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5334Y1 - 도어의 오픈상태 경고음 다양화 장치 - Google Patents

도어의 오픈상태 경고음 다양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5334Y1
KR200165334Y1 KR2019960041416U KR19960041416U KR200165334Y1 KR 200165334 Y1 KR200165334 Y1 KR 200165334Y1 KR 2019960041416 U KR2019960041416 U KR 2019960041416U KR 19960041416 U KR19960041416 U KR 19960041416U KR 200165334 Y1 KR200165334 Y1 KR 2001653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open
warning sound
signal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14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8400U (ko
Inventor
정강원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600414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5334Y1/ko
Publication of KR1998002840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840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53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533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9/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90Driver ala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어가 오픈상태일 때에 오픈된 도어의 위치에 따라 경고음을 다르게 출력하는 도어의 오픈상태 경고음 다양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도어 오픈 여부를 감지하는 도어오픈 감지센서(100)와 상기 도어오픈 감지센서(100)가 감지한 오픈된 도어의 위치에 따라 각기 다른 신호파형을 출력하는 신호출력부(200)와 상기 신호출력부(200)가 출력한 신호파형에 따라 각기 다른 경고음을 발산하는 경고음 발생부(300)로 구성하여, 도어가 오픈상태일 때에 오픈된 도어의 위치에 따라 경고음을 다르게 출력하여 탑승자가 쉽게 오픈된 도어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도어의 오픈상태 경고음 다양화 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회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회로의 각 정점에서의 출력 파형.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도어오픈 감지센서 200 : 신호출력부
210 : 1차 신호지연부 200 : AND게이트1
230 : NOT게이트 240 : 2차 신호지연부
250 : AND게이트2 300 : 경고음 발생부
본 고안은 도어의 오픈상태 경고음 다양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도어가 오픈상태일 때에 오픈된 도어의 위치에 따라 경고음을 다르게 추력하는 도어의 오픈상태 경고음 다양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차체와 맞닿는 도어의 프레임에 오픈 감지 스위치를 설치하여 도어가 오픈상태이면 일괄적으로 경고램프와 경고부저를 작동시켜 경고동화와 경고음으로 탑승자에게 도어의 오픈상태를 경고하였다.
그러나, 종래에는 도어가 오픈상태이면 일괄적으로 경고램프를 점등하며 단일한 경고음을 발생시켜 탑승자는 어느 위치의 도어가 오픈상태인지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도어가 오픈상태일 때에 오픈된 도어의 위치에 따라 경고음을 다르게 출력하여 탑승자가 쉽게 오픈된 도어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게 하는데 있다.
본 고안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차량의 도어 오픈 여부를 감지하는 도어오픈 감지센서; 상기 도어오픈 감지센서가 감지한 오픈된 도어의 위치에 따라 각기 다른 신호파형을 출력하는 신호출력부; 상기 신호출력부가 출력한 신호파형에 따라 각기 다른 경고음을 발산하는 경고음 발생부로 이루어짐을 그 구성상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회로도로, 신호출력부(200)를 입력신호를 지연 출력하는 복수개의 신호지연부와 상기 입력신호의 파형을 변화시키는 다수개의 논리소자로 구성한다. 도어의 오픈상태를 감지하는 복수개의 도어오픈 감지센서(100)중 임의의 한 감지센서의 출력과 1차 신호지연부(210)를 거친 출력을 AND게이트1(220)의 입력에 연결하고, 상기 AND게이트1(220)의 출력을 NOT게이트(230)의 입력에 연결하며, 상기 NOT게이트(30)의 출력을 2차 신호지연부(240)와 경고음 발생부(300)에 연결하고, 상기 도어 오픈 감지센서(100)의 출력과 상기 2차 신호지연부(240)의 출력을 ADN게이트(250)의 입력에 연결하며, 상기 AND게이트(250)의 출력을 경고음 발생부(300)에 연결하여 구성한다.
또, 복수개의 도어오픈 감지센서(100) 중 신호출력부(200) 회로를 설치한 감지센서 외의 다른 감지센서와 경고음 출력부(300) 사이에도 상기와 같은 신호출력부(200) 회로를 각기 설계 구성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차량의 도어가 오픈상태이면 도어오픈 감지센서(100)가 이를 감지하여 제2(a)도와 같이 전압이 일정한 지속적 신호파형을 출력한다. 1차 신호지연부(210)는 입력파형을 일정시간 지연시키므로 상기 도어오픈 감지센서(100)의 출력파형이 상기 1차 신호지연부(210)를 거친 A정점에서의 신호파형은 제2(b)도와 같이 상기 1차 신호지연부(210)가 지연시킨 일정시간만큼 지연되어 출력된다. AND게이트1(120)에는 제2(a)도와 제2(b)도 신호가 입력되어 B정점에는 제2(c)도와 같이 입력파형의 중첩부분만 출력된다. 상기 AND게이트1(220)의 출력은 NOT게이트(230)을 거쳐 C정점에서는 제2(d)와 같이 상기 1차 신호지연부(210)가 지연시킨 지연시간 이내에서만 출력을 갖는다. 상기 NOT게이트(230)의 출력은 경고음 발생부(300)에 입력되므로 상기 경고음 발생부(300)는 상기 제3(d)도의 펄스를 갖는 1차 경고음을 발산한다.
상기 NOT게이트(230) 출력은 다시 2차 신호지연부(240)를 거치므로 D정점의 신호파형은 다시 일정시간 지연되어 제2(f)도의 펄스가 출력된다. AND게이트2(250)에는 상기 제2(f)도의 펄스와 상기 도어오픈 감지센서(100)의 출력펄스가 입력되어 E정점에는 중첩부분만이 출력되어 경고음 발생부(300)에 입력되므로 상기 경고음 발생부(300)는 2차 경고음을 출력한다. 이에 따라, 상기 경고음 발생부(300)의 최종 출력은 제2(g)도와 같이 1차 경고음과 2차 경고음이 1차 신호지연부(210)의 지연시간과 2차 신호지연부(240)의 지연시간의 차이만큼 간격을 두고 반복 출력되어 최종 경고음을 발산한다.
따라서, 차량의 복수개의 도어오픈 감지센서(100)와 경고음 발생부(300)사이에 제1도의 회로를 각각 설계하여 1차 신호지연부(210)와 2차 신호지연부(240)의 지연시간을 각기 다르게 설정하면 오픈된 도어의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경고음이 발생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도어가 오픈상태일 때에 오픈된 도어의 위치에 따라 경고음을 다르게 출력하여 탑승자가 쉽게 오픈된 도어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차량의 도어 오픈 여부를 감지하는 도어오픈 감지센서; 상기 도어오픈 감지센서가 감지한 오픈된 도어의 위치에 따라 각기 다른 신호파형을 출력하는 신호출력부; 상기 신호출력부가 출력한 신호파형에 따라 각기 다른 경고음을 발산하는 경고음 발생부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의 오픈상태 경고음 다양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출력부는 입력신호를 지연 출력하는 복수개의 신호지연부; 상기 입력신호의 파형을 변화시키는 다수개의 논리소자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의 오픈상태 경고음 다양화 장치.
KR2019960041416U 1996-11-22 1996-11-22 도어의 오픈상태 경고음 다양화 장치 KR2001653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1416U KR200165334Y1 (ko) 1996-11-22 1996-11-22 도어의 오픈상태 경고음 다양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1416U KR200165334Y1 (ko) 1996-11-22 1996-11-22 도어의 오픈상태 경고음 다양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8400U KR19980028400U (ko) 1998-08-05
KR200165334Y1 true KR200165334Y1 (ko) 2000-03-02

