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3307Y1 - 전기청소기 - Google Patents

전기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3307Y1
KR200163307Y1 KR2019990012903U KR19990012903U KR200163307Y1 KR 200163307 Y1 KR200163307 Y1 KR 200163307Y1 KR 2019990012903 U KR2019990012903 U KR 2019990012903U KR 19990012903 U KR19990012903 U KR 19990012903U KR 200163307 Y1 KR200163307 Y1 KR 2001633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er
exhaust
intake
charger
electric bl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29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토도모노리
니시코리다마키
하야카와히로시
오하라나오유키
이토고이치
오다치도루
하야시세이조
Original Assignee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33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330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14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cleaning by blowing-off, also combined with suction clean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25Convertible suction cleaners, i.e. convertible between different types thereof, e.g. from upright suction cleaners to sledge-type suction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8Suction cleaners with handles and nozzles fixed on the casings, e.g. wheeled suction cleaners with steering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8Suction cleaners with handles and nozzles fixed on the casings, e.g. wheeled suction cleaners with steering handle
    • A47L5/30Suction cleaners with handles and nozzles fixed on the casings, e.g. wheeled suction cleaners with steering handle with driven dust-loosening tools, e.g. rotating 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072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8Nozzles with means adapted for blow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36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parts which are controlled
    • A47L9/2842Suction motors or blo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57User input or output elements for control, e.g. buttons, switches or display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57User input or output elements for control, e.g. buttons, switches or displays
    • A47L9/2863Control elements activated by pivoting movement of the upright vacuum cleaner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68Arrangements for power supply of vacuum cleaners or the accessories thereof
    • A47L9/2873Docking units or charging st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68Arrangements for power supply of vacuum cleaners or the accessories thereof
    • A47L9/2884Details of arrangements of batteries or their install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32Handles
    • A47L9/325Handles for wheeled suction cleaners with steering handl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5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concerning the insertion or the connection of the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5/00Brushing, scrubbing, and general cleaning
    • Y10S15/01Rechargeable bat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5/00Brushing, scrubbing, and general cleaning
    • Y10S15/10Handles, reels and switches

Abstract

본 고안은 흡입부(2) 내에 전동기(32)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브러시체(30)를 배치하고, 전동 송풍기(4)에 의해 흡입부(2)로부터 먼지를 흡인함과 동시에, 배기 통로(27)를 통과하여 흡입부(2) 측에 전동 송풍기(4)의 배기를 보내도록 구성하고, 전동 송풍기(4)의 배기를 브러시체(30)를 회전 구동하는 전동기(32)에 접촉하도록 하며, 배기풍을 바닥면에 분사하여 바닥면으로부터 먼지가 날려 올라가 집진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흡입부(2)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내장된 브러시체(30)를 구동하는 전동기(32)의 출력을 크게 하여도, 온도 상승을 저감할 수 있고,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전기 청소기{VACUUM CLEANER}
본 고안은 일반 가정에서 사용되는 전기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전기 청소기는 도 5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었다. 이하, 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동 송풍기(501)는 청소기 본체(502) 내에 배치되고, 이 청소기 본체(501)의 상방에 집진 주머니(503)를 내장하는 집진부(504)를 구비하며, 집진부(504)와 흡입부(505)는 호스(506)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도 54에 있어서,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동 송풍기(501)에 의해 먼지는 흡입부(505)의 저면부(507)로부터 공기와 함께 흡인되어, 호스(506)의 내부를 중력을 거슬러 나아가서 상승하고, 먼지는 집진 주머니(503)에 의해 여과되어, 집진 주머니(503)의 내부에 포획된다. 흡인된 공기는 집진 주머니(503)를 투과하여, 전동 송풍기(501)의 내부를 통과하여 배기구(508)로부터 외부로 방출된다.
또한, 충전 가능한 이차 전지를 내장하고, 스탠드를 겸용한 충전대를 갖는 전기 청소기는 도 5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청소기 본체(509)는 이차 전지 및 전동 송풍기(모두 도시하지 않음)를 수납하고, 이 청소기 본체(509)의 하부에 흡입구(510)가 경동(傾動)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충전대(511)는 청소기 본체(509)에 수납된 이차 전지를 충전하는 것으로, 이 충전대(511)는 흡입구(510)를 탑재하는 탑재부(512)와, 충전용의 전원 트랜스, 충전용 단자(모두 도시하지 않음)를 형성한 상자형상부(513)를 갖고 있다.
그리고, 흡입구(510)를 충전대(511)의 탑재부(512)에 탑재하면, 청소기 본체(509)에 형성된 단자와 충전대(511)의 단자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이차 전지에 충전이 실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5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차 전지를 내장한 청소기 본체(514)를 충전기(515)에 세트함으로써, 청소기 본체(514) 내의 전동 송풍기(516)에 접속되는 회로를 강제적으로 차단하고 충전 전용의 회로로 전환한다.
청소기 본체(514)를 충전기(515)에 세트하면, 충전 단자(517a)가 변형 단자(518a)에 접촉함과 동시에 변형시키고, 고정 단자(518c)로부터 변형 단자(518a)가 분리된다. 이 동작에 의해, 전동 송풍기(516)는 스위치(519)의 개폐에 관계없이 폐로로 되고, 충전 전용의 회로로 된다. 이것은 스위치(519)가 온(on)인 상태에서 충전을 하고자 한 경우, 전동 송풍기(516)에서의 소비 전력이 충전기(515)의 충전 능력을 상회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는 충전이 되지 않고, 사용하고자 했을 때에는 완전히 방전되어서 사용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 회로를 전환하므로써, 스위치(519)의 상태에 관계없이 확실히 충전할 수 있다.
그러나, 도 54에 도시된 종래의 전기 청소기는 전동 송풍기(501) 및 집진부(504)가 흡입부(505)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바닥면의 먼지를 집진부(504) 내의 집진 주머니(503)로 이동시킬 때, 중력을 거슬러 나아가서 상방으로 들어 올려야 하며, 또한 이동 거리도 길고, 큰 압력 손실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전동 송풍기(501)에는 충분한 흡인력이 요구된다. 그로 인해, 전동 송풍기(501)로서는 소비 전력이 큰 것을 사용하지 않으면 안되고, 예를 들어 전동 송풍기(501)의 전원으로서 전지를 이용할 경우에는, 전지의 용량, 크기 등의 관계로부터, 충분한 흡입력을 확보할 수 없었다.
그로 인해, 전동 송풍기(501)의 흡인력만을 사용하는 것은 아니고, 전동 송풍기(501)의 배기도 이용하여 집진 성능을 높이는 환류식 청소기도 고려하여, 적은 소비 전력으로 집진 성능을 높이는 것에 대응해야 한다. 이러한 환류식 청소기는 과거부터 수많이 제안되어 왔다. 그들 제안에는 환류식 청소기를 실용화함에 있어서 아직 문제점이 남아 있다.
또한, 청소기 본체(502)에 전동 송풍기(501)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청소기 본체(502)의 중량 및 부피가 커서, 사용중에 손잡이(118)에 인가되는 중량이 크고, 조작성도 좋지 않다고 하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또한, 청소기 본체(502)를 바닥면에 대하여 대략 수직 상태로 하여, 청소기 본체(502)를 후방으로 회동시키는 경우에는, 청소기 본체(502)의 후방에 장해물이 없기 때문에 용이하게 회동 가능하지만, 전방으로 회동시키는 경우에는, 청소기 본체(502)의 하부와, 흡입부(505)의 상부가 부딪혀서 청소기 본체(502)의 회동이 억제된다. 이로 인해, 손잡이(118)를 이용하여 청소기 본체(502)를 왕복시키는 거리가 제한되고, 또한 청소기 본체(502)를 1왕복시키는 바닥 면적도 제한되어, 왕복시키는 회수가 증가하고 바닥면 등을 청소하는 시간이 길어지기도 하였다.
또한, 전동 송풍기의 전원을 전지로 하는 전기 청소기에 대하여, 도 55에 도시된 구성은 이차 전지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대(511)가 방이나 복도 등의 코너에 놓여지는 경우가 많고, 또한 이들은 청소의 대상이 되는 장소의 일부이지만, 큰 충전대(511)는 그 부근을 청소할 때에 방해가 되었다.
또한, 전지를 가진 전기 청소기에 내장된 전지를 충전함에 있어서, 도 56에 도시된 구성은 충전 회로의 전환을 위한 단자 주변의 구성이 복잡해지고, 단자 수 및 결선 포인트가 많으므로, 충전 불량 및 동작 불량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었다.
본 고안은 배기풍을 바닥면에 분사하여 바닥면으로부터 먼지를 부양시켜서, 집진 효율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흡입부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내장한 먼지 긁어올림체를 구동하는 전동기의 온도 상승을 감소시켜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제 1 목적으로 한다.
또한, 손잡이를 이용하여 청소기 본체를 왕복시키는 거리가 길어지도록 하고,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하는 것을 제 2 목적으로 한다.
또한, 청소기 본체에 내장한 이차 전지를 충전하는 충전기를 소형화하고, 충전기 부근을 청소할 때, 충전기가 방해되지 않도록 하여,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재료 비용을 감소시켜 제품 가격을 저가로 하는 것을 제 3 목적으로 한다.
