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3391Y1 - 포장용 병뚜껑 - Google Patents

포장용 병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3391Y1
KR200173391Y1 KR2019990022064U KR19990022064U KR200173391Y1 KR 200173391 Y1 KR200173391 Y1 KR 200173391Y1 KR 2019990022064 U KR2019990022064 U KR 2019990022064U KR 19990022064 U KR19990022064 U KR 19990022064U KR 200173391 Y1 KR200173391 Y1 KR 2001733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aging container
bottle cap
opening
sealing sheet
pack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20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정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유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유창 filed Critical 주식회사유창
Priority to KR20199900220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339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33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339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 B65D41/0407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with integral sea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 B65D41/0435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with separate sealing elements
    • B65D41/045Dis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43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combined with an opening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포장용 병뚜껑은 포장용기에 저장된 내용물의 운반 및 보관 시 포장용기의 상단 개구부에 접착된 밀봉시트와 병뚜껑의 내주연에 삽입된 밀봉시트에 의하여 내용물의 누출을 방지하고, 포장용기에 저장된 내용물의 사용 시 병뚜껑을 포장용기의 목부에서 나사 해체한 후 병뚜껑을 거꾸로 뒤집어서 포장용기의 상단 개구부 외주연에 삽입하면 병뚜껑의 상부면 요입부는 포장용기의 상단 개구부 외주연에 삽입되고, 이와 동시에 요입부상에 형성된 절단용돌기는 포장용기의 상단 개구부에 접착된 밀봉시트를 뚫어 개구부의 내주연에 삽입되어서 사용자가 병뚜껑을 회전시키는 단순한 동작에 의하여 절단용돌기의 날부가 포장용기의 개구부에 실링된 밀봉시트를 절단시킬 수 있으므로 별도의 도구나 사용자의 손이 직접 포장용기의 개구부에 닿지 않더라도 본 고안의 병뚜껑만으로 포장용기의 개구부에 실링된 밀봉시트를 완벽하고 매끄럽게 절단하여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포장용 병뚜껑(2)은 병뚜껑의 상부면에 함몰된 요입부(5)를 형성하고, 상기한 요입부상에는 선단에 날부를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단용돌기(6)를 형성하되, 상기한 요입부(5)는 포장용기(1)의 상단 개구부 외주연에 삽입될 수 있도록 포장용기의 개구부 외주연 보다 크게 형성하고, 상기한 요입부(5)상에 형성된 절단용돌기(6)는 포장용기(1)의 상단 개구부 내주연에 삽입될 수 있도록 포장용기(1)의 상단 개구부 내주연 보다 적은 위치에 세워 설치하여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포장용 병뚜껑 {A bottle cap}
