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7169Y1 - 카오디오의 프론트 패널 착탈구조 - Google Patents

카오디오의 프론트 패널 착탈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7169Y1
KR200157169Y1 KR2019970010199U KR19970010199U KR200157169Y1 KR 200157169 Y1 KR200157169 Y1 KR 200157169Y1 KR 2019970010199 U KR2019970010199 U KR 2019970010199U KR 19970010199 U KR19970010199 U KR 19970010199U KR 200157169 Y1 KR200157169 Y1 KR 2001571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ont panel
panel
car audio
escaping
insert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01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5857U (ko
Inventor
한상호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20199700101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7169Y1/ko
Publication of KR1998006585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585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71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716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05Dashboar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카오디오의 프론트 패널 착탈구조에 관한 것으로, 일측의 이젝트노브(24)를 가압하여 카오디오의 이스커쳔(2) 패널삽입부(4)에 설치된 후크부재(12)를 회동시켜 상기 이스커쳔(2)의 패널삽입부(4)에 결합된 프론트 패널(28)을 분리하는 카오디오의 프론트 패널 착탈구조에 있어서, 상기 이스커쳔(2)에는, 상기 패널삽입부(4)의 하부 양측에 지지돌기(8)를 형성하고, 상기 패널삽입부(4)의 지지돌기(8) 사이에 고정공(6)을 형성하며; 상기 프론트 패널(28)에는, 하면의 양측에 함몰부분을 형성하고 상기 함몰부분에는 상기 패널삽입부(4)의 지지돌기(8)가 끼워지는 지지홈(32)을 형성하며, 상기 지지홈(32) 사이에는 상기 패널삽입부(4)의 고정공(6)에 끼워지는 걸림편(34)을 형성한 것으로서, 프론트 패널(28)을 이스커쳔(2)으로부터 분리시 프론트 패널(28)이 이스커쳔(2)으로부터 이탈하여 바닥에 떨어져 프론트 패널(28)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프론트 패널(28)을 이스커쳔(2)에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카오디오의 프론트 패널 착탈구조{A DETACHABLE STRUCTURE OF FRONT PANEL FOR CAR AUDIO}
본 고안은 카오디오의 프론트 패널 착탈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프론트 패널이 저면을 중심으로 상하로 회동하여 분리 또는 조립되도록 함으로써 프론트 패널의 분리시 프론트 패널이 이스커쳔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프론트 패널의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카오디오의 프론트 패널 착탈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카오디오는 최근에 본체의 조작부인 프론트 패널을 이스커쳔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운전자가 차량을 주차시킨 후 카오디오 본체로부터 상기 프론트 패널을 분리시켜 휴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카오디오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카오디오의 프론트 패널 착탈구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카오디오의 이스커쳔(62) 전면에 형성된 패널삽입부(64) 일측에 설치되어 이젝트노브(82)에 의하여 프론트 패널(86)의 일측을 착탈시키는 후크부재(72)와, 상기 이스커쳔(62)의 패널삽입부(64)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프론트 