또한, 기구적으로 스위치가 오프되어 있을 때에만 청소기 본체와 충전기를 접속할 수 있도록 하고, 회로 구성을 간단하게 하여 저가이면서 확실히 충전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제 4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상기 제 1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흡입부 내에 전동기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먼지 긁어올림체를 배치하고, 전동 송풍기에 의해 흡입부로부터 먼지를 흡인함과 동시에, 배기 통로를 통과하여 흡입부측에 전동 송풍기의 배기를 보내도록 구성하고, 전동 송풍기의 배기가 먼지 긁어올림체를 회전 구동하는 전동기에 접촉되도록 구성한 것으로, 이에 의해 배기풍을 바닥면에 분사하여 바닥면으로부터 먼지를 부양시킴과 동시에, 먼지 긁어올림체의 회전에 의한 긁어올림과 배기풍의 분사와의 상승 작용에 의해서, 집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흡입부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내장한 먼지 긁어올림체를 구동하는 전동기의 온도 상승도 감소시킬 수 있어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전방에 먼지를 흡인하는 흡기구를 구비하고, 그 후방에 적어도 집진실 및 전동 송풍기 중 어느 한 개를 갖는 청소기 본체를 구비하며, 이 청소기 본체의 외주의 적어도 일부를 회동 또는 미끄럼 운동하는 핸들 아암체를 구비하도록 구성한 것으로, 청소시에, 핸들 아암체에 형성된 손잡이를 이용하여 청소기 본체를 왕복시킬 때, 왕복 이동 거리를 길게 할 수 있으므로, 왕복시키는 회수가 감소하여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3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이차 전지와 전동 송풍기를 수납한 청소기 본체에 형성한 충전용 단자 접속부에 충전기의 충전용 단자부를 접속하도록 구성하고, 충전기는 전원 트랜스를 수납하는 상자형상부를 구비하고, 이 상자형상부의 측벽으로부터 충전용 단자부를 돌출시킨 것으로, 이에 의해 이차 전지를 충전하는 충전기를 소형화할 수 있고, 충전기 부근을 청소할 때, 충전기가 방해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므로,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할 수 있음과 동시에, 재료 비용을 저감하여 제품 가격을 저가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4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이차 전지와 전동 송풍기를 수납한 청소기 본체의 이차 전지에 접속한 충전용 단자 접속부에, 충전기의 충전용 단자부를 접속하도록 구성하고, 청소기 본체에는 이차 전지와 전동 송풍기 사이에 접속한 스위치와 이 스위치의 조작부를 구비하고, 이 조작부에 대하여 결합부를 형성하며, 이 결합부를 충전기에 형성한 피결합부에 결합하여 충전기에 청소기 본체를 세트하도록 하고, 이 결합부는 조작부의 조작에 따라 이동하고, 스위치 온 상태의 조작부의 위치는 결합부가 피결합부에 결합하지 않도록 구성한 것으로, 이에 의해 기구적으로 스위치가 오프 상태로 되어 있을 때에만 청소기 본체와 충전기를 접속할 수 있고, 회로 구성을 단순하게 하여 저가이면서 확실히 충전할 수 있어서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의 전기 청소기의 측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의 전기 청소기의 정면도,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도 3의 b-b선 단면도,
도 5는 도 3의 c-c선 단면도,
도 6은 도 3의 d-d선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의 전기 청소기의 전기 회로도,
도 8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의 전기 청소기의 정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의 전기 청소기의 배기풍과 흡기풍 및 먼지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도 8의 e-e선 단면도,
도 11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의 전기 청소기의 흡입부 주변의 구성도,
도 12는 도 11의 f-f선 단면도,
도 13은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의 전기 청소기의 흡입부 주변의 구성도,
도 14는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의 전기 청소기의 풍량 조절 밸브를 폐쇄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5는 본 고안의 제 4 실시예의 전기 청소기의 흡입부 주변의 구성도,
도 16은 본 고안의 제 4 실시예의 전기 청소기의 다른 예의 흡입부 주변의 구성도,
도 17은 본 고안의 제 4 실시예의 전기 청소기의 다른 예의 흡입부 주변의 구성도,
도 18은 본 고안의 제 5 실시예의 전기 청소기의 측단면도,
도 19는 본 고안의 제 5 실시예의 전기 청소기의 단면도,
도 20은 본 고안의 제 5 실시예의 전기 청소기의 다른 예의 단면도,
도 21은 본 고안의 제 5 실시예의 전기 청소기의 흡입구의 조작 방향과 융단의 털의 기울어짐의 관계도,
도 22는 본 고안의 제 6 실시예의 전기 청소기의 흡입부 주변의 구성도,
도 23은 본 고안의 제 6 실시예의 전기 청소기의 다른 예의 흡입부 주변의 구성도,
도 24는 본 고안의 제 6 실시예의 전기 청소기의 다른 예의 흡입부 주변의 구성도,
도 25는 본 고안의 제 6 실시예의 전기 청소기의 다른 예의 흡입부 주변의 구성도,
도 26은 본 고안의 제 7 실시예의 전기 청소기의 흡입부 주변의 구성도,
도 27은 본 고안의 제 8 실시예의 전기 청소기의 측면도,
도 28은 본 고안의 제 8 실시예의 전기 청소기의 정면도,
도 29는 도 28의 g-g선 단면도,
도 30은 도 28의 h-h선 단면도,
도 31a는 본 고안의 제 8 실시예의 전기 청소기에 2개의 연장관을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31b는 본 고안의 제 8 실시예의 전기 청소기에 1개의 연장관을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31c는 본 고안의 제 8 실시예의 전기 청소기에 손잡이만을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32는 본 고안의 제 8 실시예의 전기 청소기의 다른 예의 일부 단면 측면도,
도 33은 본 고안의 제 8 실시예의 전기 청소기의 다른 예의 측면도,
도 34a는 본 고안의 제 9 실시예의 전기 청소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4b는 본 고안의 제 9 실시예의 전기 청소기의 다른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5는 본 고안의 제 9 실시예의 전기 청소기의 통상 사용시의 상태도,
도 36은 본 고안의 제 9 실시예의 전기 청소기의 수납 상태도,
도 37은 본 고안의 제 10 실시예의 전기 청소기의 부분 단면도(도 28의 i-i선 단면도),
도 38은 본 고안의 제 10 실시예의 전기 청소기의 주요부 단면도,
도 39는 본 고안의 제 10 실시예의 전기 청소기의 부분 확대 단면도,
도 40은 본 고안의 제 10 실시예의 전기 청소기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측 면도,
도 41은 본 고안의 제 10 실시예의 전기 청소기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42는 본 고안의 제 11 실시예의 전기 청소기의 주요부 단면도,
도 43은 본 고안의 제 12 실시예의 전기 청소기의 충전기로부터 청소기 본체를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
도 44a는 본 고안의 제 12 실시예의 전기 청소기의 청소기 본체의 측면도, 도 44b는 본 고안의 제 12 실시예의 전기 청소기의 청소기 본체의 상면도,
도 45a는 본 고안의 제 12 실시예의 전기 청소기의 충전기의 측면도, 도 45b는 본 고안의 제 12 실시예의 전기 청소기의 충전기의 상면도,
도 46a는 본 고안의 제 12 실시예의 전기 청소기의 청소기 본체와 충전기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46b는 본 고안의 제 12 실시예의 전기 청소기의 청소기 본체와 충전기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47은 본 고안의 제 13의 실시예의 전기 청소기의 충전기로부터 청소기 본체를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
도 48a는 본 고안의 제 13 실시예의 전기 청소기의 청소기 본체의 측면도, 도 48b는 본 고안의 제 13 실시예의 전기 청소기의 청소기 본체의 상면도,
도 49a는 도 48b의 j-j선 단면으로, 본 고안의 제 13 실시예의 전기 청소기의 스위치 장착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49b는 도 49a의 k-k선 단면도,
도 50a는 본 고안의 제 13 실시예의 전기 청소기의 충전기의 측면도, 도 50b는 본 고안의 제 13 실시예의 전기 청소기의 충전기의 상면도,
도 51a는 본 고안의 제 13 실시예의 전기 청소기의 청소기 본체와 충전기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51b는 본 고안의 제 13 실시예의 전기 청소기의 청소기 본체와 충전기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상면도,
도 52a는 도 51b의 l-l선 단면으로, 본 고안의 제 13 실시예의 전기 청소기의 청소기 본체와 충전기의 결합 직전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도 52b는 본 고안의 제 13 실시예의 전기 청소기의 청소기 본체와 충전기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도 53은 본 고안의 제 13 실시예의 전기 청소기의 회로도,
도 54는 종래의 전기 청소기의 일부 단면 측면도,
도 55는 종래의 전기 청소기의 다른 예의 사시도,
도 56은 종래의 전기 청소기의 다른 예의 회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흡입부 4 : 전동 송풍기
10 : 전지 30, 106 : 브러시체
103 : 먼지 104 : 전동 송풍기
109 : 배기풍 110 : 흡기풍
이하,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청소기 본체(1)는 앞측에 흡입부(2)를 구비하고, 후방에 집진부(3)와 전동 송풍기(4)를 구비한 본체부(5)를 갖고 있다. 핸들(6)은 손잡이(7)를 구비하고, 본체부(5)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축지부(8)에 장착되어 있다. 전지(10)는 전원용 1차 전지 또는 2차 전지로서, 본체부(5)와 흡입부(2) 사이에 배치되고, 열 수축 필름으로 일체화하여 설치되어 있다.
집진부(3)는 필터(11)를 내장하고, 본체부(5)의 장착부(12)에 끼워맞추며, 고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며, 대략 원통형의 구성으로 되어 있다. 집진부(3)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에 흡기 패킹(13)을 장착한 흡기구(14)를 형성하고, 흡입부(2)에 형성된 흡기부(15)와 연통하는 흡기 통로(16)의 단면에 압접되어 있다.
전동 송풍기(4)는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지지체(17)에 의해 유지되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 케이스(18)와 함께 본체부(5)에 나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또한, 핸들부(6)의 축지부(8)는 모터 케이스(18)의 외주를 베어링부로 하여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또한, 전동 송풍기(4)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류 퓨즈(19) 및 전원 스위치(20)를 거쳐서 전원용 전지(10)에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흡입부(2), 집진부(3), 전동 송풍기(4), 흡기 통로(16) 및 전지(10)는 청소기 본체(1) 내에서 서로 대략 평면상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흡입부(2)로부터 전동 송풍기(4)의 흡인 공기와 함께 흡인된 먼지는 흡기 통로(16)를 통과하여 집진부(3)에 운반되고 필터(11)에 의해 포획된다. 이 때, 집진부(3), 전동 송풍기(4)는 흡입부(2)와 대략 평면상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먼지는 바닥면 근방의 거의 수평면상을 이동하는 것만으로도 무방하고, 상방으로 들어올릴 필요가 없기 때문에, 작은 에너지로 비교적 질량이 큰 먼지를 포획할 수 있어, 전지(10) 및 전동 송풍기(4)를 소형, 경량으로 할 수 있다. 또한, 구성 부품을 모두 청소기 본체(1) 내에 수납하고, 핸들부(6)는 단독으로 청소기 본체(1)와 회동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시에 청소기 본체(1)의 중량은 손잡이(7)에 작용하지 않고, 청소중의 부하를 가볍게 할 수 있다.
다음에,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부(2)의 후방에 형성한 본체부(5)에 구성된 집진부(3) 및 전동 송풍기(4)는 각각의 축선(H-H)을 흡입부(2)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하고, 또한 본체부(5)의 폭 치수(L)는 흡입부(2)의 폭 치수(W)보다 작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본체부(5)의 집진부(3) 및 전동 송풍기(4)는 각각의 축선을 흡입부(2)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전후 방향의 치수를 작고 콤팩트하게 할 수 있다. 스탠드 수납시의 벽 사이에 놓아 두었을 때의 돌출이 적어, 수납성을 우수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체부(5)의 폭 치수(L)를 흡입부(2)의 폭 치수(W)보다 작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청소중에 본체부(5)의 측면이 흡입부(2)로부터 먼저 가구 등에 부딪히는 경우가 없고, 흡입부(2)의 폭 전역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먼지를 포획할 수 있기 때문에, 청소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다음에, 도 3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주행 롤러(21)는 본체부(5)의 하면에 형성되고, 전지(10)는 이 제 1 주행 롤러(21)와 흡입부(2)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덮개(22)를 착탈시킴에 의해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5에 있어서, 흡입부(2)와 본체부(5)는 상면을 쌍방에 거의 접하는 경사 평면(23)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전지(10)의 중량은 제 1 주행 롤러(21)를 중심으로 흡입부(2)를 바닥면에 가압하는 방향에 작용하여, 흡입부(2)와 바닥면과의 간극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고, 집진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경사 평면(23)에 의해서 청소중에 가구 등의 하방에 원활하게 삽입할 수 있고, 걸림을 적게 할 수 있으므로, 사용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도 3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부(2)에는 한쪽 단부에 형성된 흡기부(15)와 반대측 단부에 배기부(24)를 구성하고, 모터 케이스(18)의 배기구(25)로부터 본체부(5)의 배출부(26)를 통과하여 배기부(24)에 연통하는 배기 통로(27)를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흡입부(2) 내에는 털 브러시 또는 고무 블레이드 등으로 이루어지는 립(lip)체(28)를 축체(29)에 장착한 브러시체(30)를 베어링(31)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장착하고, 전동기(32)에 의해 벨트체(33)를 거쳐서 회전 구동할 수 있도록 한다. 브러시체(30)는 먼지 긁어올림체를 구성한다. 또한, 립체(28)는 수세 가능한 털 또는 고무 재료로 구성되어 있고, 축체(29)는 마찬가지로 수세 가능한 합성 수지 재료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부 커버(34)를 청소기 본체(1)로부터 분리시킴에 의해, 베어링(31)과 함께 착탈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있다. 그리고, 전동기(32)의 외주의 일부를 배기 통로(27)를 향하게 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동기(32)도 전지(10)에 병렬로 전기 접속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전동 송풍기(4)로부터의 배기는 배기구(25), 배출부(26)로부터 배기 통로(27)를 통하여 배기부(24)로부터 바닥면에 방출되어 바닥면의 먼지를 부양시킴과 동시에, 배기부(24)로부터 흡입부(2) 안을 통과하여 흡기부(15)에 흘르게 하는 순환류를 형성하고, 집진부(3)에의 먼지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여, 집진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브러시체(30)의 회전에 의한 긁어올림과 순환류의 상승 작용에 의해서, 브러시체(30)의 회전에 의한 긁어올림의 경우, 및 브러시체(30)가 없고 순환류에 의해서만의 경우와 비교해서, 집진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브러시체(30)를 수세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항상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배기 순환류에서 브러시체(30)를 빠르고 완전히 건조시킬 수 있고, 위생적인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전동기(32)에 배기가 접촉하므로써, 전동기(32)의 출력을 크게 하더라도, 코일부 및 슬라이딩 브러시의 온도 상승을 억제할 수 있어, 내구성을 향상할 수 있다.
다음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부(2)의 후방 하면에는 흡입부(2)의 대략 전체 폭 영역에 걸쳐, 브러시체(30)의 외주 후단으로부터 앞측으로 돌출시켜 구성한 스크래치부(35)를 형성하고, 이 스크래치부(35)의 후방에 평면부를 구비하고, 먼지를 일시 유지할 수 있는 유지부(37)를 형성한다. 또한,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5)의 하면에 제 1 주행 롤러(21)를 형성함과 동시에, 흡입부(2)의 후방 양측에 제 2 주행 롤러(36)를 배치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스크래치부(35)를 형성함으로써, 브러시체(30)의 회전에 의해 긁어모아진 먼지를 유지부(37)에 떠내는 쓰레받이부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먼지를 집진부(3)에 이송하기 쉽게 되어, 집진 효율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제 2 주행 롤러(36)에 의해, 흡입부(2)의 전단을 바닥면에 대하여 부양시킬 수 있고, 흡입부(2)의 앞측 하단(E)은 전역에 걸쳐 바닥면과의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고, 흡입부(2)의 전역으로부터의 먼지의 흡진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또한 융단상에서의 걸림 등의 조작 저항을 경감할 수 있으므로, 집진 효율이 높고, 사용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다.
