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3603Y1 - 벽 붙임용 걸이구 - Google Patents

벽 붙임용 걸이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3603Y1
KR200173603Y1 KR2019970012916U KR19970012916U KR200173603Y1 KR 200173603 Y1 KR200173603 Y1 KR 200173603Y1 KR 2019970012916 U KR2019970012916 U KR 2019970012916U KR 19970012916 U KR19970012916 U KR 19970012916U KR 200173603 Y1 KR200173603 Y1 KR 2001736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tool
hanger
hol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29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8283U (ko
Inventor
박승부
Original Assignee
박승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승부 filed Critical 박승부
Priority to KR20199700129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3603Y1/ko
Publication of KR1998006828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828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36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360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9/00Supports, holders, or containers for household use,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G1/00-A47G27/00 or A47G33/00 
    • A47G29/087Devices for fastening household utensils, or the like, to tables, walls, or the like

Abstract

본 고안은 벽 붙임용 걸이구에 관한 것으로, 걸이구를 걸 수 있는 공구걸이판이 없어도 걸이구를 벽에 고정시켜 공구를 보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중앙에 관통공(6)이 형성된 복수개의 결합돌부(4)가 이격부(2)를 사이에 두고 걸이구(10)의 후면에 형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부(4)를 걸이구(10)의 전면에 형성하고, 상기 결합돌부(4)의 사이에 형성된 명찰부(8)에 공구멍이 새겨진 스티커(7)를 부착하며, 상기 결합돌부(4)의 중앙에 걸림턱(5)이 형성된 관통공(6)로 고정수단(12)을 결합하여 상기 걸이구(10)를 벽(20)에 밀착되게 고정하여서 된 것으로, 본 고안은 결합돌부(4)의 관통공(6)로 고정수단(12)을 박아 걸이구(10)를 벽(20)에 고정시킨 후 걸이구(10)에 다양한 걸이공(22)을 갖는 걸림용부재(30)를 걸어 공구를 걸림용부재(30)에 담아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걸이구(10)를 걸 수 있는 공구걸이판이 없어도 걸이구(10)를 벽(2)에 고정하여 걸림용부재(30)를 걸이구(10)에 간편하게 걸어 공구를 보관할 수 있고, 또한 걸이구(10)에서 걸림용부재(30)를 분해하여 작업시 걸이구(10)의 명찰부(8)에 공구명이 새겨져 부착된 스티커(7)에 의해 항상 걸림용부재(30)를 제 위치의 걸이구(10)에 걸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Description

