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6639Y1 - 자동차 범퍼의 처짐방지 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 범퍼의 처짐방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6639Y1
KR200166639Y1 KR2019950001195U KR19950001195U KR200166639Y1 KR 200166639 Y1 KR200166639 Y1 KR 200166639Y1 KR 2019950001195 U KR2019950001195 U KR 2019950001195U KR 19950001195 U KR19950001195 U KR 19950001195U KR 200166639 Y1 KR200166639 Y1 KR 2001666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mper
retainer
reinforcement
shell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011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6988U (ko
Inventor
김희웅
Original Assignee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류정열
Priority to KR20199500011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6639Y1/ko
Publication of KR96002698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698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66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663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24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24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 B60R2019/247Fastening of bumpers' side e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범퍼(bumper) 취부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범퍼가 처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차체에 취부되는 보강체(20)에 범퍼외피(10)가 취부되는 것에 있어서, 소정폭을 가지고 만곡되게 형성되며 하단에 플랜지(31)가 하부로 돌출되는 리테이너(30)가 상기 범퍼외피(10)의 내부에서 코너부의 상단부에 밀착되도록 하여, 상기 플랜지(31)가 보강체(20)에 지지되도록 구성하여, 리테이너(30)가 범퍼외피(10)의 내부에서 코너부 상단 저면을 지지하도록 하는 자동차 범퍼의 처짐방지 구조이다.

Description

자동차 범퍼의 처짐방지 구조
제1도는 종래 자동차의 범퍼 취부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범퍼 취부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범퍼외피 20 : 보강체
21 : 브라켓 30 : 리테이너
31 : 플랜지 33 : 체결볼트
본 고안은 자동차의 범퍼 취부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범퍼가 처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범퍼의 브라켓이 리테이너에 의해 취부되도록 한 자동차 범퍼의 처짐 방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자동차 범퍼의 취부구조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질의 플라스틱에 의해 형성되는 범퍼외피(10)의 상단부를 따라 내측으로 돌출되는 리브(11)가 형성되고, 내측면 리브(11)에 구멍이 뚫인 플랜지(12)가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차체에 고정되고 상단면에 브라켓(21)이 부착되는 보강체(20)의 전면부에 범퍼외피(10)의 후부가 씌워져 조립되며, 브라켓(21) 상단과 플랜지(12)가 파스너(22)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자동차 범퍼의 취부구조는, 차량의 충돌시 범퍼외피(10) 및 보강체(20)를 통해 충돌에너지를 흡수하여, 차체에 전달되는 충격을 저감시키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자동차 범퍼의 취부구조는, 범퍼외피(10)의 상단부가 범퍼 보강체(20)의 브라켓(21)에 의해 지지되는데, 브라켓(21)에 플랜지(12)가 파스너(22)에 의해 연결되기 때문에, 범퍼외피(10)의 코너부에 브라켓 설치가 불가능하게 되어 범퍼외피(10) 코너부 상단이 하부로 처지고 굴곡이 발생되며, 이로 인해 외관이 흉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보강체의 브라켓 상단부에 만곡되는 리테이너가 부가되어, 상기 리테이너가 범퍼 외피의 내부에서 코너부 상단을 지지하도록 하므로, 범퍼 외피의 코너부가 처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자동차 범퍼의 처짐 방지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차체에 취부되는 보강체에 범퍼외피가 취부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범퍼외피의 코너부 내부 상단부를 따라 만곡되도록 리테이너가 형성되어 있되, 상기 리테이너의 하단부에는 구멍이 뚫린 플랜지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보강체에는 구멍이 뚫린 브라켓이 설치되며, 상기 범퍼외피의 리테이너에 형성된 플랜지가 상기 보강체의 브라켓에 체결볼트로 고정되어 지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범퍼의 처짐 방지 구조가 제공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 범퍼의 취부구조도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질의 플라스틱에 의해 형성되는 범퍼외피(10)의 내측 상단부를 따라 하측으로 돌출되는 리브가 형성되고, 차체에 고정되고 상단면에 브라켓(21)이 부착되는 보강체(20)의 전면부에 범퍼외피(10)의 후부가 씌워져 조립되는 것은 종래와 같다.
단, 본 고안은 범퍼외피(10)의 코너부 내측 상단부를 따라서 소정폭을 가지고 만곡되게 형성되며 하단에 플랜지(31)가 하부로 돌출되는 리테이너(30)가 범퍼외피(10)의 내부에서 코너부의 상단부에 밀착되도록 하여, 플랜지(31)가 보강체(20)의 브라켓(21)에 체결볼트(33)에 의해 체결됨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리테이너(30)가 브라켓(21)에 연결되는 플랜지(31)에 의해 차체에 고정되는 보강체(20)에 지지되고, 리테이너(30)가 범퍼외피(10)의 내부에서 코너부 상단 저면을 지지하게 되어, 범퍼외피(10)의 처짐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본 고안은 범퍼외피(10)의 상단면 및 코너부의 상단면이 수평을 유지하게 되어, 범퍼외피(10)의 상부에 설치되는 등화장치 등과 기밀하게 밀착되도록 하므로 외관이 미려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보강체의 브라켓 상단부에 만곡되는 리테이너부가 부가되어, 상기 리테이너가 범퍼외피의 내부에서 코너부 상단을 지지하도록 하므로, 범퍼외피의 코너부가 처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것이다.

