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2215Y1 - 밀폐형 용접 보울트 - Google Patents

밀폐형 용접 보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2215Y1
KR200162215Y1 KR2019950054881U KR19950054881U KR200162215Y1 KR 200162215 Y1 KR200162215 Y1 KR 200162215Y1 KR 2019950054881 U KR2019950054881 U KR 2019950054881U KR 19950054881 U KR19950054881 U KR 19950054881U KR 200162215 Y1 KR200162215 Y1 KR 2001622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welding
washer
bolt head
herm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548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42307U (ko
Inventor
김상완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500548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2215Y1/ko
Publication of KR97004230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230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22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2215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3/00Washers or equivalent devices; Other devices for supporting bolt-heads or nuts
    • F16B43/001Washers or equivalent devices; Other devices for supporting bolt-heads or nuts for sealing or ins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밀페용 용접 보울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 차체의 하부나 대쉬(Dash)등과 같이 방청과 소음이 모두 요구되는 부위에서 밀폐(Sealing)효과를 나타내도록 용접시켜 설치되는 밀폐형 용접 보울트에 있어서, 보울트 머리의 하부를 넓게 연장하여 와셔부를 형성하고서 그 하면에 용접돌기르 돌출성형하고, 이 용접돌기 외측 주연부에 밀폐용 재질의 수지를 코팅시켜서 보울트의 용접설치 후 수밀 및 기밀효과가 향상되어 소음 및 방청효과가 크게 개선되도록 한 밀폐형 용접 보울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밀폐형 용접 보울트
제1도는 종래의 밀폐형 용접 보울트의 사시도이고,
제2도는 제1도의 밀폐형 용접 보울트가 차체패널에 밀페 용접된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며,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밀페형 용접 보울트의 사시도이고,
제4도는 제3도의 밀폐형 용접 보울트가 차체패널에 밀폐 용접된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1 : 보울트 머리 2,12 : 보울트 몸체
3,13 : 용접돌기 4,16 : 차체패널
14 : 와셔부 15 : 열융착 수지링
본 고안은 밀폐형 용접 보울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 차체의 하부나 대쉬(Dash) 등과 같이 방청과 소음이 모두 요구되는 부위에서 밀폐(Sealing)효과를 나타내도록 용접시켜 설치되는 밀폐형 용접 보울트에 있어서, 보울트 머리의 하면을 바깥쪽으로 돌출된 와셔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와셔부에는 용접돌기가 돌출되어 있으면서 그 외측 주연부에 밀폐용 재질의 열융착수지를 코팅시켜서 보울트의 용접 설치 후 수밀 및 기밀효과가 향상되어 소음 및 방청효과가 크게 개선되도록 한 밀폐형 용접 보울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차체의 하부나 대쉬 등 방청과 소음이 모두 요구되는 부위에서 부품 결합을 위해 보울트가 고정 설치되어야 하는 경우가 있다.
이런 부위에서 종래에는 첨부도면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울트 머리(1)와 보울트 몸체(2)로 이루어지고 보울트 머리(1)의 하부면에 다수의 용접돌기(3)가 형성되어 있는 밀폐형 용접 보울트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밀폐형 용접 보울트가 첨부도면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체패널(4)에 적용시 차체패널(4)의 아랫부분에서 차체패널(4)에 형성된 너트구멍에 보울트 몸체(2)를 끼우고 보울트 머리(1)의 하부면에 형성된 용접 돌기(3)에서 차체패널(4)과 보울트 머리(1)를 용접시켜 사용한다.
