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8416Y1 - 자동차의 유아용 시트 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유아용 시트 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168416Y1 KR200168416Y1 KR2019960064178U KR19960064178U KR200168416Y1 KR 200168416 Y1 KR200168416 Y1 KR 200168416Y1 KR 2019960064178 U KR2019960064178 U KR 2019960064178U KR 19960064178 U KR19960064178 U KR 19960064178U KR 200168416 Y1 KR200168416 Y1 KR 200168416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low
- seat back
- cushion
- seat
- screw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88—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link
- B60N2/3093—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link slid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90—Details or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919—Positioning and locking mechanisms
- B60N2002/948—Positioning and locking mechanisms the actuation of the positioning or locking mechanism for one seat part being dependent on the position of another seat part, e.g. the seats floor lock being unlocked when the back-rest is inclined or the backrest can be tilted only when the seat is in its rear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유아용 시트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자동차의 뒷좌석 쿠션의 중앙 일정 부위를 횡으로 분리하고 저면에 사각뿔의 쿠션 브라켓을 부착시킨 유동 쿠션을 구성하고, 시트 백의 일측을 종으로 일정부위 분리하고 측면에 직사각형의 시트백 지지부재를 부착시킨 유동 시트백을 형성하여, 상기 유동쿠션의 지지판과 유동 시트백의 시트백 지지부재에 유아의 신체 조건에 꼭 맞게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유동쿠션을 상하이동 시킬 수 있고, 동시에 상기 유동 시트백을 전후 이동 가능하게 할 수 있는 구동 수단이 설치된 자동차의 유아용 시트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자동차의 유아용 시트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자동차 된좌석의 쿠션과 시트백을 일부분씩 분리하여 유동 쿠션과 유동 시트백을 구성하고, 이유동 쿠션과 유동 시트백이 쿠션 밑의 프레임 내부와 시트백 측면에 장착된 스크류작동수단에 의해 동시에 상하 및 전후로 이동할 수 있게 함으로써, 유아의 신체조건에 꼭 맞도록 시트를 조절할 수 있는 자동차의 유아용 시트 구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자동차의 시트는 성인의 신체 조건에 맞게 설계되고 설치되기 때문에 자동차에 유아를 승차시킬 때는 성인의 보호가 필요하게 되며, 때에 따라서는 별도의 유아용 시트를 뒷좌석이나 조수석에 장착하고 난 다음 유아를 앉혀야 하고, 이에 기인하여 성인 및 유아 모두 승차감면에서 불편하게 되고 자동차의 급정거나 예기치 않은 상황에 노출되어 있는 바, 안전을 위해 유아용 시트를 사용하는 것이다.
종래의 자동차의 유아용 시트 구조는 시트 내부에 벨트 및 버클을 삽입 고정한 형태로서 유아의 신체조건에 꼭 맞지 않아 안락감 및 안전성이 떨어지며, 설치 비용이 많이 드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자동차의 뒷좌석 쿠션의 중앙 일정부위를 횡으로 분리하고 저면에 사각뿔의 쿠션 브라켓을 부착시킨 유동 쿠션을 구성하고, 시트백의 일측을 종으로 일정 부위 분리하고 측면에 직사각형의 시트백 지지부재를 부착시킨 유동 시트백을 형성하여, 스크류 작동수단에 의해 유동 쿠션이 상하로 이동되면서 동시에 유동 시트백이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함으로써, 유동쿠션과 유동 시트백이 동시에 돌출되어 유아의 체형에 꼭 맞게 시트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자동차의 유아용 시트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유아용 시트의 사용 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유아용 시트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사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시트백 12 : 쿠션
