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8742B1 - 다기능 마찰구동 컨베어 장치 - Google Patents

다기능 마찰구동 컨베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8742B1
KR100428742B1 KR10-2001-0020886A KR20010020886A KR100428742B1 KR 100428742 B1 KR100428742 B1 KR 100428742B1 KR 20010020886 A KR20010020886 A KR 20010020886A KR 100428742 B1 KR100428742 B1 KR 1004287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plate
vertical
horizontal
pal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08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80961A (ko
Inventor
김명열
Original Assignee
한국콘베어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콘베어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콘베어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208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8742B1/ko
Publication of KR200200809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09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87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87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65G13/02Roller-ways having driven rollers
    • B65G13/06Roller driv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B65G49/063Transporting devices for sheet glas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2Feeding of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67Pall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llers For Roller Conveyors For Transf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 부품의 제조공정이나 운반공정 및 전자부품의 조립라인에 설치된 가이드 프레임 위로 구동부에 의해 평판 형태의 팔레트가 자동으로 이송되도록 한 다기능 마찰구동 컨베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컨베어 시스템에 있어서, 높낮이 조절구를 갖는 양측의 수직 플레이트 사이에 연결된 수평 플레이트와, 수직 플레이트의 상단으로 수평 레일과 수직 레일을 갖는 로울러 가이드부가 구비된 프레임과; 소정 두께의 직사각 형태를 갖는 플레이트 양측면 측단부에 형성된 요홈부와, 제 1수평 로울러와 제 1수직 로울러를 갖는 지지부재가 고정수단으로 요홈부에 고정된 팔레트부와; 상기 프레임의 수평 플레이트에 마찰력이 발생되는 구동부를 구비하고, 구동부로 부터 출력된 마찰력이 팔레트부의 밑면에 작용되도록 하여 플레이트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져 정밀도를 요하는 부품을 제조하는 작업장내의 분질 발생율과 소음 발생율을 낮추어 제품의 불량율을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다기능 마찰구동 컨베어 장치{conveyer system of multiple function friction drive}
본 발명은 다기능 마찰구동 컨베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반도체 부품의 제조공정이나 운반공정 및 팔레트가 사용되는 전자부품 조립의 반송라인에 설치된 가이드 프레임 위로 구동부에 의해 팔레트가 연속적으로 이동되거나 구분적으로 이송되도록 함으로써 작업장내의 소음과 분진 발생율을 줄여 정밀을 요하는 반도체 부품의 불량율을 줄이도록 하며 아울러 제품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장 내에서 부품의 운반, 반제품(半製品)의 이동 및 광산 ·항만에서 석탄 ·광석 ·화물의 운반 그리고 건설현장에서 흙과 모래의 운반 등의 효율을 높이기 위한 수단으로 컨베어(conveyor)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컨베어는 전진하는 컨베어 위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작업 대상물이 가공되도록 한 이동작업형 컨베어 시스템과, 컨베어로 운반되는 작업 대상물이 옆에 설치된 작업대 또는 기계 위로 옮겨져 가공되는 정지작업형 컨베어 시스템이 있다.
이러한 컨베어 시스템의 구성은 바닥으로 부터 소정 높이를 갖는 곳의 양측으로 구비된 철길 형태의 윗면을 갖는 프레임과, 프레임의 양측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다수의 로울러 및 로울러를 회전시키 위한 동력전달부를 갖는 구동부 그리고 양측의 로울러를 감싸는 형태로 구비된 벨트로 구성되어 있어 구동부로 부터 발생된 회전력이 동력전달부를 경유하여 출력측에 연결된 로울러를 회전시켜 벨트를 이동시킴으로써 그 윗면에 올려진 대상물을 용이하게 옮기게 된다.
또한 대상물을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구동부로 부터 발생된 회전력이 정확하게 전달되도록 하기 위한 방안으로 스프로켓과 체인을 이용하여 대상물을 이송시킬 수 있다.
