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4474Y1 - 도어용 록핸들 장치 - Google Patents

도어용 록핸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4474Y1
KR200174474Y1 KR2019970011028U KR19970011028U KR200174474Y1 KR 200174474 Y1 KR200174474 Y1 KR 200174474Y1 KR 2019970011028 U KR2019970011028 U KR 2019970011028U KR 19970011028 U KR19970011028 U KR 19970011028U KR 200174474 Y1 KR200174474 Y1 KR 2001744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lock
drive member
control saw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10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6575U (ko
Inventor
시로 세가와
Original Assignee
다키모토 히데아키
다키겐 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키모토 히데아키, 다키겐 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키모토 히데아키
Priority to KR20199700110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4474Y1/ko
Publication of KR1998006657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657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44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4474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16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 E05B83/18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for car boot lids or rear luggage compart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02Mounting of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과제: 시정상태에 있어서 가압레버를 압압조작하더라도 가압레버나 관련부품이 손상파괴될 위험성이 위험성이 전혀 없는 도어용 록핸들 장치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가압레버(23)와 스토퍼캠(12) 사이에 제어톱(24)을 삽입하고, 쇄정로드(5)가 시정위치에 있을 때, 제어톱(24)과 스토퍼캠(12)의 연동관계를 차단하고, 쇄정로드(5)를 해정위치로 구동하고자 할 때, 구동부재(24)의 조작으로 제어톱(24)과 스토퍼캠(12)의 연동관계를 성립시킨다.

Description

도어용 록핸들 장치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
본 고안은 화물 트럭의 콘테이너 리어 도어 등에 사용되고, 폐쇄(閉鎖)한 도어를 콘테이너 본체 등의 고정틀체에 고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도어용 록핸들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도어에 고착되는 본체케이스에 조작핸들을 기복회전(起伏回轉) 가능하게 수용하고, 조작핸들 기단부를 구동축에 의해 본체케이스에 원추형 접합하고, 고정틀체측 스텝과 계탈(係脫)하는 걸쇠가 선단부에 설치되는 쇄정로드를 구동축에 연결하고, 본체케이스에 고착한 록케이스에 록캠과 스토퍼캠을 서로 결합하도록 원추형 접합하고, 스프링에 의해 록캠과 스토퍼캠을 서로 역방향으로 회전가세하여 조작핸들의 록봉을 록캠의 측면오목부에 결합시켜 조작핸들을 본체케이스내에 몰입한 위치에 자몰쇠로 고정하고, 록캠의 측면단부에 스토퍼캠의 측면돌기를 결합시켜 록캠을 그 고정위치에 회전불가능하게 구속하고, 가압레버의 압입조작에 의해 스토퍼캠에 의한 록캠의 구속을 해제하고, 조작핸들을 본체케이스에서 기립회전시켜서 쇄정로드를 시정위치에서 해정위치로 회전시키는 도어용 록핸들 장치는 이미 알려져 있다.
이같은 도어용 록핸들 장치는 조작핸들이 무권한자에 의해 함부로 조작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체케이스에 실린더정(錠) 등의 자물쇠 유니트를 설치하여 조작핸들이 본체 케이스내에 몰입하여 쇄정로드가 시정위치에 있을 때, 자물쇠 유니트 로터에 연결한 록판에 의해 스토퍼 캠을 회전불가능하게 구속하고 있다. 화물트럭의 운전자 등의 정당 권한자는 정규키로 자물쇠 유니트의 로터를 회전시켜, 록판을 스토퍼캠 회전을 저지하지 않는 위치에 이동시키면서 가압레버를 압입하고, 조작핸들을 본체케이스에서 인출회전시킨다. 이 기립회전의 당초단계에서 조작핸들의 상기 록봉은 록캠을 스프링 가세에 저항하여 회전시키고, 록캠의 측면오목부에서 탈출한다.
