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2970Y1 - 커넥터판넬의 터미널 - Google Patents

커넥터판넬의 터미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2970Y1
KR200162970Y1 KR2019940021749U KR19940021749U KR200162970Y1 KR 200162970 Y1 KR200162970 Y1 KR 200162970Y1 KR 2019940021749 U KR2019940021749 U KR 2019940021749U KR 19940021749 U KR19940021749 U KR 19940021749U KR 200162970 Y1 KR200162970 Y1 KR 2001629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onnector
base
connector panel
wi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217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9307U (ko
Inventor
우영석
Original Assignee
우영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영석 filed Critical 우영석
Priority to KR20199400217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2970Y1/ko
Publication of KR96000930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930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29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2970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26Bases, e.g. strip, block, panel comprising a plurality of conductive flat strips providing connection between wires or compon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01R13/51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assembled by screw or screw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16Fastening of connecting parts to base or case; Insulating connecting parts from base or case
    • H01R9/18Fastening by means of screw or nut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외부에서 건물내로 인입된 배선을 각 전기장치 또는 전자장치로 접속시키기 위해 마련된 커넥터 판넬에 관한 것으로서, 시공성을 좋게하고 외부로부터 인입되는 배선의 전도율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접속 불량에 따른 전기장치 및 전자장치의 오 동작을 방지하기 위하여, 외부 및 내부 배선을 지지하는 커넥터 단자와, 이 커넥터 단자를 지지하는 베이스를 마련하되; 상기 커넥터 단자를, 상기 베이스의 고정부와의 사이에서 탄성적으로 가압 및 지지하는 척킹부재와, 이 척킹부재의 상측에 안착되어 상기 배선과 선 접촉되는 홀딩부재와, 상기 척킹부재 및 홀딩부재와 함께 체결부재로서 베이스의 너트보스에 고정됨과 동시에 타측 선단이 외부 배선과 접속되는 리이드 단자부로 구성하여서 된 커넥터 판넬의 터미널을 제안한다.

Description

커넥터 판넬의 터미널
제 1도는 본 고안에 관련된 커넥터 판넬의 터미널을 도시한 전체 사시도,
제 2도는 본 고안에 관련된 터미널의 연결 구조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제 1 도의 횡단면도,
제 3도 및 제 4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 판넬의 터미널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및 그 횡단면도,
제 5도 및 제 6도는 본고안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터미널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30 : 베이스 5 : 커넥터 단자
32 : 홈 33 : 너트 보스
35 : 고정부 37 : 걸림턱
41 : 분리버튼 43 : 누름부
45 : 스토퍼 51 : 체결부재
52 : 척킹부재 53 : 홀딩부재
54 : 텐션부 56 : 터널부
59 : 안내부 61,63 : 리이드 단자부
65 : 와셔
[산업상의 이용 분야]
본 고안은 커넥터 판넬의 터미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에서 건물내로 인입된 배선을 각 전기장치 또는 전자장치로 접속시키기 위해 마련된 커넥터 판넬의 터미널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주지된 바와 같이, 커넥터 판넬(혹은 배선함, 전화단자함)은 건물의 일정장소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인입되는 배선과, 건물내의 전기장치 또는 전자장치로 연결되는 배선과의 사이에서 그들을 서로 연결하여 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커넥터 판넬은 외부 배선과 내부 배선을 서로 연결하는 터미널을 보유하게 되는 바, 이러한 터미널은 외부 배선이 연결되는 다수개의 리이드 단자부와, 이 리이드 단자부에 각각 대응하여 내부 배선을 감아 척킹하는 너트부재로 구성되어 진다.
그러나, 상기한 커넥터 판넬은 배선을 지지하는 단자구조가 너트부재와 리이드 단자부로 이루어지게 되는 바, 이는 배선을 감아서 너트로서 조여 지지하기 때문에, 시공이 불편한 문제점을 안고 있다.
아울러, 너트에 감는 배선은 조임시 쉽게 풀어지거나 이탈되어 외부로부터 인입되는 전력의 전도율을 저하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 상기 방식에 의한 배선의 지지구조는 외부 충격에 의해 쉽게 이탈되기 때문에, 전기장치 혹은 전자장치를 오 동작시킬 수도 있다.