그러나, 종래의 밀폐형 요접 보울트의 경우에는 보울트 몸체(2)의 직경(d') 보다 차체패널(4)에 형성된 구멍의 직경(D')이 더 크기 때문에 보울트 머리(1)가 밀착되게 용접된 후에도 틈새가 생겨서 그 사이로 소음이 통과하고 물 등의 액체가 침입되는 등 기밀 및 수밀효과를 나타내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위와 같은 종래의 밀폐형 용접 보울트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보울트 머리에 용접돌기를 갖는 와셔부를 형성하고 이 와셔부에는 용접돌기의 외곽에는 열 융착성 수지링을 끼워서 도장라인 통과시 기밀 및 수밀특성이 부여되게 한 개선된 구조의 밀폐형 용접 보울트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보울트 머리(11)와 보울트 몸체(12)로 이루어지고 용접 돌기(13)를 가는 밀폐형 용접 보울트에 있어서, 상기 보울트 머리(11)는 보울트 몸체(12)와 접하는 하면이 바깥쪽으로 확장되어서 와셔부(14)가 구성되어 있고, 이 와셔부(14)의 하면에는 다수의 용접돌기가 돌출되어 있으면서 그 외측으로 밀폐용 열융착 수지링(15)이 끼워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기술구성 및 작용ㆍ효과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자동차의 차체하부 또는 대쉬 등의 부분에서 방청과 소음이 요구되는 부위의 부품고정을 위해 보울트가 사용되는 경우 단순한 보울트 고정외에 기밀 및 수밀 특성이 요구되기 때문에 보울트의 용접시 열융착성을 가지는 수지성분을 밀폐제로 이용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밀폐형 용접 보울트는 첨부도면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보울트 머리(11)의 약 1/2 두께에 해당하는 부분 아래에는 바깥쪽으로 돌출되어서 와셔부(14)가 형성되어 실질적으로는 보울트 머리(11)와 와셔부(14)가 일체로 구성되어 있고, 그 와셔부(14)의 하부면에는 다수의 용접돌기(13)가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와셔부(14)는 보울트 몸체(12)가 연결되는 보울트 머리(11)에 이 머리보다 다소 직경이 크게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 와셔부(14)의 하면에는 다수의 용접돌기(13)가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러한 용접돌기(13)는 와셔부(14)로 연장된 부분에 형성되어 있으나 와셔부(14)의 중심으로부터 보울트 머리(11)의 반경보다 조금 큰 원주상에 형성되어 있으며, 이때 용접돌기(13)가 형성된 와셔부(14)의 하부면은 용접돌기(13)가 형성된 외곽쪽이 약간 패여진 형상으로 설계되어 있어서 그 용접돌기(13)의 외곽 주연부에는 본 고안에 따라 적용되는 밀페용 열융착 수지링(15)이 끼워지게 된다.
본 고안에서 사용된 열융착 수지링(15)은 통상적으로 열융착성을 가져서 도장 라인에서 열에 의해 융착될 수 있는 재질이면 어느 수지나 가능하지만, 특히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EVA) 수지를 사용하면 적당하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밀폐형 용접 보울트는 그 형상이 첨부도면 제3도에 사시도로 보여주는 것과 같이 보울트 머리(11), 와셔부(14), 보울트 몸체(12)로 크게 구분되고, 그 와셔부(14)의 하부면에 열융착 수지링(15)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용접 보울트는 첨부도면 제3도에서 보울트 머리(11)가 없이 와셔부(14)가 보울트 머리(110의 기능을 겸하도록 구성하여도 동일한 효과를 나타내므로 본 고안은 이러한 변형된 밀폐형 용접 보울트도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른 밀폐형 용접 보울트를 적용부위에 용접시켜 고정 설치한 구조는 첨부도면 제4도에서 단면 구조도로 보여주고 있는 바, 여기서는 차체패널(16)에 첨부도면 제3도에 도시한 밀폐형 용접 보울트를 끼우고 그 용접 보울트의 와셔부(14)에 형성된 용접 돌기(13)를 이용하여 차체패널(16)에 용접시킨다. 그 후 용접돌기(13)가 형성된 와셔부(14)에 끼워진 밀폐용 열융착 수지링(15)은 도장라인에서 열 융착에 의해 차체패널(16)과 와셔부(14) 사이의 밀폐 기능을 확실하게 부여해 주기 때문에 기밀 및 수밀특성을 갖게 되는 것이다.
