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9015Y1 - 연소기기의 연료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연소기기의 연료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9015Y1
KR200159015Y1 KR2019960053008U KR19960053008U KR200159015Y1 KR 200159015 Y1 KR200159015 Y1 KR 200159015Y1 KR 2019960053008 U KR2019960053008 U KR 2019960053008U KR 19960053008 U KR19960053008 U KR 19960053008U KR 200159015 Y1 KR200159015 Y1 KR 2001590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air
solenoid valve
fuel filter
combus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530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9935U (ko
Inventor
권혁찬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600530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9015Y1/ko
Publication of KR1998003993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993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90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9015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KFEEDING FUEL TO COMBUSTION APPARATUS
    • F23K5/00Feeding or distributing other fuel to combustion apparatus
    • F23K5/02Liquid fuel
    • F23K5/14Details thereof
    • F23K5/18Cleaning or purging devices, e.g.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KFEEDING FUEL TO COMBUSTION APPARATUS
    • F23K2300/00Pretreatment and supply of liquid fuel
    • F23K2300/20Supply line arrangements
    • F23K2300/202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KFEEDING FUEL TO COMBUSTION APPARATUS
    • F23K2900/00Special features of, or arrangements for fuel supplies
    • F23K2900/05082Removing gaseous substances from liquid fuel line, e.g. oxyg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eeding And Controlling Fue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연소기기의 연료 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 연료 탱크(22)와 연료여과기(25), 전자 펌프(27), 상기 연료 여과기(25) 내의 공기를 감지하여 상기 연료 여과기(25) 내에서 공기가 감지되면 공기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공기 감지 수단 및, 상기 공기 감지 신호가 입력되면 자동으로 상기 연료 여과기(25) 내의 공기를 빼는 공기 빼기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연료의 소진 등에 의해 연료 여과기(25)에 공기가 침투하면 자동으로 공기 빼기를 실시하여, 연료의 소진 후 연료를 재급유할 경우 공기 침투에 의해 착화 실패없이 연소기기를 바로 점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연소기기의 연료 공급 장치
본 고안은 연소기기의 연료 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온풍난방기 및 보일러 등의 연소기기로 연료를 공급하는 장치에서 연료 탱크로부터 송유관을 통해 유입된 연료 내에 포함된 불순물을 제거하여 연소기기로 공급하는 연료 여과기에 연료의 소진 등으로 인하여 공기가 침투하였을 때, 상기 연료 여과기에 침투한 공기를 자동으로 뺄 수 있는 연소기기의 연료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연소기기의 연료 공급 장치의 개략도이고, 도 2는 종래의 연료 여과기의 개략도로서,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연소기기의 연료 공급 장치는, 제어기기(1)와, 연료 탱크(2), 송유관(3), 연료 여과기(5), 전자 펌프(7), 