Claims (1)

  1. 차체에 취부되는 보강체(20)에 범퍼외피(10)가 취부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범퍼외피(10)의 코너부 내부 상단부를 따라 만곡되도록 리테이너(30)가 형성되어 있되, 상기 리테이너(30)의 하단부에는 구멍이 뚫린 플랜지(31)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보강체(20)에는 구멍이 뚫린 브라켓(21)이 설치되며, 상기 범퍼외피(10)의 리테이너(30)에 형성된 플랜지(31)가 상기 보강체(20)의 브라켓(21)에 체결볼트(33)로 고정되어 지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범퍼의 처짐 방지 구조.
KR2019950001195U 1995-01-26 1995-01-26 자동차 범퍼의 처짐방지 구조 KR2001666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1195U KR200166639Y1 (ko) 1995-01-26 1995-01-26 자동차 범퍼의 처짐방지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1195U KR200166639Y1 (ko) 1995-01-26 1995-01-26 자동차 범퍼의 처짐방지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6988U KR960026988U (ko) 1996-08-17
KR200166639Y1 true KR200166639Y1 (ko) 2000-01-15

Family

ID=19407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01195U KR200166639Y1 (ko) 1995-01-26 1995-01-26 자동차 범퍼의 처짐방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663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6988U (ko) 1996-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66639Y1 (ko) 자동차 범퍼의 처짐방지 구조
JPH0423747Y2 (ko)
KR19980056316A (ko) 자동차 범퍼의 처짐방지구조
KR200184794Y1 (ko) 리어앤드 익스텐션패널의 취부구조
KR100243585B1 (ko) 자동차의 범퍼카바 장착구조
KR0113827Y1 (ko) Abs 휠 센서 안내브래킷
KR100200521B1 (ko) 차량용 리어범퍼 설치구조
KR100361821B1 (ko) 범퍼 상단면 강성 보강구조
KR100324693B1 (ko) 자동차용 프론트 범퍼 체결구조
KR200143141Y1 (ko) 자동차 리어범퍼의 하부 고정구조
KR0118847Y1 (ko) 후방 범퍼 페이스의 변형 방지 및 체결용 리테이너
KR19980029638A (ko) 승용차용 프론트 범퍼 가드 체결구조
KR19990026022U (ko) 자동차용 라디에이터 그릴 취부구조
JPH067976Y2 (ja) 自動車のランプ取付構造
KR0140567Y1 (ko) 자동차의 루프 보강용 프레임
KR100187818B1 (ko) 자동차의 리어 범퍼페시아와 사이드브라켓 장착구조
KR100275152B1 (ko) 범퍼 페시아 엔드 취부구조
KR19980058514U (ko) 프론트 범퍼 처짐방지구조
KR19980047474A (ko) 자동차의 언더커버 설치구조
KR19980036346A (ko) 자동차의 범퍼 처짐 방지용 브라켓
KR19980067809U (ko) 자동차 범퍼페시아 조립용 브라켓의 구조
KR19980036095U (ko) 자동차의 범퍼 사이드 보강구조
KR19980027056U (ko) 자동차 전면범퍼의 브라켓 구조
KR20000003870U (ko) 자동차의 라디에이터 그릴 체결장치
KR19980057894A (ko) 자동차 범퍼의 취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01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