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1839Y1 - 범용 브래킷 구조 - Google Patents

범용 브래킷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1839Y1
KR200171839Y1 KR2019990020113U KR19990020113U KR200171839Y1 KR 200171839 Y1 KR200171839 Y1 KR 200171839Y1 KR 2019990020113 U KR2019990020113 U KR 2019990020113U KR 19990020113 U KR19990020113 U KR 19990020113U KR 200171839 Y1 KR200171839 Y1 KR 2001718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ttachment
bracket
inclined surface
support
str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01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완
Original Assignee
김종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완 filed Critical 김종완
Priority to KR20199900201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183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18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1839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8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ba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6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 F16B5/0685Joining sheets or plates to strips or b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나의 규격으로 된 브래킷으로 지름이 다른 지주에 부착물을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범용 브래킷 구조에 관한 것이다.
밴드형 브래킷을 이용하여 부착물을 지주에 고정시킬 때 지주의 지름이 밴드보다 작을 경우에는 플랜지에 볼트를 아무리 견고하게 조이더라도 헐거운 결합상태를 이룰 수밖에 없으므로 부착물을 견고한 결합시킬 수가 없고, 그 반면 밴드형 브래킷보다 지주가 클 경우에는 브래킷의 플랜지에 볼트를 체결할 수 없으므로 부착물을 지주에 결합시킬 수가 없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전후로 경사진 경사지지면(22)의 양측을 수직으로 절곡하여 측벽(24)을 이루고 그 측벽(24) 단부를 수평하게 절곡하여 플랜지(26)를 형성한 한 쌍의 브래킷(20a)(20b)을 한 조로 하여 경사지지면(22)이 내측을 향하도록 부착물(12)의 배면에 인접 배치한 다음 플랜지(26)를 부착물(12)에 고정하고, 경사지지면(22)을 지주(10)에 밀착시킨 후 길이 조절이 가능한 밴드(28)를 브래킷(20a)(20b)의 경사지지면(22)과 부착물 사이로 감아 고정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지주의 지름이 크거나 작아도 경사지지면이 그 경사각에 의해 지주의 양측에 면접되기 때문에 단일 규격의 브래킷으로도 지주의 크기에 관계없이 범용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범용 브래킷 구조{A structure of multi-purpose bracket}
본 고안은 부착물을 지지물에 결합시키는 브래킷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나의 규격으로 된 브래킷으로 지름이 다른 지주에 부착물을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범용 브래킷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통표지판이나 신호기 등과 같이 표지판이나 각종 신호등과 같은 부착물들은 지주의 하단부를 지면에 견고하게 매립 설치한 다음 그 상부에 브래킷을 이용하여 결합시키게 된다.
만일 부착물의 무게가 많이 나갈 경우에는 견고하게 지주에 고정시켜야 되는데, 그 견고성은 브래킷의 구조에 의해 결정된다.
종래의 브래킷은 도 1에서와 같이 금속으로된 원형밴드를 2분할하고 각 몸체의 단부를 외향되게 절곡하여 플랜지(16)를 형성한 밴드형 브래킷으로서, 사용시 일측 몸체(14a)를 부착물(12)의 후측면에 결합하고, 타측몸체(14b)를 지주(10)에 감아 각 몸체(14a)(14b)의 플랜지(16)를 면접시킨 다음 볼트결합에 의해 부착물(12)을 지주(10)에 결합하도록 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밴드형 브래킷을 이용하여 부착물을 지주에 고정시킬 때 지주의 지름이 밴드형 브래킷보다 작을 경우에는 플랜지에 볼트를 아무리 견고하게 조이더라도 밴드형 브래킷에 헐거운 결합상태를 이룰 수밖에 없으므로 부착물을 견고한 결합시킬 수가 없고, 그 반면 밴드형 브래킷보다 지주가 클 경우에는 브래킷의 플랜지에 볼트를 체결할 수 없으므로 부착물을 지주에 결합시킬 수가 없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각 지주의 규격에 따라 그에 맞는 밴드형 브래킷을 구비해야만 하였다.