그러나, 종래장치는, 가압레버와 스토퍼캠은 항상 연동관계에 있고, 가압레버를 압입하면 가압레버의 작동암은 반드시 스토퍼캠을 밀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스토퍼캠이 상기와 같이 시정상태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오차로 가압레버를 압입했을 때는 가압레버와 스토퍼캠에 과대한 부하가 걸리고, 가압레버와 스토퍼캠 혹은 이들의 축핀 등의 손상파괴를 초래할 위험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시정상태에 있어서 가압레버를 압입조작하더라도 가압레버와 관련부품이 손상파괴될 위험성이 없는 도어용 록핸들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이하, 첨부도면중 참조부호를 이용하여 설명하면, 본 고안이 적용되는 도어용 록핸들 장치는 도어(1)에 고착되는 본체케이스(2)에 조작핸들(3)을 기복회전가능하게 수용하고, 조작핸들(3) 기단부를 구동축(4)에 의해 본체케이스(2)에 원추형 접합하고, 고정틀체측 스텝과 계탈하는 걸쇠가 선단부에 설치되는 쇄정로드(5)를 구동축(4)에 연결하고, 본체케이스(2)에 고착한 록케이스(6)에 록캠(11)과 스토퍼캠(12)을 서로 결합하도록 원추형 접합하고, 스프링에 의해 록캠(11)과 스토퍼캠(12)을 서로 역방향으로 회전가세하고, 조작핸들(3)에 설치한 록봉(16)을 록캠(11)의 측면오목부(18)에 결합시켜서 조작핸들(3)을 본체케이스(2)내에 몰입한 위치에 고정하고, 록캠(11)의 측면단부(19)에 스토퍼캠(12)의 제지돌기(20)를 결합시켜서 록캠(11)을 그 고정위치에 회전불가능하게 구속하고, 가압레버(23)의 압입조작에 의해 스토퍼캠(12)에 의한 록캠(11)의 구속을 해제하고, 조작핸들(3)을 본체케이스(2)에서 기립회전시켜서 쇄정로드(5)를 시정위치에서 해정위치로 회전시키게 한 것이다.
청구항 1의 고안에서는 가압레버(23)와 스토퍼캠(12) 사이에 제어톱(24)을 삽입하고, 쇄정로드(5)가 시정위치에 있을 때, 제어톱(24)과 스토퍼캠(12)의 연동관계를 차단하고, 쇄정로드(5)를 해정위치에 구동하고 싶을 때, 제어톱(24)과 스토퍼캠(12)의 연동관계를 성립시킨다.
도어(1)를 폐쇄하여 조작핸들(3)을 본체케이스(3)내에 몰입회전시키면, 조작핸들(3)에 연동하여 쇄정로드(5)가 시정위치로 회전하고, 선단부의 걸쇠가 고정틀체측 스텝(도시생략)에 결합하여 도어(1)를 고정틀체(32)에 고정한다.
이와 같이, 도어(1)가 시정상태에 있을 때는 제어톱(24)은 스토퍼캠(12)과의 연동관계가 차단된 위치에 있다. 그 때문에 가압레버(23)가 잘못 압입되더라도 가압레버(22)는 제어톱(24)을 공전시킬 뿐으로, 스토퍼캠(12)에는 가압레버(23)로부터의 회전력은 전달되지 않으므로, 록캠(11)은 조작핸들(3)의 록봉(16)을 인입위치에 구속한 상태로 유지한다.
도어(1)의 시정을 해제하여 도어(1)를 개방했을 때에는 제어톱(24)은 스토퍼캠(12)과의 연동관계가 성립되는 위치로 이동된다. 그 때문에, 가압레버(23)를 압입하면 그 회전력은 제어톱(24)을 통하여 스토퍼캠(12)에 전달되고, 스토퍼캠(12)은 측면돌기(20)가 록캠(11)의 측면단부(19)에서 이탈방향으로 스프링 가세에 저항하여 회전한다.
그래서, 조작핸들(3)을 본체케이스(2)에서 인출회전시키면, 회전당초 단계에서 조작핸들(3)의 록봉(16)이 록캠(11)의 측면오목부(18) 내면을 가압하므로 록캠(11)이 스프링 가세에 저항하여 회전하고, 록봉(16)이 측면오목부(18)에서 탈출한다.
이렇게 하여 본체케이스(2)에 대한 자물쇠 고정이 해제된 조작핸들(3)을 구동축(4)을 중심으로 소정각도까지 기립회전시키면, 쇄정로드(5)는 선단부의 걸쇠가 고정틀체측 스텝에서 이탈하는 해정위치까지 회전하게 된다.
청구항 2의 고안에서는, 제어톱(24)을 연동관계의 차단위치 또는 성립위치로 이동시키는 구동부재(25)를 설치하고, 전기모터정(26)의 출력축(27)에 그 구동부재(25)를 접속하고, 콘트롤러(28)에 의해 전기모터정(26) 작동을 제어한다.