Family

ID=19474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1416U KR200165334Y1 (ko) 1996-11-22 1996-11-22 도어의 오픈상태 경고음 다양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533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8400U (ko) 1998-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1777A (ko) 반도체 기억 장치
JPH06222090A (ja) 可変測定信号がスイッチング閾値を通過する時にスイッチング過程をトリガするための比較器回路
JP4033578B2 (ja) 発音体駆動回路および作動音発生装置
KR970069577A (ko) 전자플래셔장치
KR200165334Y1 (ko) 도어의 오픈상태 경고음 다양화 장치
KR880004652A (ko) 다중 통보 무선 페이징 수신기
KR970020706A (ko) 차량용 장애물 감시장치
KR890014871A (ko) 점화신호 검출회로
KR970039503A (ko) 차량의 도어오픈시 장애물감지장치
KR0138838Y1 (ko) 초음파 감지센서 고장 검출장치
KR20000039341A (ko) 차량 운전자에 대한 경고방법
KR960025255A (ko) 금전등록기의 케이스 오픈 감지장치 및 그 방법
KR970037633A (ko) 차량의 도어개방경보회로
KR950012082A (ko) 집적회로의 핀 결선불량 검출장치
KR960004137B1 (ko) 자동차용 도어열림 알림장치
KR0124652Y1 (ko) 차량의 도어개방경보장치
KR0137522B1 (ko) 가변 지연소자를 가진 펄스 발생기
JPS594398Y2 (ja) 警報装置
KR920017354A (ko) 엣지 검출 기능을 갖는 펄스 발생회로
KR960040744A (ko) 자동차의 선루프 개방경고장치
KR960019693A (ko) 반도체 소자의 선택적인 노이즈 감소 장치
KR970042045A (ko) 차량의 오조립 방지장치
KR970040021A (ko) 반자동 자동차 도난 경보 장치
KR940017808A (ko) 시간적 구별기능을 갖는 거리감지회로
KR970005887A (ko) 차량의 급제동시 경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