또한 부착물 시공 계획에 따라 그 지주에 맞는 밴드형 브래킷을 구비하였다 하더라도 실제 시공을 하다보면 지주의 규격이 예상보다 작거나 큰 변수가 발생되기 때문에 부착물 부착 작업에 큰 애로점으로 작용하게 되는 폐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지주의 지름에 관계없이 하나의 규격을 갖는 브래킷으로 부착물을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범용성을 부여한 범용 브래킷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브래킷 구조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브래킷의 구조도,
도 3은 본 고안의 브래킷 제조공정도,
도 4는 본 고안의 브래킷으로 지주에 부착물을 결합하는 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의 브래킷으로 지주에 부착물을 결합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지주 12 - 부착물 20a,20b - 브래킷
22 - 경사지지면 24 - 측벽 26 - 플랜지
28 - 밴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브래킷 구조는, 전후로 경사진 경사 지지면의 양측을 수직으로 절곡하여 측벽을 이루고 그 측벽 단부를 수평하게 절곡하여 플랜지를 형성한 브래킷 한 쌍을 구비하여 경사지지면이 내측을 향하도록 인접 배치한 다음 플랜지를 부착물의 배면에 고정하고, 경사지지면을 지주에 밀착시킨 후 길이 조절이 가능한 밴드를 구비하여 브래킷의 경사지지면과 부착물 사이로 감아 고정하므로써 달성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브래킷의 구조도로서, 도 3의 ⓐ와 같이 사각형의 양단을 'V'자형으로 벌어지게 연장하여 형성된 판의 양측 연장경계선을 도 3의 ⓑ와 같이 직각으로 접어 측벽(24)을 이루고, 그 측벽(24)의 단부를 도 3의 ⓒ와 같이 외부로 수평하게 접어 플랜지(26)를 갖도록 하므로써 하나의 브래킷(20a)(20b)의 형상을 이룬다.
이러한 구조로 제조된 브래킷(20a)(20b)은 중앙부에 전후로 경사진 경사지지면(22)을 갖게 되고, 그 양측에 수직으로 절곡된 측벽(24)을 가지며, 그 측벽(24)의 단부에는 플랜지(26)를 갖게 된다.
이러한 브래킷(20a)(20b)은 도 4, 도 5와 같이 두 개가 한 조를 이루어 설치되는데, 설치시 플랜지(26)를 부착물(12)의 배면에 볼트나 용접 등의 방법을 통하여 결합시킨다. 이때 경사지지면(22)은 낮은 쪽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이와 같이 브래킷(20a)(20b)이 설치된 부착물(12)을 지주(10)에 고정하는 상태를 보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고안의 브래킷으로 지주에 부착물을 결합하는 상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브래킷으로 지주에 부착물을 결합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양측 브래킷(20a)(20b)의 경사지지면(22)을 부착물(12)이 부착될 지주(10)의 양측에 접면시키고, 밴드(28)로 감아 고정시킨다. 밴드(28)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공지의 밴드(28)로서 양측의 브래킷(20a)(20b) 내부를 통과하도록 감는다. 즉, 브래킷(20a)(20b)의 경사지지면(22)과 부착물(12) 사이 및 양쪽 측벽(24)사이가 이루는 공간으로 밴드(28)의 단부를 삽입시킨 후 지주(10) 둘레를 감아 조여 고정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이 밴드(28)를 조이게 되면 양측 브래킷(20a)(20b)의 경사지지면(22)은 지주(10)의 양측에 밀착된다. 만일 지주(10)의 지름이 클 경우에는 경사지지면(22)의 바깥쪽에 지주(10)가 접면되고, 지름이 작을 경우에는 내측으로 접면되게 된다. 