[고안의 요약]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배선의 지지구조를 개선하여 시공성을 좋게 함음 물론, 외부로부터 인입되는 전원의 전도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커넥터 판넬의 터미널을 제공하는데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배선을 견고하게 지지함으로써, 접속불량에 따른 화재 발신기의 오 동작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 의한 커넥터 판넬은 외부 배선과 내부 배선을 서로 대응 연결하는 터미널을 마련하되, 이를 1열 혹은 복수열로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복수열은 다시 다층 구조로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한 터미널은 외부 혹은 내부 배선을 지지하는 커넥터 단자와, 이 커넥터 단자를 지지하는 터미널 베이스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한 커넥터 단자는 내부 배선을 상기 베이스의 고정부와의 사이에서 탄성적으로 가압 및 지지하는 척킹부재와, 이 척킹부재의 상측에 안착되어 상기 배선과 선 접촉되는 홀딩부재와, 상기 척킹부재 및 홀딩부재와 함께 체결부재로서 베이스의 너트 보스에 고정됨과 동시에 타측 선단이 외부 배선과 접속되는 리이드 단자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한 터미널은 외부 배선 및 내부 배선의 척킹을 모두 커넥터 단자로서 행할 수도 있으며, 이때 상기 리이드 단자부는 양측의 커넥터 단자를 서로 연결하게 된다.
[실시예]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비한정적인 실시예로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제 1도 및 제 2도는 본 고안에 관련된 커넥터 판넬의 터미널을 도시한 사시도 및 그 횡단면도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면에서의 설명 부호 1은 터미널 전체를 가르키고 있다.
상기한 터미널(1)은 커넥터 판넬(도시생략)에 고정 부착되는 베이스(3)와, 이 베이스(3)에 연속적으로 나열되는 복수개의 커넥터 단자(5)를 보유하고 있으며, 상기 베이스(3)는 상하측 단부에 형성된 요홈(31)에 너트를 개재하여 고정 부착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한 베이스(3)는 도면을 통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다층구조를 갖는 것으로서, 각 층에는 커넥터 단자(5)가 1열로 배열되어 있는 바, 본 고안은 도시된 3열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1열 혹은 복수열로서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커넥터 단자(5)는 분해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체결부재(51)를 개재하여 베이스(3)의 너트보스(33)에 순차 고정되는 척킹부재(52)와 홀딩부재(53)및 리이드 단자부(6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척킹부재(52)는 절개 및 밴딩 형성되어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텐션부(54)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바, 이는 베이스(3)에 형성된 고정부(35)의 저면으로 삽입 및 탄지되어, 그 고정부(35)와의 사이에서 내부 배선(W1)을 지지하게 된다.
즉, 상기 척킹부재(52)의 텐션부(54)는 상기 내부 배선(W1)을 상기 고정부(35)와의 사이에서 지지하게 되는 바, 이는 상기한 텐션부(54)를 드라이버와 같은 도구를 사용하여 하측으로 압착하여 이격 공간을 형성한 후, 상기 배선(W1)의 나(裸)선(W0)을 삽입하게 된다.
여기서, 고정부(35)의 밑면은 텐션부(54)에 대칭을 이루는 경사면으로 형성할 경우, 삽입된 나선(WO)은 더욱 견고하게 클램핑된다.
상기 고정부(35)하측에는 상기 텐션부(54)의 누름을 한정하기 위한 걸림턱(37)이 마련되어 있는데, 이는 상기 텐션부(54)를 드라이버 등의 도구로서 압착하게 될 경우에, 과도한 압착에 의한 텐션부(54)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마련되어 있다.
또, 상기한 척킹부재(52)는 텐션부(54)에 대향하는 선단에 하측으로 밴딩 형성되는 안내부(59)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는 내부 배선(W1)의 인입시 그를 가이드 하기 위해 마련되어 있다.
한편, 상기 척킹부재(52)의 상측에 안착되는 홀딩부재(53)는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반 원통상으로 형성되는 터널부(56)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바, 여기에는 상기 배선(W1)이 삽입되어 반 원통상 터널부(56)의 내측면과 선 접촉되어 진다.
