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8509Y1 - 보조미러가 설치된 자동차의 룸미러 - Google Patents

보조미러가 설치된 자동차의 룸미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8509Y1
KR200158509Y1 KR2019960066498U KR19960066498U KR200158509Y1 KR 200158509 Y1 KR200158509 Y1 KR 200158509Y1 KR 2019960066498 U KR2019960066498 U KR 2019960066498U KR 19960066498 U KR19960066498 U KR 19960066498U KR 200158509 Y1 KR200158509 Y1 KR 2001585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room mirror
room
rack gear
rear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664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3311U (ko
Inventor
유진환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600664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8509Y1/ko
Publication of KR1998005331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331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85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850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8Rear-view mirror arrangements involving special optical features, e.g. avoiding blind spots, e.g. convex mirrors; Side-by-side associations of rear-view and other mirrors
    • B60R1/081Rear-view mirror arrangements involving special optical features, e.g. avoiding blind spots, e.g. convex mirrors; Side-by-side associations of rear-view and other mirrors avoiding blind spots, e.g. by using a side-by-side association of mirr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4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inside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보조미러가 설치된 자동차의 룸미러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야간운행시 후방시트의 탑승자의 형태를 볼 수 없어 강도의 위험이 있기 때문에 안전 운행을 할 수 없는 등의 문제가 종종 발생했었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자동차의 룸미러에 있어서, 그 룸미러(10)의 내부로 형성된 공간부(12)에는 차단벽(16)에 의해 이면으로 수납실(14)을 형성하되 그 수납실(14)에는 하부로 손잡이부(22)가 돌출되면서 회동홈(24)이 형성된 보조미러(20)를 승하강될 수 있도록 설치하고, 상기 회동홈(24)에는 랙기어(30) 하단에 형성된 원형의 회전돌부(32)가 끼워져 회동 가능하게 끼워 설치되고, 상기 룸미러(10)에 장착된 거울(40)의 이면에는 걸림편(70)이 스프링(60)의 힘에 의해 출몰되면서 랙기어(30)에 걸려질 수 있도록 출입공(52)이 형성된 수납박스(50)를 돌출시켜 된 것으로, 후방시트의 탑승자의 동태를 쉽게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강도의 위험을 예방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갖게 된 고안이다.

