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7250Y1 - 자동차용 루프 캐리어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루프 캐리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7250Y1
KR200157250Y1 KR2019970018377U KR19970018377U KR200157250Y1 KR 200157250 Y1 KR200157250 Y1 KR 200157250Y1 KR 2019970018377 U KR2019970018377 U KR 2019970018377U KR 19970018377 U KR19970018377 U KR 19970018377U KR 200157250 Y1 KR200157250 Y1 KR 2001572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hole
slide
case member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83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5091U (ko
Inventor
차국모
Original Assignee
차국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국모 filed Critical 차국모
Priority to KR20199700183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7250Y1/ko
Publication of KR1999000509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509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72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725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00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 B60R9/04Carriers associated with vehicle ro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루프 캐리어에 관한 것이고, 본 고안은 차량의 루프 패널과 도어 패널 사이의 융착부에 좌우측으로 고정되는 케이스 부재(3)의 상부에 체결핀(12)의 정역 회전에 따라 슬라이드 당겨지는 홀더 부재(14)에 의해 하향 이동하며 차폭방향으로 설치되는 레일(1)을 슬라이드 고정 및 해제 시킬 수 있도록 레일 고정부재(13)을 구비 하므로써, 각종 차량의 차폭에 관계없이 어느 차종에서도 호환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한 고안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루프 캐리어
본 고안은 자동차용 루프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루프 패널 상면에 설치되어 스키장비 및 기타물품을 운반시키는 루프 캐리어가 모든 차량에 적용될 수 있도록 그 구조를 개선하여 루프 캐리어의 호환성을 향상시키도록 한 자동차용 루프 캐리어(roof carrier for car)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루프 캐리어는, 차량의 루프 패널 상면에 설치되며, 차실내에 보관하지 못하는 스키 장비 및 기타의 물품을 안치시켜 운반하는 것으로, 종래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루프 패널과 도어 패널이 상호 융착된 부위에 설치되는 루프 캐리어(51)와, 상기 루프 캐리어(51)의 대향되는 내측에 차폭방향으로 고정 결합되며 상하부에 길이방향의 가이드 홈(52)이 형성된 레일(53)로 이루어지며, 상기 레일(53)에는 각각 하부 가이드 홈(52)에 루프패널면과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양단이 고정되어 안치된 짐들의 크기에 따라 공간을 넓히거나 또는 좁힐수 있도록 된 가변 안치봉(54)과, 상기 레일(53)의 상부 가이드 홈(52)에 양단이 고정되며 안치된 짐이 전후방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이탈 방지봉(55)과, 상기 레일(53)의 상부 가이드 홈(52)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보조 캐리어(56)와, 상기 보조 캐리어(56)에 의해 차길이방향으로 고정되어 차량 주행시 짐이 좌우측으로 이탈되는것을 방지하는 지지봉(57)을 구비하여 장비를 안전하게 운반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었다.
