a)에 의하여 실링토록 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실링블록(102)은 도면에 나타내지 않았지만 열 방출을 위하여 방열구조를 갖는다.
이때,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실링판(100)의 하측에는 상기 이동블록(94)의 후방으로 내설된 제 5 구동모터(96)와 연설되는 스크류바아(98)가 중앙에 결합된 조정판(100a)이 전후 이동토록 설치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실링상태를 조정하기 위하여 조작판(22)상의 조작스위치(22c)를 작동시키면, 상기 제 5 구동모터(96)가 작동하여 이와 연설된 스크류바아(98)로서 조정판(100a)을 전후진 시키고, 결국 상기 조정판(100a)이 먼저 포장재(S)에 접촉하면서 포장재(S)내의 공기를 배출시킨 후, 실링토록 한다.
또한, 도 4,도 5 및 도9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액 주입 및 실링된 포장재(S)는 제 6 구동모터(122)의 회전작동으로 배출위치로 이송되는데, 상기 회전플레이트(112)는 캠플레이트(120)를 개재하여 제 2 격판(18)상에 회전 작동토록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회전 플레이트(112)의 저부 전후 및 좌우측에 설치된 베어링(116)이 하측의 캠플레이트(120)의 전후 및 좌우측에 형성된 안내홈(120a)을 따라 호형 운동토록 한다.
따라서,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캠플레이트(120)는 일측 직경(D)이 짧은 비대칭형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회전 플레이트(112)가 회전하여 직경(D)이 다른 주면에 비하여 짧은 주면에 조달하면, 회전 플레이트(112)의 적재블록(114) 하부를 받쳐주면서 포장재(S)를 지지하고 있는 캠플레이트(120)의 끝단을 통하여 포장재(S)는 적재블록(114)의 하측으로 배출되어 액 주입되고 실링 완료된 포장재(S)는 포장장치(1)의 하측으로 자동 배출되는 것이다.
이때,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 플레이트(112)의 회전동작은 제 2 격판(18)상에 일측으로 설치된 감지센서(160)에 의하여 조절되는데, 즉 회전 플레이트(112)의 끝단이 회전하여 감지센서(160)를 가리면 제 6 구동모터(122)의 작동이 중지되어 회전 플레이트(112)는 일정하게 단계적으로 회전토록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회전 플레이트(112)의 이송속도는 결국 포장장치(1)의 작업속도에 영향을 미치므로 상기 제 6구동모터(122)는 초기에는 이동속도를 빠르게 한 후 ,일정부분에서 속도를 감속시키어 가장 최적의 속도로 회전플레이트(112)를 회전시키며, 만약 회전 플레이트(112)의 회전속도가 빠르면 정확한 위치조정이 어렵게 되고, 반대로 속도가 너무 느리면 전체 포장작업이 지연되는 것이다.
더하여, 도 2 및 도 7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격판(16)의 중앙에 설치된 가이드블록(140)의 내측으로 안착된 이동플레이트(92)는 제 7 구동모터(148)의 작동으로 단속되면서 전,후진 이동하여 포장재(S)의 흡착 투입과 반대편의 실링작동을 순차로 수행토록 함과 함께, 포장재(S)를 고정하는 제 1,2 고정부재(74)(76)의 회전 작동을 단속하는 것이다.
도 10은 본발명인 포장장치(1)의 크리닝부(130)를 도시하고 있는데, 한약 추출액등을 포장하는 포장장치(1)의 청결상태를 깨끗하게 유지시킬 필요가 있으므로, 사용자가 콘트롤 조작판(122)의 크리닝 조작스위치(22d)를 작동시키면,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이동플레이트(92)와 연결되어 회전 작동하는 이동판(134)이 제 1 격판(16)에 설치된 접접스위치(136)의 작동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이동판(134)의 하부에 설치된 배출관(132)을 일정각도 이동시키고, 그 내부에 주입노즐(60)을 삽입시킨다.
따라서, 저장조(12)에 물을 충진시킨 후, 크리닝 조작 스위치(22d)를 작동시키면, 액 주입작동과 마찬가지로 물을 공급하여 배출관(132)을 통하여 장치(1) 외측으로 배출하여, 저장조(12a)와 펌프(54)와 각 연결호스 및, 주입노즐(60)에 있는 여러 노폐물이나 찌꺼기를 깨끗하게 청소할 수 있어 포장장치(1)의 청결상태가 항상 양호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서, 저장조(12a)내에 추출된 한약액등을 충진시킨 후, 포장재 투입, 액주입, 포장재 실링 및 배출작동을 자동적으로 빠르게 수행하며, 액 주입량을 간단하게 조정하고, 포장재의 규격에도 용이하게 대응 할 수 있을 뿐 만 아니라, 청소작업도 용이하며, 포장장치(1)의 이동 및 보관도 용이하여 극히 실용적인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인 액상물 자동 포장장치에 의하면, 포장재 투입, 액 주입, 포장재 실링 및, 배출 작동이 별도의 수작없이 자동적으로 극히 원활하게 수행됨으로써, 포장작업성은 물론, 액 포장제품의 생산성이 가일층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장치의 전체 크기가 크지않아 장치의 이동이 극히 용이함은 물론, 전체 밀폐구조로 인하여 보관이 간편하여 사용이 극히 편리한 효과가 있다.
