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4445Y1 - 전화음성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전화음성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4445Y1
KR200164445Y1 KR2019990013502U KR19990013502U KR200164445Y1 KR 200164445 Y1 KR200164445 Y1 KR 200164445Y1 KR 2019990013502 U KR2019990013502 U KR 2019990013502U KR 19990013502 U KR19990013502 U KR 19990013502U KR 200164445 Y1 KR200164445 Y1 KR 2001644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lephone
voice
voice processing
processing device
telephone vo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35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종석
Original Assignee
테라피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테라피정보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테라피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900135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444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44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4445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1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dictation recording and playback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4Automatic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Automatic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subscribers; Arrangements for recording conversations
    • H04M1/65Recording arrangements for recording a message from the calling party
    • H04M1/6505Recording arrangements for recording a message from the calling party storing speech in digital for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6Simultaneous speech and data transmission, e.g. telegraphic transmission over the same conduc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42/00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 H04M2242/16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with computer telephone integ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신규한 구성의 전화음성 처리장치를 개시한다.
종래의 전화음성처리장치는 자체적인 음성처리및 저장 구성을 가져 구조및 조작이 복잡하고 고가의 전용장치였으나, 본 고안에서는 멀티미디어 PC의 기능을 최대한 활용하여 간단하고 저렴하며 호환성 높은 전화음성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전화음성 처리장치 {TELEPHONE VOICE PROCESSING DEVICE}
본 고안은 전화 또는 컴퓨터의 주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화음성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의 네트워크화에 따라 공중전화망(PSTN)을 통한 정보의 전달이 더욱 발달하고 있는 바, 변복조에 의한 데이타 정보의 송출뿐아니라 최근에는 디지탈 음성신호처리기술의 발달에 따라 음성자체의 처리도 활발해지고 있다.
즉 종래 음성의 저장및 재생에는 테이프등 자기 미디어를 거친 기계적 방법이 사용되었으나, 디지탈 음성처리기술의 발전에 따라 음성신호를 직접 메모리에 대해 입출력할 수 있게 되어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음성처리 프로세서및 메모리등을 사용한 전화음성 처리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도 1에는 기존에 공지되어 시판중인 전화음성 처리장치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서, 전화음성 처리장치는 전화선측에 접속되는 전화접속부(120)를 구비하고, 이를 통해 입력된 음성신호를 디지탈 신호로 처리하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부(140)및 필요에 따라 음성처리보드(150)를 구비한다. 디지탈 처리된 음성신호의 저장을 위해서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160)가 구비되고 이상의 각 기능블록의 제어를 위해 제어부(110)가 구비된다. 여기서 음성처리보드(150)는 보이스 모뎀(voice modem)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각 기능블록에 소요 전원이 공급되기 위해 전원의 연결과 별도의 전력변환기를 필요로 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음성처리장치는 PC 접속부(130)를 더 구비하여 필요에 따라 데이타 버스(data bus)나 시리얼/패럴렐 통신을 통해 PC 접속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대개의 경우 전용의 독립(stand-alone) 장치로 구성되고 있다.
이에 따라 장치가 상당한 크기를 가지며 고가이면서도 호환성이 없는 전용 장치로 구성될 수 밖에 없다.
뿐만아니라 이러한 장치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PC가 항상 ON 상태로 유지되어야 하는 바, 최근의 PC는 멀티미디어를 지향하여 음성처리보드를 내장하고 있으므로 결국 종래의 장치는 불필요하게 중복기능을 가져 고가로 구성되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 고안의 목적은 간단하고 소형이며 가격도 저렴한 전화음성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전화음성 처리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
도 2는 본 고안 전화음성 처리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
도 3은 본 고안 전화음성 처리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이는 블록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PC: 퍼스널 컴퓨터(personal computer)
10: 제어부
H: 녹음스위치
12: 음성검출및 송출부
20: 전화접속부
21: 송수화기 접속단자
22: 본체 접속단자
30: PC 접속부
31: 음성신호 입력단자
32: 명령상태 통신단자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는 본 고안 전화음성 처리장치는 전화선과 전화기간에 연결되는 전화접속부와, ON 상태의 PC에 접속되는 PC 접속부와, 전화선및 전화기와 PC간의 음성의 전송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멀티미디어 PC의 음성처리기능을 활용하게 되므로 전화음성 처리장치를 매우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구체적 특징과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실시예
도 2에서, 본 고안에 의한 전화음성 처리장치는 전화선에 접속되는 전화접속부(20)와 PC에 접속되는 PC접속부(30), 그리고 그 제어부(10)를 구비한다. 한편 인터페이스(IF)를 통해 이 전화음성 처리장치에 접속되는 PC는 적어도 음성처리보드와 하드메모리를 구비한다.
도 3에는 이러한 도 2의 구성을 구체화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전화접속부(20)는 전화선과 전화기 사이, 바람직하기로는 별도의 전원공급이 불필요하도록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전화기 본체(M)와 송수화기(P)간에 접속되는바, 이를 위해 송수화기 접속단자(21)와 접속단자 본체(22)를 구비한다.
한편 제어부(10)는 녹음 또는 재생시 음성정보의 송출을 개폐하는 녹음스위치(11)와 음성검출및 송출부(12)를 구비하는 바, 녹음스위치(11)는 사용자가 누를 수 있는 기구적장치와 TR 회로등의 하드웨어 스위치로, 음성검출및 송출부(12)는 OP암프등의 필터및 증폭회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PC 접속부(30)는 제어부(10)를 통한 음성신호를 PC의 사운드카드등 음성처리보드로 접속하는 음성신호 접속단자(31), PC로부터의 제어명령이나 제어부(10)의 상태를 PC로 전달하는 시리얼포트(serial port)등의 명령통신단자(32)를 구비한다. 한편 PC에는 이상의 각 구성부를 소프트웨어적으로 제어하는 제어 프로그램이 탑재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 음성처리장치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외부로부터 전화가 걸려오면 PC는 명령상태 통신단자(32)를 통해 녹음스위치(11)의 상태를 감시한다. 사용자가 녹음스위치(11)를 눌러 ON상태가 감지되면 PC는 음성신호 접속단자(31)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음성처리보드로 디지탈 처리하여 하드 메모리상의 적절한 위치에 데이타 베이스로 목록화하여 저장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녹음스위치(11)를 OFF시키면 PC는 이를 감지하여 음성신호의 처리및 저장을 중단하게 된다.
PC내에 저장된 디지탈 신호는 사용자가 PC의 음성출력기능을 통해 재생할 수 있는 바, 필요에 따라서는 본 고안 음성정보 처리장치에 별도의 재생스위치등을 구비하여 재생할 수도 있다. 그러나 후자의 구성은 본 고안 장치를 불가피하게 복잡화하므로, 바람직하기로는 PC자체의 음성재생 기능을 이용하게 된다.
이상에서 녹음스위치(11)는 사용자가 조작하는 대신 송수화기(P)의 들음(OFF-HOOK)이나 전화 호출신호의 도래등으로 자동으로 ON/OFF되는 회로적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본 고안 장치는 전화녹음이나 재생, 자동응답이나 콜센터(call center)의 구성등 다양한 응용분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고안 장치는 전화선으로 전송된 음성신호를 변환없이 분리하여 PC로 전송하므로 사운드 카드의 종류에 무관하게 호환성을 발휘하며, 그 구성및 조작이 간단하여 매우 저렴한 전화음성처리장치의 제공이 가능하다.