연소기기(9), 연료량 감지 센서(13) 및, 표시부(14)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연료 탱크(2)는 연료를 저장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연료 탱크(2) 내부에는 연료 탱크(2)에 저장된 연료량에 따라 상하운동을 하는 플로우트(11)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연료량 감지 센서(13)가 상기 플로우트(11)와 연동하여 상기 연료탱크(2) 내에 저장된 연료량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기기(1)로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연료 여과기(5)는 송유관(3)을 통해 상기 연료 탱크(2)로부터 유입된 연료 내에 포함된 불순물을 제거하여 송유관(3)을 통해 전자 펌프(7)로 공급하는 것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료 여과기(5)는 연료 여과기 본체(5-1)의 상부 양측에 연료 탱크(2)로부터 송유관(3)을 통해 유입되는 연료를 받아들이기 위한 흡입측 니플(5-2)과 불순물이 제거된 연료를 송유관(3)을 통해 전자 펌프(7)로 공급하기 위한 토출측 니플(5-3)이 각각 나사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연료 여과기 본체(5-1) 내부에는 상기 흡입측 니플(5-2)을 통해 유입된 연료에 포함된 불순물을 제거하여 상기 토출측 니플(5-3)을 통해 토출하는 여과망(5-4)이 내장되어 있고, 상기 연료 여과기 본체(5-1)의 상단 일측에는 연료 여과기 본체(5-1) 내부에 침투된 공기를 빼기 위한 공기 빼기 나사(5-5)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전자 펌프(7)는 상기 연료 여과기(5)로부터 유입된 연료를 펌핑하여 연소기기(9)로 공급하며, 상기 연소기기(9)는 상기 전자 펌프(7)로부터 공급된 연료를 점화시켜 화력을 생성하고, 상기 제어기기(1)는 상기 전자 펌프(7)와 연소기기(9) 및 연료량 감지 센서(1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자 펌프(7) 및 연소기기(9)의 동작을 제어하는 한편, 상기 연료량 감지 센서(13)의 출력을 받아 상기 연료 탱크(2) 내에 저장된 연료량이 부족하면 연료가 없다는 메시지를 상기 표시부(14)를 통해 표시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연소기기의 연료 공급 장치에서, 연료 탱크(2)에 저장된 연료는 송유관(3)을 통해 연료 여과기(5)로 유입되고, 상기 연료 여과기(5)에서 불순물이 제거된 다음 전자 펌프(7)로 유입되며, 상기 전자 펌프(7)에 의해 펌핑되어 연소기기(9)로 공급되고, 상기 연소기기(9)로 공급된 연료는 연소기기(9)에서 점화되어 소모된다.
이때, 연료 탱크(2)에 저장된 연료량을 감지하는 연료량 감지 센서(13)로부터 연료 탱크(2)에 연료가 부족하다는 신호가 제어기기(1)로 입력되면 상기 제어기기(1)가 연료 탱크(2)에 연료가 없다는 메시지를 표시부(14)를 통해 표시한다.
즉, 상기 연료량 감지 센서(13)는 연료 탱크(2)에 저장된 연료량을 파악하고 있다가, 상기 연료 탱크(2)에 저장된 연료량이 적정량 이하로 떨어지면 연료량이 부족하다는 신호를 제어기기(1)로 입력하고, 상기 제어기기(1)는 상기 연료량 감지센서(13)로부터 연료 탱크(2)에 저장된 연료량이 부족하다는 신호가 입력되면 표시부(14)를 통해 연료 탱크(2)에 연료를 보충하라는 메시지를 표시하는 것이다.
그러나, 사용자가 적정 시기에 연료 탱크(2)에 연료를 급유하지 않게 되면 연료 탱크(2) 및 송유관(3) 내의 연료가 전부 연소기기(9)에서 소진되고, 이어서 상기 연료 탱크(2) 및 송유관(2)을 통해 연료 여과기(5) 내로 공기가 침투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공기가 침투한 상태에서 연료 탱크(2)에 재급유한 다음 다시 연소기기(9)를 동작시킨다 하더라도 침투된 공기에 의해 연소기기(9)가 바로 착화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사용자가 연료를 적정 시기에 재급유하지 못하여 연료 이송로에 공기가 침투하면 연소기기의 착화가 불가능함에 따라 사용자가 공기 빼기를 실시하여야 하는데, 종래의 에어 퍼징 방법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료를 재급유한 다음 사용자가 드라이버(17) 등의 연장을 사용하여 연료 여과기(5)에 설치된 공기 빼기 나사(15)를 풀어 연료 여과기(5) 내의 공기를 다 뺀 후, 다시 공기 빼기 나사(15)를 잠궈야만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공기 빼기 방법은, 사용자가 직접 드라이버 등의 연장을 사용하여 공기 빼기를 실시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이와 같이 공기 빼기를 하는 도중에 연료 여과기 내의 연료가 연료 여과기 밖으로 흘러나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공기 빼기를 실시하여 연료 