패널(86)의 타측을 지지하는 힌지부재(94)와, 상기 후크부재(72)와 힌지부재(94) 사이에 설치된 탄성부재(7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종래 카오디오의 프론트 패널 착탈구조를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후크부재(72)는 수직하게 형성된 회동축(74)의 양단에 상기 이스커쳔(62)의 후면에 형성된 리브(도시안됨)에 고정되는 결합단(79)이 형성되고, 상기 후크부재(72)의 회동축(74) 일측면에는 상기 이스커쳔(62)의 전면 일측에 설치된 이젝트노브(82)에 의하여 밀려 상기 회동축(74)을 중심으로 회동되는 가압편(76)이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후크부재(72)의 회동축(74)의 전면에는 상기 가압편(76)이 회동함으로써 상기 이스커쳔(62)의 패널삽입부(64) 일측에 형성된 작동공(도시안됨)을 통하여 상기 이스커쳔(62)의 후면에서 상기 이스커쳔(62)의 패널삽입부(64)로 회동하여 상기 프론트 패널(86)의 일측에 형성된 걸림홈(88)에 착탈되는 후크(78)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후크부재(72)의 결합단(79)에는 스프링(80)이 설치됨으로써 상기 후크부재(72)에 복원력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힌지부재(94)는 상기 이스커쳔(62)의 패널삽입부(64) 타측 상,하면으로 상기 프론트 패널(86) 타측 상,하면에 형성된 지지홈(90)에 삽입되도록 돌출 형성된 지지돌기(68)와, 상기 프론트 패널(86)의 타측면에 이스커쳔(62)의 패널삽입부(64) 상하측 지지돌기(68) 사이에 형성된 고정공(66)에 끼워지도록 돌출 형성된 걸림편(92)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프론트 패널(86) 타측 상,하면에 형성된 지지홈(90)은 상기 이스커쳔(62)의 패널삽입부(64) 지지돌기(68)가 원할하게 삽입되거나 이탈되도록 내측으로 함몰된 부위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70)는 이스커쳔(62)의 패널삽입부(64) 전면 상기 힌지부재(94)와 후크부재(72) 사이에 돌출되게 설치되어 프론트 패널(86)을 상기 이스커쳔(62)에서 분리할 경우 상기 프론트 패널(86)을 전방으로 밀어낼 수 있도록 내측에 탄성 스프링(도시안됨)이 설치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종래 카오디오의 프론트 패널 착탈구조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이스커쳔(62)에 결합되어 있는 상기 프론트 패널(86)을 분리시키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상기 이젝트노브(82)를 가압하면, 상기 이젝트노브(82)는 상기 이스커쳔(62)의 일측에 설치된 후크부재(72)의 가압편(76)을 가압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후크부재(72)의 회동축(74)이 일측으로 회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프론트 패널(86)의 걸림홈(88)에 끼워져 있던 후크(78)가 상기 걸림홈(88)에서 빠지게 되면서 상기 프론트 패널(86)의 일측이 상기 이스커쳔(62)에서 분리된다.
이때, 상기 이스커쳔(62)의 후크부재(72)와 힌지부재(94) 사이에서 상기 프론트 패널(86)의 후면에 의하여 눌려져 있던 탄성부재(70)의 탄성력에 의하여 프론트 패널(86)을 전방으로 밀게 되는데, 상기 프론트 패널(86)은 타측면이 상기 이스커쳔(62)의 패널삽입부(64)로 부터 분리되지 않음으로써 우측에서 좌측으로 회동하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상기 이젝트노브(82)에서 손을 띠게 되면, 상기 후크부재(72)의 가압편(76)을 가압하고 있는 이젝트노브(82)가 스프링(도시안됨)의 탄성력에 의하여 외측으로 돌출되면서 상기 이젝트노브(82)의 선단이 상기 후크부재(72)의 가압편(76)에서 떨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후크부재(72)의 가압편(76)은 결합단(79)에 설치된 스프링(80)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후크부재(72)의 회동축(74)을 중심으로 전방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회동축(74)에 설치된 후크(78)는 상기 이스커쳔(62)의 패널삽입부(64) 작동공을 통하여 돌출된 상태로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와 같이 일측이 이스커쳔(62)의 패널삽입부(64)에서 분리된 프론트 패널(86)을 잡고 상기 이스커쳔(62)의 회동부재를 중심으로 외측으로 회동시키면 상기 이스커쳔(62)의 고정공(66)에 끼워진 프론트 패널(86)의 걸림편(92)을 중심으로 프론트 패널(86)이 외측으로 회동되면서 상기 프론트 패널(86)의 지지홈(90)에 끼워져 있던 상기 지지돌기(68)가 상기 프론트 패널(86)의 지지홈(90)에서 이탈된다. 