전기모터정(26)으로 구동부재(25)를 시정위치에 설정하면, 제어톱(24)은 스토퍼캠(12)과의 연동관계가 차단되고, 가압레버(23)를 압입하여도 제어톱(24)이 공전할 뿐이다. 전기모터정(26)으로 구동부재(25)를 해정위치에 설정하면 제어톱(24)은 스토퍼캠(12)과의 연동관계가 성립되고, 가압레버(23)를 압입하면 제어톱(24)을 통하여 스토퍼캠(12)이 회전하고, 록캠(11)의 회전구속을 해제한다.
콘트롤러(28)는 도어나 고정틀체에 장착된 센서스위치와 협동하여, 전기모터정(26)이 해정측 혹은 시정측으로 작동했을 때의 계속시간을 제어하고, 도어(1)의 개방조작 혹은 폐쇄조작을 위한 타이밍을 설정한다.
청구항 3의 고안에서는, 제어톱(24)을 연동관계의 차단위치 또는 성립위치로 이동시키는 구동부재(25)는 본체케이스(2)에 설치한 자물쇠 유니트(29)의 로터(30)에 연결한 조작캠(31)에 의해 조작되고, 시정상태에 있어서 조작캠(31)과 구동부재(25)의 연동관계는 차단된다.
청구항 4의 고안에서는 제어톱(24)을 연동관계의 차단위치 또는 성립위치로 이동시키는 구동부재(25)는 전기모터정(26)의 출력축(27)에 접속되고, 콘트롤러(28)에 의해 전기모터정(26)을 제어한다. 또, 구동부재(25)는 자물쇠 유니트(29)의 로터(30)에 연결한 조작캠(31)에 의해 서로 조작가능하고, 시정상태에 있어서 조작캠(31)과 구동부재(25)의 연동관계는 차단된다.
도 1은 조작 핸들이 본체케이스에 몰입하여 시정(施錠)상태에 있으며, 본 고안의 1 실시형태에 관한 도어용 록핸들 장치의 사용 정황을 나타내는 개략적 정면도,
도 2는 도 1의 도어용 록핸들 장치의 우측면도,
도 3은 도 1의 도어용 록핸들 장치의 저면도,
도 4는 도 1의 도어용 록핸들 장치의 내부 기구 부품의 위치관계를 중층적으로 나타낸 일부 노치 정면도,
도 5는 도 1의 도어용 록핸들 장치의 내부 기구 부품의 위치관계를 중층적(重層的)으로 나타낸 일부 노치 저면도,
도 6은 도 4의 A-A선 화살표로 본 단면도,
도 7은 도 4의 B-B선 화살표로 본 단면도,
도 8은 도 1의 도어용 록핸들 장치의 록캠, 스토퍼 캠 및 제어톱을 부착한 록케이스와 구동부재 정면도
도 9는 도 8의 록케이스와 구동부재 평면도,
도 10은 도 8의 록케이스와 구동부재 저면도,
도 11은 도 8의 록케이스와 구동부재 우측면도,
도 12는 도 1의 도어용 록핸들 장치의 가압레버를 부착한 커버케이스 정면도,
도 13은 도 12의 커버케이스 저면도
도 14는 도 12의 커버케이스 일부 노치 우측면도,
도 15는 도 1의 도어용 록핸들 장치 제어톱 조립체 정면도,
도 16은 도 15의 제어톱 조립체 평면도,
도 17은 도 15의 제어톱 조립체 저면도,
도 18은 도 15의 제어톱 조립체 우측면도,
도 19는 도 1의 도어용 록핸들 장치의 자물쇠 유니트의 조작캠 정면도,
도 20은 도 19의 조작캠 저면도,
도 21은 도 19의 조작캠 우측면도,
도 22는 도 1의 도어용 록핸들 장치의 가압레버 정면도,
도 23은 도 23의 가압레버 저면도,
도 24는 도 23의 가압레버 우측면도,
도 25는 도 1의 도어용 록핸들 장치의 자물쇠 유니트에 있어서의 키 꽂고 빼기 위치와 비상 시정 위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6은 도 5의 C-C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도어 2: 본체케이스
3: 조작핸들 4: 구동축
5: 쇄정(鎖錠) 로드 6: 록케이스
7: 제1 축핀 8: 제2 축핀
9: 제3 축핀 10: 지지캠
11: 록캠 12: 스토퍼캠
13: 제1 스프링 14: 제2 스프링
15: 제3 스프링 16: 조작핸들의 록봉(棒)
17: 지지캠의 측면 오목부 18: 록캠의 측면 오목부
19: 록캠의 측면단부(段部) 20: 스토퍼캠의 제지돌기
21: 커버케이스 22: 제4 축핀
23: 가압레버 24: 제어톱
25: 제어톱의 구동부재 26: 전기모터정(錠)
27: 전기모터정 출력축 28: 전기모터정의 콘트롤러
29: 자물쇠 유니트 30: 자물쇠 유니트 로터
31: 조작캠 32: 고정틀체
(고안의 실시형태)
도시하는 실시형태에서는, 구동부재(25)의 조작수단으로는 전기모터정(26)과 메카니칼록의 자물쇠 유니트(29)가 병용되고 있다. 통상시는 전기모터정(26)이 사용되고, 배터리 전원의 소모나 전기계통의 고장같은 비상시에 자물쇠 유니트(29)가 사용된다.
