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4137B1 - 자동차용 도어열림 알림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도어열림 알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4137B1
KR960004137B1 KR1019930024443A KR930024443A KR960004137B1 KR 960004137 B1 KR960004137 B1 KR 960004137B1 KR 1019930024443 A KR1019930024443 A KR 1019930024443A KR 930024443 A KR930024443 A KR 930024443A KR 960004137 B1 KR960004137 B1 KR 9600041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warning means
vehicle
microprocessor
notifica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244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3832A (ko
Inventor
김대현
Original Assignee
현대정공주식회사
유철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정공주식회사, 유철진 filed Critical 현대정공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300244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4137B1/ko
Publication of KR9500138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38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41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41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2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for lighting specific fittings of passenger or driving compartments; mounted on specific fittings of passenger or driving compartments
    • B60Q3/217Doors, e.g. door sills; Ste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64Monitoring or sensing, e.g. by using switches or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차용 도어열림 알림장치
제 1 도는 종래의 자동차용 도어열림 알림장치의 회로도.
제 2 도는 본 발명의 자동차용 도어열림 알림장치의 회로도.
제 3 도는 본 발명의 경고수단의 점멸주기를 나타내는 타이밍도.
제 4 도는 본 발명의 경고수단의 일 실시예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전원 12 : 경고수단
13 : 감지 스위치 14 : 마이크로 프로세서
15 : 차속감지수단 16 : 비교기
17 : 주파수/전압 변환기 18 : 스피드센서
본원 발명은 자동차의 도어의 개폐상태를 나타내는 도어열림 알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하나의 램프 또는 다이오드로 구성된 경고수단을 사용하여 자동차의 열려있는 도어의 종류를 구별하여 표시해 줄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도어열림 알림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자동차용 도어열림 알림장치는 제 1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21)과, 경고수단(22)과, 서로 병렬 연결된 감지 스위치(23)들이 직렬로 접속되어 구성되어 있다. 상기의 감지 스위치(23)들은 자동차의 도어가 열리면 온(ON)이 되고 자동차의 도어가 닫히면 오프(OFF)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자동차용 도어열림 알림장치는 자동차의 도어가 모두 닫히면 감지 스위치가 모두 오프(OFF)되어 회로는 개방되고 상기 경고수단은 불이 켜지지 않는다. 그러나 다수의 도어중 적어도 하나의 도어가 잘못 닫히면 그 도어의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 스위치가 온(ON)이 되어 전원에서 나오는 전류가 경고수단과 감지 스위치를 거쳐 흐르게 되므로 경고수단에 불이 켜지게 되어 도어가 열려 있음을 인지 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자동차용 도어열림 알림장치는 경고수단에 상기 감지 스위치의 온(ON)/오프(OFF) 상태만이 표시되어 어느 도어가 잘못 닫혀져 있는지 구분할 수 없었기 때문에 경고수단에 불이 켜지는 경우 각각의 도어를 모두 점검해 보아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각각의 도어에 감응하는 다수의 경고수단을 설치하여 각각의 도어열림을 표시하는 경우에는 도어열림 알림장치의 단자들을 부착하는데 많은 면적이 소요될 뿐만아니라 제조단가도 상승하는 문제점이 초래된다.