본 고안은 각종 포장용기의 병목에 나사 결합되는 포장용 병뚜껑에 관한 것으로 특히, 포장용기에 수납된 농약, 의약품, 독극물, 화공약품 등 사용자의 손이 닿으면 안되는 내용물을 인출하기 위하여 포장용기의 개구부 주연에 접착 실링된 밀봉시트를 절단하여서 포장용기의 개구부를 개방시킬 수 있도록 한 신규한 형태의 포장용 병뚜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형태의 합성수지로 된 스크류식 병뚜껑은 병목의 상단에 닿아 지지되는 밀봉시트를 내장하고 있다. 이러한 합성수지로 된 스크류식 병뚜껑은 밀봉시트가 고무 종류의 부드러운 재료로 이루어진 것이며, 이는 부착되거나 삽입되는 방식으로 고정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병뚜껑은 밀봉시트를 조립하기 위하여 작업공정이 추가되며, 그 결과 생산성이 저하되고 고정상태가 불안정하여 정위치에 있지 못하고 밀봉상태가 불량하게 되어서 밀폐력이 저하되며, 이러한 밀봉시트는 재생하여 사용하기 어려우므로 환경오염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그러나 포장용기에 저장되는 내용물이 농약, 의약, 독극물, 화공약품 등 내용물의 기밀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포장용기의 상단 개구부를 밀봉시트로 1차로 접착 실링하고, 포장용기의 목부에 나사 결합되는 병뚜껑의 내주연에도 밀봉시트로 삽입하여 2차로 밀봉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아울러 또 다른 형태의 뚜껑도 공지되어 있는데 이는 별도의 조립 공정을 수반하지 않고 사출성형으로 완성되는 것이며, 이는 병목의 상단과 접하는 접면부와 내측의 나사부 사이에 하나 이상의 원형리브를 설치하였다. 이러한 뚜껑의 리브는 체결시 병목의 상단과 밀접되면서 밀봉기능을 갖는 것이며, GB-PS 950443은 이러한 뚜껑에 대한 구체적인 예를 보이고 있다. 위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수직의 리브가 현저하게 돌출 배열되어 있는 뚜껑은 저압상태에서 쉽게 보존되는 맥주와 같은 내용물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GB-PS 925647은 다른 형태로 된 뚜껑의 구조 및 생산방법을 보여주고 있다. 위에서는 리브를 성형하기 위하여 사출성형 다이를 특수구조로 하여야 하는 어려움이 있으며, 이것은 대량생산시에 제조비용을 과중하게 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US-A 392579에는 단하나의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합성수지 뚜껑이 공지되어 있다. 이는 내측에 나사부를 가지며 병에 스크류식으로 끼워지고 활 형상의 부분이 병의 상단부와 접하는 접면부로 이어지도록 되어있다.
이러한 뚜껑은 밀봉을 위하여 안에서 결합되는 리브 또는 안쪽 둘레를 향하여 비스듬히 뻗은 깔대기 형상의 목 내측에서 지지하는 탄성리브가 병의 목에 제공되는 것이며, 이러한 리브는 내용물이 열받을 때 내압이 상승하여 병의 목에 달라붙는다.
또한 리브가 결합될 시 뚜껑의 정확한 수직 위치가 밀봉작용을 위한 병목의 위치와 관련하여 적당한 반면, 리브를 돌려넣는 깊이와 압착되는 힘이 부적합한 경우 병목의 지지면에 리브가 변형되면서 접촉되므로 쉽게 벗겨지는 결과를 초래하여 밀봉역할을 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아울러 병의 밀봉상태를 보장하기 위한 개런티밴드라고 부르는 실링밴드는 특히, 병뚜껑을 위한 안전띠로서 공지되어 있다. 이것은 불법적인 개방에 대해 병의 내용물을 안전하게 하는데 이용된다. 그러므로 이러한 안전띠는 뚜껑 및 병의 처음 개봉 시에 손상되었는지를 쉽게 알 수 있도록 되어 있어야 한다.
대부분의 안전띠는 링으로 이루어져 있고, 이에는 규칙적으로 배열된 얇은 다수의 연결웨브가 뚜껑의 외주면과 접하는 부위에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뚜껑은 개봉할 때 연결웨브가 뚜껑과 분리되면서 병의 목에 걸려 있다. 위와 같은 종류의 실링밴드는 뚜껑이 실링밴드와 함께 병에 손상을 주지않고 제거될 수 있을 정도로 열을 가해서, 예를 들어 손으로 연화될 수 있는 단점을 지니고 있다.
이 공지의 뚜껑의 다른 단점으로는 실링밴드가 병의 목에 걸려 남아서 병과병뚜껑의 재질이 서로 상이하므로 병의 재활용(re-cycling)시, 즉 재사용전에 별도의 작업으로 병목에서 병뚜껑에서 분리된 실링밴드를 제거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병과 병뚜껑의 허용공차로 인하여 실링밴드가 탈리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병뚜껑이 병목에서 빠져 나와서 내용물이 흘러나오는 경우가 있어서 이로 인하여 각종 세균에 감염될 우려가 있어서 완벽한 봉인역할을 할 수 없다는 것이다.
그리고 병목에 삽입되는 병뚜껑의 내주연은 병의 병목에 삽입될 때 병뚜껑설치기계에 의하여 강제로 압압되는 것으로써, 이러한 병뚜껑의 내주연 직경은 병목의 개구부 외주연 보다 미세하게 커야 하며, 병뚜껑이 병목에 삽입될 때 병뚜껑의 하단에 형성된 실링부와 연결웨브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어야만 한다.