특히, 일반적으로 차체패널(16)에 형성된 구멍의 직경(D)이 보울트 몸체(12)의 직경(d)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러한 두 직경(D,d)의 차이로 인해 만들어지는 간극이 있더라도 본 고안에 따른 밀폐형 용접 보울트에 적용된 열융착 수지링(15)에 의해 확실한 기밀 및 수밀특성이 보장되기 때문에 소음 및 수분의 침입을 막아 주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종래의 밀폐형 용접 보울트와는 달리 보울트 머리의 일부가 확장된 형태의 와셔부를 구성함과 동시에 와셔부에 형성된 용접돌기의 외곽에 수지링을 끼워서 수지링의 열융착 밀폐효과로 인해 차체패널에 용접하여 사용시 기밀 및 수밀특성을 부여함으로써 소음방지 및 방청기능에 현격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Claims (1)

  1. 보울트 머리(11)와 보울트 몸체(12)로 이루어지고 용접 돌기(13)를 갖는 밀폐형 용접 보울트에 있어서, 상기 보울트 머리(11)는 보울트 몸체(12)와 접하는 하면이 바깥쪽으로 확장되어서 와셔부(14)가 형성되어 있고, 이 와셔부(14)의 하면에는 다수의 용접돌기(13)가 일정 원주상에 등간격으로 돌출되어 있으면서 그 외측으로는 밀폐용 열융착 수지링(15)이 끼워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용접 보울트.
KR2019950054881U 1995-12-30 1995-12-30 밀폐형 용접 보울트 KR2001622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54881U KR200162215Y1 (ko) 1995-12-30 1995-12-30 밀폐형 용접 보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54881U KR200162215Y1 (ko) 1995-12-30 1995-12-30 밀폐형 용접 보울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2307U KR970042307U (ko) 1997-07-29
KR200162215Y1 true KR200162215Y1 (ko) 1999-12-01

Family

ID=19443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54881U KR200162215Y1 (ko) 1995-12-30 1995-12-30 밀폐형 용접 보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221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109130A1 (en) * 2003-06-10 2004-12-16 Kwang Joo Lee Water tight bolt for tunnel segment assembli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109130A1 (en) * 2003-06-10 2004-12-16 Kwang Joo Lee Water tight bolt for tunnel segment assembl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2307U (ko) 1997-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11170874A (ja) 電気自動車のバッテリフレーム構造
GB2222857A (en) Plastics closure
US4792061A (en) Collapsible tube with membrane cap
JPH0631013B2 (ja) プラスチツク製密閉部材
US5138117A (en) Watertight sealing lip for grommet
KR200162215Y1 (ko) 밀폐형 용접 보울트
JPH0755142Y2 (ja) 車両の燃料注入部
JP2567316Y2 (ja) 自動車における外装部品の取付構造
JPS628458Y2 (ko)
JP7476775B2 (ja) 車両外装品の取付部における止水構造
JPH0347024Y2 (ko)
JPS60176818A (ja) 車両のシ−リングスクリ−ン取付構造
JPS5812824A (ja) バツクドアのヒンジ取付構造
KR200146280Y1 (ko) 차량의 필라리드 박스
JPH0511090Y2 (ko)
JPH0546996Y2 (ko)
JPH0542683Y2 (ko)
KR200191165Y1 (ko) 차량의 실 사이드 구조
KR100357821B1 (ko) 자동차의 루프패널 수밀구조
JPH06211159A (ja) 車体シール構造及びその製造方法
JPH07132959A (ja) 燃料タンクのシール構造
JP2528021B2 (ja) ドレンホ―スの接続構造
JPS58149466A (ja) グロメツト
JP2546073Y2 (ja) リヤコンビネーションランプハウジングの取付構造
JPS61105275A (ja) フロアパネルの接合部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