본원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자동차의 열려 있는 도어의 종류를 단일 경고수단의 점멸주기로서 구별하여 주는 간편한 도어열림 알림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원 발명의 자동차용 도어열림 알림장치는 전원과, 경고수단과, 서로 병렬로 연결된 자동차 도어 각각의 개폐상태를 감지하는 다수의 감지 스위치가 직렬로 접속된 자동차용 도어열림 알림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감지 스위치들 및 경고수단과 접속되어 온(ON)되는 상기 감지 스위치들의 종류에 따라 상기 경고수단에 각각 다른 점멸주기를 가진 신호를 출력시키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한 단자에 연결되고, 비교기, 주파수/전압 변환기, 접지된 스피드센서가 순차로 직렬 접속되어 구성된 차속감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자동차의 어느 한 도어가 열려 있는 경우에 일정 속도 이상이 되면 상기 경고수단이 주기적인 점멸상태에서 점등상태로 전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원 발명이 자동차용 도어열림 알림장치는 전원과, 경고수단과, 서로 병렬로 연결된 자동차 도어 각각의 개폐상태를 감지하는 다수의 감지 스위치가 직렬로 접속된 자동차용 도어열림 알림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감지 스위치를 및 경고수단과 접속되어 온(ON)되는 상기 감지 스위치들의 종류에 따라 상기 경고수단에 각각 다른 점멸주기를 가진 신호를 출력시키고, 2개의 감지 스위치가 동시에 온이 되었을 경우에 2개의 신호를 교대로 보내주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도어열림 알림장치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원 발명은 제 2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 도어 각각의 개폐상태를 감지하는 다수의 감지 스위치(13)와, 상기 감지 스위치(13)의 감지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서로 다른 점멸주기를 가진 출력이 경고수단(12)을 통해 나오도록 구성된 마이크로 프로세서(14)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4)의 한 단자에 비교기(16)와 주파수/전압 변환기(17) 및 접지된 스피드센서(18)가 순차로 직렬 접속되어 구성된 차속감지수단(15)을 연결하여 구성되어 있다.
전원(11) 및 상기의 감지 스위치(13), 경고수단(12), 차속감지수단(15)은 각각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4)의 서로 다른 단자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의 주파수/전압 변환기(17)는 상기 비교기(16)의 (+)단자에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비교기(16)의 (-)단자에는 일정속도를 나타내는 기준전압이 공급된다.
입력되는 감지 스위치의 종류에 따라 다른 점멸주기를 출력시키기 위한 상기의 마이크로 프로세서(1)는 이미 공지된 IC번호 PIC 16C**를 사용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원 발명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본원 발명은 5개의 감지 스위치(13)중에서 적어도 한개의 감지 스위치(13)가 자동차 도어의 열림으로 온(ON)이 되면 마이크로 프로세서(14)는 온(ON)되는 감지 스위치의 종류에 따라 경고수단(12)에 각기 다른 점멸주기를 가진 신호를 출력시킨다.
예를 들면, 제 3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로 프로세서(14)는 제 4 도 경고수단의 1번 도어가 열리면 제 1 감지 스위치(13A)가 온(ON)되어 경고수단(12)이 1초간 켜진후 5초간 꺼지는 동작을 반복하도록 하고(제 3a 도참고). 제 4 도 경고수단의 2번 도어가 열리면 제 2 감지 스위치(13B)가 온(ON)되어 경고수단(12)이 1초간 켜지고 1초간 꺼지는 것을 2회 반복한 후 5초간 꺼지는 동작을 반복하도록 하며(제 3b도 참고). 제 4 도 경고수단의 3번 도어가 열리면 제 3 감지 스위치(13C)가 온(ON)되어 경고수단(12)이 1초간 켜지고 1초간 꺼지는 것을 3회 반복한 후 5초간 꺼지는 동작을 반복하도록 하고(제 3c 도 참고). 제 4 도 경고수단의 4번 도어가 열리면 제 4 감지 스위치(13D)가 온(ON)되어 경고수단(12)이 1초간 켜지고 1초간 꺼지는 것을 4회 반복한 후 5초간 꺼지는 동작을 반복하도록 하고(제 3d 도 참고), 제 4 도 경고수단의 5번 도어가 열리면 제 5 감지 스위치(13E)가 온(ON)되어 경고수단(12)이 1초간 켜지고 1초간 꺼지는 것을 5회 반복한 후 5초간 꺼지는 동작을 반복하도록 한다(제 3e 도 참고).
만약 2개의 도어가 동시에 잘못 닫혀져 2개의 감지 스위치가 동시에 온(ON)되는 경우에는 2개의 서로 다른 점멸주기를 가진 신호를 교대로 보내주게 된다.
자동차의 속도가 일정속도 이상이 되면 상기 경고수단(12)의 점멸이 운전자에게 부담을 주게 되므로 차속감지수단(15)이 자동차의 속도를 감지하여 상기 경고수단(12)을 점등 상태로 전환시킨다.
즉, 스피드센서(18)가 속도를 감지하여 주파수/전압 변환기(17)에서 상기 감지한 속도를 그에 맞는 전압으로 변환시키고 비교기(16)에서 일정속도를 나타내는 기준전압과 비교하여 그 상태를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4)에 입력시킨다.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4)에 일정속도 이상의 상태가 입력되면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4)는 자동차의 어느 한 도어가 열려 있는 경우라도 경고수단(12)이 주기적인 점멸상태에서 점등상태로 전환되도록 출력한다.