벽 붙임용 걸이구
본 고안은 벽 붙임용 걸이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면에 복수개의 결합돌부가 형성된 걸이구를 벽에 붙여 고정시키고, 걸이구의 결합돌부에 걸려 고정될 수 있는 다양한 걸이공이 형성된 걸림용부재를 걸이구에 걸어 걸림용부재에 작업공구를 보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걸이구는 공구걸이판의 전면에 형성된 걸이공에 걸이구의 결합돌부를 결합하여 고정시키고, 결합돌부에 형성된 결합공에 공구걸이봉을 고정 결합하여 걸이구에 각종 공구들을 걸어 보관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걸이구를 걸수 있는 공구걸이 판이 구비되지 않았을 때에는 걸이구를 걸 수 있는 수단이 없었기 때문에 걸이구에 공구를 걸어 보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은 걸이구의 전면에 관통공을 갖는 결합돌부를 형성하고, 상기 결합돌부의 관통공으로 철못을 박아 걸이구를 벽에 고정시킨 후 다양한 걸이공이 형성된 걸림용 부재를 걸이구에 걸고 공구를 걸림용부재에 담아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관통공이 형성된 복수개의 결합돌부를 통하여 고정수단으로써 벽에 고정되는 걸이구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부의 관통공 일측에는 상기 고정수단이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걸이구에는 공구명이 새겨진 스티커가 부착되는 명찰부를 형성함으로써 달성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가-가선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 분리사시도.
제4(a),(b),(c),(d)도는 본 고안의 걸이구에 걸 수 있는 걸이공을 도시한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이격부 4 : 결합돌부
5 : 걸림턱 6 : 관통공
7 : 스티커 8 : 명찰부
10 : 걸이구 12 : 고정수단
20 : 벽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 사시도이고, 제2도는 제1도의 가-가선 단면도이다.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중앙에 관통공(6)이 형성된 복수개의 결합돌부(4)가 이격부(2)를 사이에 두고 걸이구(10)의 후면에 형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걸이구(10)의 전면에 이격부(2)를 갖는 복수개의 결합돌부(4)를 형성하고, 상기 결합돌부(4)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공(6)의 내측으로 걸림턱(5)을 형성하며, 상기 결합돌부(4)의 사이에 명찰부(8)가 형성된 걸이구(10)의 관통공(6)으로 고정수단(12)을 삽입하여 벽(20)에 고정한 걸이구(10)의 결합돌부(4)에 안내공(21a)의 상,하 및 좌,우측에 걸림홈(21b)이 연결되게 형성된 걸이공(22)을 갖는 걸림용부재(30)를 걸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상기 고정수단(12)은 벽(20)에 박을 수 있는 철못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걸림턱(5)은 관통공(6)의 내측으로 형성되어 고정수단(12)을 관통공(6)에 끼워 걸이구(10)를 벽(20)에 고정시킬 때 고정수단(12)이 관통공(6)으로 삽입되어 벽(20)에 박히면서 고정수단(12)이 걸림턱(5)에 고정되므로 고정수단(12)이 걸이구(10)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게 된다.
상기 명찰부(8)는 걸림용부재(30)에 담겨지는 공구의 명칭을 스티커(7)에 새겨 명찰부(8)에 붙혀 걸림용부재(30)를 항상 제위치의 걸이구(10)에 걸 수 있도록한 것이다.
상기 걸림용부재(30)에 형성되는 걸이공(22)은 안내공(21a)의 하측에 걸림홈(21b)이 연결되게 형성된 것과, 안내공(21a)의 상,하측에 걸림홈(21b)이 연결되게 형성된 것과, 안내공(21a)의 좌,우측과 하측에 걸림홈(21b)이 연결되게 형성된 것과, 하단이 개구된 장공형상의 안내공(21a)으로 형성하여 걸이구(10)의 결합돌부(4)에 걸림용부재(30)를 걸어 고정 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에 결합돌부(4)가 형성된 걸이구(10)를 벽(20)에 밀착시킨 다음, 결합돌부(4)의 관통공(6)으로 고정수단(12)을 끼우고 망치나 기타 도구로써 고정수단(12)을 박아 걸이구(10)를 벽(20)에 고정시킨다.
이때, 고정수단(12)은 결합돌부(4)의 관통공(6)에 의해 가이드 되면서 어긋나지 않고 벽(20)에 정확히 박히고 고정수단(12)이 관통공(6)으로 삽입되면서 걸림턱(5)에 고정되어 고정수단(12)이 걸이구(10)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명찰부(8)에 걸림용부재(30)로 담겨지는 공구의 명칭이 새겨진 스티커(7)를 붙히고 걸이구(10)의 결합돌부(4)에 안내공(21a)의 상,하 및 좌,우측에 걸림홈(21b)이 연장 형성된 걸이공(22)을 갖는 걸림용부재(30)를 결합시키게 된다.
상기 결합돌부(4)로 안내공(21a)이 결합되면 걸림용부재(30)를 하측으로 내려 결합돌부(4)의 이격부(2)가 걸이공(22)의 걸림홈(21b)에 결합되게 하여 걸림용부재(30)를 걸이구(10)에 고정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걸림용부재(30)에 걸이구(10)의 명찰부(8)에 공구명이 명시된 공구들을 담아 사용하면 된다.
상기 걸이구(10)에 걸리게 결합된 걸림용부재(30)에 담겨진 공구가 작업장소에서 멀리 떨어져 있을 때에는 걸이구(10)에서 걸림용부재(30)를 분리하여 걸림용부재(30)에 담겨진 공구를 사용하면 되고, 작업을 마친 후에는 명찰부(8)의 공구명과 같은 공구가 담긴 걸림용부재(30)를 걸이구(10)에 걸어 항상 걸림용부재(30)를 제 위치의 걸이구(10)에 걸 수 있는 것이다.
제4(a),(b),(c),(d)도는 상기 걸이구(10)의 결합돌부(4)에 걸릴 수 있는 걸림용부재(30)에 형성된 걸이공(22)이 도시된 것으로, 상기 안내공(21a)의 하측에는 걸림홈(21b)이 연장 형성되고, 안내공(21a)의 상,하측에는 걸림홈(21b)이 연장 형성되며, 안내공(21a)의 좌,우측과 하측에는 걸림홈(21b)이 연장 형성되고, 하단이 개구된 장공형상의 안내공(21a)을 갖는 걸이공(22)을 걸림용부재(30)에 형성하여 걸이구(10)의 결합돌부(4)에 걸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걸이구(10)의 결합돌부(4)에 형성된 관통공(6)으로 고정수단(12)을 박아 고정수단(12)이 관통공(6)의 걸림턱(5)에 고정되게 하여 벽(20)에 걸이구(10)를 고정하고, 걸이구(10)의 결합돌부(4)로 걸림용부재(30)에 형성된 걸이공(22)의 안내공(21a)을 끼워 결합돌부(4)의 이격부(2)에 걸이공(22)의 걸림홈(21b)이 걸리도록 걸이구(10)에 걸림용부재(30)를 걸어 공구를 걸림용부재(30)에 담아 보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벽 붙임용 걸이구는 결합돌부(4)의 관통공(6)을 통하여 고정수단(12)을 박아 걸이구(10)를 벽(20)에 고정시킨 다음, 걸이구(10)에 다양한 걸이공(22)를 갖는 걸림용부재(30)를 걸어 공구를 걸림용부재(30)에 담아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이는 걸이구(10)를 걸 수 있는 공구 걸이판이 없어도 걸이구(10)를 벽(20)에 고정하여 걸림용부재(30)를 걸이구(10)에 간편하게 걸어 공구를 보관할 수 있고, 또한 걸이구(10)에서 걸림용부재(30)를 분리하여 작업시 걸이구(10)의 명찰부(8)에 공구명이 새겨져 부착된 스티커(7)에 의해 항상 걸림용부재(30)를 제위치의 걸이구(10)에 걸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관통공(6)이 형성된 복수개의 결합돌부(4)를 통하여 고정수단(12)으로써 벽(20)에 고정되는 걸이구(10)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부(4)의 관통공(6) 일측에는 상기 고정수단(12)이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턱(5)이 형성되고, 상기 걸이구(10)에는 공구명이 새겨진 스티커(7)가 부착되는 명찰부(8)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붙임용 걸이구.
KR2019970012916U 1997-05-31 1997-05-31 벽 붙임용 걸이구 KR2001736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2916U KR200173603Y1 (ko) 1997-05-31 1997-05-31 벽 붙임용 걸이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2916U KR200173603Y1 (ko) 1997-05-31 1997-05-31 벽 붙임용 걸이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8283U KR19980068283U (ko) 1998-12-05
KR200173603Y1 true KR200173603Y1 (ko) 2000-04-01