도 1에 도시한 콘트롤러(28)와 소광식(昭光式) 누르기 버튼 스위치(33)와 도어개폐센서(34) 및 전원 배터리(35)는 콘테이너 본체(32)측에 장착되어 있고, 도어(1)측에 장착된 전기모터정(26)내의 배선은 통전 경첩(36)을 통하고 있다.
도 4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케이스(2)는 도어(1)의 정면측 오목부에 매립고착되고, 사각형 링상으로 형성된 조작핸들(3)은 조작핸들(3)의 기단변부(基端)에 내단부를 삽입고착한 상하의 구동축(4, 4)은 본체케이스(2) 상하면벽부(37, 38)를 관통하여 장착되어 있다. 상하의 쇄정로드(5, 5)는 각 구동축(4) 외단부에 끼워고착된다. 통상법에 따라 적당한 가이드 부재에 안내되어 도어(1)의 상하 가장자리에서 돌출한 쇄정로드(5) 선단부에는 고정틀체(32)의 후면틀부에 고착된 스텝과 결합하는 걸쇠가 장착된다.
본체케이스(2) 배면벽부(38)에는 수평으로 길게 록케이스(6)가 비스(39)에 의해 고착되고, 또한 록케이스(6)를 피복하여 커버케이스(21)가 비스(40)에 의해 고착되어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핸들(3)을 몰입회전시킬 때, 커버케이스(21)는 전체가 조작핸들(3) 개구부(41)에 들어간다. 도 8에서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록캠(11)과 스토퍼캠(12)은 록케이스(6)의 상하 한쌍의 벽판부(42, 42) 사이에 좌우 수평으로 설치되고, 구동축(4)과 평행인 제2 축핀(8)과 제3 축핀(9)에 의해 벽판부(42)에 각각 원추형 접합되어 있다. 벽판부(42) 중앙 좌측 가까운 부분에는 조작핸들(3)의 상측 변부와 하측 변부간에 연설된 록봉(16)이 들어갈 깊이의 도피홈구(43)를 설치하고 있다. 벽판부(42, 42)의 좌단부간에는 서포트캠(10)이 설치되고, 구동축(4)과 평행인 제1 축핀(7)에 의해 벽판부(42)에 원추형 접합되어 있다.
도 6에 있어서, 서포트캠(10)은 제1 스프링(13)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가세되고, 록캠(11)은 제2 스프링(14)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가세되며, 스토퍼캠(12)은 동일하게 제2 스프링(14)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가세되어 있다. 제1 스프링(13)은 비틀림 스프링으로 구성되고, 코일부(13a)가 제1 축핀(7)에 끼워지고, 한쪽의 직선단부(13b)가 서포트캠(10)의 지지각부(44)에 결합되며, 다른쪽 직선단부(13c)가 록케이스(6)의 벽판부(42)에 결합되어 있다. 제2 스프링(14)은 2개의 코일부(14a, 14b)를 갖는 비틀림 형상으로 구성되고, 한쪽의 코일부(14a)는 제2 축핀(8)에 끼워지며, 다른쪽 코일부(14b)는 제3 축선(9)에 끼워지고, 한쪽의 직선단부(13c)는 록캠(11)에 결합되며, 다른쪽 직선단부(13d)는 스토퍼캠(12)에 결합되어 있다.