여과기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어도 연료 여과기의 토출측 니플에서부터 연소기기 사이의 송유관에는 공기가 남아 있게 되므로, 연소기기의 초기 동작시 1,2회 정도 착화가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모든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연료 여과기 내부로 공기가 침투하면 자동으로 공기 빼기를 실시하여, 공기 침투에 의한 연소기기의 초기 착화 실패없이 바로 점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연소기기의 연료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연소기기의 연료 공급 장치는, 연료 탱크에 저장된 연료를 연료 여과기와 전자 펌프를 통해 연소기기로 공급하는 연소기기의 연료 공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료 여과기 내에 침투한 공기를 감지하여 상기 연료 여과기 내에서 공기가 감지되면 공기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공기 감지 수단 및, 상기 공기 감지 수단으로부터 공기 감지 신호가 입력되면 자동으로 상기 연료 여과기 내의 공기를 빼는 공기 빼기 장치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기 빼기 수단은, 상기 연료 여과기 내부와 외기를 연결하는 통로에 설치된 전자 밸브와, 상기 전자 밸브에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여 상기 전자 밸브를 개폐시키는 전자 밸브 구동 수단 및, 상기 공기 감지 수단으로부터 공기 감지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전자 밸브가 열리고, 상기 공기 감지 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전자 밸브가 닫히도록 상기 전자 밸브 구동 수단 제어하는 제어기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도는 일반적인 연소기기의 연료 공급 장치의 개략도,
제2도는 종래의 연료 여과기의 개략도,
제3도는 제2도에 도시된 연료 여과기에서 공기 빼기를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연소기기의 연료 공급 장치의 개략도,
제5도는 제4도에 도시된 연료 여과기의 개략도,
제6도는 본 고안 1실시예에 의한 연소기기의 연료 공급 장치의 회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 제어수단 22 : 연료 탱크
23 : 송유관 24 : 전자 밸브
25 : 연료 여과기 27 : 전자 펌프
29 : 연소기기 31 : 플로우트
33 : 연료량 감지 센서 34 : 릴레이 a접점
35 : 연료 감지 센서 36 : 릴레이 b접점
38 : 스위치 40 : 제어기기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연소기기의 연료 공급 장치의 개략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연료 여과기에 개략도이다.
상기 제 4 도 및 제 5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연소기기의 연료 공급 장치는, 제어수단(21)과, 연료 탱크(22), 송유관(23), 연료 여과기(25), 전자 펌프(27), 연소기기(29), 연료량 감지 센서(33), 표시부(39)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연료 탱크(22)는 연료를 저장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연료 탱크(22) 내부에는 연료 탱크(22)에 저장된 연료량에 따라 상하운동을 하는 플로우트(31)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연료량 감지 센서(33)가 상기 플로우트(31)와 연동하여 상기 연료 탱크(22) 내에 저장된 연료량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수단(21)으로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연료 여과기(25)는 상기 연료 탱크(22)로부터 유입된 연료 내에 포함된 불순물을 제거하여 상기 전자 펌프(27)로 공급하는 것으로, 상기 연료 여과기(25)는 연료 여과기 본체(25-1)의 상부 양측에 연료 탱크(22)로부터 송유관(23)을 통해 유입되는 연료를 받아들이기 위한 흡입측 니플(25-2)과 불순물이 제거된 연료를 송유관(23)을 통해 전자 펌프(27)로 공급하기 위한 토출측 니플(25-3)이 각각 나사 결합되어 있고, 상기 연료 여과기 본체(25-1) 내부에는 상기 흡입측 니플(25-2)을 통해 유입된 연료에 포함된 불순물을 제거하여 상기 토출측 니플(25-3)을 통해 토출하는 여과망(25-4)이 내장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연료 여과기(25)의 내부 상단에는 연료 여과기(25) 내의 연료를 감지하는 연료 감지 센서(35)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연료 