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7034Y1 - 뚜껑 밀폐성이 확보된 플라스틱 용기 - Google Patents

뚜껑 밀폐성이 확보된 플라스틱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7034Y1
KR200447034Y1 KR20090011432U KR20090011432U KR200447034Y1 KR 200447034 Y1 KR200447034 Y1 KR 200447034Y1 KR 20090011432 U KR20090011432 U KR 20090011432U KR 20090011432 U KR20090011432 U KR 20090011432U KR 200447034 Y1 KR200447034 Y1 KR 2004470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container
spout
opening
p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900114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윤호
Original Assignee
피앤비팩(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앤비팩(주) filed Critical 피앤비팩(주)
Priority to KR200900114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703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70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703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9/00Closures arranged within necks or pouring openings or in discharge apertures, e.g. stoppers
    • B65D39/0005Closures arranged within necks or pouring openings or in discharge apertures, e.g. stoppers made in one piece
    • B65D39/0023Plastic cap-shaped hollow plu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39/00Details relating to closures arranged within necks or pouring openings or in discharge apertures, e.g. stoppers
    • B65D2539/001Details of closures arranged within necks or pouring opening or in discharge apertures, e.g. sto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8Arrangements of closures with protective outer cap-like covers or of two or more co-operating clos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약액이나 기능성 건강식품 등의 용액을 저장하는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 알루미늄 보강테두리부재에 의하여 고정된 엘라스토머 소재 뚜껑을 구비한 유리 소재의 용기를 플라스틱 소재의 용기로 제작함에 있어 개구부 둘레 주둥이의 측면부가 기존 유리 소재 용기와 같은 두께를 갖도록 하여 보강테두리부재 장착용 프레스 장치를 그대로 활용하도록 할 경우 플라스틱 사출 과정에서 수축(sink mark)이 발생하여 울퉁불퉁해져서 불량(특히 뚜껑의 결합시 밀폐성이 확보되지 않는 문제)이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주둥이 측면부에 홈을 형성하여 뚜껑 밀폐성을 확보한 플라스틱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뚜껑 밀폐성이 확보된 플라스틱 용기는 개구부 둘레에 형성된 주둥이를 갖고, 상기 주둥이 둘레의 측면부에는 홈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개구부를 덮는 뚜껑;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용기, 플라스틱, 주둥이, 홈, 함몰, 요철, 뒤틀림, 평탄, 뚜껑, 빨대, 포장필름

Description

뚜껑 밀폐성이 확보된 플라스틱 용기{PLASTIC BOTTLE}
본 고안은 약액이나 기능성 건강식품 등의 용액을 저장하는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 알루미늄 보강테두리부재에 의하여 고정된 엘라스토머 소재 뚜껑을 구비한 유리 소재의 용기를 플라스틱 소재의 용기로 제작함에 있어
개구부 둘레 주둥이의 측면부가 기존 유리 소재 용기와 같은 두께를 갖도록 하여
보강테두리부재 장착용 프레스 장치를 그대로 활용하도록 할 경우
플라스틱 사출 과정에서 수축(sink mark)이 발생하여 울퉁불퉁해져서 불량(특히 뚜껑의 결합시 밀폐성이 확보되지 않는 문제)이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주둥이 측면부에 홈을 형성하여 뚜껑 밀폐성을 확보한 플라스틱 용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통적으로 주사기(S)용 약액이 저장되는 용기(B1)는 고무와 같은 엘라스토머 소재의 뚜껑을 용기 주둥이에 고정하기 위하여
알루미늄 등의 연질 박판을 이용한 보강테두리부재를 프레스 가공하여 장착하여 왔다.
이러한 약액 용기(B1)는 유리 소재를 활용하는데, 이를 상대적으로 대량생산이 용이하고 저렴한 플라스틱 소재의 용기로 대체함에 있어
개구부 둘레 주둥이의 측면부가 기존 유리 소재 용기와 같은 두께를 갖도록 하여
보강테두리부재 장착용 프레스 장치를 그대로 활용하도록 할 경우에는
약 1.5~5mm 정도의 측면부 두께로 인하여
플라스틱 사출 과정에서 수축(sink mark)이 발생하여 울퉁불퉁해져서
외관상의 불량이나 뚜껑의 결합시 밀폐성이 확보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발견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을 제안하기에 이르렀다.