다음에,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대하여, 도 8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청소기 본체(101)는 내부에 먼지를 축적하는 집진실(102)을 갖고, 이 집진실(102)에 집진 필터(113)와 흡인 팬(112)을 구비하는 전동 송풍기(104)를 설치한다. 브러시체(106)는 먼지를 바닥면으로부터 긁어모으고, 베어링(116)에 의해 축지되며, 전동기(105)에 의해 벨트(114) 및 풀리(115)를 거쳐서 구동된다. 전지(118)는 전동 송풍기(104) 및 전동기(105) 등을 구동한다.
흡입부(117)로부터 집진실(102)에 연통되는 흡기부(108)와, 전동 송풍기(104)로부터의 배기를 흡입부(117)에 방출하는 배기부(107)를 형성하고, 배기부(107)로부터 흡기부(108)로 순환하는 기류가 발생하는 구성으로 하고, 전동 송풍기(104)로부터 방출되는 배기풍(109)의 일부를 흡입부(117)의 배기부(107)로 순환시켜, 배기풍의 일부를 흡입부(117) 이외로 방출하며, 배기부(107)로부터 흡기부(108)로 순환하는 흡기풍(110)의 풍량을 전동 송풍기(104)로부터의 총 배기량의 50∼95%로 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전동 송풍기(104)가 구동되면, 집진실(102)의 내부를 부압 상태로 한다. 전동 송풍기(104)로부터 방출되는 배기풍(109)은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는 전동 송풍기(104)의 후방으로부터 흡입부(117)로 연통하는 배기부(107)로부터 바닥면으로 분출되고, 나머지는 흡입부(117)와 외부를 연통하는 배기구(120)로부터 외부로 방출된다. 이에 의해, 바닥면상의 먼지(103)가 흡입부(117)에 불어 날려져서, 바닥면으로부터 유리된다. 또한, 흡입부(117)에는 양단을 베어링(116)에 의해 청소기 본체(101)와 회전가능하게 구성된 브러시체(106)를 형성하고, 이 브러시체(106)는 풀리(115)와 벨트(114)에 의해서 전동기(105)로부터의 동력을 전달하여 회전한다. 이 브러시체(106)가 회전함으로써, 융단 등의 바닥면의 털속에 잠겨 있는 먼지를 긁어낸다. 브러시체(106) 및 배기풍(109)에 의해 바닥면으로부터 유리된 먼지(103)는 배기부(107)로부터 흡기부(108)로 순환하는 기류에 실려, 흡기부(108)로부터 집진실(102)의 내부로 운반되어, 집진 필터(113)에 의해 집진실(102)의 내부에 축적된다. 그것에 의해, 전동 송풍기(104)의 흡인력이 약하더라도, 배기풍(109)을 바닥면에 분사함으로써, 바닥면으로부터 먼지(103)를 부양시켜서, 집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바닥면에 분출되는 배기풍(109)의 풍량, 풍속이 지나치게 크기 때문에 발생하는 먼지(103)의 흡입부(117)에의 비산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전동 송풍기(104)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흡입부(117) 이외로 방출하는 배기와 동시에 외부에 방열 가능하기 때문에, 전기 청소기의 온도 상승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배기의 일부를 외부에 방출하고, 전부를 흡기부(108)에 순환시키지 않기 때문에, 전동 송풍기(104) 등의 온도 상승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져,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부가하여, 털이 긴 융단 등의 바닥면에서는, 브러시체(106)가 바닥면을 긁어올림으로서, 털속까지 배기풍(109)이 도달하여, 바닥면 깊숙한 부분의 먼지를 뿜어들일 수 있다.
다음에,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대하여,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풍량 조절 밸브(119)는 배기부(107)로부터 흡입부(117)에 순환하는 풍량, 또는 배기구(120)에 방출하는 풍량, 또는 그 양자를 각각 조정 가능하게 하고 있다. 다른 구성은 상기 제 2 실시예와 동일하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풍량 조절 밸브(119)는 회전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배기부(107)로부터 바닥면에 분출되는 배기풍(109)의 풍량 또는 배기구(120)에 방출되는 풍량, 또는 그 양자를 바닥면의 종류 및 집진실 내의 먼지량 등에 의해 적절하게 조정된다. 이에 의해, 바닥면에 분출되는 배기풍(9)의 풍량 및 풍속이 지나치게 크기 때문에 발생하는 먼지의 흡입부(117)의 외부에의 비산을 억제하면서, 바닥면의 종류, 또는 집진실 내의 먼지의 양에 의해, 바닥면의 먼지를 가장 효율적으로 집진할 수 있다.
다음에, 본 고안의 제 4 실시예에 대하여, 도 15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부(117)의 한쪽 단부에 흡기부(108)를 형성함과 동시에, 이에 대향하는 다른 한쪽 단부에 배기부(107)를 형성하며, 배기부(107)로부터 방출된 배기풍(109)이 흡입부(117)의 길이 방향으로 바닥면과 거의 평행하게 통과하여, 흡기부(108)에 순환하는 기류가 발생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상기 제 2 실시예와 동일하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배기부(107)로부터 흡기부(108)로 순환하는 기류가 흡입부(117)의 길이 방향으로 바닥면과 거의 평행하게 발생하기 때문에, 먼지 및 공기는 바닥면 근방의 거의 수평면상을 이동하게 되고, 중력에 의한 방해를 받기 어렵게 된다. 또한, 배기풍(109)을 바닥면에 분사함으로써, 바닥면으로부터 먼지를 부양시켜, 집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배기부(107)로부터 흡기부(108)로 순환하는 기류가 흡입부(117)의 개구 하부의 바닥면 전체를 구석구석까지 통과하기 때문에, 배기풍(109)이 흡기부(108)로 가장 긴 거리를 원활하게 흐르도록 되어, 바닥면이 광범위하게 집진 효과를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배기풍(109)은 흡기부(108)로 순환하여, 흡입부(117)의 외부에 배기가 새지 않도록 하기 때문에, 흡입부(117)의 하부의 먼지가 흡입부(117)의 외부에 비산하지 않고,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부(117)의 좌우 양단에 배기부(107)를 형성하고, 이들 배기부(107)의 중간에 흡기부(108)를 형성하므로써, 2개의 배기부(107)로부터 바닥면에 분출된 배기풍(109)은 모두 내측의 흡기부(108)로 순환하고, 배기부(107)와 흡기부(108)의 거리가 작아지며, 먼지의 이동 거리가 줄어들기 때문에 집진 성능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배기풍(109)이 흡입부(117)로부터 흡입부(117) 외부로 새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흡입부(117)의 하부의 먼지가 흡입부(117) 외부로 비산하지 않고,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부(117)의 좌우 양단에 흡기부(108)를 형성하고, 이들 흡기부(108)의 중간에 배기부(107)를 형성하므로써, 흡입부(117) 중앙의 배기부(107)로부터 바닥면에 분출된 배기풍(109)은 2분되고, 각각 흡입부(117) 양단의 흡기부(108)로 순환한다. 이에 의해, 흡입부(117)의 중앙부 부근에서의 집진 능력을 향상할 수 있고, 바닥면상의 먼지를 목표로 하여 전기 청소기를 조작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다음에, 본 고안의 제 5 실시예에 대하여,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부(107)는 흡입부(117)의 전방에서, 흡입부(117)의 대략 전폭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흡기부(108)는 흡입부(117)의 후방에 형성되어 있고, 배기풍(109)은 배기부(107)로부터, 흡입부(117)의 전방으로부터 폭 방향으로 확산되어 바닥면으로 분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상기 제 2 실시예와 동일하고, 동일한 구성은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배기풍(109)에 의해, 흡입부(117)의 폭 방향 전체의 바닥면상의 먼지가 남김없이 불어 날려져서, 바닥면으로부터 유리된다. 이에 의해, 배기풍(109)에 의한 먼지 불어날림 효과가 광범위하게 발생하여, 광범위한 바닥면을 얼룩없이 집진할 수 있다.
또한,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부(107)를 흡입부(117)의 후방에서, 흡입부(117)의 대략 전폭에 걸쳐 형성하고, 흡기부(108)를 흡입부(117)의 전방에 형성하며, 배기풍(109)은 배기부(107)로부터, 흡입부(117)의 후방으로부터 폭 방향으로 확산되어 바닥면으로 분출되도록 구성하므로써, 배기풍(109)에 의해 흡입부(117)의 폭 방향 전체의 바닥면상의 먼지가 구석구석까지 불어 날려져서, 바닥면으로부터 유리된다.
이 때,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 청소기 조작시에 흡입부(117)가 진행함에 의한 융단 등의 털이 처짐 방향과, 배기풍(109)의 분사 방향이 동일하게 되고, 융단 등의 털속까지 배기풍(109)이 분사된다. 이에 의해, 배기풍(109)에 의한 먼지 불어날림 효과가 광범위하게 발생하여, 광범위한 바닥면을 얼룩없이 집진할 수 있음과 동시에, 집진 능력을 향상할 수 있다.
다음에, 본 고안의 제 6 실시예에 대하여, 도 2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부(107)는 개구 면적을 흡기부(108)의 개구 면적보다 좁게 설정하고, 배기부(107)로부터 방출되는 배기풍(109)의 풍속을 흡기부(108)에 흡인되는 흡기풍(110)의 풍속보다 고속으로 되도록 한다. 다른 구성은 상기 제 2 실시예와 동일하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배기부(107)의 개구 면적을 좁게 함으로써, 배기풍(109)의 풍속을 증가시키고, 바닥면으로 분출됨에 의해, 배기풍(109)을 바닥면으로 강력히 분사할 수 있고, 털이 긴 융단 등의 바닥면의 깊숙한 부분에 잠겨 있는 먼지 등을 바닥면으로부터 부양시켜, 집진 효율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부(107)의 개구 면적을 흡기부(108)의 개구 면적보다 넓게 설정하고, 배기부(107)로부터 방출되는 배기풍(109)의 풍속을 흡기부(108)에 흡인되는 흡기풍(110)의 풍속보다 저속으로 되도록 함에 의해, 바닥면에 분출되는 배기풍(109)의 풍속이 지나치게 높기 때문에 발생하는 먼지의 흡입부(117) 외부로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배기부(107)로부터 방출되는 배기풍(109)의 풍속을 흡기부(108)에 흡인되는 흡기풍(110)의 풍속과 거의 동일하게 함으로써, 배기풍(109)을 바닥면에 분사하여 바닥면으로부터 먼지를 부양시켜서, 집진 효율을 향상할 수 있음과 동시에, 배기부(107)로부터 흡기부(108)로 발생하는 기류의 풍속이 안정적으로 되고, 바닥면으로부터 유리된 먼지를 원활하게 흡기부(108)로부터 집진할 수 있다.
또한,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부(107) 및 흡기부(108) 근방에 풍량 조절 밸브(119)를 좌우에 슬라이드가능하게 형성하고, 배기부(107) 및 흡기부(108)의 개구 면적을 자유롭게 조정하며, 배기부(107)로부터 방출되는 배기풍(109)의 풍속 또는 흡기부(108)에 흡인되는 흡기풍(110)의 풍속 또는 그 양자를 자유롭게 조정하므로써, 예를 들어 융단 등의 바닥면에서는, 배기부(107) 측의 풍량 조절 밸브(119)를 폐쇄하고, 흡기부(108) 측의 풍량 조절 밸브(119)를 개방함으로써, 배기풍(109)의 풍속을 증대시켜서, 털속의 먼지를 부양시켜, 집진 성능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나무 바닥 등에서는 반대로 배기부(107) 측의 풍량 조절 밸브(119)를 개방하고, 흡기부(108) 측의 풍량 조절 밸브(119)를 폐쇄함으로써, 바닥면상의 먼지가 주위에 비산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부(107)와 흡기부(108) 근방에, 배기풍(109)과 흡기풍(110)을 원활하게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벽(111)을 형성하므로써, 배기부(107) 부근에 형성된 가이드 벽(111)에 의해 배기풍(109)을 흡기부(108)를 향하는 방향으로 가이드하고, 흡기부(108) 부근에 형성된 가이드 벽(111)에 의해 흡기풍(110)을 흡기부(108)를 향하는 방향으로 가이드할 수 있으며, 배기풍(109)이 흡기부(108)로 원활하게 흐르도록 하여, 흡입부(117) 내의 기류가 안정되고, 배기풍(109)에 의해 바닥면으로부터 유리된 먼지를 원활하게 흡기부(108)로부터 집진할 수 있다.
다음에, 본 고안의 제 7 실시예에 대하여, 도 26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러시체(106)를 회전가능하게 또는 진동가능하게 구성하고, 이 브러시체(106)에 띠형상의 먼지 긁어올림부(106a)를 나선 형상으로 장착하며, 브러시체(106)를 회전시킴으로써 발생하는 띠형상의 먼지 긁어올림부(106a)의 비틀림을 따라 흐르는 기류와, 배기부(107)로부터 흡기부(108)로 흐르는 기류의 방향을 일치시킨다. 다른 구성은 상기 제 2 실시예와 동일하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배기부(107)로부터의 배기풍(109)에 의해 부양된 바닥면의 먼지는 브러시체(106)가 회전함으로써 발생하는 띠형상의 먼지 긁어올림부(106a)의 비틀림을 따라 흐르는 기류의 진행 방향에 맞추어 흡기부(108)로 진행하기 때문에, 띠형상의 먼지 긁어올림부(106a)에 먼지가 충돌함으로써 먼지의 흐름이 방해되는 일이 없이, 흡기부(108)로 운반된다. 이에 의해, 흡입부(117) 내의 기류와 먼지의 흐름이 원활하게 되어, 집진 성능을 향상할 수 있다.