상기와 같이 종래에는 루프 캐리어의 내측벽에 가변 안치봉, 이탈방지봉, 및 보조 캐리어를 고정시키도록 된 레일의 양단이 일체형으로 고정되어 있어, 차량의 루프 패널 폭이 동일한 차종에서만 사용 가능하였고, 차폭이 넓거나 좁을 경우에는 레일 길이가 다른 또다른 루프 캐리어를 설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차량의 루프 패널 상면에 설치되는 루프 캐리어가 차폭에 관계없이 호환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루프 캐리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차량에 적용되는 루프 캐리어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루프 캐리어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작동상태도로서,
(가)는 루프 캐리어의 레일을 고정하기 전의 상태도, (나)는 루프 캐리어의 레일을 고정한 상태도,
도 6의 (가) 및 (나)는 루프 패널에 밀착되는 완충부재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레일 2: 스토퍼 3: 케이스 부재 4,5: 가이드 홈 6: 캡 7: 키홀더 8: 커버 9: 지지판 10,26: 체결구 11: 완충부재 12: 체결핀 13: 레일 고정부재 14: 홀더 부재 15: 수평편 16: 절곡편 17: 공구 삽입홀 18,25: 체결홀 19: 슬라이드 홀 20: 머리부 21: 나사부 22: 핀 통과홀 23: 경사면 24: 고정편 27: 록킹핀 28: 돌기 29: 고정홈 30: 키 31: 끼움부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차량의 루프 패널과 도어 패널이 상호 융착되는 부위에 좌우 한 쌍의 케이스 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케이스 부재 사이에 레일이 설치되는 자동차용 루프 캐리어에 있어서, 상기 루프 캐리어는, 일측에 키홀더로 잠금되는 커버가 구비되며, 저면에는 바닥면을 감싸며 고정되는 지지판이 구비되고, 상부에는 공구 삽입홀 및 상기 공구 삽입홀과 연통되는 슬라이드 홀이 형성되는 케이스 부재와; 상기 케이스 부재의 공구 삽입홀에 끼워지며, 상부에는 상기 레일의 가이드 홈에 안내되도록 수평판이 구비되고, 하부에는 상기 케이스 부재의 슬라이드 홀에 삽입되도록 절곡된 절곡편이 형성되며, 상기 절곡편에는 핀 통과홀이 형성되는 레일 고정부재와; 상기 케이스 부재의 슬라이드 홀에 슬라이드 삽입되며 삽입시에 하향 이동되도록 경사면이 형성된 홀더 부재와; 일측 머리부가 상기 케이스 부재에 지지되고, 타측 나사부가 상기 레일 고정부재의 핀 통과홀을 통과하여 상기 홀더 부재의 체결홀에 나사 결합되는 체결핀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다른 특징은, 상기 케이스 부재의 저면에는 차량의 루프 패널 경사각도에 따라 바닥면이 각기 다르게 형성되는 완충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루프 캐리어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루프 캐리어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루프 캐리어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결합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도 5는 작동상태도로서 (가)는 고정전의 상태이고, (나)는 고정시킨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 6의 (가) 및 (나)는 차종에 따라 캐리어가 고정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루프 캐리어는, 상하부에 가이드 홈이 형성된 레일(1)과, 저면이 차량의 루프 패널과 도어 패널이 상호 융착되는 부위에 고정편(24)에 의해 고정되며, 상부면에 상기 레일(1)을 탈착가능하게 고정시키도록 레일 고정부재(13)를 구비하는 케이스 부재(3)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레일(1)은, 상하부면에 각각 길이방향으로 가이드 홈(4)(5)이 형성되어 있고, 그 양단은 탈착 가능한 캡(6)이 끼워져 고정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 부재(3)는, 일측벽에 키홀더(7)로 잠금되는 커버(8)를 구비하고 있고, 저면에는 절곡된 지지판(9)이 구비되어 상기 케이스 부재(3)의 바닥면을 감싸며 체결구(10)로서 밀착 고정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판(9)은 금속재질로 절곡되어 상기 케이스 부재(3)의 외측벽에 고정된 상측에는 체결홀(25)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 부재(3)의 지지판(9)에는 완충부재(11)가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어 차량의 루프 패널 상면에 탄력적으로 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 