서포트캠(10)의 선단각부(44)는 록캠(11)의 둘레측면을 배후에서 가압하고 있다. 조작핸들(3)을 본체케이스(2)에 몰입회전시킬 때, 록봉(16)이 록캠(11)의 수동각부(45)를 밀기 때문에, 록캠(11)은 제2 스프링(14)의 가세에 저항하여 도 10의 2점쇄선 위치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회전은 록케이스의 벽판부(42)에 비스(46)로 고착하고 있는 방어벽판(47)에 록캠(11)의 정지돌기(48)가 닿음으로써 정지된다. 록캠(11)이 이와 같이 회전할 때, 스토퍼캠(12)의 제지돌기(20)는 록캠(11) 측면에 미끄럼 접합해 가고, 록캠(11)이 정지할 때, 제지돌기(20)는 록캠(11)의 측면단부(19)에 깊이 결합한다. 이에 따라 록캠(11)의 측면오목부(18)와 서포트캠(10)의 측면오목부(17)에 결합한 위치에 구속되고, 조작핸들(3)의 인출회전이 저지된다.
도 8, 도 9 및 도 15 내지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톱(24)은 좌우방향으로 돌출한 제1 연동암(49)과 상하방향으로 돌출한 제2 연동암(50)을 둘레면에 설치한 본체플레이트(51)와, 기단부를 본체플레이트에 비스(55)로 고착되어 제3 축핀(9)이 중공부(52)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꽂힌 샤프트(53)와, 샤프트(53) 선단부에 고착된 스프링 받이 플레이트(54)로 구성되어 있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톱(4)이 하한위치에 있을 때는 제2 연동암(50) 선단부는 파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스토퍼캠(12)의 수동돌기(56)에 결합 불가능한 위치에 있고, 제어톱(24)이 도 10에 있어서 제3 축핀(9)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돌더라도 제어톱(24)에서 스토퍼캠(12)에의 회전력 전달은 없고, 단순히 공전할 뿐이다. 한편, 구동부(25)에 의해 제어톱(24)을 상한 위치로 이동시켰을 때는 도 8에 2점쇄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제2 연동암(50)은 스토퍼캠(12)의 수동돌기(56)와 결합가능한 위치에 온다. 그 때문에 제어톱(24)을 반시계 방향으로 돌렸을 때, 제어톱(24)에서 스토퍼캠(12)에 회전력이 전달된다.
구동부재(25)는 본체케이스(2)의 배면벽부(38)에 비스(57)로 고착된 가이드판(58)과, 가이드판(58) 중앙부의 반형형 관부(管部; 59)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꽂힌 본체로드(60)와, 본체로드(60)의 반경방향에 고착되고, 반원형 관부(59)의 측면벽부 상하방향의 2개의 슬롯(61, 61)에서 좌측 경사방향으로 돌출한 구동핀(62, 62)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본체로드(60) 상단부에는 연결단자(63)가 나사식으로 고착되어 있고, 연결단자(63)는 적당한 연동링크기구(64)를 통하여 상기 전기모터정(26)의 출력축(27)에 접속되어 있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위측 구동핀(62)은 제어톱(24)의 본체 플레이트(51) 하면에 맞닿아 있고, 본체로드(60)가 상방으로 견인되었을 때, 제어톱(24)을 상기 상한위치로 이동시킨다. 상위측 구동핀(62)은 본체로드(60)가 밀려 내려질 때, 제어톱(24)의 스프링 받이 플레이트(54)를 가압하여 제어톱(24)을 하한 위치로 밀어내린다. 제어톱(24)은 제3 스프링(15)에 의해 도 10에 있어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가세되어 있다. 제3 스프링(15)은 비틀림 스프링으로 구성되고, 코일부(15a)는 상기 샤프트(53)에 끼워지고,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쪽의 직선단부(15b)는 상위측의 구동핀(62)에 결합되고, 다른쪽 직선단부(15c)는 상기 스프링 받이 플레이트(54)에 결합되어 있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카니칼록의 자물쇠 유니트(29)가 커버케이스(21) 우단부에 너트(65)에 의해 교축 고착되어 있고, 소정의 열쇠(66) 삽입으로 회전가능한 로터(30) 선단부에는 도 14에 도시한 너트(67)에 의한 조작캠(31)이 고착되어 있다. 조작캠(31)에는 도 20에서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 각도 간격을 두고 제1 조작암(68)과 제 2조작암(69)을 반경방향으로 돌출설치하고 있다. 구동부재(25)의 상기 가이드판(58)의 반원형 관부(59)에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 2개의 슬롯(61, 61) 중간에 제 3의 상향방향의 슬롯(70)이 설치되고, 본체로드(60)의 반경방향으로 고착된 중위구동핀(71)이 전면 방향으로 그 슬롯(70)에 돌출해 있다.
