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2972Y1 - 벨트 콘베이어의 폭방향 마모량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벨트 콘베이어의 폭방향 마모량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2972Y1
KR200172972Y1 KR2019990020301U KR19990020301U KR200172972Y1 KR 200172972 Y1 KR200172972 Y1 KR 200172972Y1 KR 2019990020301 U KR2019990020301 U KR 2019990020301U KR 19990020301 U KR19990020301 U KR 19990020301U KR 200172972 Y1 KR200172972 Y1 KR 2001729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rubber belt
wear
belt conveyor
rub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03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명환
Original Assignee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filed Critical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900203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297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29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2972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5/0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specially adapted for measuring length or width of objects while moving
    • G01B5/04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specially adapted for measuring length or width of objects while moving for measuring width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28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roughness or irregularity of surfa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3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mechanical strain gaug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9/00Investigating materials by mechanical methods
    • G01N19/08Detecting presence of flaws or irregularit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56Investigating resistance to wear or abras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f Convey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산업 현장에서 중량물을 이송하는 데 사용되는 벨트 콘베이어의 폭방향 마모정도나 마모형태를 측정하여 정형적인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벨트 콘베이어의 폭방향 마모량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고무벨트와, 상기 고무벨트를 지지하는 롤러와, 상기 고무벨트의 양측에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감속기와, 상기 감속기에 연결된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고무벨트 상부에 올려진 중량물을 이송하는 벨트 콘베이어에 있어서, 상기 벨트 콘베이어(1)의 프레임(3)에 설치된 지지대(12-1,12-2) 사이에서 체결수단을 통해 설치되는 안내부와, 상기 안내부에 설치되어 기록지 부착판(13)의 기록지(14)에 상기 고무벨트(2)의 마모량을 기록하는 펜홀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구성과 작용에 의하여 마모가 발생된 고무벨트의 마모량을 정확하게 정량적으로 파악하여 필요한 조치를 취함에 따라 고무밸트의 절손사고를 사전에 방지하고, 이에 따라 안정된 조업의 수행이 가능하며, 원가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벨트 콘베이어의 폭방향 마모량 측정장치{APPARATUS FOR MEASURING WIDTH DIRECTION ABRASION-QUANTITY OF BELT CONVEYOR}
본 고안은 벨트 콘베이어의 폭방향 마모량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산업 현장에서 중량물을 이송하는 데 사용되는 벨트 콘베이어의 폭방향 마모정도나 마모형태를 측정하여 정형적인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벨트 콘베이어의 폭방향 마모량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벨트 콘베이어(Belt conveyor)는 연속식 운반 기계의 일종으로서 양 끝에 장치된 벨트 풀리 사이에 넓적한 이음매 없는 환상(環狀)의 고무벨트를 구동시키면서 그 위에 각종 재료나 가공품, 완제품등을 운반하여 다른 작업 라인으로 이송하게 된다.
이러한 벨트 콘베이어는 통상 중량물을 안정되게 올려 놓고서 이송작업을 수행하는 고무벨트와, 상기 고무벨트의 하부면을 지지하는 롤러, 상기 고무벨트의 양측에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감속기, 상기 감속기에 커플링을 매개로 하여 연결설치되어 전기적 신호에 따라 회전하는 구동모터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벨트 콘베이어의 가동은 구동모터의 작동에 따라 이와 연결된 감속기의 유기적 작동에 의해 고무벨트가 회전하고, 상기 고무벨트의 상부에 안착된 중량물이 후속되는 작업 라인으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 고무벨트는 벨트범포에 고무를 도포한 것으로, 소요되는 폭 및 벨트범포에 플라이(Ply)를 붙인 후, 이것에 강력한 열압을 가해 밀착한 것을 심체로 하여 그 표면을 특히 마모되지 않게 강력한 고무를 입혀 이것을 열합해서 제작된 것을 사용하게 된다.
이때, 상기 고무를 도포한 벨트는 이전의 작업 라인에서 이송된 중량물이 그 상면에 낙하됨에 따라 마모가 서서히 진행되며, 낙하되는 중량물이 고무벨트의 외부로 비산,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된 사이드 스커트(Side skirt)등과 접촉하면서 그 마모의 진행이 계속 이루어진다.