Description

보조미러가 설치된 자동차의 룸미러
본 고안은 보조미러가 설치된 자동차의 룸미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룸미러에 형성된 수납실에 보조미러를 승하강될 수 있게 설치함으로써, 보조미러를 사용할 때에는 그 보조미러를 하강 후 외부로 돌출시켜 후방시트에 착석한 탑승자의 동태를 효과적으로 감지할 수 있게 하는 반면,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룸미러에 형성된 수납실에 내장하여 미관을 해치지 않게 한 보조미러가 설치된 자동차의 룸미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운전석측 헤드라이닝에는 룸미러가 설치되어 운전자의 후방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룸미러 외에 자동차 양측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도어에는 사이드미러를 설치하여 후방의 사각지대 및 후방시야를 확보토록 하여 전진 주행시 차선을 바꿀 때 그 차선 방향으로 주행중인 차량을 감시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 중 상기 룸미러는 후방 시야만을 볼 수 있을 뿐 차내부의 후방시트를 완전하게 감시할 수 없기 때문에 야간운행시 후방시트의 탑승자의 형태를 볼 수 없어 강도의 위험이 있기 때문에 안전 운행을 할 수 없는 등의 문제가 종종 발생했었다.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룸미러에 형성된 수납실에 수납 기능하게 설치된 보조미러를 사용할 때에는 하강시켜 후방시트의 탑승자들을 효과적으로 감시할 수 있게 하는 반면,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보조미러를 상승시켜 룸미러의 수납실에 내장하여 미관을 향상시키게 된 보조미러가 설치된 자동차의 룸미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은 자동차의 룸미러에 있어서, 그 룸미러의 내부로 형성된 공간부에는 차단벽에 의해 이면으로 수납실을 형성하되 그 수납실에는 하부로 손잡이부가 돌출되면서 회동홈이 형성된 보조미러를 승하강될 수 있도록 설치하고, 상기 회동홈에는 랙기어 하단에 형성된 원형의 회전돌부가 끼워져 회동 가능하게 끼워 설치되고, 상기 룸미러에 장착된 거울의 이면에는 걸림편이 스프링의 힘에 의해 출몰되면서 랙기어에 걸려질 수 있도록 출입공이 형성된 수납박스를 돌출함으로써 달성되는 것이다.
제1도는 본 고안의 룸미러의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룸미러 12 : 공간부
14 : 수납실 16 : 차단벽
20 : 보조미러 22 : 손잡이부
24 : 회동홈 30 : 랙기어
32 : 회전돌부 40 : 거울
50 : 수납박스 52 : 출입공
60 : 스프링 70 : 걸림편
첨부된 도면 제1도는 내지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자동차 룸미러(10)의 내부로 형성된 공간부(12)에는 차단벽(16)에 의해 이면으로 수납실(14)을 형성한다.
그 수납실(14)에는 하부로 손잡이부(22)가 돌출되면서 회동홈(24)이 형성된 보조미러(20)를 승하강될 수 있도록 설치한다.
상기 회동홈(24)에는 랙기어(30) 하단에 형성된 원형의 회전돌부(32)가 끼워져 회동 가능하게 끼워 설치한다.
상기 룸미러(10)에 장착된 거울(40)의 이면에는 걸림편(70)이 스프링(60)의 힘에 의해 출몰되면서 랙기어(30)에 걸려질 수 있도록 출입공(52)이 형성된 수납박스(50)를 돌출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자세히 설명한다.
즉, 본 고안에서는 도면에 미도시된 헤드라이닝에 룸미러(10)가 설치되어 운전자의 후방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고 있는데, 야간 운행이나 인적이 드문 곳을 운행할 때 강도의 위험이 있을 경우 도면에 미도시된 후방시트의 탑승자들의 동태를 감시할 수 있도록 룸미러(10)에 형성된 수납실(14)에서 보조미러(20)를 하강시킨 후 후방을 효과적으로 감시할 수 있게 된 고안이다.
이때, 룸미러(10)의 내부에는 차단벽(16)에 의해 공간부(12)와 수납실(14)을 형성한 다음, 상기 공간부(12)에 돌출될 수 있도록 거울(40)의 이면에는 수납박스(50)를 돌출 형성하되, 그 수납박스(50)에는 스프링(60)과 걸림편(70)을 설치한다. 이 때 그 걸림편(70)은 스프링(60)의 힘에 의해 수납박스(50)에 형성된 출입공(52)으로 출몰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수납실(14)에는 손잡이부(22)와 회동홈(24)을 형성한다. 그 후, 그 회동홈(24)에는 랙기어(30) 하단의 회전돌부(32)가 끼워져 회동 가능한 상태로 한다. 아울러 랙기어(30)는 상기 걸림편(70)에 의해 차례로 걸릴 수 있도록 한다.
이후, 보조미러(20)를 사용할 경우 손잡이부(22)를 잡고 보조미러(20)를 하강시키게 되면, 그 보조미러(20)의 회동홈(24)에 하단의 회전돌부(32)가 끼워져 있는 랙기어(30)로 함께 하강한다. 이와 동시에 상기 걸림편(70)은 랙기어(30)의 기어에 선택적으로 걸리면서 상기 수납박스(50)의 출입공(52)에서 출몰되는 것이다. 다시 말해, 기어에 밀려 후퇴했던 걸림편(70)은 후단의 스프링(60)의 힘으로 랙기어(30)가 하강하는 것을 일시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 보조미러가 설치된 자동차의 룸미러에 따르면, 룸미러에 형성된 수납실에 상부로 랙기어의 하단이 끼워진 보조미러를 승하강될 수 있게 설치하면서, 그 랙기어는 수납공간에 설치된 걸림편에 의해 차례로 걸려지게 함으로써, 후방 시트의 탑승자의 동태를 쉽게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강도의 위험을 예방할 수 있게 되는 한편, 사용하지 않을 경우 룸미러에 수납할 수 있게 되어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고안이다.