마지막으로, 필요시 간단하게 장치를 청소할 수 있어, 항상 청결상태를 양호하게 유지함으로써, 장치를 이용한 액상물 포장상태를 신뢰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Claims (8)

  1. 액상물 포장장치(1)에 있어서,
    저장조(12a)와 내부에 횡설되는 제 1,2 격판(16)(18)을 갖는 본체부(10)와,
    상기 제 1 격판(16)의 상부 일측으로 포장재(S)를 적재토록 설치된 적재브라켓트(34)의 내측으로 마련되고, 격판(16)의 중앙에 이동토록 설치된 이동부재(92)와 연설되는 흡착수단(44)를 구비하여 포장재(S)를 투입하는 포장재 투입부(30)와,
    상기 저장조(12a)와 펌프(54)를 개재하여 연결되고, 격판(16)의 제 2 개구 부(46b)를 통하여 상,하 운동토록 설치되는 주입수단(60)을 구비하여 액상물을 공급하는 액 공급부(50)와,
    상기 제 2 개구부(46b)를 향하도록 설치되며, 격판(16)상에 설치된 송풍기 (72)와 연통되어 포장재(S)를 개방토록 하는 에어수단(74)과, 제 1 격판(16)의 저면에 회전 작동토록 설치되는 제 1, 2 고정부재(74)(76)를 구비하여 포장재(S)에 액을 주입하는 액 주입부(70) 와,
    상기 이동부재(92)의 하측으로 제 1 격판(16)를 통하여 전,후 이동토록 연설되는 이동블록(94)의 전방에 설치되는 제 1 실링판(100)과, 그 전방으로 케이스 (14)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포장재(S)를 실링토록 열선(102a)이 횡설되된 제 2 실링블록(102)을 구비하여 포장재(S)를 실링토록 하는 포장재 실링부(90) 및,
    상기 제 2 격판(18)상에 설치된 회전블록(118)에 고정되는 캠플레이트(120)와, 전후 및 좌우측에 포장재(S)를 이송토록 하는 적재블록(114)이 결합되고, 상기 캠플레이트(120)를 개재하여 격판(18)상에 회전 가능토록 착설되는 회전부재(112)를 구비하여 포장재(S)를 단계별로 이송시키는 포장재 이송부(11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물 자동 포장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수단(44)은 패드로 형성되어 제 1 격판(16)상에 설치된 실린더(42)와 연결되고, 상기 실린더(42)는 격판(16)상에 설치된 제 1 구동모터(36)와 링크(38)를 개재하여 전,후 운동토록 연설되는 로드(40)가 내삽되며, 상기 적재브라켓트(34)의 하측에는 가이드(48)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로 된 주입수단(60)은 제 1 격판(16)상에 설치된 제 2 구동모터(52)와 연설되는 펌프(54)의 배출관(58)과 연결되며, 상기 펌프(54)의 인입관(56)은 저장조(12a)의 하부에 연결되고, 격판(16)상에 수직 설치된 가이드(68)내에 제 3 구동모터(62)로서 상,하 운동토록 설치된 가이드판(66)은 링크 (64)를 개재하여 상기 주입노즐(60)과 연설됨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수단(74)은 관으로 형성되어 그 출구(74a)가 격판(16)의 제 2 개구부(46b)를 향하도록 위치되며, 상기 송풍기(72)는 격판(16)상에 설치된 제 4 구동모터(72a)와 연설되며, 상기 제 1,2 고정부재(74)(76)의 전방 양측에는 제 1,2 고정판(74a)(74b) 및 탄성판(76c')이 연설된 리미트 스위치(76c)와 조정나사(76d)가 각각 설치된 제 3,4 고정판(76a)(76b)이 형성되며, 상기 제 1,2 고정부재(74)(76)는 상기 이동부재(92)의 일측 연결판(92a)에 격판(16)의 안내로 (16a)를 따라 이동토록 결합된 고정볼트(92b)로서 회전 작동토록 격판(160의 저부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실링판(100)의 하측에는 상기 이동블록(94)의 후방으로 연설된 구동모터(96)로서 회전하는 스크류바아(98)가 중앙에 결합되는 조정판(100a)이 포장재(S)내의 공기를 배출토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112)는 제 2 격판(18)의 저면에 설치된 제 6 구동모터(122)의 구동기어(122a)와 맞물리고, 격판(18)상에 설치된 회전블록 (118)에 내설되는 회전기어(126)의 상부에 나사 결합되며, 상기 회전부재(112)의 저부 전후 및 좌우측에는 하측으로 개재된 캠플레이트(120)의 전후 및 좌우측 안내홈(120a)을 따라 운동하는 베어링(116)이 각각 설치되며, 상기 캠플레이트(120)는 일측 직경(D)이 짧은 비대칭형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장치