자물쇠 유니트(29) 로터(30)의 열쇠구멍(72)에 열쇠(66)를 도 25의 열쇠 꽂고 뽑기 위치에서 꽂아, 비상시정위치까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2 조작암(69)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2 조작암(69)이 중위의 구동핀(71)을 밀어 구동부재(25)의 본체로드(60)를 도 4의 실선위치까지 밀어내린다. 이 다음, 열쇠(66)를 열쇠 꽂고 뽑기 위치까지 되돌려 로터(30)에서 뽑으면 주위의 구동핀(71)은 도 4의 실선위치에 남게 된다. 그 때문에 제어톱(25)을 시정상태로 설정되고, 제어톱(24)의 제2 연동암(50)은 스토퍼캠(12)의 수동돌기(56)와 결합불가능한 위치에 놓이고, 제어톱(24)을 반시계 방향으로 돌렸을 때, 제어톱(24)에서 스토퍼캠(12)에는 회전력이 전달되지 않는다.
열쇠(66)를 도 25의 열쇠 꽂고 뽑는 위치에서 로터(30)의 열쇠구멍(72)에 꽂고, 비상해정위치까지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1 조작암(68)이 중위의 구동핀(71)을 밀어 구동부재(25)의 본체로드(60)를 밀어올린다. 그 때문에, 제어톱(24)은 해정상태로 설정되고, 제어톱(24)의 제2 연동암(50)은 스토퍼캠(12)의 수동돌기(56)와 결합가능한 위치에 놓이고, 제어톱(24)을 반시계 방향으로 돌렸을 때, 제어톱(24)에서 스토퍼캠(12)에 회전력이 전달된다. 제1 조작암(68)의 근본부에는 구동핀(71)이 들어가는 노치(73)를 설치하고 있으며, 제어톱(24)이 상기와 같이 상한위치에 도달했을 때, 구동핀(71)이 그 노치(73)에 결합함으로써 해정상태가 유지된다.
도 12에서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면 U자모양의 가압레버(23)는 커버케이스(21)의 상하 벽판부(74, 74) 좌단부에 구동축(4)과 평행의 제4 축핀(22)에 의해 상하 각판부(脚板部;76)를 원추형 접합하고, 가압판부(77)는 통상시에는 커버케이스(21)의 전면벽판부(78)와 거의 면위치가 합치해 있다. 각판부(76) 선단부에는 제어톱(24)의 제1 연동암(49)과 배후측에 배치되는 작동돌기(79)가 설치되고, 제4 축핀(22)을 중심으로 가압레버(23)를 도 7에 있어서 반시계 방향으로 돌릴 때, 제어톱(24)이 제3 축핀(9)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구동된다. 가압레버(23)는 제4 스프링(75)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가세되어 있고, 각판부(76)가 본체케이스(2)의 배면벽부(38)의 맞닿음으로써 대기위치에 정지한다. 제4 스프링(75)은 비틀림 스프링에 의해 구성되고, 코일부(75a)는 제4 축핀(22)에 끼워지며, 한쪽의 직선단부(75b)는 가압레버(23)에 결합되며, 다른쪽의 직선단부(75c)는 본체케이스(2) 배면벽부(38)에 맞닿아 있다.
커버케이스(21)와 가압레버(23) 사이에는 조작핸들(3)의 록봉(16)이 들어가는 공간(80)이 남아있고, 커버케이스(21) 전면벽판부(78) 좌단부에는 해정시에 록캠(11)이 들어가는 도피홈부(81)를 설치하고,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해정 방향으로 회전한 록캠(11)은 그 도피홈부(81)의 내면부(81a)에 맞닿음으로써 회전이 정지된다.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압레버(23)의 작동돌기(79)에는 보강용 뒷면대기판(82)을 용접하고 있다. 가압레버(23)에는 필요에 따라 훅상의 이중록판(83)이 비스(84)에 의해 고착된다.