부재(3)의 상면에는 상향으로 개방된 공구 삽입홀(17)이 형성되어 있고, 그 일측에는 상기 공구 삽입홀(17)과 직교되어 연통된 슬라이드 홀(19)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슬라이드 홀(19)의 상측 내벽은 외측에서 중앙으로 근접될수록 바닥면과 간격이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완충부재(11)는 완충력을 가지며, 바닥면이 차량의 루프 패널의 경사각에 따라 각기 다르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 부재(3)의 공구 삽입홀(17)에는 레일 고정부재(13)가 삽입되어 체결핀(12)의 정역회전에 따라 상기 레일(1)을 고정 및 해제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는데, 상기 레일 고정부재(13)는 수평편(15)과 상기 수평편(15)과 일체로 형성된 절곡편(16)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평편(15)은 상기 레일(1)의 저면에 형성된 가이드 홈(5)에 끼워져 슬라이드 안내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절곡편(16)은 상기 수평편(15)의 중앙에 직교되며, 그 하단이 절곡된 형상을 하여 상기 케이스(3)의 공구 삽입홀(17)에 삽입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 부재(3)의 슬라이드 홀(19)에는 홀더 부재(14)가 삽입되는데, 상기 홀더 부재(14)는 상부가 상기 슬라이드 홀(19)의 경사면에 슬라이드 되도록 상면이 선단쪽으로 높이가 낮아지는 경사진 경사면(23)을 형성하여 슬라이드 삽입시 하향 이동하며 끼워져, 상기 고정부재(13)의 절곡편(16)을 하향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홀더 부재(14)의 선단 중앙면에는 체결홀(18)이 형성되어 있고, 타측 하단에는 슬라이드 삽입시 상기 레일 고정부재(13)의 절곡편(16) 선단에 걸리도록 스토퍼(2)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홀더 부재(14)의 반대쪽 케이스 부재(3)에는 체결핀(12)이 고정되는데, 상기 체결핀(12)은 일측 머리부(20)가 상기 케이스 부재(3)의 외측벽에 지지되어 있고, 타측 나사부(21)가 상기 레일 고정부재(13)의 절곡편(16)에 형성된 핀 통과홀(22)을 통과하여 홀더 부재(14)의 체결홀(18)에 나사결합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도면부호 31은 끼움부재로서, 상기 끼움부재는 상기 레일(1)의 상부 가이드 홈(4)에 짐을 고정시키기 위해 필요한 다른 캐리어 및 공지의 지지봉을 고정시킨후, 개방되는 가이드 홈(4)에 이물질 및 먼지등이 끼지 않도록 끼움식으로 고정하는 것이고, 도면부호 29는 고정홈으로서, 상기 커버(8)의 하단 돌기(28)가 끼워지도록 된 것이며, 도면부호 27은 록킹핀으로서 상기 커버(8)의 키홀더(7)가 키(30)에 의해 회전시 록킹되도록 구비된 것이다.
또한, 상기 케이스 부재(3)의 공구 삽입홀(17)을 거쳐 슬라이드 홀(19)에 삽입되는 레일 고정부재(13)의 절곡편(16)은, 선단이 상기 슬라이드 홀(19)의 바닥면에 지지되도록 하고, 절곡된 타측이 상향으로 경사진 각도를 유지시켜, 상기 홀더 부재(14)가 슬라이드시 절곡편(16)을 누루도록 절곡함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루프 캐리어를 조립하고자 하면,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루프 캐리어에 포함되는 케이스 부재(3)의 저면에 절곡된 지지판(9)을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체결구(26)로서 고정시키고, 연속해서 상기 지지판(9)의 저면에 차량의 루프 패널 경사각에 맞는 완충부재(11)를 도 6의 (가) 및 (나)에 도시된 바와같이 끼워서 고정시킨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 부재(3)의 상부 공구 삽입홀(17)에는 레일 고정부재(13)의 절곡편(16)이 삽입되도록 하고, 동시에 상기 케이스 부재(3)의 공구 삽입홀(17)과 연통된 슬라이드 홀(19)에 홀더 부재(14)를 슬라이드 삽입시키되, 상기 홀더 부재(14)는 도 5의 (가) 및 (나)에 도시된 바와같이, 선단이 상기 레일 고정부재(13)의 절곡된 절곡편(16)에 삽입되도록 한다. 그리고 나서 체결핀(12)의 나사부(21)를 상기 레일 고정부재(13)의 절곡편(16)에 형성된 핀 통과홀(22)을 통과시키면서, 상기 홀더 부재(14)의 체결홀(18)에 나사 결합되도록 한다. 연속해서 상기 고정편(24)의 일단을 루프 패널과 도어 패널이 상호 융착된 부위에 걸림 고정시키고, 타단을 상기 지지판(9)의 체결홀(25)에 밀착시킨후 체결구(26)로서 결합시킨다. 이후 커버(8)의 하단 돌기(28)를 케이스 부재(3)의 하부 고정홈(29)에 끼운후 키홀더(7)의 키(30)를 회전시키면 키홀더(7)가 케이스 부재(3)의 록킹핀(27)에 걸려 고정되면 조립이 완료 되는 것이다.