그러나 로울러 및 체인을 갖는 컨베어를 장기간 사용하면 구동부위에 마찰로 인한 박막현상이 발생되고, 발생된 분진이 작업장을 오염시키게 됨으로써 반도체와 LCD 액정 디스플레이 LCD(Liquid Crystal Display) 및 플라즈마 화면 표시장치 PDP (Plasma DisPlay)등 정밀을 요하는 제품의 불량율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회전부위에 적당한 오일을 급유하지 않을 경우에는 마모의 가속화로 결합부위가 넓어져 작동중에 소음이 심하게 발생되는 문제점과 아울러 작업자가 오일급유시기를 수시로 체크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반송라인에 설치된 가이드 프레임 위로 구동부에 의해 평판 형태의 팔레트가 이송되도록 함으로써 반도체 부품의 제조공정이나 운반공정 및 팔레트가 사용된 작업장내의 분진과 소음 발생율 줄여 정밀을 요하는 부품의 불량율을 줄일 수 있도록 한 다기능 마찰구동 컨베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구동부로 부터 발생된 회전력이 동력전달부를 경유하여 출력측에 연결된 로울러를 통해 벨트를 이동시켜 벨트의 윗면에 올려진 대상물을 용이하게 옮기도록 구성된 컨베어 시스템에 있어서, 높낮이 조절구를 갖는 양측의 수직 플레이트 사이에 연결된 수평 플레이트와, 수직 플레이트의 상단으로 수평 레일과 수직 레일을 갖는 로울러 가이드부가 구비된 프레임과; 소정 두께의 직사각 형태를 갖는 플레이트 양측면 측단부에 형성된 요홈부와, 제 1수평 로울러와 제 1수직 로울러를 갖는 지지부재가 고정수단으로 요홈부에 고정된 팔레트부와; 상기 프레임의 수평 플레이트에 마찰력이 발생되는 구동부를 구비하고, 구동부로 부터 출력되는 마찰력이 팔레트부의 밑면에 작용되도록 하여 플레이트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마찰구동 컨베어 장치를 제공함에 달성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컨베어 시스템에 사용된 팔레트의 정면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컨베어 시스템에 사용된 팔레트의 측면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컨베어 시스템에 사용된 팔레트의 평면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컨베어 시스템에 사용된 팔레트의 측면 예시도.
도 5는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6은 도 2의 B-B선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팔레트 구동부의 정면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구동부에 압력이 가해진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컨베어 시스템에 사용된 팔레트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컨베어 시스템에 사용된 팔레트 구동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2:프레임 3:팔레트부
4:구동부 5,5a:수직 플레이트
6,6a:수평 플레이트 7:로울러 가이드부
9:높낮이 조절구 10:수평 레일
11:수직 레일 13:플레이트
14 ∼ 14c:요홈부 15:제 1수평 로울러
16:제 1수직 로울러 18:지지부재
19:고정수단 20:모터
22:로울러 23:회전력 발생부
24:중공 가이드 25:브라켓
26:위치고정 가이더 27:공간부
28:평판 스프링 29:코일 스프링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반송라인용 컨베어 팔레트(1)는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철골로 구비된 프레임(2)과, 프레임(2)의 윗면에 올려진 다수의 팔레트부(3)와, 마찰력을 이용하여 프레임(2)에 올려진 팔레트부(3)를 이송시키는 구동부(4)가 프레임(2)에 구비된 것으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프레임(2)은 지면으로 부터 소정 높이를 갖는 상단부가 레일형태를 갖도록 구비된 것으로서 수직 플레이트(5)(5a) 사이에 연결된 복수의 수평 플레이트(6)(6a)와, 수직 플레이트(5)(5a)의 상단으로 상기 팔레트부(3)를 안내하는 로울러 가이드부(7)가 일체로 구비되어 있다.