이에 본 고안은 기존의 특정 유리소재 용기를 프라스틱 소재로 대체함에 있어 뚜껑과의 밀폐성이 중요한 주둥이 부위에서 수축(sink mark)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홈을 형성한 플라스틱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고안은 뚜껑이 보강테두리부재에 의하여 감싸여 있는 경우 이를 제거하는 등 궁극적으로 용기 본체 수용부 내부의 내용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뚜껑을 열기 위한 개방부재를 도입한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고안은 내용물 음용을 위하여 빨대를 도입할 경우,
위생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빨대가 포장필름에 의하여 감싸져 있는 상황에서 상기 뚜껑에 포장필름 제거를 손쉽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제거공을 개방부재에 형성한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뚜껑 밀폐성이 확보된 플라스틱 용기는
개구부 둘레에 형성된 주둥이를 갖고, 상기 주둥이 둘레의 측면부에는 홈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개구부를 덮는 뚜껑;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 본 고안에 따른 뚜껑 밀폐성이 확보된 플라스틱 용기는 상기 홈을 사이에 둔 상하 플렌지가 복수의 보강살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고,
상기 뚜껑은 보강테두리부재에 의하여 감싸여 있으며,
상기 뚜껑에는 개방부재가 구비되어 있고, 포장필름에 의하여 감싸져 있는 빨대가 더 구비되며, 상기 개방부재에는 초광말협(初廣末狹) 형상의 포장필름 제거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뚜껑 밀폐성이 확보된 플라스틱 용기는 주둥이의 측면부에 홈을 형성하여 기존의 특정 유리소재 용기를 프라스틱 소재로 대체함에 있어 뚜껑과의 밀폐성이 중요한 주둥이 부위에서 수축(sink mark)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 뚜껑이 보강테두리부재에 의하여 감싸여 있는 경우 이를 제거하는 등 궁극적으로 용기 본체 수용부 내부의 내용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뚜껑을 열기 위한 개방부재를 더 도입하여 사용 편리성을 제고하고, 나아가 내용물 음용을 위하여 빨대를 도입할 경우, 위생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빨대가 포장필름에 의하여 감싸져 있는 상황에서 상기 뚜껑에 포장필름 제거를 손쉽게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 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뚜껑 밀폐성이 확보된 플라스틱 용기(B)는 수용부(11)를 갖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개구부(13)를 덮는 뚜껑(20), 그리고 전통적인 주사기용 약액용기와 유사하게 뚜껑을 본체에 고정하는 보강테두리부재(2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10)의 수용부(11)에 저장되는 내용물은 약액이나 건강식품, 기타 음료 등이 모두 가능하며,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이러한 용기의 전통적인 관념상 특성상 소량의 내용물 저장에 적합하다.
도시된 용기는 주둥이부터 하단까지 횡단면 형상이 원형을 이루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타원형이나 삼각형, 사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상기 본체(10)는 '병(bottle)' 특성에 맞게 개구부(13)는 수용부(11) 보다 좁은 주둥이(15)를 갖고,
기존 유리소재의 용기를 합성수지 소재의 용기로 대체하면서도
종래 보강테두리부재 장착용 프레스 장치를 그대로 활용하기 위하여
종래 유리용기와 마찬가지로 주둥이(15) 둘레 측면부(15A)가 약 1.5~5mm 정도 두께를 갖되,
앞서 언급한 플라스틱 사출 과정에서의 수축(sink mark)으로 인하여 함몰이나 요철, 기타 뒤틀림이 발생하여 평탄도에 문제가 생기고, 이로 인하여 뚜껑(20)과의 접면에서 밀폐성이 보장되지 않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주둥이(15) 둘레의 측면부(15A)에는, 본 고안의 핵심구성인 홈(15G)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홈(15G)을 사이에 두고 상하 플렌지(15f1)(15f2)가 형성되나,
필요에 따라 플렌지의 수는 증가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홈(15G)의 수나 높이(아울러 깊이) 또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으며,
이러한 홈과 플렌지의 수 및 형상, 치수에 의하여 본 고안의 보호범위가 제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그러나 사출 과정에서의 수축(sink mark) 방지 목적과 살빼기 목적, 그리고 제조 용이성을 고려하면 도시된 형태의 것이 적절할 것이다.