다음에, 본 고안의 제 8 실시예에 대하여, 도 27 내지 도 31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27 내지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청소기 본체(215)는 내부에 단부로부터, 집진실(216), 집진 필터(217), 전동 송풍기(218)가 길이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되고,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청소기 본체(215)의 전방에는 먼지를 흡인하는 흡기구(219)를 형성하고, 먼지는 흡기구(219)로부터 흡인되어, 집진실(216)의 내부에 포획된다. 또한, 집진실(216) 내부로부터 배출되는 배기는 전동 송풍기(218)의 후방으로부터 외기에 배출, 또는 흡기구(219)에 배출한다. 전동기(220)는 흡기구(219) 근방에 형성된 브러시체(221)를 벨트(222)를 거쳐서 회전시킨다.
청소기 본체(215)의 한쪽 단부에는 집진실 덮개(223)를 형성하고, 다른쪽 단부에는 청소기 본체(215)의 외곽을 형성하는 상부 외곽(224)을 형성한다.
대략 원통형의 청소기 본체(215)의 외주(225)에는 청소기 본체(215)의 대략 중심을 회동 중심(226)으로 하여, 청소기 본체(215)의 외주(225)를 회동하는 대략 원통형의 핸들 아암체(227)를 형성한다. 핸들 아암체(227)는 흡기구(219)를 바닥면 등에 항상 대략 평행하게 접촉하도록, 청소기 본체(215)의 흡기구(219)를 회동시킨다. 또한, 핸들 아암체(227)의 외경은 청소기 본체(215)의 외주(225)와 대략 동등한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고, 핸들 아암체(227)의 외주로부터는 막대 형상의 돌출부(228)를 배치하며, 돌출부(228)의 단부에 파이프 등으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연장관(229)을 삽입하고, 이 연장관(229)의 선단에는 청소기 본체(215)를 조작할 때의 그립성(grip)을 가진 손잡이(230)를 형성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대략 원통형의 핸들 아암체(227)는 대략 원통형의 청소기 본체(215)의 외주(25)와 동등한 형상으로부터, 디자인적으로 요철을 제거할 수 있으므로,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회동하는 핸들 아암체(227)의 외경은 청소기 본체(215)의 외주(25)와 동등한 직경의 크기이기 때문에, 큰 충격이 핸들 아암체(227)에 부가되어도 깨어지기 어렵게 할 수 있어, 강도를 향상할 수 있다.
그리고, 청소할 때에, 핸들 아암체(227)에 형성된 손잡이(230)를 이용하여 청소기 본체(215)를 왕복시킬 때, 왕복 이동 거리를 길게 할 수 있어, 왕복시키는 회수가 감소하여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 아암체(227)를 청소기 본체(215)의 길이 방향으로 대략 중앙에 위치시키고, 핸들 아암체(227)의 내측에, 전동 송풍기(218)를 배치한다. 이 구성에 의해, 핸들 아암체(227)로부터의 막대 형상의 돌출부(228) 등을 갖고 운반할 때, 핸들 아암체(227)는 청소기 본체(215)의 대략 중앙에 위치되어 있기 때문에, 청소기 본체(215)의 중량 밸런스가 양호하게 되어, 운반이 하기 쉽다.
또한, 청소기 본체(215) 내의, 집진실(216), 전동 송풍기(218)의 배치에 쓸데 없는 공간이 필요로 되지 않고, 청소기 본체(215)의 전체를 소형 경량으로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 29 및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동 송풍기(218)의 외주를 피복하는 커버(231) 외주를 지지축(232)으로 하고, 핸들 아암체(227)를 지지축(232)상에서 미끄럼운동시킨다. 또한 커버(231)는 일부를 청소기 본체(215)의 외곽을 형성하고, 커버(231)의 양단에 배치된 집진실 덮개(223)와 상부 외곽(224)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핸들 아암체(227)의 회동 구성은 핸들 아암체(227)와 커버(231)의 2부품으로 구성할 수 있어, 복잡한 부품을 사용하는 일 없이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27 및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 아암체(227)로부터의 막대 형상의 돌출부(228), 파이프 등으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연장관(229) 및 그립성을 가진 손잡이(30)의 선단에는 수나사 또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고, 각각 착탈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사용 편리한 높이에 따라, 연장관(229)의 사용 수를 바꾸고, 손잡이(230)의 근접 높이를 조정할 수 있어,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각 연장관(229) 및 손잡이(230)를 분리하므로써, 작은 수납 공간에도 수납 가능해진다.
또한,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막대 형상의 돌출부(228)와, 그립성을 가진 손잡이(230)를 나사 등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구성하므로써, 그립성을 가진 손잡이(230)를 돌출부(228)에 접속하고, 손잡이(230)를 이용하여 청소를 하면, 핸디 타입(handy type)의 청소기로서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손잡이(230)는 그립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위화감없이 조작할 수 있다.
또한,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막대 형상의 돌출부(228)를 제 2 손잡이로 사용하므로써, 빗자루 형태 전기 청소기로부터 확실히 핸디 타입의 청소기로서 사용할 수 있고, 청소 용도가 넓어져서,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할 수 있다.
다음에, 본 고안의 제 9 실시예에 대하여, 도 34 및 도 35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원통형의 핸들 아암체(227)는 대략 원통형의 청소기 본체(215)의 외주(225)와 동일 궤적을 회동하도록 구성하고, 핸들 아암체(227)는 청소기 본체(215)의 전후 방향으로 크게 회동하며, 이 핸들 아암체(227)의 회동은 막대 형상의 돌출부(228)가 장해물에 부딪힐 때까지 가능해지기 때문에, 청소기 본체(215)의 전후 방향에 바닥면에 대하여 약 90°회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상기 실시예 8과 동일하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좁은 테이블의 밑 등을 청소할 때, 연장관(229)의 길이(La)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고, 구석까지 청소가능하게 된다. 또한, 청소기 본체(215)의 전방, 후방과 어느쪽으로부터도 사용자의 사용의 편리에 따라 청소 가능해진다.
또한,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청소기 본체의 회동 방향은 후방 회동이 주류(主流)이기 때문에, 청소기 본체의 이동 거리는 사용자의 손의 길이와, 청소기 본체의 이동 거리(L1)의 합이었지만, 청소기 본체(215)의 회동을 전방 방향에도 크게 회동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였기 때문에, 거리(L2)까지 청소기 본체(215)의 이동이 가능해지고, 청소기 본체(215)를 1 왕복시키는 청소 바닥 면적이 커져서, 청소기 본체(215)를 왕복시키는 회수가 줄어들기 때문에,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청소기 본체(215)의 하방 후방에 볼록부(233)를 형성하고, 청소기 본체(215)를 바닥면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넘어뜨렸을 때, 볼록부(233)와 청소기 본체(215)의 외주(225)가 바닥면에 접하고, 힐 레스트(233a)로서의 기능을 갖게 하므로써, 청소기 본체(215)를 수직 방향으로 넘어뜨려서, 스탠딩 상태로 할 수 있고, 청소기 본체(215)를 좁은 장소에 수납할 때, 청소기 본체(215)를 바닥면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넘어뜨리고, 또한 핸들 아암체(227)를 청소기 본체(215)의 전방 방향에 회동시킴에 의해, 수납 공간의 안쪽길이 치수(L3)를 짧게할 수 있어, 수납성을 향상할 수 있다.
다음에, 본 고안의 제 10 실시예에 대하여, 도 37 내지 도 40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37 및 도 3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 아암체(227)의 내측에 리브(234)에 의해 고정 장착한 판형상의 스프링(235)을 형성하고, 이 스프링(235)의 대략 중앙은 도 3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 중심(226)을 향하여 대략 원호상(236)으로 돌출시킨다.
스프링(235)의 대략 원호상(236)에 대향하여, 커버(231)에 오목부(237)를 형성한 보스(238)를 복수개 배치한다. 스프링(235)은 핸들 아암체(227)가 회동하는 위치에 따라서, 오목부(237)에 끼워맞춤하여 결합되어 있다.
스프링(235)의 대략 원호상(236)이 오목부(237)에 끼워맞춤되고, 결합시킨 스프링 힘은 막대 형상의 돌출부(228) 등을 이용하여, 청소기 본체(215)를 공중 부양시켰을 때, 흡기구(219)를 구성하는 각 부품의 중량에 의해 흡기구(219)가 자연스럽게 회동하는 힘을 F라고 하고, 또한 손잡이(230)를 이용하여 핸들 아암체(227)를 청소기 본체(215)에 회동시키는 힘을 F1이라고 하였을 때, 스프링 힘은 F≤F1로 되도록 설정한다. 또한, 스프링(235)의 대략 원호상(236)이 각 오목부(237)에 끼워맞춤되고, 결합시키는 스프링 힘은 F보다 약간 크게 설정한다. 다른 구성은 상기 실시예 8과 동일하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손잡이(230)를 이용하여 청소기 본체(215)를 공중에 부양시켰을 때에는 스프링(235)은 복수개의 오목부(237)중 어느 한 개에 가압되고, 핸들 아암체(227)의 회동을 억제하며, 손잡이(230)를 이용하여 청소기 본체(215)를 운반할 때, 핸들 아암체(227)가 용이하게 회동하지 않고서, 청소기 본체(215)의 결합 상태가 유지되어, 운반에 위화감없이 운반할 수 있다.
또한, 청소 상태로 하고자 할 때, 핸들 아암체(227)를 청소기 본체(215)의 후방으로 회동시키면, 흡기구(219)는 핸들 아암체(227)에 추종하지 않고서 원활하게 청소 상태로 이행할 수 있다.
또한, 도 37 및 도 3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 아암체(227)로부터의 막대 형상의 돌출부(228)가 바닥면에 대하여 대략 수직의 위치에서, 청소기 본체(215)의 대략 중심선상(239)에, 스프링(235)의 대략 원호상(236)을 배치하고, 또한 커버(231)에 형성한 복수개중 1개의 오목부(237)를 배치한다. 오목부(237)를 형성한 보스(238)의 양단에는 돌출대(240)를 형성한다. 돌출대(240)의 청소기 본체(215)의 전방측을 제 1 돌출대(241)로 하고, 반대로 청소기 본체(15)의 후방측을 제 2 돌출대(242)로 하였을 때, 전방측의 제 1 돌출대(241)는 후방측의 제 2 돌출대(242)에 비해서 약간 외측으로 크게 돌출되어 있다.
이 구성으로부터 핸들 아암체(227)를 회동시키면, 핸들 아암체(227)와 연동하여 이루어지는 스프링(235)의 대략 원호상(236)은 돌출대(240)에 탑재된다. 여기서, 전방측의 제 1 돌출대(241)는 후방측의 제 2 돌출대(242)에 비해서, 약간 외측으로 크게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스프링(235)의 대략 원호상(236)이 돌출대(240)에 탑재되는 힘이 커지게 되는 점으로부터, 도 4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230)에 의해 핸들 아암체(227)를 청소기 본체(215)의 후방에 회동시키는 힘(F2)은 전방으로 회동시키는 힘(F3)보다 작아진다.
따라서, 연장관(229) 및 손잡이(230)를 바닥면에 대하여 수직 상태로 한 통상의 청소기 본체(215)의 수납시 또는 보관시에, 스탠딩 상태에서의 방치성이 향상되고, 연장관(229) 및 손잡이(230)가 용이하게 기울어져서 넘어지지 않게 된다.
또한, 손잡이(230)를 이용하여, 핸들 아암체(227)를 회동시키는 동작은 실제로 청소를 할 때에는 청소기 본체(215)의 후방에 회동하는 것이 많기 때문에, 핸들 아암체(227)의 회동력이 바닥면에 대하여 수직 상태의 위치에서 변화하더라도, 조작상 손잡이(230)를 바닥면에 대하여 수직 상태로 하여 조작하는 것은 적고, 조작상 문제없이 사용할 수 있다.