또한 수직 플레이트(5)(5a)의 하단에는 프레임(2)을 설치하는 과정에서 지면 (9)과 수평이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높낮이 조절구(9)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로울러 가이드부(7)는"" 와 "" 의 단면 형태를 갖도록 구비되어 있어 팔레트부(3)가 구동부(4)에 의해 이동되는 과정중에 좌우측이나 하부로 탈선되거나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그 내측면에 소정 높이와 폭을 갖는 수평 레일(10)과 수직 레일(11)이 걸림돌기(12)(12a)에 양측이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로울러 가이드부(7)는 아루미늄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수평 레일(10)과 수직 레일(11)은 엔지니어링 수지계를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팔레트부(3)는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밑면 양측이 상기 수평 레일(10)의 윗면과 그 측면이 수직 레일(11)의 측면에 거의 밀착되도록 소정 두께를 갖는 직사각 형태의 플레이트(13)로 양측면 측단부측으로 복수개의 요홈부(14 ∼ 14c)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수평 레일(10)에 맞닿는 제1수평 로울러(15)와, 수직 레일(11)에 맞닿는 제 1수직 로울러(16)를 핀(17)(17a)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지지부재(18)가 고정핀이나 나사 등의 고정수단(19)을 이용하여 상기 요홈부(14 ∼ 14c)에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플레이트(13)는 목재나 플라스틱재 및 합성수지재로 사용할 수 있으며 표면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스텐레스 계열의 강판을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제 1수평, 수직 로울러(15)(16)는 금속재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재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4)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도시한 전원이 인가되는 모터 (20)의 회전축(21)에 연결된 로울러(22)로 구비된 회전력 발생부(23)와, 측면에 모터(20)가 고정된 가운데 중공 가이드(24)를 일체로 갖는 "" 형태로 절곡된 브라켓(25)과, 중공 가이드(24)에 수직인 부분이 삽입된 "" 형태를 갖는 위치고정 가이더(26)와, 위치고정 가이더(26)의 상단부에 구비되어 브라켓(25)의 상하 이동량을 제한하거나 조절하도록 암나사(26a)와 너트(26b)를 갖는 조절구(26c)와, 브라켓(25)의 밑면과 위치고정 가이더(26)의 밑면 사이로 양측단이 만곡형태를 가지며 중앙 부분이 이격된 공간부(27)를 갖도록 구비된 평판 스프링(28)과, 위치고정 가이더(26)와 가이드(24)이 외측면에 구비되어 브라켓(25)을 상부로 미는 탄성력이 작용되도록 구비된 코일 스프링(29)으로 구비되어져 상기 위치고정 가이더(26)의 밑부분이 프레임(2)의 수평 플레이트(6)에 볼트(29)로 고정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로울러(22)는 회전력(마찰력)을 팔레트부(3)의 플레이트(13)로 정확하게 전달되도록 하기 위해 외주면에 소정 두께를 갖는 우레탄 수지부(30)가 도포되어 있다.
상기 평판 스프링(28)은 상부에 구비된 모터(20)와 로울러(22) 및 브라켓 (25)의 하중을 충분히 받치도록 하는 탄성력과 복원성을 높이기 위해 2겹으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각각의 센서를 갖는 콘트롤러에 구동부를 접속시켜 개별구동이 되도록 컨베어 시스템을 설치할 경우에는 이웃한 플레이트끼리 부딪치는 것을 막아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아울러 깨지거나 부서지기 쉬운 유리제품도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다.
또한 콘넥터로 연결 및 접속함으로써 신속하게 컨베어 시스템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하며 커버를 별도로 설치할 경우에는 그 외관을 심플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다수의 플레이트(13)가 로울러 가이드부(7)에 안착된 상태에서 미도시한 스위치를 ON 하여 구동부(4)의 모터(20)로 전원이 인가되도록 하면 모터(20)에 연결된 로울러(22)가 회전하게 된다.
로울러(22)가 회전되면서 원주면에 도포된 우레탄 수지부(30)에 닿아 있는 플레이트(13)를 회전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며 이때 플레이트(13)의 요홈부(14 ∼ 14c)에 핀(17)(17a)으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제 1수평 로울러(15)가 수평레일(10)에 밀착되어 있음으로써 원활하게 이동되고, 이동 과정에서 제 1수직 로울러(16)가 수직레일(11)에 닿아 있어 편심 이동이 되는 것을 방지한 가운데 물품(100)을 원하는 장소까지 신속하고 안전하게 운반하게 된다.
물품(100)을 운반하는 과정에서 제 1수평, 수직 로울러(15)(16)와 수평, 수직레일(10)(11) 사이에 미소한 마찰력이 작용하게 되나 수평, 수직레일(10)(11)을 엔지니어링 수지계를 사용토록 함으로써 박막현상으로 인한 분진의 발생과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플레이트(13)가 이송중에 물품(100)의 하중과 이송속도 등 기타의 원인으로 인해 회전하는 로울러(22) 표면으로 부터 이격되거나 로울러(22)의 표면을 압축시킬 경우에는 도 7,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4)의 하단측에 구비된 평판 스프링(28)과 코일 스프링(29)의 탄성력에 의해 플레이트(13) 밑면에 로울러(22)의 표면이 항상 밀착되도록 하여 균일한 속도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위치고정 가이더(26)의 수직인 부분이 브라켓(25)의 중공 가이더(24)에 삽입되어 있음으로써 플레이트(13)의 밑면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상하 이동만을 하게 된다. 또한 위치고정 가이더(26)의 상단부에 구비된 암나사(26a)와 너트(26b)를 갖는 조절구(26c)에 의해 브라켓(25)의 상하 이동량이 제한된다.