전기모터정(26)은 공지 구조의 것으로, 화물트럭운전자 등의 정당권한자가 소광식 누르기 버튼 스위치(33)를 누르면 전기모터정(26)은 해정측으로 동작하고, 구동부재(25)의 본체로드(60)가 상방으로 견인되며, 제어톱(24)은 상기 상한위치로 밀려올라가고, 제어톱(24)과 스토퍼캠(12)의 연동관계가 성립된다. 콘트롤러(28)로 설정된 도어 개방시간인 약 30초간에 도어(1)가 조작핸들(3)에 의해 개방조작되지 않을 때는 작동적으로 전기모터정(26)이 역작동하여 구동부재(25)의 본체로드(60)가 밀려내려가고, 제어톱(24)이 하한위치로 밀려내려가서 제어톱(24)과 스토퍼핀(12)의 연동관계가 차단면 시정상태로 복귀한다.
해정상태에 있는 소정시간내에 도어(1)를 개방조작하면, 도어 스위치(34)가 온동작하고, 도어(1)를 폐쇄조작하기 까지 해정상태가 유지된다. 상기 소광식 누르기 버튼 스위치(33)는 해정시에는 점등하고 있다. 소요 화물하차 작업 종료후, 로(1)를 폐쇄조작하면 도어 스위치(34)가 오프동작하여, 그 시점에서 전기모터정(26)이 시정측으로 작동한다. 이에 따라 구동부재(25)의 본체로드(60)가 밀려내려가고, 제어톱(24)이 하한위치로 이동하여 제어톱(24)과 스토퍼캠(12)의 연동관계가 재차 차단된다. 어떤 전기적 트러블이 발생하여 전기모터정(26)을 사용할 수 없을 때는 메카니칼록의 자물쇠 유니트(29)의 비상용 열쇠(66)에 의해 시행정 조작이 행해진다.
이상과 같이 청구항 1의 고안은, 가압레버(23)와 스토퍼캠(12) 사이에 제어톱(24)을 삽입하고, 쇄정로드(5)가 시정위치에 있을 때, 제어톱(24)과 스토퍼캠(12)의 연동관계를 차단하고, 쇄정로드(5)를 해정위치로 구동했을 때, 제어톱(24)과 스토퍼캠(12)의 연동관계를 성립시키므로 시정상태에 있어서 오차로 가압레버(23)가 압입조작되더라도 가압레버(23)나 관련부품이 손상파괴될 위험성은 없다.
청구항 2의 고안은, 제어톱(24)을 연동관계의 차단위치 또는 성립위치로 이동시키는 구동부재(25)를 설치하고, 전기모터정(26)의 출력축(27)에 그 구동부재(25)를 접속하고, 전기모터정(26)의 작동시간은 콘트롤러(28)에 의해 제어했기 때문에 도어(1)의 개폐타이밍과 계속시간을 사용상황에 맞추어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청구항 3의 고안은, 제어톱(24)을 연동관계의 차단위치 또는 성립위치로 이동시키는 구동부재(25)를 설치하고, 본체케이스(2)에 자물쇠 유니트(29) 로터(30)에 연결한 조작캠(31)에 의해 그 구동부재(25)를 조작하는 것으로, 시정상태에서는 조작캠(31)과 구동부재(25)의 연동관계로 차단되어 있기 때문에, 오차로 가압레버(23)가 압입되더라도 가압레버(23)와 그 관련부품이 총칭되지 않을 뿐더러 조작캠(31)과 자물쇠 유니트(29)도 파손파괴로부터 면해진다.
청구항 4의 고안은, 제어톱(24)을 연동관계의 차단위치 또는 성립위치로 이동시키는 구동부재(25)는 전기모터정(26)과 자물쇠 유니트(29)의 어느 것으로도 조작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전기계통의 고장으로 전기모터정(26)이 작동부능인 비상시에는 자물쇠 유니트(29)의 키 조작으로 구동부재(25)가 시정위치 혹은 해정위치로 조작되고, 비상시의 도어(1) 개폐가 지장없이 행해진다.