종래 기술에 의한 이러한 형태의 병뚜껑은 병목에 삽입될 때 병뚜껑의 실링부가 가장 먼저 병목의 개구부에 닿게 되고, 병뚜껑의 실링부 내주연은 병목의 개구부를 강제로 통과하여서 병목의 걸림턱에 걸려지게 되므로 병뚜껑의 하단 실링부의 내주연 개구부와 병목의 외주연이 정확히 일치하여야 할뿐만 아니라, 병뚜껑을 병목에 강제로 삽입시키는 병뚜껑설치기계의 누르는 압력을 아주 꼭 맞게 조절하여야 한다.
하지만 그렇치 않을 경우에는 병뚜껑이 병목에 삽입될 때 병뚜껑의 하단 실링부가 파손되어서 실링 불량이 발생되는 단점이 있고, 병뚜껑과 실링부를 연결하는 연결웨브가 파손되어서 병에 충전된 내용물이 흘러나오는 등 병에 충전된 내용물을 효과적으로 실링할 수 없는 단점을 지니고 있었다. 아울러, 위와 같은 포장용기는 포장용기에 저장되는 내용물에 따라 전혀 다른 양상을 지니게 된다.
포장용기에 사람이 먹을 수 있는 각종 음료를 담는 경우에는 위와 같은 병뚜껑들이 아주 적합하지만 포장용기의 내부에 인체에 유해하거나 저장되는 내용물의 특성상 사람의 손이 닿으면 안되는 것들 예컨데, 각종 농약, , 의약, 독극물, 화공약품 등을 담을 경우에는 포장용기의 개구부 주연을 밀봉시트로 실링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포장용기의 개구부가 밀봉시트로 실링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포장용기에 저장된 내용물을 사용하고자 인출할 경우에는 포장용기의 병뚜껑을 개봉한 다음 포장용기의 개구부 밀봉시트를 제거하여야만 내용물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통상적으로 각종 농약, 의약, 독극물, 화공약품 등은 사용자의 손으로 만질 수 없는 것이기 때문에 사용을 위하여 포장용기의 개구부에 실링된 밀봉시트를 제거할 때는 밀봉시트를 손으로 만지지 않고 포장용기의 개구부에 실링된 밀봉시트를 제거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종래 기술에 의한 위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병뚜껑들은 인체에 유해한 농약, 의약, 독극물, 화공약품 등의 내용물을 저장하는 포장용기의 병뚜껑으로는 매우 부적합한 것이었다.
그리고 종래 이들 내용물을 저장하는 포장용기들은 포장용기의 개구부에 실링된 밀봉시트를 제거하기 위해서 포장용기의 병뚜껑을 제거한 후 밀봉시트를 꼬챙이 등 다른 도구를 이용하여 구멍을 뚫고 적당히 제거하거나 밀봉시트를 파괘하여 포장용기의 개구부 안쪽으로 밀어 넣어서 개구부를 개방시킨 후 저장된 내용물을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이들 내용물을 저장하는 포장용기의 개구부 개방이 용이하지 못하고 매우 어설퍼서 밀봉시트 제거 도중에 내용물이 사용자의 옷이나 손에 닿는 등 위험성을 지니고 있을 뿐만 아니라 포장용기에 저장된 내용물을 모두 다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을 지니고 있었다.