Claims (1)

  1. 전화선과 PC간을 연결하는 전화음성 처리장치에 있어서,
    전화기 본체(M)와 송수화기(P)간을 접속하는 접속단자(21,22)들을 가지는 전화접속부(20)와,
    녹음스위치(11)와 음성검출및 송출부(12)를 가지는 제어부(10)와,
    상기 음성검출및 송출부(12)로부터의 음성신호를 PC로 전달하는 음성신호 입력단자(31)와 상기 녹음스위치(11)의 ON/OFF 상태를 상기 PC로 전달하는 명령상태 통신단자(32)를 가지는 PC 접속부(3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음성 처리장치.
KR2019990013502U 1999-07-09 1999-07-09 전화음성처리장치 KR2001644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3502U KR200164445Y1 (ko) 1999-07-09 1999-07-09 전화음성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3502U KR200164445Y1 (ko) 1999-07-09 1999-07-09 전화음성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4445Y1 true KR200164445Y1 (ko) 2000-02-15

Family

ID=19580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3502U KR200164445Y1 (ko) 1999-07-09 1999-07-09 전화음성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444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7303128A (ja) 電話制御装置
KR200164445Y1 (ko) 전화음성처리장치
KR100451609B1 (ko) 컴퓨터의 유에스비 포트를 이용한 전화통화 녹음 장치
JP2002033797A (ja) ハンズフリー携帯電話機とオーディオ装置の切替装置
KR200194000Y1 (ko) 통화 내용을 개인용 컴퓨터에 저장 또는 자동 응답하는기능을 갖춘 전화통화 음성 저장 장치
JPS6139756A (ja) 留守番電話システム
JPH10271204A (ja) 留守応答装置及び留守番機能付き電話機
US5953397A (en) Computer system with mode switching function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JP2818554B2 (ja) デジタルmca移動無線機
JP2603477B2 (ja) 電話機
JPH04132445A (ja) 通信端末機器のメッセージ録音再生回路
JP3093074B2 (ja) 留守番電話機
JP4227875B2 (ja) 通話録音用アダプタ装置
KR200193544Y1 (ko) 전화기와 헤드셋 부착이 가능하고, 사운드카드기능이내장된 컴퓨터용 전화기 카드
JP3306080B2 (ja) 留守番電話装置
JP2647647B2 (ja) 留守番電話装置
KR900005359B1 (ko) 음성합성칩을 이용한 룸모니터링 구현방식
JPH06296203A (ja) 電話装置
KR940007130Y1 (ko) 음성 제어 시스템의 음성 데이타 저장장치
KR19990017375A (ko) 전화기에서 통화중 음성녹음 서비스방법
JP5088072B2 (ja) 電話システム
KR960020210A (ko) 개인 정보 단말기의 통신 모듈 신호 스위칭 장치
JPH02181560A (ja) 留守番電話機
JPS62230145A (ja) 留守番電話装置
JPH07336431A (ja) 電話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02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