종래 일반적인 고무벨트의 마모상태 점검은 육안에 의존하여 마모의 진행 정도에 따라 교체 시기를 결정하는 바, 이러한 육안에 의한 마모 점검은 고무벨트의 부분적인 손상이나 플라이의 노출된 상태만을 확인하여 판단함에 따라 개인적인 오차가 심하고, 정량적인 관리가 불가하므로 마모의 진행에 의해 돌발적인 고무벨트의 절손이 발생되고, 고무벨트의 조기 교체에 의한 조업불안과 함께 많은 원가손실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마모가 발생된 고무벨트의 마모 정도를 정량적으로 측정하여 정확한 마모 점검을 통해 고무벨트의 절손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안정된 벨트 콘베이어 조업을 수행할 수 있는 벨트 콘베이어의 폭방향 마모량 측정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벨트 콘베이어의 폭방향 마모량 측정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벨트 콘베이어의 폭방향 마모량 측정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측면개략도,
도 5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평면개략도,
도 6은 본 고안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벨트 콘베이어 2 : 고무벨트
3 : 프레임 10 : 디바이드 안내판
12-1,12-2 : 지지대 14 : 기록지
20 : 두께측정 디바이드 21 : 펜
24 : 지지부재 25 : 펜 홀더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고무벨트와, 상기 고무벨트를 지지하는 롤러와, 상기 고무벨트의 양측에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감속기와, 상기 감속기에 연결된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고무벨트 상부에 올려진 중량물을 이송하는 벨트 콘베이어에 있어서, 상기 벨트 콘베이어의 프레임에 설치된 지지대 사이에서 체결수단을 통해 설치되는 안내부와, 상기 안내부에 설치되어 기록지 부착판의 기록지에 상기 고무벨트의 마모량을 기록하는 펜홀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콘베이어의 폭방향 마모량 측정장치가 제공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서 상기 안내부는 길이 방향으로 절결홈을 갖는 디바이드 안내판과, 상기 디바이드 안내판에 연결된 벨트지지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와 같은 본 고안에서 상기 펜홀딩부는 두께측정 디바이드와, 상기 두께측정 디바이드의 외면에 취부되는 코일 스프링과, 상기 코일 스프링 상부에 취부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상부에 설치되는 펜 홀더와, 상기 펜 홀더에 고정나사를 통해 결합되는 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와 같은 본 고안에서 상기 지지부재의 양단부에는 볼 블록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볼 블록 내면에 슬라이딩 볼이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양호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벨트 콘베이어의 폭방향 마모량 측정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에 따른 마모량 측정장치는 크게 구분하여 벨트 콘베이어의 프레임에 설치된 지지대 사이에서 체결수단을 통해 설치되는 안내부와,
상기 안내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기록지 부착판의 기록지에 고무벨트의 마모량을 기록하는 펜홀딩부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지지대(12-1,12-2)는 그 하단부가 대략 'ㄴ'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벨트 콘베이어(1)의 프레임(3) 상부에 수직한 방향으로 고정설치되어 있다.
상기 안내부는 고무벨트(2)의 하부에 벨트지지판(30)이, 고무벨트(2)의 상부에 디바이드 안내판(10)이 취부된 상태에서 상기 디바이드 안내판(10)의 양측이 상기 지지대(12-1,12-2)의 내측 상부에 고정설치되고, 체결수단 즉, 볼트(31)와 너트(32) 및 와셔(33)를 통해 상기 벨트지지판(30)과 디바이드 안내판(10)의 양단부가 고무벨트(2)를 사이에 두고 서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디바이드 안내판(10)에는 길이 방향으로 장방형의 절결홈(1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펜홀딩부는 두께측정 디바이드(20)가 상기 디바이드 안내판(10)의 절결홈(11)에 삽입되는 바, 상기 두께측정 디바이드(20)의 하부에는 후술하는 코일스프링(23)의 스토퍼 작용을 위한 걸림부(26)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두께측정 디바이드(20)의 외면에는 코일 스프링(23)과 함께 지지부재(24)가 삽입되는 바, 상기 지지부재(24)의 양단부에는 볼 블록(Ball block)(24-1)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볼 블록(24-1) 내면에 슬라이딩 볼(Sliding ball)(24-2)이 내장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24)의 상부에는 펜 홀더(25)가 삽입되어 상기 두께측정 디바이드(20)의 상부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펜 홀더(25)에 펜(21)이 끼워지며, 고정나사(22)가 상기 펜 홀더(25)의 상부에 나사결합된다.
상기 기록지 부착판(13)은 그 하단부가 상기 디바이드 안내판(10)의 측부에서 수직 방향으로 고정설치되고, 상기 기록지 부착판(13)의 내면에 기록지(14)가 부착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 콘베이어(1)의 고무벨트(2)가 도 1의 화살표 방향으로 이송하는 과정에서 고무벨트(2) 전체 두께의 마모정도를 정량적으로 측정하고자 할 때, 상기 고무벨트(2)와 디바이드 안내판(10)이 소정의 간격을 유지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손이나 적당한 치구를 통해 상기 두께측정 디바이드(20)를 디바이드 안내판(10)의 절결홈(11)을 따라 고무벨트(2)의 폭방향으로 진행시킨다.