아울러, 상기 척킹부재(52)의 하측에는 체결부재(51)로서 일체로 고정되는 리이드 단자부(61)가 접촉되어 지는 바, 이 리이드 단자부(61)의 타측 선단은 베이스(3)를 관통하여 외측으로 돌출되어 지며, 외부 배선(W2)이 용접 등에 의한 방법으로 접속되어 진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커넥터 단자(5)는 전술한 바와 같이 외부 배선(W2)과 내부 배선(W1)을 서로 연결하는 것으로서, 리이드 단자부(61)에는 외부 배선(W2)이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리이드단자부(61)를 포함하는 커넥터 단자(5)에는 내부 배선(W1)이 착탈가능하게 지지되어 진다.
제 3도와 제 4도는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관련된 커넥터 판넬의 터미널을 도시한 사시도와 그 횡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면을 통하여 알 수 있는 바와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커넥터 단자(5)가 2열로 배열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각각의 커넥터 단자(5)에는 내부배선(W1)과 외부 배선(W2)이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어 진다.
여기서, 베이스(3)는 전술한 일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요홈(31)과 고정부(35) 및 걸림턱(37)을 보유하고 있으며, 2열이 서로 대칭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한 커넥터 단자(5)는 일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체결부재(51)에 의해 베이스(3)의 너트 보스(33)에 고정되는 척킹부재(52)와 홀딩부재(53)를 보유하고 있으며, 서로 대칭 설치되는 커넥터 단자(5)를 연결하기 위한 리이드단자부(63)를 보유하여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한 베이스(3)에는 상기 리이드 단자부(63)의 관통을 위해 통공(39)이 마련되어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일 실시예와 달리 내부 배선(W1) 뿐만아니라 외부배선(W2)도 커넥터 단자(5)를 채용하여 착탈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이다.
제 5도와 제 6도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는 바, 본 실시예에서는 낱개로 분리 형성된 터미널(10)이 제안되어 있으며, 이는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연속하여 복수개를 나열할 수도 있는 것이다.
여기서, 제 5도는 일 실시예와 동일한 구조의 커넥터 단자(5)를 보유하게 되는 바, 이러한 커넥터 단자(5)는 베이스(30)의 너트 보스(33)에 결합되어 진다.
상기한 베이스(30)의 고정부(35)에는 하측으로 개방 형성된 별도의 홈(32)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홈(72)에는 분리버튼(41)의 스토퍼(45)가 삽입되어 지는 바, 이는 상기 홈(32)의 하측으로부터 끼워짐과 동시에 , 척킹부재(52)의 텐션부(54)에 의해 상방으로 탄지되어진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분리버튼(41)의 누름부(43)를 가압함에 따라, 전선(W)의 척킹과 해제를 조절하게 된다.
한편, 상기 분리버튼(41)의 하측에는 리이드 단자부(61)가 관통되기 위한 통공(47)이 형성되어 있으며, 베이스(30)에는 전선(W)의 삽입을 가이드 하는 안내홈(34)이 마련되어 있다.
제 6도는 제 2실시예와 동일한 구조의 커넥터 단자(5)를 보유하게 되는바, 이러한 커넥터 단자(5)는 2열로 배열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각각의 커넥터 단자(5)는 베이스(30)의 너트 보스(33)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한 베이스(30)의 고정부(35)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하측으로 개방형성되는 별도의 홈(32)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홈(32)에는 분리버튼(41)이 삽입되어 지는 바, 이는 누름부(43)와 스토퍼(45)를 보유하고 있다.
아울러,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커넥터 단자(5)와 함께 그 상측에 와셔(65)가 결합되어 지는 바, 이는 상기 홀딩부재(53)의 터널부(56)로 삽입되는 전선(W)과 달리, 상기 홀딩부재(53)와 와셔(65)의 사이에서 전선(W)을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고안의 효과]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커넥터 판넬의 터미널은 외부 및 내부 배선의 지지구조를 개선한 것으로서, 종래의 너트 방식에 의한 것과 달리 시공성은 물론 구조적인 안정성을 겸비하게 된다.
즉, 본 고안의 터미널은 척킹부재를 구비하여 배선을 탄성적으로 지지함과 동시에 , 텐션부를 가압함으로써 배선의 척킹 및 해제를 용이하게 달성하게 된다.
