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1626Y1 - 냉동차용 탑 아셈블리의 도어 구조 - Google Patents

냉동차용 탑 아셈블리의 도어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1626Y1
KR200161626Y1 KR2019970008557U KR19970008557U KR200161626Y1 KR 200161626 Y1 KR200161626 Y1 KR 200161626Y1 KR 2019970008557 U KR2019970008557 U KR 2019970008557U KR 19970008557 U KR19970008557 U KR 19970008557U KR 200161626 Y1 KR200161626 Y1 KR 2001616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top assembly
gasket
door frame
weather str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85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3960U (ko
Inventor
이규방
Original Assignee
박문규
주식회사기아정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문규, 주식회사기아정기 filed Critical 박문규
Priority to KR20199700085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1626Y1/ko
Publication of KR1998006396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396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16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162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0Sealing arrangements
    • B60J10/80Seal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opening panels, e.g.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0Sealing arrangements
    • B60J10/15Sea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B60J10/16Sea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consisting of two or more plastic materials having different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0Sealing arrangements
    • B60J10/20Sea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B60J10/24Sea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shape having tubular parts
    • B60J10/244Sea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shape having tubular parts inflatable or defla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0Sealing arrangements
    • B60J10/30Sea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fasten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10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 B60J5/108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for load transporting vehicles or public transport, e.g. lorries, trucks, bu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20Refrigerated goods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portation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냉동차용 탑 아셈블리(Top Assembly)의 도어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각의 형상로 이루어진 도어 프레임(150)과, 상기 도어 프레임(150)과 밀착하여 식품 및 제품의 적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도어(140)로 이루어진 냉동차용 탑 아셈블리의 도어 구조에 있어서, 상기 도어(140)의 외주면에 외풍이나 먼지 등의 침입을 방지하는 웨더 스트립(120)과, 탑 아셈블리(200) 내부의 냉기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스켓(130)과, 상기 웨더 스트립(120)과 결합되어 지지하는 고정구(113) 및 상기 가스켓(130)과 결합되어 지지하는 삽입 지지구(131)가 형성된 브래킷(110)을 포함하여 상기 도어 프레임(150)과 상기 도어(140)의 사이에 밀폐 기능을 갖도록 이루어져 미닫이형 또는 여닫이형 중 어느 타입에도 설치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생산라인 선상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의 조립공수를 대폭 축소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부품의 축소로 생산원가를 절감하여 제품의 품질 및 소비자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냉동차용 탑 아셈블리의 도어 구조
본 고안은 냉동차용 탑 아셈블리(Top Assmbly)의 도어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미닫이형 또는 여닫이형 중 어느 타입에도 설치가 가능한 도어구조를 형성하여 생산라인 선상에서 작업하는 작업하는 작업자의 조림공수를 대폭 축소함으로서, 생산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부품의 축소로 생산원가를 절감하여 제품의 품질 및 소비자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도록 된 냉동차용 탑 아셈블리의 도어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탑 아셈블리의 내부로 냉기를 보존하여 식품의 변질을 방지하거나, 제품의 신선도를 유지하도록 하는 냉동차용 탑 아셈블리(Top Assembly)의 도어 구조는, 제2도와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의 리어 보디(Rear Body)에 사각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탑 아셈블리(30)가 설치되고, 상기 탑 아셈블리(30)는 그 일면에 식품 및 제품의 적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도어(2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에서 탑 아셈블리(30)는 일측이 개방된 사각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도어 프레임(1)이 형성되고, 이 도어 프레임(1)의 내주면으로 돌출된 걸림턱(1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도어 프레임(1)과 밀착하여 개폐되는 도어(20)의 합판(3) 외부면에는 실링고무(5)가 형성되어 도어 프레임(1)을 외부에서 밀착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합판(3)의 내측에는 우레탄(7)을 감싸고 있는 알루미늄 판(9)이 스크류(10)로 고정되어 있고, 이 알루미늄 판(9)의 상부에는 내부로부터의 누설이나 외부로부터의 침입을 방지하는 실링제(11)가 설치되어 도어 프레임(1)의 걸림턱(13)과 밀착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냉동차용 탑 아셈블리의 도어 구조는, 미닫이형 문에만 적용이 가능하며, 여닫이형 일 경우에는 이에 맞는 새로운 도어 구조를 형성하여 조립하여야 하므로, 구성품의 수량 및 조립공수의 과다로 인해서 생산성을 저하시킬 뿐 만 아니라, 생산원가를 높이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탑 아셈블리는 내부의 냉기를 보존하여 식품의 변질을 방지하거나, 제품의 신선도를 유지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지만, 도어가 닫혔을 때 실링고무가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탑 아셈블리의 외관미를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고, 또한 실링고무의 외부노출로 인한 자외선 및 그 밖의 외부환경에 의해서 변형의 우려가 높아 그에 따른 밀폐성이 떨어지고, 제품의 품질이 저하되어 소비자의 신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 등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미닫이형 또는 여닫이형 중 어느 타입에도 설치가 가능한 도어구조를 형성하여 생산라인 선상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의 조립 공수들 대폭 축소함으로서, 생산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부품의 축소로 인한 생산원가를 절감하고, 제품의 품질 및 소비자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도록 된 냉동차용 탑 아셈블리의 도어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사각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도어 프레임과, 상기 도어 프레임과 밀착하여 식품 및 제품의 적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도어로 이루어진 냉동차용 탑 아셈블리의 도어 구조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외주면에 외풍이나 먼지 등의 침입을 방지하는 웨더 스트립과, 탑 아셈블리 내부의 냉기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스켓과, 상기 웨더 스트립과 결합되어 지지하는 고정구 및 상기 가스켓과 결합되어 지지하는 삽입 지지구가 형성된 브래킷을 포함하여 상기 도어 프레임과 상기 도어의 사이에 밀폐 기능을 갖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웨더 스트립은 삽입 고정구의 일측에 원통의 형상으로 수축이 자유로운 완충재가 형성되는 것이고, 상기 가스켓은 직각을 이루어 브래킷의 지지구에 삽입되는 삽입 지지구가 나사로 결합 고정되고, 경질의 고무재로 이루어지고 속이 빈 원호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연결되는 접촉면이 연질의 고무재로 이루어진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요부 단면도.