Family

ID=19502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2916U KR200173603Y1 (ko) 1997-05-31 1997-05-31 벽 붙임용 걸이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360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8283U (ko) 1998-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51945B2 (en) Device for hanging articles
US6257409B1 (en) Positive attachment wrench case
US20080035685A1 (en) Indicator device for a hanger hook
US6027091A (en) Curtain clip
KR200173603Y1 (ko) 벽 붙임용 걸이구
WO1994020785A1 (en) Support bracket
US6682033B1 (en) Support device for supporting frames and other objects from a structure
JP4854263B2 (ja) 吊下フック
JPS6320396Y2 (ko)
JP3055199U (ja) ランナー保持具
KR200291226Y1 (ko) 다기능 테이블 조립구
KR200302592Y1 (ko) 공구 수납판
KR200227749Y1 (ko) 공구걸이구
JP2008142328A (ja) 器具取付座
JP2000051059A (ja) 側面に取り付けられるフック
JP2001149207A (ja) 衣服用ハンガー掛け具
KR970004985Y1 (ko) 옷걸이 걸이구
JP3033081U (ja) 鴨居掛け具
JP2565017Y2 (ja) 収納体の天板へのハンガーパイプの取付け構造
JP3591685B2 (ja) スイッチ構造
JP2001299532A (ja) 植木鉢等の吊り支持具
KR200404961Y1 (ko) 천정고리
JPH035650Y2 (ko)
JPH0956572A (ja) すだれ吊掛具
JP2508938Y2 (ja) 小物類の吊持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4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