이후, 차량의 루프 패널에 고정된 케이스 부재(3)의 상부에 레일(1)을 고정시키고자 하면, 먼저 레일(1)의 양단에 끼워진 캡(6)을 이탈시키고, 연속해서 상기 레일(1)의 하부 가이드 홈(5)을 상기 케이스 부재(3) 상부에 구비된 레일 고정부재(13)의 수평편(15)에 슬라이드 삽입시킨다. 그리고 나서 다시 캡(6)을 상기 레일(1)의 양단에 각각 끼운후, 상기 케이스 부재(3)에 결합된 채결핀(12)을 회전시키면 홀더 부재(14)가 슬라이드 홀(19)의 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드 당겨지면서 상기 레일 고정부재(13)의 직교 절곡편(16)을 하향 이동시키게 됨에 따라 상기 수평편(15)이 레일(1)을 고정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상기 레일(1)의 상하부 가이드 홈(4)(5)에 다른 캐리어 케이스, 또는 물건을 안치시킨후 좌우 및 전후방 이탈을 방지하는 통상의 지지봉들을 동일한 방법으로 고정시키면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루프 캐리어는, 차량의 루프 패널과 도어 패널 사이의 융착부에 좌우측으로 고정되는 케이스 부재의 상부에는, 체결핀의 정역 회전에 따라 슬라이드 당겨지는 홀더 부재에 의해 하향 이동하며 차폭방향으로 설치되는 레일을 슬라이드 고정 및 해제 시킬 수 있도록 레일 고정부재를 구비 하므로써, 각종 차량의 차폭에 관계없이 어느 차종에서도 호환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차량의 루프 패널과 도어 패널이 상호 융착되는 부위에 좌우 한 쌍의 케이스 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케이스 부재 사이에 레일이 설치되는 자동차용 루프 캐리어에 있어서,
    상기 루프 캐리어는, 일측에 키홀더로 잠금되는 커버가 구비되며, 저면에는 바닥면을 감싸는 완충부재가 고정되도록 지지판이 구비되고, 상부에는 상향으로 개방되는 공구 삽입홀 및 상기 공구 삽입홀과 연통된 상태에서 타측으로 개방된 슬라이드 홀이 형성되는 케이스 부재와;
    상기 케이스 부재의 공구 삽입홀에 끼워지며, 상부에는 상기 레일의 가이드 홈에 안내되도록 수평판이 구비되고, 하부에는 상기 케이스 부재의 슬라이드 홀에 삽입되도록 절곡된 절곡편이 형성되며, 상기 절곡편에는 핀 통과홀이 형성되는 레일 고정부재와;
    상기 케이스 부재의 슬라이드 홀에 슬라이드 삽입시키되, 상기 슬라이드 홀에 삽입된 레일 고정부재의 절곡편 선단에 올려지도록 하며, 삽입시에 상기 슬라이드 홀의 상측 내벽에 슬라이드 되면서 저면이 상기 절곡편을 누루도록 상면에 경사면이 형성되는 홀더 부재와;
    회전시 상기 홀더 부재를 당기도록 일측 머리부가 상기 케이스 부재에 지지되고, 타측 나사부가 상기 레일 고정부재의 핀 통과홀을 통과하여 상기 홀더 부재의 체결홀에 나사 결합되는 체결핀;
    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루프 캐리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부재의 저면 지지판에 고정되는 완충부재는, 차종에 따른 루프 패널의 경사각도에 따라 바닥면이 절곡 형성되어 탈착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루프 캐리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부재의 슬라이드 홀은, 상측 내벽이, 슬라이드 삽입되는 상기 홀더부재를 누루도록 내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루프 캐리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 부재는, 상기 케이스 부재의 슬라이드 홀에 삽입시 레일 고정부재의 절곡편 선단에 걸려 이동거리가 제한되도록 후단에 하향으로 돌출된 스토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루프 캐리어.