여과기(25)의 상단 일측에 연료 여과기(25) 내부와 외기를 연결하는 통로를 개폐시키는 전자 밸브(24)가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전자 펌프(27)는 상기 연료 여과기(25)로부터 유입된 연료를 펌핑하여 연소기기(29)로 공급하며, 상기 연소기기(29)는 상기 전자 펌프(27)로부터 공급된 연료를 점화시켜 화력을 생성하고, 상기 제어수단(21)은 상기 전자 펌프(27)와 연소기기(29) 및 연료량 감지 센서(3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자 펌프(27) 및 연소기기(29)의 동작을 제어하는 한편, 상기 연료량 감지 센서(33)의 출력을 받아 상기 연료 탱크(22) 내에 저장된 연료량이 부족하면 연료가 없다는 메시지를 상기 표시부(39)를 통해 표시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어수단(21)은 상기 연료 여과기(25)에서 설치된 전자 밸브(24)와 연료 감지 센서(35)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연료 감지 센서(35)로부터 연료가 감지되어 않는다는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전자 밸브(24)에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전자 밸브(24)를 열도록 되어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1실시예에 의한 연소기기의 연료 공급 장치의 회로도로서, 본 고안에 따른 연소기기의 연료 공급 장치는, 상기 전자 밸브(24)가 경보 장치(26) 및 연소기기 및 전자 펌프(27,29)와 병렬로 전원(32)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전자 밸브(24)와 경보 장치(26)에 전원(32)을 공급/차단하는 릴레이 a접점(34)이 상기 전자 밸브(24) 및 경보 장치(26)와 전원(32)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한편, 상기 연소기기 및 전자 펌프(27,29)에 전원(32)을 공급/차단하는 릴레이 b접점(36)이 연소기기 및 전자 펌프(27,29)와 전원(32)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전자 밸브(24)와 전원(32) 사이에는 상기 전자 밸브(24)의 개폐를 수동으로 조작하기 위한 스위치(38)가 직렬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경보 장치(26)는 연소기기 및 전자 펌프(27,29)로 공급되는 연료가 소진되었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알리는 부저(26-1) 및 램프(26-2)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연료 여과기(25)의 내부 상단에 설치된 연료 감지 센서(35)의 출력을 받아 연료 여과기(25) 내에서 연료가 감지되면 상기 릴레이 a접점(34)을 '오프' 시킴과 더불어 릴레이 b접점(36)을 '온'시키는 한편, 상기 연료 여과기(20) 내에서 연료가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릴레이 a접점(34)을 '온'시킴과 더불어 릴레이 b접점(36)을 '오프'시키는 제어기기(4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연소기기의 연료 공급 장치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연소기기 및 전자 펌프(27,29)가 정상 연소중에 연료가 소진되면 연료 탱크(22)와 송유관(23)을 통해 연료 여과기(25) 내부로 공기가 침투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연료 여과기(25) 내부로 공기가 침투하면 연료 감지 센서(35)가 이를 감지하여 제어기기(40)로 공기가 침투하였다는 신호를 보낸다.
즉, 연료 여과기(25) 내부에 설치된 연료 감지 센서(35)에 연료가 감지되지 않으면 공기가 침투한 것이고, 연료가 감지되면 공기가 침투하지 않은 것이므로, 상기 연료 감지 센서(35)는 연료 여과기(25) 내부로 침투한 공기를 감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연료 감지 센서(35)의 출력 신호를 제어기기(40)가 입력받아 상기 개로형 릴레이 접점인 릴레이 a접점(34)과 상시 폐로형 릴레이 접점인 릴레이 b접점(36)을 동시에 제어한다.
즉, 상기 제어기기(40)는 상기 연료 감지 센서(22)로부터 연료 여과기(20)내에 공기가 침투했다는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릴레이 a 접점(34)을 '온'시킴과 더불어 릴레이 b접점(36)을 '오프'시킨다.
따라서, 연소기기 및 전자 펌프(27,29)로 공급되는 전원(32)이 차단되어 연소기기 및 전자 펌프(27,29)의 운전이 정지됨과 더불어 경보 장치(26)의 부저(26-1) 및 램프(26-2)로 전원(32)이 공급되어 상기 부저(26-1) 및 램프(26-2)가 동작하여 사용자에게 연료가 소진되었음을 알린다.