14 : 유동쿠션 16 : 유동 시트백
18 : 시트백 프레임 22 : 쿠션 브라켓
24 : 쿠션 지지판 25 : 시트백 지지부재
26 : 시트백 브라켓 28 : 가이드판
30 : 조절막대 31 : 스크류 바
32 : 웜부 34 : 웜
36 : 스크류부 38 : 벨트 웨빙 가이드
40 : 고정대 42 : 스토퍼
44 : 레버 46 : 핀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자동차의 유아용 시트 구조에 있어서, 쿠션(12)의 후부 일부를 분리하여 유동 쿠션(14)을 형성하는 동시에 그 저부에는 스크류 구멍을 갖는 쿠션브라켓(22)을 고정설치하고, 시트백(10)의 하부를 분리하여 유동 시트백(16)을 형성하고 그 측부에 고정된 시트백 지지부재(25)에는 스크류구멍을 갖는 시트백 브라켓(26)을 장착하여, 스크류 작동수단에 의해 상기 유동 쿠션(14)과 유동 시트백(16)이 동시에 상하 및 전후로 움직일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되, 상기 스크류 작동수단은 쿠션 브라켓(22)의 스크류 구멍에 치합되는 스크류바(31)가 중앙에 형성된 웜(34)과, 레버(44)가 일체로 형성되어서 상기 웜(34)가 시트백 브라켓(26)의 스크류 구멍에 동시 치합되어 제자리 회전되는 조절막대(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시트백(10) 내부의 시트백 프레임(18)에는 가이드 구멍을 갖는 가이드판(28)을 부착하고, 이 가이드판(28)과 밀착되는 상기 시트백 지지부재(25)에는 가이드구멍에 삽입되는 핀(46)을 구비하여, 상기 유동 시트백(16)이 전후 움직임을 안내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절막대(30)에 형성되어 있는 스크류부(36)의 끝단에는 유동 시트백(16)의 작동한계를 단속하는 스토퍼(42)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유아용 시트의 사용 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본 고안의 유아용 시트 구조는 시트 쿠션(12)의 후부를 소정의 크기로 절개하고 그 하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스크류 구멍을 갖는 사각 뿔 형상의 시트백 브라켓(26)이 일체로 이루어진 쿠션지지판(24)이 구비된 유동 쿠션(14)과, 시트백(10)의 하부로부터 분리되고 그 측부에는 하단부에 스크류 구멍을 갖는 시트백 브라켓(26)이 고정된 유동 시트백(16)과, 상기 쿠션(12)의 유동 쿠션(14)과 유동 시트백(16)을 동시에 작동시켜 상하 및 전후로 유동시켜 주는 스크류 작동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를 각 구성요소별로 구분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유동쿠션(14)은 자동차의 뒷좌석 뒷쪽의 일부를 소정의 크기로 분리하여 이루어져 있으며, 그 저면에는 사각형의 쿠션 지지판(24)이 중앙에 고정설치되어 있고, 다시 상기 쿠션 지지판(24) 밑으로는 적층되게 사각뿔 형상이며 중앙에 나사산이 형성된 스크류 구멍을 가지는 시트백 브라켓(26)이 융착고정되어 있다.
특히, 상기 스크류 구멍은 유동쿠션(14)의 저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 스크류 구멍에는 후술하는 스크류 작동수단의 웜(34)에 구비된 스크류바(31)가 볼트-너트 결합되어, 상기 웜(34)이 제자리에서 회전하게 되면 회전수에 비례하여 상기 유동쿠션(14)을 상하로 움직여 주게 된다.
즉, 상기 유동쿠션(14)은 쿠션(12)의 분리된 앞부분에 의해 회전시 간섭을 받도록 설치되어 있는데, 이 상태에서 상기 웜(34)이 회전하게 되면 나사산이 형성된 스크류 구멍이 스크류바(31)를 따라서 상대적으로 상하 운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스크류 작동수단은 쿠션 브라켓(22)의 스크류 구멍에 치합되는 스크류 바(31)가 중앙에 수직으로 형성된 웜(34)과, 일단에는 회전손잡이 기능을 갖는 레버(44)가 성형되고 외주면에는 웜(34)에 치합되도록 웜부(32)가 형성되어 있으면서 일단에는 스크류부(36)가 형성된 조절막대(30)로 구성되어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상기 조절막대(30)는 시트쿠션(12)의 일측테두리와 나란하게 설치하되, 후단이 상기 유동 시트백(16)의 하부까지 연장되도록 형성하게 되며, 이렇게 연장된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스크류부(36)는 상기 시트백브라켓(26)의 스크류 구멍에 치합되도록 설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웜(34)은 레버(44)를 잡아 돌리게 되면 웜부(32)의 회전으로 연동하여 움직이게 되고, 이 웜(34)의 회전하게 되면 상술한 것과 같이 쿠션 브라켓(22)이 상하로 움직이면서 유동 쿠션(14)을 연동시켜 주게 되는 것이다.