또, 본 고안은 척킹부재와 홀딩부재의 사이에서 선 접촉을 달성하게 됨으로써, 전도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배선을 견고하게 지지함으로써, 외부 및 내부 배선과의 접속 불량에 따른 전기장치 및 전자장치의 오 동작을 방지 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0)

  1. 커넥터 판넬에 고정되는 베이스(3)와; 상기 베이스(3)의 고정부(35)저면에 탄지되어 배선을 압착 지지하는 텐션부(54)를 보유하는 척킹부재(52)와, 상기 배선과 선 접촉되는 터널부(56)를 보유하는 홀딩부재(53)와, 상기 척킹부재(52) 및 홀딩부재(53)와 함께 체결부재(51)로서 베이스(3)의 너트 보스(33)에 고정되는 리이드 단자부(61)로 구성되는 커넥터 단자(5)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판넬의 터미널
  2. 제 1항에 있어서, 베이스(3)는 불특정 다수개의 커넥터 단자(5)를 1열 또는 복수열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판넬의 터미널.
  3. 제2항에 있어서, 복수열로 배치되는 커넥터 단자(5)를 지지하는 베이스(3)는 다층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판넬의 터미널.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2열로 대칭 배치되는 커넥터 단자(5)는 양측을 서로 연결하는 리이드 단자부(6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판넬의 터미널.
  5. 제1항에 있어서, 베이스(3)는 텐션부(54)의 눌림을 한정하는 걸림턱(37)을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판넬의 터미널.
  6. 제1항에 있어서, 베이스(30)의 홈(32)에는 텐션부(54)를 가압하는 분리 버튼(41)이 끼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판넬의 터미널.
  7. 제6항에 있어서, 분리버튼(41)은 텐션부(54)에 접촉됨과 동시에 홈(32)에 삽입되는 스토퍼(45)와, 상기 텐션부(54)를 가압하게 되는 누름부(43)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판넬의 터미널.
  8. 제1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커넥터 단자(5)는 와셔(65)를 개재하여 체결부재(51)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판넬의 터미널.
  9. 제1항에 있어서, 척킹부재(52)는 안내부(59)를 구비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판넬의 터미널.
  10. 제1항에 있어서, 베이스(3)의 고정부(35)는 척킹부재(52)의 텐션부(54)와 접촉되는 밑면을 상기한 텐션부(54)에 대칭을 이루는 경사면으로 형성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판넬의 터미널
KR2019940021749U 1994-08-26 1994-08-26 커넥터판넬의 터미널 KR2001629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1749U KR200162970Y1 (ko) 1994-08-26 1994-08-26 커넥터판넬의 터미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1749U KR200162970Y1 (ko) 1994-08-26 1994-08-26 커넥터판넬의 터미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9307U KR960009307U (ko) 1996-03-16
KR200162970Y1 true KR200162970Y1 (ko) 1999-12-15

Family

ID=193916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21749U KR200162970Y1 (ko) 1994-08-26 1994-08-26 커넥터판넬의 터미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297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9307U (ko) 1996-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29143B2 (en) Electrical terminal with a spring force clamping terminal for two conductors
US7862389B2 (en) Terminal block with U-shaped conducting part for connecting electric wires
RU2346366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электрического соединения прерывистых проводов
CN102025042A (zh) 线连接装置
JPH06132049A (ja) 多導線端子組立体
JPH1083851A (ja) 接地モジュール
KR200162970Y1 (ko) 커넥터판넬의 터미널
US6676436B2 (en) Cable connector
US7351100B2 (en) Electric connector
JPH076815A (ja) 端末用コネクタの電線保持構造
US758518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aining a conductor carrier in an electrical connector
JPH087968A (ja) コネクタ及びその組立方法
JPH06215808A (ja) トグルクランプコネクタ
JPH08115757A (ja) ケーブル・電線接続用端子台
JP4325474B2 (ja) 電機機器の端子装置
JP2009009748A (ja) 電線接続装置
JPS583254Y2 (ja) 端子台
KR960000610Y1 (ko) 전선 접속용 단자
JPS61161677A (ja) ワイヤハ−ネスのジヨイント吸収装置
JP3702758B2 (ja) 電気接続箱
JP2008084799A (ja) コネクタ
JP3735042B2 (ja) フラットケーブル接続用コネクタ
KR200147506Y1 (ko) 축전지용 접속단자
KR0117579Y1 (ko) 아이디시(idc) 단자용 단자덮개
JPH0739136Y2 (ja) フラットワイヤハーネスの分岐接続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0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