사용자가 상기 경보 장치(26)의 동작에 의해 연료가 소진되었음을 알고 연료탱크(22)에 연료를 재급유한 후, 스위치(38)를 '온'시키면 릴레이 a접점(34)이 '온'상태로 되어 있으므로 전원(32)이 릴레이 a접점(34)을 통해 전자 밸브(24)로 인가되어 전자 밸브(24)가 개방된다.
상기 스위치(38)는 상시 폐로형 스위치를 사용할 수도 있으며, 상시 폐로형 스위치를 사용하게 되면 사용자가 상기 스위치(38)를 '온'시키기 위한 별도의 조작을 하지 않아도 자동적으로 연료 여과기(25) 내부의 공기가 외기로 배출된다.
따라서, 연료 여과기(25) 내부와 외기를 연결하는 통로가 개방됨에 따라 상기 통로를 통해 연료 여과기(25) 내부의 공기가 외기로 배출되면서 재급유된 연료가 연료 여과기(25) 내로 유입된다.
상기와 같이 연료 여과기(25) 내로 연료가 유입되어, 연료 감지 센서(35)가 연료를 감지하게 되면, 상기 연료 감지 센서(22)에서 연료가 감지되었다는 신호를 제어기기(40)로 출력하고, 상기 제어기기(40)는 상기 연료 감지 센서(35)로부터 연료가 감지되었다는 신호를 받아 상기 릴레이 a접점(34)을 '오프'시킴과 더불어 상기 릴레이 b접점(36)을 '온'시킨다.
따라서, 상기 전자 밸브(24) 및 경보 장치(26)로 공급되던 전원이 차단되어, 전자 밸브(24)가 닫히므로 상기 전자 밸브(24)를 통해 연료가 연료 여과기(25) 외부로 누출되지 않고, 상기 경보 장치(26)의 동작이 중단되게 되어 공기 빼기가 종료되었음을 사용자가 알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연료 감지 센서(35)가 연료 여과기(25) 내부 상단에 위치하므로 연료 여과기(25) 내의 연료가 완전히 소진되기 전에 연료 감지 센서(35)에 연료가 감지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연료 여과기(25) 내의 연료가 완전히 소진되기 전에 연소기기 및 전자 펌프(27,29)의 운전이 중단되어, 연료 여과기(25)의 토출측 니플(25-3)로부터 연소기기 및 전자 펌프(27,29) 사이의 송유관(23)에 공기가 침투하지 않게 되므로, 연료를 재급유 후 연소기기 및 전자 펌프(27,29)를 동작시키면 바로 점화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연소기기의 연료 공급 장치의 연료 여과기에 공기가 침투되면 자동으로 상기 연료 여과기 내에 침투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연료의 재급유시 공기 침투에 의한 착화 실패 없이 바로 점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0)

  1. 연료 탱크에 저장된 연료를 연료 여과기와 전자 펌프를 통해 연소기기로 공급하는 연소기기의 연료 공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료 여과기 내의 공기를 감지하여 상기 연료 여과기 내에서 공기가 감지되면 공기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공기 감지 수단 및, 상기 공기 감지 신호가 입력되면 자동으로 상기 연료 여과기 내의 공기를 빼는 공기 빼기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기기의 연료 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빼기 수단은, 상기 연료 여과기 내부와 외기를 연결하는 통로에 설치된 전자 밸브와, 상기 전자 밸브에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여 상기 전자 밸브를 개폐시키는 전자 밸브 구동 수단 및, 상기 공기 감지 수단으로부터 공기 감지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전자 밸브가 열리고, 상기 공기 감지 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전자 밸브가 닫히도록 상기 전자 밸브 구동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기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기기의 연료 공급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기의 제어에 의해 연료 여과기 내에 공기가 침투했음을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경보수단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기기의 연료 공급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수단은, 상기 전자 밸브 구동 수단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연료여과기 내에 공기가 침투했음을 사용자에게 알려주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기기의 연료 공급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밸브 구동 수단은, 상기 제어기기의 제어에 의해 '온/오프'되어 전원을 상기 전자 밸브 및 경보수단으로 공급/차단하는 릴레이 접점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기기의 연료 공급 장치.