상기 유동 시트백(16)은 시트백(10)의 하부를 소정의 크기로 분리하여 이루어져 있으며, 그 측면에는 사각박스 형상의 시트백 지지부재(25)가 나란하게 고정 설치되어 있다.
특히, 상기 시트백 지지부재(25)에는 상면에 하단이 긴 'ㄱ'자 형상의 벨트웨빙 가이드(38)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벨트 웨빙 가이드(38)에는 통상적으로 성인 체형에 맞게 제작되어 차량에 적용되는 벨트를 걸어 보통 센터 필러에 고정되는 앵커 플레이트의 높이를 상대적으로 낮추어서 어린이나 유아의 체형에 맞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시트백 지지부재(25)의 하단끝에는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스크류 구멍이 관통된 원통형의 시트백 브라켓(26)이 고정설치되며, 이 스크류 구멍에는 상기 스크류 작동수단의 스크류부(36)가 치합되어 있다.
따라서, 유동쿠션(14)과 유동 시트백(16)은 조절막대(30)의 회전으로 웜-웜부의 결합과 볼트-너트의 결합에 의해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바꿔 주는 동시에 상하 및 전후로 움직임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유동 시트백(16)이 전후로 움직이는 길이를 제한하기 위하여, 상기 스크류부(36)가 형성된 조절막대(30)의 단부에는 스토퍼(42)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시트백 지지부재(25)의 측면에는 핀(46)이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스토퍼(42)는 유동 시트백(16)이 뒤쪽으로 후진하는 최대 이송 위치를 제한하게 되며, 상기 핀(46)은 시트프레임(18)에 구비된 가이드판(28)에 끼워져서 전후 최대 이송거리를 제한하게 된다.
이렇게 전후 최대 이송거리를 제한하기 위한 가이드판(28)은 소정의 크기를 갖는 판체로 이루어져 있으며, 일면에는 상기 핀(46)이 끼워져서 움직일 수 있도록 가이드구멍이 관통성형되어 있다.
특히, 상기 가이드판(28)은 통상의 시트프레임(18)에 융착고정시켜 사용하게되는데, 이때 상기 가이드구멍은 상기 시트프레임(18)상에 대하여 수직으로 위치하게 되며, 이렇게 설치된 가이드구멍에는 상기 핀(46)이 끼워지게 된다.
물론, 상기 핀(46)은 유동 시트백(16)의 전후 이동거리를 제한하는 기능과 함께 스크류부(36)의 회전으로 유동 시트백(16)이 제자리 회전도 동시에 막아 주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유동 시트백(16)은 조절막대(30)의 제자리 회전으로 시트백 브라켓(26)과 스크류부(36)와의 결합으로 전후 방향으로의 움직임이 가능하게 되고, 상기 핀(46)이 가이드구멍을 따라 움직이면서 그리고 스토퍼(42)가 시트백 브라켓(26)의 후단부에 걸리는 것으로 최대 작동 거리를 제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조절막대(30)의 레버(44)를 회전시키면 상기 조절막대(30)의 웜부(32)에 맞물린 상기 스크류바(31)의 웜(34)이 스크류바(31)를 회전 운동시키게되어 상기 유동쿠션(14)이 상하 이동하게 되는 것이고, 상기 조절막대(30)의 스크류부(31)가 상기 시트백 브라켓(26)을 직선 운동시키게 되어 유동 시트백(16)이 전후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유아용 시트 구조에 의하면 자동차의 뒷좌석 쿠션과 시트백의 일부분을 분리 가능하게 형성하고, 분리된 쿠션과 시트백이 상하 및 전후 이동가능하게 구동수단을 설치함으로써, 유아의 신체 조건에 꼭 맞게 조절할 수 있으며, 기존의 시트를 이용한 구조이기 때문에 별도의 구성품이 필요치 않아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Claims (3)
- 자동차의 유아용 시트 구조에 있어서, 쿠션(12)의 후부 일부를 분리하여 유동 쿠션(14)을 형성하는 동시에 그 저부에는 스크류 구멍을 갖는 쿠션브라켓(22)을 고정설치하고, 시트백(10)의 하부를 분리하여 유동 시트백(16)을 형성하고 그 측부에 고정된 사각 박스 형태의 시트백 지지부재(25)에는 스크류구멍을 갖는 시트백 브라켓(26)을 장착하여, 스크류 작동수단에 의해 상기 유동 쿠션(14)과 유동 시트백(16)이 동시에 상하 및 전후로 움직일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되, 상기 스크류 작동수단은 쿠션 브라켓(22)의 스크류 구멍에 치합되는 스크류 바(31)가 중앙에 형성된 웜(34)과, 레버(44)가 일체로 형성되어서 상기 웜(34)가 시트백 브라켓(26)의 스크류 구멍에 동시 치합되어 