본 발명의 컨베어 팔레트는 프레임의 로울러 가이드부에 수직 레일과 수평 레일을 구비한 가운데 플레이트의 양측단에 복수개의 제 1수평, 수직 로울러를 구비하여 안착시키고, 플레이트의 밑면에 로울러를 갖는 구동부를 설치하여 플레이트를 이동시키도록 하였으나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판 형태를 갖는 플레이트 (14)를 구비하고, 로울러 가이드부(7)에 플레이트(14)의 밑면과 양측면이 맞닿도록 제 2수평 로울러(40)와 제 2수직 로울러(42)를 구비하여 플레이트(14)가 로울러의 윗면과 측면을 따라 안내되면서 이동되도록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플레이트의 밑면에 직접적으로 맞닿도록 구비된 로울러를 갖는 구동부를 설치하여 플레이트를 이동시키도록 하였으나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팔레트부(3) 밑면으로 로울러 가이드부(7)의 방향과 평행한 돌출된 형태를 갖는 보조 레일(43)을 구비하고, 보조 레일(43)의 일측면으로 로울러(44)를 갖는 구동모터(45)를 수평 플레이트(6)에 구비하고, 로울러(44)와 대향되는 보조 레일(43)의 다른 측면으로 별도의 고정부재(6a)에 축(6b)과 너트(6c)로 고정된 유동방지용 휠 (46)을 구비하여 팔레트부(3)를 원활하게 이송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가이드 프레임 위로 구동부에 의해 평판 팔레트가 연속적 또는 구분적으로 이송되도록 반도체 부품의 제조공정이나 운반공정 등의 반송라인에 설치하여 사용함으로써 작업장내의 분진(기름과 먼지) 발생율을 낮추어 고청정 환경이 유지되도록 하여 정밀을 요하는 부품의 생산과 운반을 원활히 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소음 발생율을 낮추어 정속한 작업장을 유지케 하여 안전사고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구조 및 외관이 간단하고 심플하게 되어 있음으로써 이동설치 및 변경이 용이하며 아울러 팔레트를 개별구동 시켜 팔레트의 접촉(부딪침)을 막아 물품 특히 유리제품 등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Claims (7)

  1. 구동부로 부터 발생된 회전력이 동력전달부를 경유하여 출력측에 연결된 로울러를 통해 벨트를 이동시킴으로써 윗면에 올려진 대상물을 용이하게 옮기도록 구성된 컨베어 시스템에 있어서,
    높낮이 조절구(9)를 갖는 양측의 수직 플레이트(5)(5a) 사이에 연결된 수평 플레이트(6)(6a)와, 수직 플레이트(5)(5a)의 상단으로 수평 레일(10)과 수직 레일 (11)을 갖는 로울러 가이드부(7)가 구비된 프레임(2)과;
    소정 두께의 직사각 형태를 갖는 플레이트(13) 양측면 측단부에 형성된 요홈부(14 ∼ 14c)와, 제 1수평 로울러(15)와 제 1수직 로울러(16)를 갖는 지지부재 (18)가 고정수단(19)으로 요홈부에 고정된 팔레트부(3)와;
    상기 프레임(2) 상부에 설치된 수평 플레이트(6)에 마찰력이 발생되도록 모터의 회전축에 롤러가 구비되어 회전력을 갖는 구동부(4)를 구비하고, 구동부(4)로 부터 출력되는 마찰력이 팔레트부(3)의 밑면에 작용되도록 하여 플레이트(13)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마찰구동 컨베어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4)는 중공 가이드(24)를 갖는 절곡된 브라켓 (25)과;
    브라켓(25)의 측면으로 로울러(22)를 갖는 모터(20)가 고정된 회전력 발생부 (23)와;
    양측단이 만곡형태를 가지며 중앙 부분을 상하로 이격시켜 소정 공간부(27)를 갖도록 구비된 평판 스프링(28)과;
    평판 스프링(28)의 공간부 중앙에 구비된 "" 형태를 갖는 위치고정 가이더(26)와;
    위치고정 가이더(26)의 상단부에 구비되어 브라켓(25)의 상하 이동량을 제한하거나 조절하도록 암나사(26a)와 너트(26b)를 갖는 조절구(26c)와;
    위치고정 가이더(26)의 수직인 부분이 상기 중공 가이드(24)에 삽입되도록 하고, 외측면에 코일 스프링(29)을 구비하여 프레임(2)의 수평 플레이트(6)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마찰구동 컨베어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로울러(22)는 외주면에 소정 두께를 갖는 우레탄 수지부(30)가 도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마찰구동 컨베어 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평판 스프링(28)은 2겹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마찰구동 컨베어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2)의 