다음에, 본 고안의 제 11 실시예에 대하여, 도 4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4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미트 스위치(243)는 전동 송풍기(218)에의 통전 회로를 들어가서 절단하고, 커버(231)에 볼록 리브(244)에 의해 고정 장착되어 있다. 또한, 핸들 아암체(227)의 내측에는 핸들 아암체(227)의 회동시에 리미트 스위치(243)의 접점부(245)를 누르는 접점 리브(246)를 형성한다. 다른 구성은 상기 실시예 8과 동일하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핸들 아암체(227)를 회동시킴에 의해, 접점 리브(246)는 리미트 스위치(243)의 접점부(245)를 동작시키기 때문에, 핸들 아암체(227)를 회동시킴으로써, 기동 및 정지를 하는 스위치를 조작하지 않고서, 곧바로 청소 상태로 되어,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할 수 있다.
다음에, 본 고안의 제 12 실시예에 대하여, 도 43 내지 도 46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 청소기 본체(301)는 상부에 조작용의 핸들(302)을 경동가능하게 형성한다. 청소기 본체(301)의 내부에는 이차 전지(303)와, 이에 의해 구동되는 전동 송풍기(304)를 탑재한다. 즉, 청소기 본체(301)의 후방에 전동 송풍기(304)를 배치하고, 이 전동 송풍기(304)의 흡인측에 집진부(301b)를 형성한다. 또한, 청소기 본체(301)의 전방에는 먼지를 흡입하는 흡입부(301a)를 형성하고, 이 흡입부(301a)와 집진부(301b)는 연통로를 거쳐서 접속되어 있다. 흡입부(301a)의 상부에 이차 전지(3)를 배치한다.
또한, 청소기 본체(301)의 후방 하면에는 충전용 단자 접속부(305)와, 구멍부(306)를 형성한다. 단자 접속부(305)는 청소기 본체(301)의 중심부로부터 분리된 전동 송풍기(4)의 후부의 전동기(304a)의 외주부의 공간에 배치한다. 단자 접속부(305)는 하면으로부터 전동 송풍기(304), 전동기(304a)의 외주측 공간내에 들어가는 오목부 형상을 하고 있고, 이 오목부의 내벽에 단자(305a)를 장착한다. 청소기 본체(301)의 후단부에는 주행용 후부 롤러(316)를 청소기 본체(301)의 하면 및 후면으로부터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한다.
충전기(307)는 상자형상부(308)와 충전용 단자부(309)로 구성되고, 충전용 단자부(309)는 상자형상부(308)의 앞부분에 형성되고 청소기 본체(301)의 단자 접속부(305)의 오목부내에 삽입된다. 상자형상부(308) 내의 단자부(309) 근방에 충전용 전원 트랜스(310)를 수납한다.
또한, 상자형상부(308)의 전면 하단에 전방으로 연장하는 판형상부(탑재부에 상당)(311)를 형성하고, 또한 그 판형상부(311)에 청소기 본체(301)의 구멍부(306)에 삽입되는 볼록부(312)를 형성한다. 청소기 본체(301)의 단자 접속부(305) 내에 충전기(307)의 단자부(309)를 삽입하고, 단자끼리를 접속한 상태로, 청소기 본체(301)의 구멍부(306) 내에 판형상부(311)의 볼록부(312)가 끼워맞춤되고, 단자 접속부(305)와 단자부(309)의 접속, 및 구멍부(306)와 볼록부(312)의 끼워맞춤에 의해, 청소기 본체(301)가 충전기(307)의 결정된 위치에서 규제된다.
상자형상부(308)의 양측면으로부터는, 가이드(313)를 전방으로 연장하여 설치하고, 이 가이드(313)는 청소기 본체(301)를 충전기(307)상에 탑재할 경우, 단자 접속부(305)와 단자부(309) 및 구멍부(306)와 볼록부(312)가 각각 대응하도록 안내하는 것으로, 가이드(313)의 간격(A)과 청소기 본체(301)의 충전기(307)에 놓여지는 부분의 폭(B)과의 관계는 A≥B이다. 바람직하게는 A를 B보다 약간 크게 설정한다.
상자형상부(308)의 전면 상부는 경사면(314)을 형성하고, 이 경사면(314) 상을 청소기 본체(301)의 후부 롤러(316)가 굴러가도록 한다. 상자 상부(308)의 상면에는 통전 표시용 표시 램프(315)를 형성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내부에 이차 전지(303)와 전동 송풍기(304)를 수납하고, 충전용 단자 접속부(305)를 갖는 청소기 본체(301)와, 청소기 본체(301)와는 별도로 형성된 충전기(307)로 이루어지고, 또한 그 충전기(307)는 전원 트랜스(310)를 수납하는 상자형상부(308)와, 이 상자형상부(308)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한 충전용 단자부(309)에 의해 구성함으로써, 충전기(307) 자체의 크기를 콤팩트하게 할 수 있다. 특히, 충전기(307)는 청소기 본체(301)의 후방측을 판형상부(311)에 탑재하고, 청소기 본체(301)의 전방에 위치하는 흡입부(301a)는 판형상부(311)보다 전방에 위치하기 때문에, 흡입부도 탑재하는 종래의 충전기와는 그 크기가 현저히 작아진다.
또한, 충전기(307)의 상자형상부(308)의 측벽으로부터 충전용 단자부(309)를 돌출시키고, 청소기 본체(301)의 흡입부(301a) 이외의 부위에 형성된 충전용 단자 접속부(305) 내에 충전용 단자부(309)를 삽입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청소기 본체(301)를 충전기(307)에 세트한 상태에서의 전체의 외부 치수를 작게 할 수 있어, 충전시나 수납시에 놓는 장소를 취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흡입부(301a) 내에 회전 브러시를 형성하고, 회전 브러시에 부착된 먼지가 청소기 본체(301)를 충전기(307)에 세트할 때에 바닥면상에 떨어지는 경우가 있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충전기(307) 상에 그 먼지가 떨어지지 않기 때문에, 청소를 개시하기 위해서 충전기(307)로부터 청소기 본체(301)를 분리시키면, 그 떨어진 먼지를 간단히 흡수할 수 있다.
또한, 충전기(307)의 상자형상부(308)의 전면의 저면 근방으로부터 청소기 본체(301)의 일부가 탑재되는 판형상부(311)를 형성하고, 또한 판형상부(311)와 이것에 대향하는 청소기 본체(301)의 하면 각각에 적어도 한쌍 이상의 서로 결합하는 볼록부(312) 및 구멍부(306)를 설치함으로써, 충전기(307)에 대하여 보다 확실히 청소기 본체(301)를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충전기(307)의 상자형상부(308)의 전면의 양 단면 근방으로부터 한쌍의 가이드(313)를 형성하고, 그 동안에 청소기 본체(301)의 후방부가 위치 규제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충전기(307)에 대한 청소기 본체(301)의 세트를 보다 용이하고, 또한 확실히 실행할 수 있다. 특히, 핸들(302)의 상단측의 손잡이 부분을 이용하여 청소기 본체(301)를 충전기(307)에 세트할 경우, 가이드(313)의 작동에 의해 원활하고 또한 확실히 실행할 수 있음과 동시에, 충전기(307) 전체의 강도를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충전기(307)의 상자형상부(308)의 전면 상부를 경사면(314)으로 함으로써, 이 경사면(314)을 후부 롤러(316)가 굴러가고, 충전기(307)에 대한 청소기 본체(301)의 세트를 보다 원활하게 실행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충전기(307)의 청소기 본체(301)와 대향하는 면을 평면에 의해 구성되는 경사면으로 하였지만, 반경의 큰 원통면(오목면, 볼록면의 어느쪽도 가능) 등, 유도 형상으로 되는 다른 유사 형상이어도 동등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청소기 본체(301)측의 충전기(307)와 대향하는 면을 경사면이나 원통면으로 하는 것도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또한 쌍방에 실시함으로써 그 효과가 보다 높아지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전동 송풍기(304)의 전동기(304a)의 외주부에 충전용 단자 접속부(305)를 형성하고, 즉 단자 접속부(305)를 청소기 본체(301) 밖으로 돌출하지 않고서 형성하였기 때문에, 청소기 본체(301)의 크기를 콤팩트하게 할 수 있고, 충전기(307)를 포함한 충전 상태에 있어서의 전체 치수도 소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전기 부품을 근접시키는 것도 되기 때문에, 내부 결선의 집중화, 합리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충전기(307)의 상자형상부(308)의 폭 방향의 중심 선상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충전용 단자부(309)를 갖는 충전기(7)에 있어서, 전원 트랜스(310)를 충전용 단자부(309)의 근방에 배치함으로써, 충전기(307)로부터 청소기 본체(301)를 분리할 때, 충전기(307)에 작용하는 외력과 충전기(307)에 작동하는 중력이 가까운 점에 작용하기 때문에, 청소기 본체(301)를 충전기(307)로부터 원활하게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충전기(307)에 청소기 본체(301)를 세트하였을 때, 핸들(302)과 대향하는 상자형상부(308)의 상면에 표시 램프(315)를 설치함으로써, 충전기(307)에 청소기 본체(301)를 세트할 때의 목적으로 되어,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청소기 본체(301)의 후단부에는 주행용 후부 롤러(316)를 하면과 후면이 청소기 본체(301)로부터 돌출하는 형태로 형성하기 때문에, 충전기(307)에 청소기 본체(301)를 세트할 때, 충전기(307)의 경사면(314)이나 상자형상부(308)의 전면에 청소기 본체(301)의 후부가 간섭한 경우에도, 경사면(314)이나 상자형상부(308)에는 후부 롤러(316)가 접촉하기 때문에 저항은 작아져서, 착탈 작업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고, 또한 롤러에 연질 재료를 이용함으로써 착탈할 때에 발생하는 충격의 경감 효과나 파손 방지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다음에, 본 고안의 제 13 실시예에 대하여, 도 47 내지 도 53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청소기 본체(401)는 상부에는 약 1m의 길이를 가진 조작용 핸들(402)을 회동가능하게 유지한다. 청소기 본체(401)의 내부에는 이차 전지(403)와, 이 이차 전지(403)에 의해 구동되는 전동 송풍기(404)를 탑재한다. 또한, 청소기 본체(401)의 후방 하면에는 충전용 단자 접속부(405)와, 구멍부(406)를 형성한다. 청소기 본체(401)의 내부에는 스위치(417)를 내장하고, 핸들(402)에 결합된 링(402a)이 청소기 본체(401)의 원통축부(401c)를 축으로 하여 후방으로 회동하는 것에 따라, 링(402a)의 일부에 형성한 캠면(402b)이 스위치(417)의 레버(417a)를 가압하고, 스위치(417)가 온 상태로 되도록 한다. 즉, 캠면(402b)의 경사부를 경계로 하여, 오프 상태와 온 상태가 전환된다. 오프 상태인 핸들(402)이 직립 상태로부터 온 상태로 전환되기까지의 핸들(402)의 넘어짐 각도는 약 10°이고, 이에 대하여 실제 사용 상태에서의 넘어짐 각도는 핸들 길이가 1m일 때, 적어도 30°전후로 되기 때문에, 사용중에 스위치(717)가 오프로 되지는 않는다.
충전기(407)는 상자형상부(408)와, 그 앞부분에 형성된 충전용 단자부(409)로 구성되어 있다. 상자형상부(408) 내의 단자부(409) 근방에는 충전용 전원 트랜스(410)를 수납한다. 충전기(407)의 외관면상에는 통전 표시용 표시 램프(415)를 형성한다.
상자형상부(408)의 전면 하단에 판형상부(411)를 형성하고, 또한 그 판형상부(411)에 볼록부(피결합부)(412)를 형성하며, 이 볼록부(412)는 청소기 본체(401)의 단자 접속부(405)와 충전기(407)의 단자부(409)를 접속한 상태로, 구멍부(406)내에 끼워지는 위치에 형성한다. 단자 접속부(405)에는 양극 접속 단자(405a)와 음극 접속 단자(405b)를 형성하고, 단자부(409)에는 양극 충전 단자(409a)와 음극 충전 단자(409b)를 형성하며, 양극 및 음극 각 단자가 서로 접촉하는 것만으로 단순한 구성으로 한다.
또한, 스위치(417)가 오프되는 위치에 핸들(402)이 있을 때, 구멍부(406)와 동일 위치로 되는 링(402a)의 외주면상에, 오목부(결합부)(402c)를 형성하기 때문에, 청소기 본체(401)를 충전기(407)에 세트하면, 볼록부(412)는 구멍부(406)를 관통한 후에 오목부(402c)에 끼워맞춤하게 된다. 또한, 볼록부(412)의 선단에 경사부(412a)를 형성한다. 또한,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한 표시 램프(415)를 충전기(407)의 상부면에 형성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스위치(417)가 오프되는 위치에 핸들(402)이 있을 때, 청소기 본체(401)를 충전기(407)에 세트하면, 볼록부(412)는 구멍부(406)를 관통한 후에 오목부(402c)에 끼워넣게 되기 때문에, 세트된 상태에서는 핸들(402)은 회동하지 않고, 따라서 스위치(417)가 온 상태로 되지도 않는다. 반대로, 스위치(417)가 온 상태에서는, 핸들(402)은 회동하고 있는 것으로 되고, 따라서 오목부(402c)는 구멍부(406)와는 상이한 위치에 이동하고 있는 것으로 되고, 청소기 본체(401)를 충전기(407)에 정규의 상태로 세트할 수는 없다. 따라서, 양극 접속 단자(405a)와 양극 충전 단자(409a), 음극 접속 단자(405b)와 음극 충전 단자(409b)는 스위치(417)가 온 상태에서는 어느 것도 서로 접촉하지 않고, 스위치(417)가 오프 상태에서만 접촉하며, 충전기(407)측과 청소기 본체(401)측의 회로가 접속된다.