제2도는 일반적인 냉동차용 탑 아셈블리의 정면도.
제3도는 종래 냉동차용 탑 아셈블리의 A-A선 요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50 : 도어 프레임 140 : 도어
110 : 브래킷 120 : 웨더 스트립
130 : 가스켓 200 : 탑 아셈블리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요부 단면도로서, 내부로 냉기를 보존하여 식품의 변질을 방지하거나, 제품의 신선도를 유지하도록 하는 냉동차용 탑 아셈블리(200)는 사각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일측이 개방된 도어 프레임(150)과, 상기 도어 프레임(150)과 밀착하여 식품 및 제품의 적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도어(14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에서 도어 프레임(150)은 외측의 하단이 절곡된 절곡부(153)가 형성되어 있고, 이 연장선상의 내측 하단으로는 일정각도 경사진 경사면(15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140)의 외주면에는 외풍이나 먼지 등의 침입을 방지함과 동시에, 내부의 냉기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밀폐기능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에서 밀폐기능 부위는, 도어(140)의 외주면으로 외풍이나 먼지 등의 침입을 방지하는 웨더 스트림(120)과, 탑 아셈블리(200) 내부의 냉기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스켓(130)이 삽입 고정된 브래킷(110)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브래킷(110)은 웨더 스트립(120)과 결합되어 지지하는 고정구(113)가 상부에 형성되고, 삽입 지지구(131)와 결합되어 지지하는 지지구(105)는 하부의 바닥에 돌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웨더 스트립(120)은 고정구(113)에 삽입 고정되는 삽입 고정구(101)와 일체로 원통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수축이 자유로운 완충재(123)가 형성되어 도어 프레임(150)에 형성된 절곡부(153)의 일면과 밀착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가스켓(130)은 직각을 이루는 브래킷(110)의 지지구(105)에 삽입되는 삽입 지지구(131)가 나사(108)로 결합 고정되고, 경질의 고무재로 이루어지고 속이 빈 원호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연결되는 접촉면(133)이 연질의 고무재로 이루어져 도어 프레임(150)의 경사면(151)과 접촉되어 진다.
미 설명 부호 111은 웨더 스트립(120)을 지지하는 보강판이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의 특징적인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미닫이형과 여닫이형에 상관없이 개폐되는 도오(140)는 문이 닫혔을 때 제1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연질로 이루어진 가스켓(130)의 접촉면(133)이 도어 프레임(150)의 경사면(151)에 눌려 넓은 접촉면적을 가짐으로서, 탑 아셈블리(200)의 냉기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1차로 방지한다.