이와 같이, 본원 발명은 한개의 경고수단을 사용하여 자동차의 각각의 도어 상태를 각각 다른 점멸주기로서 구별하여 표시함으로서 간단한 구성으로 운전자가 잘못닫힌 도어의 위치를 알 수 있고 그 작동에 대한 신뢰도를 높일 수 있으며 도어열림의 단자 크기도 소형으로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전원과, 경고수단과, 서로 병렬로 연결된 자동차 도어 각각의 개폐상태를 감지하는 다수의 감지 스위치가 직렬로 접속된 자동차용 도어열림 알림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감지 스위치들 및 경고수단과 접속되어 온(ON)되는 상기 감지 스위치들의 종류에 따라 상기 경고수단에 각각 다른 점멸주기를 가진 신호를 출력시키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한 단자에 연결되고, 비교기, 주파수/전압 변환기, 접지된 스피드센서가 순차로 직렬 접속되어 구성된 차속감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자동차의 어느 한 도어가 열려 있는 경우에 일정 속도 이상이 되면 상기 경고수단이 주기적인 점멸상태에서 점등상태로 전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열림 알림장치.
  2. 전원과, 경고수단과, 서로 병렬로 연결된 자동차 도어 각각의 개폐상태를 감지하는 다수의 감지 스위치가 직렬로 접속된 자동차용 도어열림 알림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감지 스위치들 및 경고수단과 접속되어 온(ON)되는 상기 감지 스위치들의 종류에 따라 상기 경고수단에 각각 다른 점멸수단을 가진 신호를 출력시키고, 2개의 감지 스위치가 동시에 온이 되었을 경우에 2개의 신호를 교대로 보내주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열림 알림장치.
KR1019930024443A 1993-11-17 1993-11-17 자동차용 도어열림 알림장치 KR9600041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4443A KR960004137B1 (ko) 1993-11-17 1993-11-17 자동차용 도어열림 알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4443A KR960004137B1 (ko) 1993-11-17 1993-11-17 자동차용 도어열림 알림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3832A KR950013832A (ko) 1995-06-15
KR960004137B1 true KR960004137B1 (ko) 1996-03-27

Family

ID=19368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4443A KR960004137B1 (ko) 1993-11-17 1993-11-17 자동차용 도어열림 알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413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6716A (ko) * 1998-10-22 2000-05-15 에릭 발리베 차량용 발전기의 경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3832A (ko) 1995-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47280A (en) Combination vehicle flasher having first and second flash rates and duty rates
KR960004137B1 (ko) 자동차용 도어열림 알림장치
US5293150A (en) Circuit arrangement of an anti-theft alarm
JP2003297166A (ja) カーテシスイッチ装置
KR0127697Y1 (ko) 자동차용 도어열림 경고장치
KR0139065Y1 (ko) 자동차의 도어 핸들 조명 장치
KR0165645B1 (ko) 자동차의 비상등 장치
JPS61205888A (ja) 保安装置
KR0131907Y1 (ko) 자동차용 트렁크등 무단점등 방지장치
KR0124652Y1 (ko) 차량의 도어개방경보장치
KR0150320B1 (ko) 자동차의 경보장치
KR0125829Y1 (ko) 자동차 경보장치
KR970039549A (ko) 버스 승객 하차 검출장치
SU616645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тревожной сигнализации
RU1822826C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сигнализации угона автомобил
JPH1145384A (ja) 火災感知器
KR0153094B1 (ko) 조도적응식 제동램프 밝기제어회로
JPH0434200B2 (ko)
US5298879A (en) Vehicle alarm system having a coded visual response
KR0119405Y1 (ko) 차량의 도어개방경보회로
SU849258A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тревожной сигнали-зАции
KR970061630A (ko) 자동차의 외부등 상태 표시장치
KR970014473A (ko) 릴레이의 이상상태 감지장치
KR19980028400U (ko) 도어의 오픈상태 경고음 다양화 장치
JPH1049764A (ja) 監視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