Claims (1)

  1. 자동차의 룸미러에 있어서, 그 룸미러(10)의 내부로 형성된 공간부(12)에는 차단벽(16)에 의해 이면으로 수납실(14)을 형성하되 그 수납실(14)에는 하부로 손잡이부(22)가 돌출되면서 회동홈(24)이 형성된 보조미러(20)를 승하강될 수 있도록 설치하고, 상기 회동홈(24)에는 랙기어(30) 하단에 형성된 원형의 회전돌부(32)가 끼워져 회동 가능하게 끼워 설치되고, 상기 룸미러(10)에 장착된 거울(40)의 이면에는 걸림편(70)이 스프링(60)의 힘에 의해 출몰되면서 랙기어(30)에 걸려질 수 있도록 출입공(52)이 형성된 수납박스(50)를 돌출시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미러가 설치된 자동차의 룸미러.
KR2019960066498U 1996-12-31 1996-12-31 보조미러가 설치된 자동차의 룸미러 KR2001585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6498U KR200158509Y1 (ko) 1996-12-31 1996-12-31 보조미러가 설치된 자동차의 룸미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6498U KR200158509Y1 (ko) 1996-12-31 1996-12-31 보조미러가 설치된 자동차의 룸미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3311U KR19980053311U (ko) 1998-10-07
KR200158509Y1 true KR200158509Y1 (ko) 1999-10-15

Family

ID=19488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66498U KR200158509Y1 (ko) 1996-12-31 1996-12-31 보조미러가 설치된 자동차의 룸미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8509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7925B1 (ko) * 2017-08-31 2019-05-13 이종목 차량용 룸미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3311U (ko) 1998-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21337A (en) Telescopic side mirror
US20020067047A1 (en) Protective device for securing the storage space in the interior of a vehicle
KR200158509Y1 (ko) 보조미러가 설치된 자동차의 룸미러
KR200141404Y1 (ko) 자동차용 옷걸이 장치
KR0122268Y1 (ko) 자동차의 보조거울
KR0113592Y1 (ko) 자동차용 백미러의 출몰장치
KR200204149Y1 (ko) 자동차용 스페어 타이어 고정구조
CN219115304U (zh) 一种翻转式杯托
KR200144149Y1 (ko) 자동차용 방향제의 수납케이스
JPH0346330B2 (ko)
KR950008101Y1 (ko) 자동차의 사이드미러 보호장치
KR19990020943U (ko) 스페어 타이어 수납장치
KR19990026192U (ko) 자동차용 사이드 미러
KR200190133Y1 (ko) 화물차의 스페어 휠 캐리어 조립체(spare wheel carrier assembly of truck)
KR200161246Y1 (ko) 자동차의 도어 팔걸이
KR100410332B1 (ko) 차량의 인출형 사이드 선바이저
KR100212186B1 (ko) 자동차용 아웃사이드 미러조립체
KR0132485Y1 (ko) 차량의 착탈식 아웃사이드미러
JPH06107106A (ja) 自動車用装備品
KR19980082750A (ko) 트렁크실의 슬라이딩패널
JPH0728984Y2 (ja) 電動式リヤカーテン装置
JPH09216516A (ja) 車輌用日除けスクリーン
KR200152198Y1 (ko) 차량의 썬글라스 보관함구조
KR19990009388U (ko) 자동차용 화장지 케이스 고정장치
KR19990025529U (ko) 스페어 타이어 수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