오목부(402c)와 구멍부(406)는 청소기 본체(401)의 저면에 형성되고, 대향하는 볼록부(412)는 충전기(407)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위치만 맞추면 그 후는 청소기 본체(401)의 자중에 의해서 자동적으로 끼워맞춤할 수 있다.
또한, 구멍부(406)는 청소기 본체(401)의 비가동 부품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충전기(407)에 대한 청소기 본체(401)의 위치 결정이 확실히 실행된다. 볼록부(412)의 선단부의 외주에는 경사부(412a)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청소기 본체(401)의 저면의 구멍부(406)와 오목부(402c)가 약간 어긋나 있더라도, 경사부(412a)가 오목부(402c)의 입구를 유도하면서 오목부(402c)를 정규 위치에 이동시킨다. 충전기(407)의 외관면상에 형성된 표시 램프(415)는 청소기 본체(401)가 충전기(407)에 정규 상태로 세트되어, 단자 접속부(405)와 단자부(409)가 접촉하였을 때에만 점등한다.
이와 같이, 충전기(407)에 형성된 볼록부(피결합부)(412)에 결합하여 충전기(407)에 청소기 본체(401)를 세트하는 오목부(결합부)(402c)를 형성하고, 이 오목부(402c)는 핸들(402)의 조작에 따라 이동하며, 스위치(417)의 온 상태의 위치에서는 오목부(402c)가 볼록부(412)에 결합되지 않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기구적으로 스위치(417)가 오프되어 있을 때에만, 청소기 본체(401)와 충전기(407)가 접속될 수 있도록 되기 때문에, 회로 구성이 단순해지고, 결선에 관련되어 발생하는 제품 불량율이 저하되어, 그 결과 저가이면서 충전을 보다 확실히 실행하는 수 있어,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핸들(402)을 스위치(417)의 조작부로 하고 있기 때문에, 다른 부품을 추가하지 않고서, 확실히 스위치(417)가 오프되어 있을 때에만 청소기 본체(401)와 충전기(407)를 접속할 수 있도록 되어, 저가이면서,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오목부(결합부)(402c)를 청소기 본체(401)의 저면으로부터 향하게 함으로써, 청소기 본체(401)와 충전기(407)의 끼워맞춤 동작이 청소기 본체(401)의 자중에 의해 실행되고, 일단 끼워맞춤되면, 인위적으로 청소기 본체(401)를 들어올리든가, 또는 어느 정도의 큰 충격이 가해지지 않은 한, 청소기 본체(401)가 충전기(407)로부터 빠지지 않게 되고, 보다 확실히 충전을 할 수 있다.
또한, 충전기(407)에 형성된 볼록부(피결합부)(412)를 청소기 본체(401)의 저면에 형성한 구멍부(406)를 거쳐서 오목부(402c)와 결합시키는 구조라고 하기 때문에, 충전기(407)에 대한 청소기 본체(401)의 위치 결정이 핸들(402)의 회동형 등의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에, 위치 어긋남이 발생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볼록부(412)는 확실히 정규 위치에 가이드되기 때문에, 단자 접속부(405)와 단자부(409)의 접촉이 보다 정확히 실행되어, 보다 확실한 충전을 할 수 있다.
또한, 충전기(407)에 형성된 볼록부(412)의 선단에 경사부(12a)를 형성하기 때문에, 청소기 본체(401)의 저면의 구멍부(406)와 오목부(402c)가 약간 어긋나 있는 경우에도, 오목부(402c)의 입구를 유도하면서 오목부(402c)를 정규 위치에 이동시키기 때문에, 청소기 본체(401)가 충전기(407)에 대하여 장착 불충분해지지 않고서, 보다 확실히 충전을 할 수 있다.
또한, 충전기(407) 내부 또는 청소기 본체(401) 내부 중 어느 한쪽에, 청소기 본체(401)와 충전기(407)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을 때에만 동작하는 표시 램프(415)를 형성하기 때문에, 충전기(407)에 대한 청소기 본체(401)의 세트가 불완전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충전 미스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인지 수단으로서 표시 램프(415)를 이용하였지만, 시각에 의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자 알람 등에 의한 청각에 의한 것 등, 모든 수단을 이용할 수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본 고안은 전기 청소기의 집진 효율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내구성을 향상시키며; 청소기 본체에 내장한 이차 전지를 충전하는 충전기를 소형화하고, 충전기 부근을 청소할 때, 충전기가 방해되지 않도록 하여,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재료 비용을 감소시켜 제품 가격을 저가로 하며; 기구적으로 스위치가 오프되어 있을 때에만 청소기 본체와 충전기를 접속할 수 있도록 하고, 회로 구성을 간단하게 하여 저가이면서 확실히 충전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킨다.

Claims (44)

  1. 흡입부로부터 먼지를 흡인하는 전동 송풍기와, 상기 흡입부내에 배치한 먼지 긁어올림체와, 이 먼지 긁어올림체를 회전 구동하는 전동기와, 상기 흡입부측에 상기 전동 송풍기의 배기를 보내는 배기 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전동 송풍기의 배기가 상기 전동기에 접촉되도록 구성한
    전기 청소기.
  2. 제 1 항에 있어서,
    흡입부에 전동 송풍기의 흡인력이 작용하는 흡기부와, 상기 전동 송풍기의 배기를 흐르게 하는 배기부를 형성한
    전기 청소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전동 송풍기로부터의 배기풍의 일부를 흡입부의 배기부에 순환시키고, 배기풍의 일부를 흡입부 이외로 방출하며, 배기부로부터 흡기부로 순환하는 풍량을 전동 송풍기부터의 총 배기량의 50% 내지 95%로 한
    전기 청소기.
  4. 제 3 항에 있어서,
    흡입부 이외로 방출하는 풍량 또는 흡입부에 순환하는 풍량, 또는 그 양자를 조정가능하게 한
    전기 청소기.
  5.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배기부로부터 흡기부로 순환하는 기류가, 흡입부의 길이 방향으로 바닥면과 거의 평행하게 발생하는 구성으로 한
    전기 청소기.
  6.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흡입부의 한쪽 단부에 흡기부와, 이것에 대향하는 다른 한쪽 단부에 배기부를 형성하고, 배기부로부터 흡기부로 순환하는 기류가 발생하도록 구성한
    전기 청소기.
  7.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흡입부의 한쪽 단부와, 이것에 대향하는 한쪽 단부에 배기부를 형성하고, 이들 배기부의 중간부에 흡기부를 형성한
    전기 청소기.
  8.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흡입부의 한쪽 단부와, 이것에 대향하는 다른 한쪽 단부에 흡기부를 형성하고, 이들 흡기부의 중간부에 배기부를 형성한
    전기 청소기.
  9.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흡입부의 전방에, 흡입부의 폭 방향으로 개구를 확대한 배기부를 형성하고, 흡입부의 후방에 흡기부를 형성한
    전기 청소기.
  10.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흡입부의 후방에, 흡입부의 폭 방향으로 개구를 확대한 배기부를 형성하고, 흡입부의 전방에 흡기부를 형성한
    전기 청소기.
  11.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배기부로부터 방출되는 배기풍의 풍속을 흡기부에 흡인되는 흡기풍의 풍속보다 고속으로 한
    전기 청소기.
  12.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배기부로부터 방출되는 배기풍의 풍속을 흡기부에 흡인되는 흡기풍의 풍속보다 저속으로 한
    전기 청소기.
  13.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배기부로부터 방출되는 배기풍의 풍속을 흡기부에 흡인되는 흡기풍의 풍속과 거의 동일하게 한
    전기 청소기.
  1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배기부로부터 방출되는 배기의 풍속 또는 흡기부에 흡인되는 흡기의 풍속 또는 그 양자를 조정가능하게 한
    전기 청소기.
  1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먼지 긁어올림체를 회전가능하게 또는 진동가능하게 구성한
    전기 청소기.
  16.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먼지 긁어올림체에 띠형상의 먼지 긁어올림부를 나선 형상으로 장착하고, 먼지 긁어올림체를 회전시킴으로써 발생하는 띠형상의 먼지 긁어올림부의 비틀림을 따라 흐르는 기류와, 배기부로부터 흡기부로 흐르는 기류의 방향을 일치시킨
    전기 청소기.
  17.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흡입부의 배기부 근방에, 배기부로부터의 배기풍을 흡기부 방향으로 원활하게 가이드하는 기구를 형성한
    전기 청소기.
  18. 전방에 먼지를 흡인하는 흡기구를 갖고, 그 후방에 청소기 본체 외주의 적어도 일부를 회동 또는 미끄럼운동하는 핸들 아암체를 갖는
    전기 청소기.
  19. 전방에 먼지를 흡인하는 흡기구를 갖고, 후방에 집진실, 전동 송풍기 중 어느하나를, 또는 양쪽을 내장하는 청소기 본체에 있어서, 상기 청소기 본체의 대략 중심을 회동 중심으로 하여 청소기 본체 외주의 적어도 일부를 회동 또는 미끄럼운동하는 핸들 아암체를 갖는
    전기 청소기.
  20. 제 18 항 또는 제 19 항에 있어서,
    핸들 아암체를 청소기 본체의 길이 방향의 대략 중앙에 위치하도록 배치하고, 상기 핸들 아암체의 대략 내측에 전동 송풍기를 배치한
    전기 청소기.
  21. 제 18 항 또는 제 19 항에 있어서,
    전동 송풍기의 외주를 피복하는 커버의 외주를 지지축으로 하여, 핸들 아암체를 회동시킨
    전기 청소기.
  22. 제 18 항 또는 제 19 항에 있어서,
    핸들 아암체로부터 막대 형상의 돌출부를 형성하고, 상기 돌출부에 파이프 등으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연장관과, 이 연장관의 선단에 손잡이를 배치하며, 상기 연장관 및 손잡이를 각각 착탈가능하게 구성한
    전기 청소기.
  23. 제 18 항 또는 제 19 항에 있어서,
    핸들 아암체로부터의 막대 형상의 돌출부와, 연장관의 선단에 구비한 손잡이를 착탈가능하게 구성한
    전기 청소기.
  24. 제 18 항 또는 제 19 항에 있어서,
    핸들 아암체로부터의 막대 형상의 돌출부를 제 2 손잡이로 한
    전기 청소기.
  25. 제 18 항 또는 제 19 항에 있어서,
    핸들 아암체를 바닥면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약 90°회동시키는 구성으로 한
    전기 청소기.
  26. 제 18 항 또는 제 19 항에 있어서,
    핸들 아암체를 청소기 본체의 전방으로 회동시키고, 또한 청소기 본체의 후면을 힐 레스트로서 사용하며, 상기 청소기 본체를 수직 상태로 하였을 때, 상기 청소기 본체를 수납 상태로 하게 한
    전기 청소기.
  27. 제 18 항 또는 제 19 항에 있어서,
    핸들 아암체의 회동을, 스프링에 의해서 가압시키고, 스프링 힘을 흡기구가 자중에 의해 회동하는 힘보다 크고, 또한 상기 흡기구가 자중에 의해 회동하는 힘은 연장관의 선단의 손잡이에 인가되는 힘보다 작게 설정하고, 청소기 본체를 공중에 부양시켰을 때에는, 핸들 아암체의 회동을 억제하고, 청소 상태로 하였을 때에는, 핸들 아암체의 회동을 용이하게 회동시키는 구성인
    전기 청소기.
  28. 제 18 항 또는 제 19 항에 있어서,
    핸들 아암체로 이루어지는 연장관 및 손잡이의 회동을, 바닥면의 대략 수직 방향에 결합시키고, 핸들 아암체를 청소기 본체의 후방으로 회동시키는 힘을, 청소기 본체의 전방으로 회동시키는 힘보다 작게 한 구성의
    전기 청소기.
  29. 제 18 항 또는 제 19 항에 있어서,
    핸들 아암체를 회동시킴에 의해 전동 송풍기의 통전 회로를 개방시키거나 또는 폐쇄시키도록 구성한
    전기 청소기.
  30. 이차 전지와 전동 송풍기를 수납하고 충전용 단자 접속부를 갖는 청소기 본체와, 청소기 본체의 충전용 단자 접속부에 접속되는 충전용 단자부를 갖는 충전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충전기는 전원 트랜스를 수납하는 상자형상부를 갖고, 이 상자형상부의 측벽으로부터 충전용 단자부를 돌출시킨
    전기 청소기.