  6. 상기 제5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온/오프'되어 상기 릴레이 접점을 통해 전자 밸브로 공급되는 전원을 공급/차단하는 스위치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기기의 연료 공급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여과기를 통해 공급된 연료를 연소하는 연소기기를 운전/정지시키는 연소기기 구동수단이 더 구비되는 한편, 상기 제어기기가, 상기 공기 감지 수단으로부터 공기 감지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연소기기가 정지되고, 상기 공기 감지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연소기기가 운전되도록 상기 연소기기 구동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기기의 연료 공급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기기 구동부는, 상기 제어기에 의해 '온/오프'되어 상기 연소기기로 공급되는 전원을 공급/차단하는 릴레이 접점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기기의 연료 공급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감지 수단이, 상기 연료 여과기 내의 연료를 감지하는 연료 감지센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기기의 연료 공급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감지 센서가, 상기 연료 여과기의 내부 상단에 위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기기의 연료 공급 장치.
KR2019960053008U 1996-12-20 1996-12-20 연소기기의 연료 공급 장치 KR2001590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3008U KR200159015Y1 (ko) 1996-12-20 1996-12-20 연소기기의 연료 공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3008U KR200159015Y1 (ko) 1996-12-20 1996-12-20 연소기기의 연료 공급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9935U KR19980039935U (ko) 1998-09-15
KR200159015Y1 true KR200159015Y1 (ko) 1999-10-15

Family

ID=19481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53008U KR200159015Y1 (ko) 1996-12-20 1996-12-20 연소기기의 연료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9015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1159B1 (ko) * 2001-03-22 2003-12-1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디젤차량 연료탱크와 연료펌프 사이의 공기 자동제거장치
KR100439881B1 (ko) * 2001-03-23 2004-07-12 기아자동차주식회사 디젤차량의 연료관내 공기제거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9935U (ko) 1998-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75073A (en) Device for detecting leakage of fuel vapor
JPH0666213A (ja) 蒸発燃料制御装置
KR200159015Y1 (ko) 연소기기의 연료 공급 장치
KR100197717B1 (ko) 연소기기의 운전 제어방법
GB2140091A (en) Fuel supply system for a diesel engine
JP2010043777A (ja) 液体燃料燃焼装置
JP2579611B2 (ja) 油種判別機能を備えた給油装置
KR0120303Y1 (ko) 로터리히터의 수분제거장치
KR100218221B1 (ko) 난방기구의 연료계통 내의 공기 자동 배출 장치
KR0131732B1 (ko) 오일연소기의 연료탱크 수분제거장치
JPH092598A (ja) 給油装置
KR970003166B1 (ko) 온풍난방기의 공기배출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3738204B2 (ja) 液体燃料燃焼装置およびその検査方法
JP3676098B2 (ja) ポット式液体燃料燃焼装置
JP5374928B2 (ja) 燃焼器の燃料供給装置
JPS5833408Y2 (ja) 石油燃焼器の安全装置
JP3123336B2 (ja) 給茶機
JP2931045B2 (ja) 油種判別機能を備えた給油装置
JP2501660Y2 (ja) 液体燃料燃焼装置
KR19980037047A (ko) 불량 연료 감지 시스템
JPH0763327A (ja) ポット式石油ストーブ
KR19980083455A (ko) 연료 탱크의 연료 검지 장치
JP3346112B2 (ja) 燃焼制御装置
KR930003800Y1 (ko) 온수순환장치
KR200308649Y1 (ko) Lpg 지게차 연료잔량 경고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62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