그리고, 도어 프레임(150)의 절곡부(153)와 접촉하여 눌러지는 원통형상의 완충재(123)는 연질로 이루어져 타원의 형상으로 변형을 갖고, 상기 절곡부(153)와 밀착하여 2차로 탑 아셈블리(200)의 냉기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며, 아울러 외부에서의 외풍이나 먼지 등의 침입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도어(140)의 개방시 개방되는 도어(140)가 미닫이형일 경우에는 도어 프레임(150)의 절곡부(153)와 경사면(151)에 완충재(123)와 가스켓(130)이 밀착하여 미끄러지면서 슬라이드되어 개폐되고, 아울러 여닫이형일 경우에는 도어 프레임(150)으로 부터 떨어져서 열리는 도어(140)의 밀폐 기능을 갖도록 하기 위해 형성된 웨더 스트립(120)의 완충재(123)와 가스켓(130)의 접촉면(133)이 원상태로 복귀하면서 도어(140)의 개방상태를 유지하다가 닫혔을 경우에는 앞에서 전술한 도어(140)의 닫힘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탑 아셈블리(200)의 냉기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치함과 동시에 외부에서의 외풍이나 먼지 등의 침입을 방지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미닫이형 또는 여닫이형 중 어느 타입에도 설치가 가능한 도어구조를 형성하여 생산라인 선상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의 조립공수를 대폭 축소함으로서 생산성을 향상시키도록 하고, 또한 종래에 비하여 현격히 줄어든 부품의 축소로 생산원가를 절감하여 제품의 품질 및 소비자의 신뢰성을 향상시킨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3)

  1. 사각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도어 프레임(150)과, 상기 도어 프레임(150)과 밀착하여 식품 및 제품의 적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도어(140)로 이루어진 냉동차용 탑 아셈블리의 도어 구조에 있어서, 상기 도어(140)의 외주면에 외풍이나 먼지 등의 침입을 방지하는 웨더 스트립(120)과, 탑 아셈블리(200) 내부의 냉기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스켓(130)과, 상기 웨더 스트립(120)과 결합되어 지지하는 고정구(113) 및 상기 가스켓(130)과 결합되어 지지하는 삽입 지지구(131)가 형성된 브래킷(110)을 포함하여 상기 도어 프레임(150)과 상기 도어(140)의 사이에 밀폐 기능을 갖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차용 탑 아셈블리의 도어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웨더 스트립(120)은 삽입 고정구(101)의 일측에 원통의 형상으로 수축이 자유로운 완충재(12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차용 탑 아셈블리의 도어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켓(130)은 직각을 이루어 브래킷(110)의 지지구(105)에 삽입되는 삽입 지지구(131)가 나사(108)로 결합 고정되고, 경질의 고무재로 이루어지고 속이 빈 원호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연결되는 접촉면(133)이 연질의 고무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차용 탑 아셈블리의 도어 구조.
KR2019970008557U 1997-04-23 1997-04-23 냉동차용 탑 아셈블리의 도어 구조 KR2001616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8557U KR200161626Y1 (ko) 1997-04-23 1997-04-23 냉동차용 탑 아셈블리의 도어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8557U KR200161626Y1 (ko) 1997-04-23 1997-04-23 냉동차용 탑 아셈블리의 도어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3960U KR19980063960U (ko) 1998-11-25
KR200161626Y1 true KR200161626Y1 (ko) 2000-03-02

Family

ID=19499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8557U KR200161626Y1 (ko) 1997-04-23 1997-04-23 냉동차용 탑 아셈블리의 도어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1626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0442B1 (ko) * 2006-12-08 2008-04-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도어 웨더스트립 장착구조
KR100777089B1 (ko) * 2007-01-19 2007-11-19 주식회사 케이피아이 도어를 갖는 차량용 박스형 적재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3960U (ko) 1998-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314152C (en) Snap-in gasket system for refrigerator and freezer doors
EP0155016B1 (en) Sealing gasket between a door and its related shoulder on a cabinet, in particular of a refrigerator
US8490333B2 (en) Sealing gaskets
US4525953A (en) Weather seal with wide range of flexure
NZ299380A (en) Glazing unit gasket; edge seal gasket assembly for multiglazed window or door; flange gasket fitted into inset spacer and extending outward from the door/window
KR200161626Y1 (ko) 냉동차용 탑 아셈블리의 도어 구조
JP2007032947A (ja) 空気調和機の点検扉構造
US2700197A (en) Sealing gasket
CA2436434A1 (en) Gasket for refrigerator units
US2495830A (en) Ventilator construction
US2795019A (en) Refrigerator sealing gasket
KR200300529Y1 (ko) 창호의 결로와 누수 방지 및 마감구조
KR200150633Y1 (ko) 자동차 센터 웨더스트립의 취부구조
GB2251260A (en) Sealing arrangement
KR100405556B1 (ko) 자동차의 테일게이트 처짐방지장치
CN212023631U (zh) 一种保鲜门帘和集装箱
KR0113809Y1 (ko) 버스의 고정창문틀용 실링러버
JP2000046460A (ja) 観音開き式保存庫
JP3174250B2 (ja) 貯蔵庫のシール構造
KR19980045388U (ko) 차량도어하부 밀폐용 웨더스트립구조
KR0120278Y1 (ko) 가스켓을 겸비한 쇼케이스 측면도어 레일
KR950010787B1 (ko) 창틀에 고무링과 함께 유리창을 고정하는 방법
KR940007787Y1 (ko) 냉장고도어의 완충대
KR970004293Y1 (ko) 냉장고 도어의 가스켓트 보호장치
KR0120230Y1 (ko) 이슬맺힘 및 휨방지용 도어샤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