본 고안의 포장용 병뚜껑은 사용자가 농약, 의약, 독극물, 화공약품 등을 저장하는 포장용기의 병뚜껑을 개방하여 포장용기의 내용물을 인출할 때 포장용기의 개구부 주연에 실링된 밀봉시트의 절단을 아주 쉽고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병뚜껑을 단순히 뒤집어서 포장용기의 개구부에 맞대고 병뚜껑을 반바퀴나 한바퀴 정도 회전시키는 지극히 단순한 동작에 의하여 포장용기의 개구부에 실링된 밀봉시트를 깨끗이 절단시킬 수 있도록 하므로서, 별도의 도구 사용이나 사용자의 손이 직접 포장용기의 개구부에 닿지 않더라도 본 고안의 병뚜껑만으로 포장용기의 개구부에 실링된 밀봉시트를 완벽히 그리고 아주 매끄럽게 절단하여 제거할 수 있고, 또한 사용자의 인체에 전혀 손상을 주지 않으면서 안전하게 포장용기의 개구부를 개방시켜서 포장용기에 저장된 내용물을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포장용기에 저장된 내용물의 운반 및 보관 시 포장용기의 상단 개구부에 접착된 밀봉시트와 병뚜껑의 내주연에 삽입된 밀봉시트에 의하여 내용물의 외부 누출을 방지하면서 포장용기에 저장된 내용물의 사용 시 병뚜껑을 포장용기의 목부에서 나사 해체한 후 병뚜껑을 거꾸로 뒤집어서 포장용기의 상단 개구부 외주연에 삽입하면 병뚜껑의 상부면 요입부는 포장용기의 상단 개구부 외주연에 삽입되고, 이와 동시에 요입부상에 형성된 절단용돌기는 포장용기의 상단개구부에 접착된 밀봉시트를 뚫어서 사용자가 병뚜껑을 회전시키는 단순한 동작에 의하여 절단용돌기의 날부가 포장용기의 개구부에 실링된 밀봉시트를 개구부의 내주연과 동일하게 깨끗이 절단시킬 수 있으므로 별도의 도구 사용이나 사용자의 손이 직접 포장용기의 개구부에 닿지 않더라도 포장용기의 개구부에 실링된 밀봉시트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병뚜껑은 병뚜껑의 상부면에 함몰된 요입부를 형성하고, 상기한 요입부상에는 선단에 날부를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단용돌기를 형성하되, 상기한 병뚜껑의 상부면에 형성된 요입부는 포장용기의 상단 개구부 외주연에 삽입될 수 있도록 포장용기의 상단 개구부 외주연 보다 크게 형성하고, 상기한 요입부상에 형성된 절단용돌기는 포장용기의 상단 개구부 내주연에 삽입될 수 있도록 포장용기의 상단 개구부 내주연 보다 적은 위치에 세워 설치한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의 양호한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서, 본 고안의 병뚜껑이 결합된 포장용기의 정면도
도 2 는 도 1 의 포장용기에 결합된 본 고안의 포장용 병뚜껑의 평면도
도 3 은 도 2 의 A - A 선을 절단한 종단면도
도 4 는 도 1 의 포장용기에 결합된 본 고안의 포장용 병뚜껑으로 포장용기의 개구부 주연에 실링된 밀봉시트를 절단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 부분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포장용기 2 : 병뚜껑
3 : 밀봉시트 4 : 밀봉시트
5 : 요입부 6 : 절단용돌기
도 1 내지 도 4 에서,
부호 1 은 농약, 의약, 독극물, 화공약품 등 사람의 손이 닿으면 안되는 내용물을 저장하는 포장용기를 표시하며; 부호 2 는 상기한 포장용기(1)의 개구부에 나사결합된 본 고안의 병뚜껑을 표시한다.
상기한 포장용기(1)는 농약, 의약, 독극물, 화공약품 등을 저장한 후 이들을 완전 밀폐시키기 위하여 도 4 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포장용기(1)의 상단 개구부에 밀봉시트(3)를 접착하여서 포장용기(1)의 내용물이 자연적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고, 아울러 이에 나사 결합되는 병뚜껑(2)의 내주연에도 상기한 포장용기(1)의 상단 개구부에 접착된 밀봉시트(3)를 한번 더 눌러주는 다른 형태의 밀봉시트(4)가 삽입되어 있다.