  31. 이차 전지와 전동 송풍기를 수납하고 충전용 단자 접속부를 갖는 청소기 본체와, 청소기 본체의 충전용 단자 접속부에 접속되는 충전용 단자부를 갖는 충전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청소기 본체의 전방에는 전동 송풍기의 흡인력에 의해 먼지를 흡입하는 흡입부를 형성하며, 상기 충전기는 전원 트랜스를 수납하는 상자형상부를 갖고, 이 상자형상부의 측벽으로부터 상기 단자부를 돌출시키며, 상기 청소기 본체의 흡입부 이외의 부위에 배치한 상기 단자 접속부내에 상기 단자부를 삽입한
    전기 청소기.
  32. 이차 전지와 전동 송풍기를 수납하고 충전용 단자 접속부를 갖는 청소기 본체와, 청소기 본체의 상기 단자 접속부에 접속되는 충전용 단자부를 갖는 충전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충전기는 전원 트랜스를 수납하는 상자형상부와, 충전기의 상자형상부의 전면 하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하고 청소기 본체의 일부가 탑재되는 탑재부와, 이 탑재부상에 형성되고, 청소기 본체의 하면의 결합부와 결합하는 피결합부를 가지며, 상기 청소기 본체가 충전기에 탑재되면 상자형상부의 측벽으로부터 돌출시킨 상기 단자부와 상기 단자 접속부를 접속하도록 한
    전기 청소기.
  33. 제 30 항 내지 제 3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충전기의 상자형상부 전면의 양 단면 근방으로부터 한 쌍의 가이드를 형성하고, 그 가이드에 의해 본체를 충전기측에 안내하도록 한
    전기 청소기.
  34. 제 30 항 내지 제 3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충전기의 상자형상부의 전면 상부를 경사면으로 한
    전기 청소기.
  35. 제 30 항 내지 제 3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청소기 본체내에 충전용 단자 접속부를 형성한
    전기 청소기.
  36. 제 30 항 내지 제 3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충전기의 상자형상부의 폭 방향의 중심선상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충전용 단자부를 형성하고, 전원 트랜스를 상기 단자부 근방에 배치한
    전기 청소기.
  37. 제 30 항 내지 제 3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충전기의 상자형상부에 청소기 본체 세트시의 목표로 되는 부위를 형성한
    전기 청소기.
  38. 제 30 항 내지 제 3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청소기 본체의 후방에, 롤러를 돌출시키도록 형성한
    전기 청소기.
  39. 이차 전지와 전동 송풍기를 수납하고, 이차 전지와 접속된 충전용 단자 접속부를 갖는 청소기 본체와, 청소기 본체의 상기 단자 접속부에 접속되는 충전용 단자부를 갖는 충전기를 포함하고, 상기 청소기 본체에는 이차 전지와 전동 송풍기 사이에 접속된 스위치와, 이 스위치의 조작부를 갖고, 이 조작부에는 상기 충전기에 형성한 피결합부에 결합하여 충전기에 청소기 본체를 세트하는 결합부를 형성하며, 이 결합부는 조작부의 조작에 따라 이동하며, 스위치의 온 상태의 조작부의 위치에서는 결합부가 피결합부에 결합하지 않은
    전기 청소기.
  40. 제 39 항에 있어서,
    청소기 본체에 회동가능하게 유지된 조작용 핸들을 갖고, 이 핸들을 스위치의 조작부로 한
    전기 청소기.
  41. 제 39 항에 있어서,
    결합부를 청소기 본체의 저면으로부터 향하게 한
    전기 청소기.
  42. 제 39 항에 있어서,
    충전기에 형성한 피결합부의 관통 구멍부를 청소기 본체의 저면에 형성하고, 이것을 거쳐서 피결합부와 결합부를 결합시키는 구조로 한
    전기 청소기.
  43. 제 41 항 또는 제 42 항에 있어서,
    충전기에 형성한 피결합부의 선단부 외주에 경사부를 형성한
    전기 청소기.
  44. 제 39 항 또는 제 40 항에 있어서,
    충전기 내부 또는 청소기 본체 내부 중 어느 하나 한쪽에, 청소기 본체와 충전기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을 때에만 동작하는 인지 수단을 형성한
    전기 청소기.
KR2019990012903U 1998-07-06 1999-07-02 전기청소기 KR200163307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8-190062 1998-07-06
JP19006298 1998-07-06
JP19119498 1998-07-07
JP19119598 1998-07-07
JP98-191194 1998-07-07
JP98-191195 1998-07-07
JP30246298 1998-10-23
JP98-302461 1998-10-23
JP30246198 1998-10-23
JP98-302462 1998-10-23
KR1019990026612A KR20000011440A (ko) 1998-07-06 1999-07-02 전기청소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6612A Division KR20000011440A (ko) 1998-07-06 1999-07-02 전기청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3307Y1 true KR200163307Y1 (ko) 2000-02-15

Family

ID=27528998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2903U KR200163307Y1 (ko) 1998-07-06 1999-07-02 전기청소기
KR1019990026612A KR20000011440A (ko) 1998-07-06 1999-07-02 전기청소기
KR1020050091245A KR20050098219A (ko) 1998-07-06 2005-09-29 전기 청소기
KR1020050091259A KR20050098220A (ko) 1998-07-06 2005-09-29 전기 청소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6612A KR20000011440A (ko) 1998-07-06 1999-07-02 전기청소기
KR1020050091245A KR20050098219A (ko) 1998-07-06 2005-09-29 전기 청소기
KR1020050091259A KR20050098220A (ko) 1998-07-06 2005-09-29 전기 청소기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3) US6345411B1 (ko)
EP (3) EP1522248B1 (ko)
KR (4) KR200163307Y1 (ko)
CN (3) CN1305434C (ko)
CA (1) CA2276796C (ko)
DE (3) DE69924052T2 (ko)
ES (3) ES2239830T3 (ko)
HK (1) HK1025023A1 (ko)
MY (1) MY126748A (ko)
TW (1) TW41241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3307Y1 (ko) * 1998-07-06 2000-02-15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전기청소기
DE59915122D1 (de) * 1998-12-17 2010-02-25 Aeg Hausgeraete Gmbh Vorrichtung zur Bodenreinigung
JP2001037687A (ja) * 1999-08-02 2001-02-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気掃除機
JP2001169980A (ja) * 1999-12-15 2001-06-26 Sanyo Electric Co Ltd 電気掃除機
CN1143651C (zh) * 2000-03-01 2004-03-31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电动吸尘器
WO2001087130A1 (fr) * 2000-05-17 2001-11-2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Aspirateur
JP2001353113A (ja) * 2000-06-15 2001-12-25 Sanyo Electric Co Ltd 電気掃除機
JP2002000527A (ja) * 2000-06-23 2002-01-08 Sanyo Electric Co Ltd 掃除機
US6883201B2 (en) 2002-01-03 2005-04-26 Irobot Corporation Autonomous floor-cleaning robot
US7571511B2 (en) 2002-01-03 2009-08-11 Irobot Corporation Autonomous floor-cleaning robot
US6581241B2 (en) * 2001-06-21 2003-06-24 Black & Decker Inc. Vacuum cleaner having airflow recirculation path for cooling beater brush motor
GB2377163B (en) * 2001-07-05 2004-12-15 Hoover Ltd Vacuum cleaner
US7013528B2 (en) * 2002-01-28 2006-03-21 Bissell Homecare, Inc. Floor cleaner with dusting
WO2004010839A1 (ja) * 2002-07-25 2004-02-05 Toshiba Tec Kabushiki Kaisha 電気掃除機
GB2391459A (en) * 2002-08-09 2004-02-11 Dyson Ltd A surface treating appliance with increased manoeuverability
WO2004041054A1 (en) * 2002-11-06 2004-05-21 Polar Light Limited Battery-powered vacuum cleaner
FR2852811B1 (fr) * 2003-03-27 2005-06-24 Nielsen Innovation Aspirateur autonome bimoteur
JP3905867B2 (ja) * 2003-07-17 2007-04-18 東芝テック株式会社 充電式電気掃除機
US7712182B2 (en) * 2003-07-25 2010-05-11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Air flow-producing device, such as a vacuum cleaner or a blower
DE10336827A1 (de) * 2003-08-11 2005-03-10 Bsh Bosch Siemens Hausgeraete Staubsauger mit einer Gebläsekapsel
CN1582838A (zh) * 2003-08-21 2005-02-23 张周新 吸尘器的空气回流装置
GB2410178B (en) * 2004-01-20 2007-05-23 Lindhaus S R L Cleaning device
ITPD20040008A1 (it) * 2004-01-20 2004-04-20 Lindhaus Srl Struttura perfezionata di battitappeto, lavapavimenti, spazzatrice, lu cidatrice e simile a due motori
GB2425249B (en) * 2004-03-02 2007-08-08 Bissell Homecare Inc Vacuum cleaner with detachable cyclonic vacuum module
US7293326B2 (en) 2004-07-29 2007-11-13 Electrolux Home Care Products, Inc. Vacuum cleaner alignment bracket
US20060026788A1 (en) * 2004-08-06 2006-02-09 Fischer Richard J Upright vacuum cleaner incorporating telescopic handle and wand assembly with electrified hose
US7793385B2 (en) * 2005-01-07 2010-09-14 Bissell Homecare Inc. Extraction cleaning with air flow drying
US7958652B2 (en) 2005-01-07 2011-06-14 Bissell Homecare Inc. Extraction cleaning with plenum and air outlets facilitating air flow drying
AU2006206657A1 (en) * 2005-01-18 2006-07-27 Electrolux Homecare Products, Inc. Vacuum cleaner with collapsible handle
US7631387B2 (en) * 2005-05-13 2009-12-15 Black & Decker Inc. Motorized broom and collector
ATE446040T1 (de) * 2005-08-11 2009-11-15 Black & Decker Inc Handstaubsauger
EP1815777A1 (de) * 2006-02-01 2007-08-08 Team International Marketing SA/NV Staubsaugereinheit mit einem Bodenstaubsauger und mit einem Handstaubsauger
EP1913856B1 (de) * 2006-10-20 2011-07-27 Wessel-Werk GmbH Kompaktes Saugreinigungsgerät für die autarke Reinigung von Bodenbeläge
EP2220986B1 (en) * 2007-02-12 2014-03-26 Black & Decker Inc. Motor, fan and filter arrangement for a vacuum cleaner
KR101340423B1 (ko) * 2007-08-28 2013-12-13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틱형 진공청소기
DE102008008069A1 (de) * 2008-02-01 2009-08-06 Alfred Kärcher Gmbh & Co. Kg Bodenreinigungsgerät
US8316506B1 (en) * 2008-05-28 2012-11-27 Spalj Thomas J Surface debris removal apparatus
JP2010125009A (ja) * 2008-11-26 2010-06-10 Toshiba Corp 電気掃除機
US8001653B1 (en) * 2009-06-04 2011-08-23 Longley Everton W Vacuum apparatus
GB2474462B (en) * 2009-10-15 2013-12-11 Dyson Technology Ltd A surface treating appliance with domed-shaped wheels
GB2474470B (en) 2009-10-15 2013-10-23 Dyson Technology Ltd A surface treating appliance
GB2474473B (en) * 2009-10-15 2013-10-23 Dyson Technology Ltd A surface treating appliance
GB2474469B (en) * 2009-10-15 2013-11-13 Dyson Technology Ltd A surface treating appliance
GB0918027D0 (en) * 2009-10-15 2009-12-02 Dyson Technology Ltd A surface trating appliance
GB2474464B (en) * 2009-10-15 2013-11-20 Dyson Technology Ltd A surface treating appliance
GB2474468B (en) 2009-10-15 2013-11-27 Dyson Technology Ltd A surface treating appliance
GB2474466B (en) * 2009-10-15 2014-03-05 Dyson Technology Ltd A surface treating appliance
GB2474475B (en) * 2009-10-15 2013-10-23 Dyson Technology Ltd A surface treating appliance
GB2474472B (en) * 2009-10-15 2013-10-23 Dyson Technology Ltd A surface treating appliance
GB2474463B (en) * 2009-10-15 2013-11-13 Dyson Technology Ltd A surface treating appliance
GB2474471B (en) * 2009-10-15 2013-10-23 Dyson Technology Ltd A surface treating appliance
GB2474465B (en) * 2009-10-15 2013-10-23 Dyson Technology Ltd A surface treating appliance
FR2963169B1 (fr) * 2010-07-21 2013-05-17 Ingenico Sa Socle d'accueil d'un terminal mobile et terminal mobile correspondant
WO2012028169A1 (de) * 2010-08-30 2012-03-08 Lothar Munder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reinigung einer oberfläche
US8869345B2 (en) 2011-03-03 2014-10-28 G.B.D. Corp. Canister vacuum cleaner
US8973212B2 (en) 2011-03-03 2015-03-10 G.B.D. Corp. Filter housing construction for a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8978198B2 (en) 2011-03-03 2015-03-17 G.B.D. Corp. Filter housing for a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9101252B2 (en) 2011-03-03 2015-08-11 G.B.D. Corp. Configuration of a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8769767B2 (en) 2011-03-03 2014-07-08 G.B.D. Corp. Removable cyclone chamber and dirt collection assembly for a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8739357B2 (en) 2011-03-03 2014-06-03 G.B.D. Corp Filter construction for a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8813306B2 (en) 2011-03-03 2014-08-26 G.B.D. Corp. Openable side compartments for a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8973214B2 (en) 2011-03-03 2015-03-10 G.B.D. Corp. Cyclone chamber and dirt collection assembly for a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8528160B2 (en) * 2011-03-03 2013-09-10 G.B.D. Corp. Suction motor and fan assembly housing construction for a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8763202B2 (en) 2011-03-03 2014-07-01 G.B.D. Corp. Cyclone chamber and dirt collection assembly for a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8646149B2 (en) * 2011-03-03 2014-02-11 G.B.D. Corp. Filter housing construction for a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8739359B2 (en) 2011-03-03 2014-06-03 G.B.D. Corp. Configuration of a surface cleaning apparatus