로울러 가이드부(7)에 평판 형태를 갖는 팔레트부(3)의 양측면과 밑면이 맞닿는 제 2수평 로울러(40)와 제 2수직 로울러(42)를 구비하여 팔레트부(3)가 로울러의 윗면과 측면을 따라 안내되면서 이송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마찰구동 컨베어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팔레트부(3) 밑면으로 로울러 가이드부(7)의 방향과 평행한 돌출된 형태를 갖는 보조 레일(43)을 구비하고, 보조 레일(43)이 양측면에 로울러 (44)를 갖는 구동 모터(45)와 유동방지용 휠(46)을 구비하여 팔레트부(3)를 이송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마찰구동 컨베어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4)는 수평 플레이트(6)의 윗면에 다수개를 구비하고, 각각의 구동부(4)가 개별 구동이 되도록 콘트롤러를 접속되어져 구동시 이웃한 팔레트의 상호 접촉을 막아 충격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마찰구동 컨베어 장치.
KR10-2001-0020886A 2001-04-18 2001-04-18 다기능 마찰구동 컨베어 장치 KR1004287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0886A KR100428742B1 (ko) 2001-04-18 2001-04-18 다기능 마찰구동 컨베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0886A KR100428742B1 (ko) 2001-04-18 2001-04-18 다기능 마찰구동 컨베어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1268U Division KR200239898Y1 (ko) 2001-04-19 2001-04-19 다기능 마찰구동 컨베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0961A KR20020080961A (ko) 2002-10-26
KR100428742B1 true KR100428742B1 (ko) 2004-04-29

Family

ID=27701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0886A KR100428742B1 (ko) 2001-04-18 2001-04-18 다기능 마찰구동 컨베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87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60177A (zh) * 2018-09-20 2019-01-08 民航成都物流技术有限公司 一种行李高速输送托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0961A (ko) 2002-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84651B2 (en) Conveyor system and method of conveying elements
KR200390957Y1 (ko) 방향전환용 롤러가 장착된 체인형 콘베이어
US3738478A (en) Conveyor chain
JP7290100B2 (ja) 端面加工装置及びガラス板の製造方法
KR890003967B1 (ko) 판유리 연삭장치
KR101158483B1 (ko) 천장주행형 물류반송시스템용 반송장치
KR100428742B1 (ko) 다기능 마찰구동 컨베어 장치
KR200239898Y1 (ko) 다기능 마찰구동 컨베어 시스템
JP2000313518A (ja) ベルトコンベア装置
CN113772392A (zh) 一种用于托盘拐角转运的输送装置及转角输送线
KR102172226B1 (ko) 무인 물류 이송장치
KR101894476B1 (ko) 기판 정렬 투입장치
KR20170124263A (ko) 체인 컨베이어 어셈블리
TWI710512B (zh) 輸送設備及具有此輸送設備的在線式焊接整修輸送線
JP3234779B2 (ja) 形材の噛合せ搬送方法
KR100580379B1 (ko) 판유리 이송장치
KR100725726B1 (ko) 글라스 이송 시스템
JP6681222B2 (ja) 搬送装置及び搬送方法
TW202017831A (zh) 型鋼輸送橫移系統
JP5237585B2 (ja) 乗継ぎ用補助ローラーコンベアの構造
KR20190058050A (ko) 벨트컨베이어용 크리닝장치
JPH11244968A (ja) プレス材搬送装置
CN215796253U (zh) 下件输送装置
KR20130046035A (ko)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 조정장치
CN218706051U (zh) 一种高精度定位重载输送轨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1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