그러므로 농약, 의약, 독극물, 화공약품 등 포장용기(1)에 저장된 내용물은 운반 및 보관 시 포장용기의 상단 개구부에 접착된 밀봉시트(3)와 병뚜껑(2)의 내주연에 삽입된 밀봉시트(4)에 의하여 내용물이 외부로 자연적으로 누출되는 것이 방지되고, 포장용기(1)에 저장된 내용물의 사용 시 병뚜껑(2)을 포장용기(1)의 목부에서 나사 해체하여 제거한 다음 포장용기(1)의 상단 개구부에 접착된 밀봉시트(2)를 안전하게 제거한 후 저장된 내용물을 사용하면 된다.
본 고안의 특징적인 요부 구성은 상기한 포장용기(1)의 개구부에 접착된 밀봉시트(2)를 안전하게 제거하기 위하여 포장용기(1)의 목부에 나사 결합되는 병뚜껑(2)의 상부면에 함몰된 요입부(5)를 형성하고, 상기한 요입부(5)상에는 선단에 날부를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단용돌기(6)를 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상기한 병뚜껑(2)의 상부면에 형성된 요입부(5)는 상기한 포장용기(1)의 상단 개구부 외주연이 삽입될 수 있도록 포장용기(1)의 상단 개구부 외주연 보다 크게 형성하고, 상기한 요입부(5)상에 형성된 절단용돌기(6)는 포장용기(1)의 상단 개구부 내주연에 삽입될 수 있도록 포장용기(1)의 상단 개구부 내주연 보다 적은 위치에 세워 설치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포장용 병뚜껑(2)은 포장용기(1)의 목부에 나사결합되는 병뚜껑(2)의 상부면에 함몰된 요입부(5)를 형성하고, 상기한 요입부(5)상에는 선단에 날부를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단용돌기(6)를 형성하며, 상기한 병뚜껑(2)의 상부면에 형성된 요입부(5)는 포장용기(1)의 상단 개구부 외주연 보다 크게 형성하고, 상기한 요입부(5)상에 형성된 절단용돌기(6)는 포장용기(1)의 상단개구부 내주연에 삽입될 수 있도록 포장용기(1)의 상단 개구부 내주연 보다 적은 위치에 세워 설치하므로서,
포장용기(1)에 저장된 농약, 의약, 독극물, 화공약품 등 내용물의 운반 및 보관 시 포장용기의 상단 개구부에 접착된 밀봉시트(3)와 병뚜껑(2)의 내주연에 삽입된 밀봉시트(4)에 의하여 내용물이 외부로 자연적으로 누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아울러, 포장용기(1)에 저장된 내용물의 사용 시 병뚜껑(2)을 포장용기(1)의 목부에서 나사 해체한 후 도 4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병뚜껑(2)을 거꾸로 뒤집어서 포장용기(1)의 상단 개구부 외주연에 삽입하면 병뚜껑(2)의 상부면 함몰된 요입부(5)는 상기한 포장용기(1)의 상단 개구부 외주연에 삽입이 되고, 이와 동시에 요입부(5)상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단용돌기(6)는 상기한 포장용기(1)의 상단 개구부에 접착된 밀봉시트(3)를 뚫어서 포장용기(1)의 상단 개구부 내주연에 삽입이 된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위와 같은 상태에서 포장용기(1)에서 병뚜껑(2)을 반바퀴나 한바퀴 정도 회전시키는 지극히 단순한 동작에 의하여 절단용돌기(6)의 날부가 포장용기(1)의 개구부에 실링된 밀봉시트(3)를 개구부의 내주연과 동일하게 깨끗이 절단할 수 있게 되어서 별도의 도구나 사용자의 손이 직접 포장용기(1)의 개구부에 닿지 않더라도 본 고안의 병뚜껑(2)만으로 포장용기(1)의 개구부에 실링된 밀봉시트(3)를 완벽히 그리고 아주 매끄럽게 절단하여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고안의 포장용 병뚜껑은 포장용기에 저장된 내용물의 운반 및 보관 시 포장용기의 상단 개구부에 접착된 밀봉시트와 병뚜껑의 내주연에 삽입된 밀봉시트에 의하여 내용물의 외부 누출을 방지하면서 포장용기에 저장된 내용물의 사용 시 병뚜껑을 포장용기의 목부에서 나사 해체한 후 병뚜껑을 거꾸로 뒤집어서 포장용기의 상단 개구부 외주연에 삽입하면 병뚜껑의 상부면 요입부는 포장용기의 상단 개구부 외주연에 삽입되고, 이와 동시에 요입부상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이상의 절단용돌기는 포장용기의 상단 개구부에 접착된 밀봉시트를 뚫어서 포장용기의 상단 개구부 내주연에 삽입되어 사용자가 병뚜껑을 회전시키는 단순한 동작에 의하여 절단용돌기의 날부가 포장용기의 개구부에 실링된 밀봉시트를 개구부의 내주연과 동일하게 깨끗이 절단시킬 수 있으므로 별도의 도구나 사용자의 손이 직접포장용기의 개구부에 닿지 않더라도 본 고안의 병뚜껑만으로 포장용기의 개구부에 실링된 밀봉시트를 완벽하고 매끄럽게 절단하여 제거할 수 있으므로 그 실용성이 지대할 것으로 기대된다.