  7. 제 1항 내지 제 6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플레이트로 된 상기 이동부재(92)는 제 1 격판(16)의 중앙부분에 설치된 가이드블록(140)의 상,하 고정판(142)(144)사이에 이동볼(146)을 개재하여 내설되며, 상기 이동부재(92)는 격판 (16)에 설치된 제 7 구동모터(148)의 워엄기어(148b)와 맞물리는 회전기어(148a) 하측으로 결합된 링크(150)와 연결되어 전,후 이동토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개구부(46b)를 통하는 배출관(132)이 이동판(134)의 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이동판(134)은 상부 일측으로 설치된 접점스위치(136)의 작동시 회전 작동토록 상기 이동부재(92)와 연설되고, 상기 이동된 배출관(132)의 내측에는 상기 주입수단(60)이 삽입되어 간편하게 청소토록 구성된 되는 크리닝부(130)를 추가로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장치
KR1019990009330A 1999-03-19 1999-03-19 액상물 자동 포장장치 KR1003102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9330A KR100310202B1 (ko) 1999-03-19 1999-03-19 액상물 자동 포장장치
CN99119410A CN1267617A (zh) 1999-03-19 1999-09-21 液态物质自动包装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9330A KR100310202B1 (ko) 1999-03-19 1999-03-19 액상물 자동 포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0747A true KR20000060747A (ko) 2000-10-16
KR100310202B1 KR100310202B1 (ko) 2001-11-01

Family

ID=19577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9330A KR100310202B1 (ko) 1999-03-19 1999-03-19 액상물 자동 포장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310202B1 (ko)
CN (1) CN126761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6924B1 (ko) * 2003-08-16 2006-04-07 배기만 한약 농축액 추출 포장기
KR101293447B1 (ko) * 2013-06-14 2013-08-12 이경옥 장류를 팩에 자동 포장하는 충진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79362B (zh) * 2021-07-27 2022-08-30 上海观道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中药汤剂自动包装模块总成的运行方法及系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6924B1 (ko) * 2003-08-16 2006-04-07 배기만 한약 농축액 추출 포장기
KR101293447B1 (ko) * 2013-06-14 2013-08-12 이경옥 장류를 팩에 자동 포장하는 충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10202B1 (ko) 2001-11-01
CN1267617A (zh) 2000-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6400B1 (ko) 알약 카운팅 자동 포장 장치
CN202671181U (zh) 充填机的容器清洗装置
US20220340320A1 (en) Bag processing machine
EP0162968B1 (en) Packaging machine
KR101901144B1 (ko) 로터리 포장기
KR100460013B1 (ko) 개선된 청소수단이 갖춰진 충전기
KR100310202B1 (ko) 액상물 자동 포장장치
CN102700771B (zh) 充填机
CN106111644B (zh) 试剂瓶清洗装置
KR100452842B1 (ko) 충전기 내의 역류방법과 이러한 방법 실행을 위한 충전기
CN210764271U (zh) 一种多工位二元包装机
CN113200370B (zh) 带有连杆升降的料斗对接车
JP3483776B2 (ja) 真空包装機の洗浄装置
KR101183223B1 (ko) 한약 포장장치
KR200175440Y1 (ko) 액상물 포장기의 액 주입장치
CN214826127U (zh) 一种灌装机废料排放阀门控制系统
CN219134599U (zh) 一种粘性液体灌装机的防滴漏装置及包括其的灌装机
CN116143056B (zh) 塑料安瓿瓶消毒灭菌装置
KR950008920B1 (ko) 용기에 대한 내용물의 주입 및 밀봉 장치
CN219447388U (zh) 一种金珠沙梨果酱制备用灌装设备
CN220165813U (zh) 精油灌装生产一体化装置
CN219463928U (zh) 一种多工位真空灌胶机
KR200284093Y1 (ko) 용기의 진공장치
KR200368725Y1 (ko) 펄프용기 자동 성형장치
CN116853572A (zh) 一种粉料自动化装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