Claims (4)

  1. 도어(1)에 고착되는 본체케이스(2)에 조작핸들(3)을 기복회전가능하게 수용하고, 조작핸들(3) 기단부를 구동축(4)에 의해 본체케이스(2)에 원추형 접합하고, 고정틀체측 스텝과 계탈하는 걸림쇠가 선단부에 설치되는 쇄정로드(5)를 구동축(4)에 연결하고, 본체케이스(2)에 고착한 록케이스(6)에 록캠(11)과 스토퍼캠(12)을 서로 결합하도록 원추형 접합하고, 스프링에 의해 록캠(11)과 스토퍼캠(12)을 서로 역방향으로 회전가세하고, 조작핸들(3)에 설치한 록봉(16)을 록캠(11)의 측면오목부(18)에 결합시켜서 조작핸들(3)을 본체케이스(2)내에 몰입한 위치에 자물쇠로 고정하고, 록캠(11)의 측면단부(19)에 스토퍼캠(12)의 제지돌기(20)를 결합시켜서 록캠(11)을 그 고정위치에 회전불능으로 구속하고, 가압레버(23)의 압입조작에 의해 스토퍼캠(12)에 의한 록캠(11)의 구속을 해제하고, 조작핸들(3)을 본체케이스(2)에서 기립회전시켜서 쇄정로드(5)를 시정위치에서 해정위치로 회전시키도록 한 도어용 록핸들 장치에 있어서, 가압레버(23)와 스토퍼캠(12) 사이에 제어톱(24)을 삽입하고, 쇄정로드(5)가 시정위치에 있을 때, 제어톱(24)과 스토퍼캠(12)의 연동관계를 차단하고, 쇄정로드(5)를 해정위치로 구동하고자 할 때 제어톱(24)과 스토퍼캠(12)의 연동관계를 성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록핸들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제어톱(24)은 연동관계의 차단위치 또는 성립위치로 이동시키는 구동부재(25)를 설치하고, 전기모터정(26)의 출력축(27)에 그 구동부재(25)를 접속하고, 콘트롤러(28)에 의해 전기모터정(26)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록핸들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제어톱(24)을 연동관계의 차단위치 또는 성립위치로 이동시키는 구동부재(25)를 설치하고, 본체케이스(2)에 설치한 자물쇠 유니트(29)의 로터(30)에 연결한 조작캠(31)에 의해 그 구동부재(25)를 조작하고, 시정상태에 있어서 조작캠(31)과 구동부재(25)의 연동관계를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록핸들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제어톱(24)을 연동관계의 차단위치 또는 성립위치로 이동시키는 구동부재(25)를 설치하고, 전기모터정(26) 출력축(27)에 그 구동부재(25)를 접속하고, 콘트롤러(28)에 의해 전기모터정(26)의 작동을 제어함과 동시에, 자물쇠 유니트(29) 로터(30)에 연결한 조작캠(31)에 의해서도 그 구동부재(25)를 조작가능하게 하고, 시정상태에 있어서 조작캠(31)과 구동부재(25)의 연동관계를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록핸들 장치.
KR2019970011028U 1997-05-19 1997-05-19 도어용 록핸들 장치 KR2001744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1028U KR200174474Y1 (ko) 1997-05-19 1997-05-19 도어용 록핸들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1028U KR200174474Y1 (ko) 1997-05-19 1997-05-19 도어용 록핸들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6575U KR19980066575U (ko) 1998-12-05
KR200174474Y1 true KR200174474Y1 (ko) 2000-03-02

Family

ID=19501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1028U KR200174474Y1 (ko) 1997-05-19 1997-05-19 도어용 록핸들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4474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8712B1 (ko) * 2006-11-02 2007-08-13 배종식 건물용 출입문개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6575U (ko) 1998-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439253B (zh) 车辆用门锁装置
JP2816796B2 (ja) 空振り式スーパーロック機構付車両ドアロック装置
JPH0557391B2 (ko)
JP3835606B2 (ja) 電気錠
CN101519931B (zh) 门锁装置
JP2000045602A (ja) 閉鎖装置
JP3788968B2 (ja) 電気錠
KR20040010346A (ko) 자동차 로킹 장치
JP4586304B2 (ja) 引出形電気機器ユニットのロック装置
KR200174474Y1 (ko) 도어용 록핸들 장치
US6286345B1 (en) Card locking device
JP2733830B2 (ja) 扉用ロックハンドル装置
KR200174651Y1 (ko) 시정확인기구달린 문용 록핸들장치
JP3874459B2 (ja) 安全スイッチ用アクチュエータ機構
JP3577731B2 (ja) キースイッチ
KR100558621B1 (ko) 차량용 시동키 장치
JPH09245584A (ja) キースイッチ
JP4169428B2 (ja) 車両における扉体の開閉操作装置
CN114855425B (zh) 一种锁定结构、门锁及具有其的洗衣机
JP3769154B2 (ja) ドアロック装置
JP3458070B2 (ja) ドアロック装置
JP2587477Y2 (ja) 安全用スイッチ装置
KR200174475Y1 (ko) 셔터용 로크장치
JP4405903B2 (ja) 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JP3055653B2 (ja) 錠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00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