EP2581010B1 (en) * 2011-10-12 2016-03-16 Black & Decker Inc. A battery - powered vacuum cleaner
EP2581011B1 (en) * 2011-10-12 2015-07-15 Black & Decker Inc. A hand-holdable vacuum cleaner
EP2581014A1 (en) * 2011-10-12 2013-04-17 Black & Decker Inc. A vaccum cleaner
GB2512025B (en) * 2013-01-11 2017-03-01 Techtronic Floor Care Tech Ltd Surface treatment device
CN103284659A (zh) * 2013-06-21 2013-09-11 苏州金威特工具有限公司 一种高度可调的吸尘器把手
US9307881B2 (en) 2014-03-12 2016-04-12 Techtronic Industries Co. Ltd. Extractor cleaning machine
KR101615430B1 (ko) 2014-05-09 2016-04-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
DE102014113796B4 (de) * 2014-09-24 2020-04-23 Vorwerk & Co. Interholding Gmbh Staubsauger
US9775480B2 (en) 2014-12-17 2017-10-03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All in the head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9668630B2 (en) 2014-12-17 2017-06-06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All in the head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9545180B2 (en) 2014-12-17 2017-01-17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All in the head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9775479B2 (en) 2014-12-17 2017-10-03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All in the head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9901229B2 (en) 2014-12-17 2018-02-27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All in the head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9295363B1 (en) 2014-12-17 2016-03-29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All in the head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0357136B2 (en) 2014-12-17 2019-07-23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All in the head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9775481B2 (en) 2014-12-17 2017-10-03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All in the head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0022027B2 (en) 2014-12-17 2018-07-17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All in the head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9795264B2 (en) 2014-12-17 2017-10-24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All in the head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9668624B2 (en) 2014-12-17 2017-06-06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All in the head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1202544B2 (en) 2014-12-17 2021-12-21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All in the head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9883781B2 (en) 2014-12-17 2018-02-06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All in the head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9717383B2 (en) 2014-12-17 2017-08-01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All in the head surface cleaning apparatus
JP6435204B2 (ja) * 2015-01-28 2018-12-05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電気掃除機
CN108135414B (zh) * 2015-08-06 2022-01-04 尚科宁家运营有限公司 低轮廓表面清洁头
CN105747994B (zh) * 2016-03-07 2018-11-27 江苏美的清洁电器股份有限公司 吸尘器
CN105775473B (zh) * 2016-04-25 2019-01-15 向桂南 一种扫地吸尘垃圾桶
GB2550179B (en) * 2016-05-11 2018-05-02 Lupe Tech Limited Cleaner head
CN106388697B (zh) * 2016-08-30 2018-11-16 陈智辉 带组合式绕圈结构的罩式装置
WO2018085356A1 (en) * 2016-11-01 2018-05-11 Sharkninja Operating Llc Multi-mode cleaning apparatus with suction
GB2585358B (en) * 2016-11-01 2021-12-22 Sharkninja Operating Llc Multi-mode cleaning apparatus with suction
KR102519650B1 (ko) * 2017-03-03 2023-04-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의 지지기구, 청소기 유닛
CN106691319A (zh) * 2017-03-17 2017-05-24 朱龙 扫地吸尘拖地一体机
CN106963285A (zh) * 2017-04-28 2017-07-21 苏州市海朋电子商务有限公司 吸尘器吸嘴
KR20200073966A (ko) 2018-12-14 2020-06-24 삼성전자주식회사 진공 청소기와 도킹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청소 장치
CN110051272A (zh) * 2018-12-26 2019-07-26 杰之深(苏州)科技有限公司 一种多功能吸尘器地刷结构及吸尘器
CN111449253B (zh) * 2020-06-05 2022-08-30 义乌市巨界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榴莲采摘后外表面清洁装置
EP4188177A1 (en) 2020-07-29 2023-06-07 SharkNinja Operating LLC Nozzle for a surface treatment apparatus and a surface treatment apparatus hav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965614A (en) * 1931-04-27 1934-07-10 Hoover Co Suction cleaner
GB740526A (en) * 1953-12-28 1955-11-16 Regina Corp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machines for cleaning floors or carpets
US3704482A (en) * 1970-10-08 1972-12-05 Joseph W Brannon Cleaning device
US4173809A (en) * 1978-06-30 1979-11-13 Ku Paul H Automatic vacuum cleaner
US4393536A (en) * 1982-01-25 1983-07-19 Tapp Ruel W Dual mode vacuum cleaner
JPS59230519A (ja) * 1983-06-13 1984-12-25 三洋電機株式会社 携帯用電気掃除機
DE3475161D1 (en) * 1983-10-19 1988-12-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Vacuum cleaner
US4536694A (en) * 1984-02-21 1985-08-20 Solid State Chargers Research And Development Battery-operated device with wall-mounted support
DE3540898A1 (de) * 1984-11-19 1986-05-2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Kadoma, Osaka Wiederaufladbare, kabellose staubsaugervorrichtung
US4665582A (en) * 1985-02-22 1987-05-19 National Union Electric Corp. Lightweight battery powered suction broom
DE8513126U1 (de) * 1985-05-04 1985-08-01 Fasse, geb. Brink, Käthe, 2950 Leer Umluftstaubsauger
US5005252A (en) * 1987-07-24 1991-04-09 Emerson Electric Co. Portable wet/dry vacuum cleaner and recharging base
US4835409A (en) * 1988-02-26 1989-05-30 Black & Decker Inc. Corded/cordless dual-mode power-operated device
US5025529A (en) * 1988-08-08 1991-06-25 Emerson Electric Co. Portable hand held vacuum cleaner
US5014388A (en) * 1989-05-15 1991-05-14 White Consolidated Industries, Inc. Battery powered vacuum cleaner
EP0413415A1 (en) 1989-06-13 1991-02-20 The British Petroleum Company p.l.c. Carboxylic acids and derivates thereof
JPH0357254Y2 (ko) * 1989-11-02 1991-12-26
DE69006827T2 (de) * 1989-12-01 1994-06-01 William Hendrick Williams Nass- und Trockensauger.
JPH03272720A (ja) * 1990-03-23 1991-12-04 Mitsubishi Electric Corp 電気掃除機
US5109566A (en) * 1990-06-28 1992-05-0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Self-running cleaning apparatus
JPH04164422A (ja) * 1990-10-30 1992-06-10 Azuma Kogyo Kk 真空掃除機
JPH05111167A (ja) * 1991-10-17 1993-04-30 Hitachi Ltd 充電式掃除機
JP3048784B2 (ja) * 1993-05-14 2000-06-05 三洋電機株式会社 充電器及び電子機器
CA2123740C (en) * 1993-05-19 2002-12-17 Hee-Gwon Chae Electric vacuum cleaner
US5323510A (en) * 1993-07-09 1994-06-28 Redding Glenn K Vacuum cleaner having improved steering features
US5520872A (en) * 1993-08-09 1996-05-28 Scherer; Philip G. Method for hemming edges of stretch film
TW267098B (ko) * 1994-02-16 1996-01-0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US5553347A (en) * 1994-04-19 1996-09-1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Upright vacuum cleaner
GB2292882B (en) * 1994-09-07 1998-01-14 Benjamin Edginton A vacuum cleaner air-flow assembly
US5560077A (en) * 1994-11-25 1996-10-01 Crotchett; Diane L. Vacuum dustpan apparatus
US5664285A (en) * 1996-01-11 1997-09-09 Black & Decker Inc. Vacuum cleaner with combined filter element and collection unit
US5671499A (en) * 1996-01-11 1997-09-30 Black & Decker Inc. Vacuum cleaner with all components in floor traveling head
US6125500A (en) * 1996-07-05 2000-10-03 Kat; Niels Combination swing broom and vacuum cleaner assembly
CA2181876C (en) * 1996-07-23 2002-12-31 The Bank Of Nova Scotia Lift off mechanism for a vacuum cleaner
US5926909A (en) * 1996-08-28 1999-07-27 Mcgee; Daniel Remote control vacuum cleaner and charging system
US6076226A (en) * 1997-01-27 2000-06-20 Robert J. Schaap Controlled self operated vacuum cleaning system
US6125498A (en) * 1997-12-05 2000-10-03 Bissell Homecare, Inc. Handheld extraction cleaner
CA2251295C (en) * 1998-01-27 2002-08-20 Sharp Kabushiki Kaisha Electric vacuum cleaner
US6049944A (en) * 1998-06-29 2000-04-18 Lopez; Evelyn A. Web vac
KR200163307Y1 (ko) * 1998-07-06 2000-02-15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전기청소기
TW529406U (en) * 1999-01-29 2003-04-21 Hitachi Ltd Vacuum cleaner
JP4244467B2 (ja) * 1999-10-19 2009-03-2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充電式電気掃除機
JP2001321309A (ja) * 2000-05-17 2001-11-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充電式電気掃除機
JP2003093301A (ja) * 2001-09-26 2003-04-02 Sanyo Electric Co Ltd 電気掃除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266976T3 (es) 2007-03-01
US20040088820A1 (en) 2004-05-13
ES2239830T3 (es) 2005-10-01
EP1522248B1 (en) 2006-06-07
US6345411B1 (en) 2002-02-12
EP1522248A3 (en) 2005-04-27
DE69931830T2 (de) 2007-07-12
KR20000011440A (ko) 2000-02-25
EP1522248A2 (en) 2005-04-13
HK1025023A1 (en) 2000-11-03
KR20050098219A (ko) 2005-10-11
EP1522249B1 (en) 2006-08-30
DE69924052T2 (de) 2006-01-19
EP0970651A3 (en) 2002-10-23
CN1245045A (zh) 2000-02-23
EP0970651B1 (en) 2005-03-09
EP1522249A3 (en) 2005-04-20
EP0970651A2 (en) 2000-01-12
CN1305434C (zh) 2007-03-21
CN2380174Y (zh) 2000-05-31
EP1522249A2 (en) 2005-04-13
DE69933069T2 (de) 2007-01-11
TW412412B (en) 2000-11-21
DE69931830D1 (de) 2006-07-20
CN1181782C (zh) 2004-12-29
US20020059689A1 (en) 2002-05-23
US6684451B2 (en) 2004-02-03
DE69924052D1 (de) 2005-04-14
CA2276796C (en) 2004-08-10
CN1615785A (zh) 2005-05-18
DE69933069D1 (de) 2006-10-12
KR20050098220A (ko) 2005-10-11
CA2276796A1 (en) 2000-01-06
MY126748A (en) 2006-10-31
ES2271769T3 (es) 2007-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63307Y1 (ko) 전기청소기
US5671499A (en) Vacuum cleaner with all components in floor traveling head
EP0783864B1 (en) Vacuum cleaner with improved suction inlet
CA2281941C (en) Suction port body for vacuum-cleaner and vacuum-cleaner having the same
CA1299827C (en) Portable vacuum cleaner
KR20040035514A (ko) 로봇 청소기의 먼지흡입구조
US7281297B2 (en) Floor cleaning apparatus equipped with multiple agitators and an agitator hood with baffle
JP6489893B2 (ja) 電気掃除機
US20080086833A1 (en) Vacuum Cleaner
JP3849476B2 (ja) 電気掃除機
JP3204255B2 (ja) 電気掃除機
CN2369621Y (zh) 推把式电吸尘器
CN220069632U (zh) 抽吸装置和清洁设备
JP3723104B2 (ja) 電気掃除機
JP2000189356A (ja) 電気掃除機
JP2002143061A (ja) 電気掃除機
GB2419275A (en) Battery-powered vacuum cleaner
JP2001120470A (ja) 電気掃除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25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