나아가 상기 홈(15G)을 사이에 둔 상하 플렌지(15f1)(15f2)는 복수의 보강살(17)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한데,
도면에서는 4개의 수직 보강살이 구비되어 있으나, 그 수나 형상에 의하여 역시 본 고안의 보호범위가 제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또 유리소재에 비하여 합성수지 소재의 본체가 평탄도가 낮은 것을 고려하고,
특히 뚜껑(20)과의 밀착성을 고려하여 상기 본체(10) 주둥이(15) 상면에는 중심부 쪽에 환형돌기(15B)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한데,
필요에 따라 환형돌기(15B)의 수는 둘 이상일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뚜껑(20)은 우레탄 고무 등의 엘라스토머 소재인 것이 일반적이 나, 그 소재나 형상에 의하여 본 고안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도 2에 도시된 보강테두리부재(21)는 도 1에 도시된 전통적인 부재와 달리 뚜껑의 전면을 감싸는 형상이나,
실제로는 알루미늄 등의 연질 박판으로 성형된 테두리부재(21)와 결합된 일종의 개방부재(U1)에 해당하는데,
도 2의 확대된 원 내 저면사시도 및 저면도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개방부재(U1)와 테두리부재(21)는 상호 리벳팅부(U1a)에 의하여 결합되어 있으며,
뚜껑(20)의 개방 용이성을 고려하여 맨손으로도 손쉽게 테두리부재(21)를 파괴할 수 있도록 각각 리벳팅부(U1a) 둘레를 따라 불완전 원형을 이루는 것과 이에 연결된 세 방사상 방향으로 형성된 것, 2가지의 절취선(21a)이 형성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방부재'라 함은 뚜껑의 개방을 위하여 테두리부재를 파괴하기 위한 수단 뿐 아니라, 궁극적으로 용기 본체 수용부 내부의 내용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데 활용되는 수단을 포함하는 개념이며,
도 3 및 도 4의 변형 개방부재(U2)(U3)는 이러한 개념과 관련된 것이다.
도 2에서 소비자가 본체(10)를 잡고 뚜껑(20)의 개방부재(U1)를 아래에서 위로 가압하면 상기 절취선(21a)을 따라 테두리부재(21)가 찢어지면서 분리되고, 이에 따라 상기 뚜껑(20)의 개방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 3에 도시된 용기(B)에서는 뚜껑(20)의 개방이 좀 더 쉽게 이루 어지도록 개방부재(U2)가 일측으로 돌출되어 있다(도 2와 마찬가지로 도 3에서도 개방부재(U2)와 테두리부재(21)의 결합은 리벳팅을 통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겠으나 편의상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또 본체(10) 수용부(11)에 저장된 내용물의 음용 편리성을 위하여 빨대(30)가 더 도입되고,
이 빨대는 용기(B)를 위한 종이나 합성수지 등의 낱개 또는 세트(용기가 다수개 포장된 형태) 포장박스에 함께 포장 생산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빨대(30)는 위생성 개선을 위하여 포장필름(35)에 의하여 감싸인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뚜껑(20)을 위한 개방부재(U2), 특히 돌출부위에는 초광말협(初廣末狹) 형상의 포장필름(35) 제거공(R)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음용자가 손에 다른 물건을 들고 있는 등의 경우 포장핌름(35)을 벗기기 어렵고,
벗긴 포장필름은 얇고 작아 놓쳐 낙하하기 쉬워 주변 환경을 지저분하게 만드는 원인이 되기 쉬운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포장필름(35)에 감싸인 빨대(30)를 초광말협(初廣末狹) 형상 제거공(R)의 넓은 초입에서 좁은 출구(출구 내경이 빨대의 외경과 거의 같아 마찰을 일으킬 수 있다)로 가압할 경우,
필름(35)은 제거공(R) 말단 협소부위에 걸리고
빨대(30)만이 필름을 뚫고 노출 되고,
필름(35)은 그대로 제거공(R)에 남아 있게 된다.