제자리 회전되는 조절막대(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유아용 시트 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백(10) 내부의 시트백 프레임(18)에는 가이드 구멍을 갖는 가이드판(28)을 부착하고, 이 가이드판(28)과 밀착되는 상기 시트백 지지부재(25)에는 가이드구멍에 삽입되는 핀을 구비하여, 상기 유동 시트백(16)이 전후 움직임을 안내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유아용 시트 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막대(30)에 형성되어 있는 스크류부(36)의 끝단에는 유동 시트백(16)의 작동한계를 단속하는 스토퍼(42)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유아용 시트 구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60064178U KR200168416Y1 (ko) | 1996-12-30 | 1996-12-30 | 자동차의 유아용 시트 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60064178U KR200168416Y1 (ko) | 1996-12-30 | 1996-12-30 | 자동차의 유아용 시트 구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80051002U KR19980051002U (ko) | 1998-10-07 |
KR200168416Y1 true KR200168416Y1 (ko) | 2000-03-02 |
Family
ID=19487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60064178U KR200168416Y1 (ko) | 1996-12-30 | 1996-12-30 | 자동차의 유아용 시트 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168416Y1 (ko) |
-
1996
- 1996-12-30 KR KR2019960064178U patent/KR200168416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80051002U (ko) | 1998-10-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954399A (en) | Lumbar support for a car seat | |
KR101332737B1 (ko) | 에너지 흡수 장치를 구비한 아동 안전 좌석 | |
CA2037661A1 (en) | Seat integrated seat belt system | |
JP2001057920A (ja) | コンバーチブルヘッドレスト | |
KR200168416Y1 (ko) | 자동차의 유아용 시트 구조 | |
JPH05112204A (ja) | 車両等の座席におけるシートベルト装置 | |
EP2746096B1 (en) | Dynamic child restraint | |
GB2183988A (en) | Device for attaching a safety belt to a vehicle seat | |
JPH05301560A (ja) | シートベルトのスルーガイド構造 | |
KR100298614B1 (ko) | 자동차시트의람버서포트 | |
JP3616486B2 (ja) | シートベルト装置 | |
KR960010532Y1 (ko) | 높이 조절이 가능한 안전 벨트 걸이장치 | |
KR200151633Y1 (ko) | 자동차용 시트벨트 | |
KR0139483Y1 (ko) | 앞좌석 고정상태 표시 장치 | |
KR0117357Y1 (ko) | 유아보호용 자동차 시트 | |
KR0124366Y1 (ko) | 자동차용 리어 시트쿠션 접이구조 | |
KR200165687Y1 (ko) | 유아용 시트 벨트 고정장치 | |
KR960010527Y1 (ko) | 높이조절 가능한 안전벨트 | |
JPH0716523Y2 (ja) | シヨルダアンカ高さ調節装置 | |
KR200143062Y1 (ko) | 자동차용 백시트의 머리 받침 가변장치 | |
JPS6343963Y2 (ko) | ||
KR200143061Y1 (ko) |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 |
KR19980052625U (ko) | 형상변경이 가능한 헤드레스트 | |
JPH07323770A (ja) | 幼児用拘束保護シート用取付構造 | |
KR100379954B1 (ko) | 자동차용 시트 벨트의 리트렉터 구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61030 Year of fee payment: 8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