Claims (1)

  1. 포장용기(1)의 목부에 나사 결합되는 병뚜껑(2)의 상부면에 함몰된 요입부(5)를 형성하고, 상기한 요입부(5)상에는 선단에 날부를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단용돌기(6)를 형성하되,
    상기한 요입부(5)는 포장용기(1)의 상단 개구부 외주연 보다 크게 형성하고, 상기한 요입부(5)상에 형성된 절단용돌기(6)는 포장용기(1)의 상단 개구부 내주연보다 적은 위치에 세워 설치하여서 된 것이 특징인 포장용 병뚜껑.
KR2019990022064U 1999-10-13 1999-10-13 포장용 병뚜껑 KR2001733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2064U KR200173391Y1 (ko) 1999-10-13 1999-10-13 포장용 병뚜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2064U KR200173391Y1 (ko) 1999-10-13 1999-10-13 포장용 병뚜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3391Y1 true KR200173391Y1 (ko) 2000-03-15

Family

ID=19592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2064U KR200173391Y1 (ko) 1999-10-13 1999-10-13 포장용 병뚜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339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7273A (ko) 2017-10-27 2019-05-08 김미주 자석 병뚜껑 세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7273A (ko) 2017-10-27 2019-05-08 김미주 자석 병뚜껑 세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748967A (en) Bottle closure
JPS6045149A (ja) 簡単に取除き可能な一体成形されたキヤツプを有するプラスチツク容器
KR200173391Y1 (ko) 포장용 병뚜껑
US3391821A (en) Outside seal for container
JP3825078B2 (ja) タンパーエビデント特性を有する合成樹脂製容器蓋
KR200201671Y1 (ko) 포장용기 뚜껑
KR101049660B1 (ko) 힌지캡
US10196189B2 (en) Carbonated beverage closure
JP4800785B2 (ja) 樹脂製キャップおよびそれを用いた樹脂製キャップ付容器
KR102620223B1 (ko) 드로퍼 용기
US20030192853A1 (en) Device inserted in inviolable lid for bottles
KR200262120Y1 (ko) 식품 저장용 밀폐용기
JP3056655U (ja) セフティーキャップ
KR200291158Y1 (ko) 포장용기 뚜껑
KR200217938Y1 (ko) 원터치 용기 캡
JPH06346Y2 (ja) 広口容器用蓋装置
JP2003054530A (ja) ペットボトルの本体とキャップの間の気密性を高める構造
KR200191086Y1 (ko) 생수통 마개
KR200447034Y1 (ko) 뚜껑 밀폐성이 확보된 플라스틱 용기
US3250418A (en) Container
JP4404253B2 (ja) 簡易開口式容器蓋
JP4068184B2 (ja) 合成樹脂製キャップ
KR200285760Y1 (ko) 포장용기 뚜껑
KR200365735Y1 (ko) 음료수 병마개
JP4739049B2 (ja) 樹脂製キャップおよびそれを用いた樹脂製キャップ付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1209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