따라서 지름이 지나치게 크거나 작지 않는 일정한계 내에서는 어떠한 크기의 지름을 갖는 지주(10)에도 부착물(12)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 지주(10)의 지름이 너무 큰 경우에도 브래킷(20a)(20b)의 간격을 벌려 부착물(12)에 부착하면 얼마든지 견고하게 부착할 수 있고, 또 지주(10)의 지름이 너무 작 경우에도 브래킷(20a)(20b)의 간격을 좁혀서 부착물(12)에 부착하면 지주(10)에 견고하게 부착시킬 수가 있으므로 더욱더 범용성을 넓힐 수가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경사지지면을 갖는 북수개의 브래킷을 한 조로 하여 경사지지면이 서로 대향되도록 부착물에 설치한 후 지주의 양측에 경사지지면 접면시키고 밴드를 감아 설치하도록 되어 있어 지주의 지름이 크거나 작아도 경사지지면이 지주의 양측에 면접되기 때문에 단일 규격의 브래킷으로도 지주의 크기에 관계없이 범용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지주(10)에 부착물(12)을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브래킷 구조에 있어서,
    전후로 경사진 경사지지면(22)의 양측을 수직으로 절곡하여 측벽(24)을 이루고 그 측벽(24) 단부를 수평하게 절곡하여 플랜지(26)를 형성한 한 쌍의 브래킷(20a)(20b)을 한 조로 하여 경사지지면(22)이 내측을 향하도록 부착물(12)의 배면에 인접 배치한 다음 플랜지(26)를 부착물(12)에 고정하고, 경사지지면(22)을 지주(10)에 밀착시킨 후 길이 조절이 가능한 밴드(28)를 브래킷(20a)(20b)의 경사지지면(22)과 부착물 사이로 감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 브래킷 구조.
KR2019990020113U 1999-09-17 1999-09-17 범용 브래킷 구조 KR2001718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0113U KR200171839Y1 (ko) 1999-09-17 1999-09-17 범용 브래킷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0113U KR200171839Y1 (ko) 1999-09-17 1999-09-17 범용 브래킷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1839Y1 true KR200171839Y1 (ko) 2000-03-15

Family

ID=19589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0113U KR200171839Y1 (ko) 1999-09-17 1999-09-17 범용 브래킷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183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2938B1 (ko) 2007-03-27 2008-05-27 황인식 지주용 표지판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2938B1 (ko) 2007-03-27 2008-05-27 황인식 지주용 표지판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88479A (en) Tubular framing system
KR200171839Y1 (ko) 범용 브래킷 구조
KR101343504B1 (ko) 도로시설물 설치용 지주장치
CA2280408A1 (en) Support system for large antennas, including multi-beam antennas
JP2001164744A (ja) 仮設構造物の構築方法と構築用接続金具
KR20010069576A (ko) 교통신호등용 철주
JP3970476B2 (ja) 防護柵
JPH0755214Y2 (ja) 梁材ブレース取付金具
CN211040102U (zh) 一种可调节的抗震支吊架
JPH036760Y2 (ko)
JP2507831Y2 (ja) 格子パネル用取付装置
JP2003074216A (ja) 柵用手摺ビーム固定構造
KR0135580Y1 (ko) 울타리 부재의 지지체
CN217392777U (zh) 拼装式喷淋支架
JP3014682U (ja) バリケード支持具
JP2000008655A (ja) フェンス用コーナー継手金具
KR200169482Y1 (ko) 교통신호대
JPH0541157Y2 (ko)
JP2521556Y2 (ja) 防護柵の横桟取付け用補助金具
JPH036761Y2 (ko)
JP2997840B2 (ja) 仮設構造物の支柱連結用ジョイント
JPH026646Y2 (ko)
JPH08105019A (ja) 防護柵
JPS608037Y2 (ja) 仮設用足場板の支持金具
KR200264410Y1 (ko) 표시판 부착용 횡봉의 체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203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