이에 따라 고무벨트(2) 표면의 폭방향 마모정도에 따라 상기 코일스프링(23)의 압하되는 힘에 의하여 펜 홀더(25)에 취부된 펜(21)은 기록지(14)에 고무벨트(2)의 마모정도를 그리게 되며, 이에 따라 고무벨트(2)의 마모정도를 정량적으로 파악하여 필요한 후속조치(교환, 정비등)를 취하여 원치 않는 벨트 콘베이어(1)의 설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상기 지지부재(24)의 양단부에 취부된 볼(24-2)은 두께측정 디바이드(20)의 이동시 상기 디바이드 안내판(10)의 저면과 접촉하여 슬라이딩 되면서 두께측정 디바이드(20)의 이동동작이 보다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마모가 발생된 고무벨트의 마모량을 정확하게 정량적으로 파악하여 필요한 조치를 취함에 따라 고무밸트의 절손사고를 사전에 방지하고, 이에 따라 안정된 조업의 수행이 가능하며, 원가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에 따른 벨트 콘베이어의 폭방향 마모량 측정장치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고안의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고안의 기술사상의 범위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Claims (4)

  1. 고무벨트와, 상기 고무벨트를 지지하는 롤러와, 상기 고무벨트의 양측에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감속기와, 상기 감속기에 연결된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고무벨트 상부에 올려진 중량물을 이송하는 벨트 콘베이어에 있어서,
    상기 벨트 콘베이어(1)의 프레임(3)에 설치된 지지대(12-1,12-2) 사이에서 체결수단을 통해 설치되는 안내부와,
    상기 안내부에 설치되어 기록지 부착판(13)의 기록지(14)에 상기 고무벨트(2)의 마모량을 기록하는 펜홀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콘베이어의 폭방향 마모량 측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는 길이 방향으로 절결홈(11)을 갖는 디바이드 안내판(10)과, 상기 디바이드 안내판(10)에 연결된 벨트지지판(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콘베이어의 폭방향 마모량 측정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펜홀딩부는 두께측정 디바이드(20)와, 상기 두께측정 디바이드(20)의 외면에 취부되는 코일 스프링(23)과, 상기 코일 스프링(23) 상부에 취부되는 지지부재(24)와, 상기 지지부재(24)의 상부에 설치되는 펜 홀더(25)와, 상기 펜 홀더(25)에 고정나사(22)를 통해 결합되는 펜(2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콘베이어의 폭방향 마모량 측정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24)의 양단부에는 볼 블록(24-1)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볼 블록(24-1) 내면에 슬라이딩 볼(24-2)이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콘베이어의 폭방향 마모량 측정장치.
KR2019990020301U 1999-09-20 1999-09-20 벨트 콘베이어의 폭방향 마모량 측정장치 KR2001729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0301U KR200172972Y1 (ko) 1999-09-20 1999-09-20 벨트 콘베이어의 폭방향 마모량 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0301U KR200172972Y1 (ko) 1999-09-20 1999-09-20 벨트 콘베이어의 폭방향 마모량 측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2972Y1 true KR200172972Y1 (ko) 2000-03-15

Family

ID=19589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0301U KR200172972Y1 (ko) 1999-09-20 1999-09-20 벨트 콘베이어의 폭방향 마모량 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297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57777B2 (en) 2016-02-12 2018-01-02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Control system for controlling goods sorter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CN109916811A (zh) * 2019-03-19 2019-06-21 山东钢铁股份有限公司 万能轧机牌坊滑板检测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57777B2 (en) 2016-02-12 2018-01-02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Control system for controlling goods sorter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CN109916811A (zh) * 2019-03-19 2019-06-21 山东钢铁股份有限公司 万能轧机牌坊滑板检测装置
CN109916811B (zh) * 2019-03-19 2024-04-30 山东钢铁股份有限公司 万能轧机牌坊滑板检测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532982B (zh) 刮痕磨耗试验装置以及方法
RU2762952C1 (ru) Прави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транспорти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и система обработки
KR100986687B1 (ko) 씰 압입기 및 이를 구비하는 무한궤도용 롤러 조립장치
JPS6347014A (ja) 鋼材等加工機用給材装置
KR200172972Y1 (ko) 벨트 콘베이어의 폭방향 마모량 측정장치
US4843764A (en) Glass plate grinding apparatus
KR20080114726A (ko) 저장부를 구비한 콘베이어 체인 핀
KR101000352B1 (ko) 무한궤도용 롤러 이송장치
CN212244918U (zh) 一种链板输送机
FI76272C (fi) Foerfarande och anordning foer slipning aeven av smao arbetsstycken.
KR200393203Y1 (ko) 형강부재 규격 자동측정장치
JPH08257460A (ja) タイヤビードルブリケータ装置
CN210570509U (zh) 一种基于机器视觉的产品检测装置
JPH08290313A (ja) 面取り加工機
FI66782C (fi) Inmatningsbaenk foer kantverk
CN220392437U (zh) 一种cnc精准定位装置
US5001958A (en) Apparatus for preparing skived belting
KR200164873Y1 (ko) 철근절단용콘베어의철근이송장치
KR100523815B1 (ko) 스트립 표면의 덴트 검사장치
CN114084659B (zh) 作业轨
JPS61152439A (ja) 帯状材料の供給装置に於けるセンタ−リング装置
FI73394C (fi) Anordning foer transport av tunga cylindriska foeremaol i verkstaeder.
ATE240250T1 (de) Transportkette insbesondere für kantenbearbeitungsmaschinen
CN114162573B (zh) 具有卸车摆臂的物料装车装置
KR100428742B1 (ko) 다기능 마찰구동 컨베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120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