KR2019970018377U 1997-07-11 1997-07-11 자동차용 루프 캐리어 KR2001572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8377U KR200157250Y1 (ko) 1997-07-11 1997-07-11 자동차용 루프 캐리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8377U KR200157250Y1 (ko) 1997-07-11 1997-07-11 자동차용 루프 캐리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5091U KR19990005091U (ko) 1999-02-05
KR200157250Y1 true KR200157250Y1 (ko) 1999-09-15

Family

ID=19505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8377U KR200157250Y1 (ko) 1997-07-11 1997-07-11 자동차용 루프 캐리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7250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3486B1 (ko) 2020-04-29 2021-09-16 차재호 차량용 루프 캐리어 결속 기구
KR102561106B1 (ko) 2023-05-30 2023-07-27 차재호 차량용 루프 캐리어 결속 기구
KR102582753B1 (ko) 2023-07-04 2023-09-22 차재호 밴드형 루프랙 결속기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3486B1 (ko) 2020-04-29 2021-09-16 차재호 차량용 루프 캐리어 결속 기구
KR102561106B1 (ko) 2023-05-30 2023-07-27 차재호 차량용 루프 캐리어 결속 기구
KR102582753B1 (ko) 2023-07-04 2023-09-22 차재호 밴드형 루프랙 결속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5091U (ko) 1999-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96253A (en) Cabs of heavy construction vehicles with an openable front window and a locking device therefor
JP2653400B2 (ja) 自動車に取り付けられる引出し可能なスライディングユニット
US4433507A (en) Structure for preventing vertical movement of a sliding door
US20200114838A1 (en) Clip
US5316361A (en) Expandable visor
KR200157250Y1 (ko) 자동차용 루프 캐리어
US6299236B1 (en) Interior lining, and door fitted therewith, comprising a means for limiting the displacement of a window at least in one direction
KR101776513B1 (ko) 차량용 캐리어 장치
CN113874254A (zh) 用于将至少一个相机壳体固定到车辆的车辆部件的支架基部部件、相机壳体和相机系统
KR100395067B1 (ko) 자동차용 콘솔 암레스트 록킹장치
KR102478817B1 (ko) 착탈형 스톱퍼를 구비한 슬라이딩형 글로브 박스
GB2122154A (en) A locking device for locking roof racks and roof mountings on motor vehicles
US20200198552A1 (en) Clip
EP1145887A2 (en) Open roof construction for a vehicle
JP3056701B2 (ja) 車両用ルーフキャリア
KR100381482B1 (ko) 자동차의 콘솔 록킹 장치
KR100350274B1 (ko) 자동차용 글로브박스
JP2001113995A (ja) シートスライド装置のロック機構
KR100472231B1 (ko) 자동차용 룸미러 구조
JP3229758B2 (ja) フランス落とし装置
KR0122070Y1 (ko) 자동차의커버링셀프센터고정핀용장착클립
KR100494494B1 (ko) 차량의 글로브박스 잠금장치
KR930005354Y1 (ko) 자동차의 후드 케이블(hood cable)지지구
JPH0834240A (ja) サンシェードの停止、係止装置
KR200150420Y1 (ko) 버스용 러기지룸의 플로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31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