이러한 기능은 일정 정도 개방부재(U2)를 이루는 연질소재의 특성(마찰력 증대)에 기인한 것이며,
또 빨대(30)가 사선으로 잘린 선단부(33)를 가지므로 필름(35)을 뚫기 쉽기 때문이기도 하며,
나아가 빨대(30) 외주면에는 요철부(31)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필름(35) 내면과의 접촉면적이 작아
제거공(R) 협소 말단부 내주면과 상대적으로 많이 접촉하는 포장필름(35)의 외면과의 상대적인 마찰력 차이로 인하여 보다 쉽게 빨대(30)와 포장필름(35)이 분리될 수 있는 것이다.
만약 상기 제거공(R) 협소 말단 출구 내경이 빨대(30)의 외경과 어느 정도 공차가 있을 경우에는 필름(35)이 일부 출구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으나,
상기 제거공(R)의 초광말협 형상으로 인하여 필름이 구겨져 인출되는 힘에 저항하게 되므로 필름이 빨대와 함께 완전히 노출될 정도로까지 인출되지는 않게 된다.
다음으로 도 4에는 또 다른 개방부재(U3) 변형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시된 개방부재(U3)는 테두리의 잔류부(U3b)가 뚜껑(20) 상면에 접촉하고, 테두리부재(21)에 의하여 함께 감싸여 고정된 형태인데,
잔류부(U3b) 중앙에 구비된 돌기(U3a)를 엄지손가락 등으로 측면 방향으로 가압하면
잔류부(U3b)와 돌기(U3a) 사이의 경계선에 구비된 절취선(U3c)을 중심으로 파괴되어 돌기(U3a)는 제거 가능하고
테두리부재(21) 내측의 뚜껑(20) 상면은 노출된다.
또 상기 뚜껑(20)에는 도 2 및 도 3과 달리 두께가 다른 부위보다 얇게 형성되어 있어(두께가 점감(漸減)하는 형태이고 내측 하부로 돌출된 형상임) 쉽게 천공이 가능한 안내홈(20a)이 형성되어 있어 빨대(30)를 활용하여 쉽게 천공하여 음용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빨대(30)는 외주면에 요철부(31)를 형성하여 마치 건축 자재인 H빔과 같이 강도 향상이 가능하므로 쉽게 합성수지 소재의 뚜껑(20) 안내홈(20a) 부위를 천공할 수 있도록 하며,
나아가 뚜껑(20)의 안내홈(20a) 주변 구멍이 빨대와 밀착하게 되는데,
빨대 외주면 요철부(31)로 인하여 천공된 안내홈에 주변과의 접면에 공기 통로가 형성되므로 저장 용액 흡입에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아울러 상기 개방부재(U3)의 돌기(U3a)에는 역시 제거공(R)이 형성되어 있어, 빨대(30)의 포장필름(35) 제거에 활용될 수 있다.
빨대 투입 용이성을 위하여 상기 제거공(R)은 수평 방향으로 형성된 것이 아니라 경사진 형태로, 어느 정도 수직에 가깝게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이는 도 2의 모델에서도 마찬가지이다).
한편, 상기 뚜껑(20)의 소재는 압축될 수 있는 연질 합성수지 소재여서 별도 의 패킹부재 없이도 본체(10) 주둥이(15) 상면과 밀착하여 저장액 누출이 방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설명에서 용기, 뚜껑, 테두리부재 등에 대한 구체 소재나 치수 등과 관련된 통상의 공지된 기술을 생략되어 있으나,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를 추측 및 추론하고 재현할 수 있다.
또 이상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용기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종래 용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용기에 대한 도면.
도 3 및 도 4는 서로 다른 변형예에 해당하는 용기 관련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B: 용기 10: 본체
11: 수용부 13: 개구부
15: 주둥이 15G: 홈
15f1,15f2: 플렌지 20: 뚜껑
21: 보강테두리부재 21a: 절취선
U1,U2,U3: 개방부재 R: 포장필름 제거공
30: 빨대 31: 요철부
33: 선단부 35: 포장필름

Claims (4)

  1. 개구부 둘레에 형성된 주둥이를 갖고, 상기 주둥이 둘레의 측면부에는 홈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개구부를 덮는 뚜껑;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홈을 사이에 둔 상하 플렌지는 복수의 보강살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뚜껑 밀폐성이 확보된 플라스틱 용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보강테두리부재에 의하여 감싸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뚜껑 밀폐성이 확보된 플라스틱 용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에는 개방부재가 구비되어 있고,
    포장필름에 의하여 감싸져 있는 빨대가 더 구비되며,
    상기 개방부재에는 초광말협(初廣末狹) 형상의 포장필름 제거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뚜껑 밀폐성이 확보된 플라스틱 용기.
KR20090011432U 2009-08-31 2009-08-31 뚜껑 밀폐성이 확보된 플라스틱 용기 KR2004470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11432U KR200447034Y1 (ko) 2009-08-31 2009-08-31 뚜껑 밀폐성이 확보된 플라스틱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11432U KR200447034Y1 (ko) 2009-08-31 2009-08-31 뚜껑 밀폐성이 확보된 플라스틱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7034Y1 true KR200447034Y1 (ko) 2009-12-22

Family

ID=460869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90011432U KR200447034Y1 (ko) 2009-08-31 2009-08-31 뚜껑 밀폐성이 확보된 플라스틱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7034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09115A (ja) * 1998-10-02 2000-04-18 Daikyo Seiko Ltd 医薬品容器用プラスチック製キャップ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09115A (ja) * 1998-10-02 2000-04-18 Daikyo Seiko Ltd 医薬品容器用プラスチック製キャップ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36319B2 (ja) スヌース用容器
RU2437816C2 (ru) Упаковка с областью укупорки
US20140097183A1 (en) Canister
JP6445037B2 (ja) 物体及びカップ状本体を有する物体を得る方法及び装置
JP2011073748A (ja) 紙製包装体
MXPA06009299A (es) Cierre dosificador.
EP1721836B1 (en) Tamper evident cap
JP4303510B2 (ja) 容器の蓋
US20130323357A1 (en) Containers for fermented soybeans (natto), fermented soybeans within said container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200447034Y1 (ko) 뚜껑 밀폐성이 확보된 플라스틱 용기
US3661289A (en) Bottle cap seal device with a tear-off safety strip
SE544437C2 (en) Package with tamper evident seal
JP5116279B2 (ja) 樹脂製キャップおよびそれを用いた樹脂製キャップ付容器
KR101595204B1 (ko) 이중 위변조 방지 기능을 구비한 카드 케이스
JP3535790B2 (ja) 合成樹脂製包装容器
JP2018016381A (ja) 不正開封防止機構付きヒンジキャップ
KR101049660B1 (ko) 힌지캡
JP2556960Y2 (ja) 薬用瓶の蓋
JP5844619B2 (ja) 食品容器、容器入り納豆及びその製造方法、調味料注入方法
JP2004238045A (ja) Te性を有するプレスオンツイストオフキャップ及び該キャップと容器との閉栓構造
JP6631016B2 (ja) 詰め替え用容器
CN201165367Y (zh) 杯盖
JP3845924B2 (ja) プラスチック製のステイオンタグ方式イージーオープン口栓
KR200173391Y1 (ko) 포장용 병뚜껑
JP2005320046A (ja) 簡易開口式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