그런 다음 사용자가 상기 프론트 패널(86)을 파지하고 상기 프론트 패널(86)을 일측에서 빼내면 상기 이스커쳔(62)의 고정공(66)에 끼워져 있던 프론트 패널(86)의 걸림편(92)이 빠지면서 상기 프론트 패널(86)은 상기 이스커쳔(62)의 패널삽입부(64)로부터 완전히 분리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차량의 주차시 카오디오의 이스커쳔(62)에서 분리한 프론트 패널(86)을 휴대하게 됨으로써 카오디오의 도난을 방지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휴대하고 있던 프론트 패널(86)을 상기 카오디오의 이스커쳔(62)에 결합시키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는 상기 프론트 패널(86) 일측의 걸림편(92)을 상기 이스커쳔(62)의 패널삽입부(64) 고정공(66)에 끼운 다음, 상기 프론트 패널(86)의 타측을 상기 이스커쳔(62)의 패널삽입부(64) 내측으로 회동시키면 상기 프론트 패널(86)의 걸림편(92)의 상,하부에 형성된 지지홈(90)에 상기 이스커쳔(62)의 지지돌기(68)가 결합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프론트 패널(86)의 회동을 계속시키면 상기 프론트 패널(86)의 후면이 상기 이스커쳔(62)의 후크부재(72)와 힌지부재(94) 사이에 형성된 탄성부재(70)를 가압하게 된다.
또한, 상기 이스커쳔(62)의 작동공을 통하여 패널삽입부(64)내로 돌출된 후크부재(72)의 후크(78)가 상기 프론트 패널(86)에 의하여 이스커쳔(62)의 작동공을 통하여 이스커쳔(62)의 후면측으로 밀리다가 상기 후크부재(72)의 후크(78)가 상기 프론트 패널(86)의 걸림홈(88)에 닿으면 상기와 같이 이스커쳔(62)의 후부로 밀렸던 후크(78)가 결합단(79)에 설치된 스프링(80)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이스커쳔(62)의 작동공을 통하여 패널삽입부(64)로 돌출되면서 상기 프론트 패널(86)의 걸림홈(88)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프론트 패널(86)이 상기 이스커쳔(62)의 패널삽입부(64)에 결합된다.
그리하여 사용자는 상기와 같이 이스커쳔(62)의 패널삽입부(64)에 결합된 프론트 패널(86)의 조작버튼을 작동시켜 카오디오를 작동시킨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카오디오의 프론트 패널 착탈구조는 힌지부재(94)가 길이가 짧은 프론트 패널(86)의 타측에 형성되고 상기 프론트 패널(86)이 길이가 긴 가로방향으로 회동되므로 그 회동반경이 길어 이스커쳔(62)으로부터 프론트 패널(86)을 분리시 상기 프론트 패널(86)이 이스커쳔(62)으로부터 이탈하여 바닥에 떨어져 프론트 패널(86)이 손상되는 결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 카오디오의 프론트 패널 착탈구조는 상기 프론트 패널(86)을 이스커쳔(62)에 조립시 상기 프론트 패널(86)의 일측을 결합하고 타측을 이스커쳔(62)측으로 회동하여 조립하는데, 그 회동반경이 길어 조립이 용이하지 않은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프론트 패널이 저면을 중심으로 상하로 회동하여 분리 또는 조립되도록 함으로써 프론트 패널의 분리시 프론트 패널이 이스커쳔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프론트 패널의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카오디오의 프론트 패널 착탈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위하여 본 고안은 일측의 이젝트노브를 가압하여 카오디오의 이스커쳔 패널삽입부에 설치된 후크부재를 회동시켜 상기 이스커쳔의 패널삽입부에 결합된 프론트 패널을 분리하는 카오디오의 프론트 패널 착탈구조에 있어서, 상기 이스커쳔에는, 상기 패널삽입부의 하부 양측에 지지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패널삽입부의 지지돌기 사이에 고정공을 형성하며; 상기 프론트 패널에는, 하면의 양측에 함몰부분을 형성하고 상기 함몰부분에는 상기 패널삽입부의 지지돌기가 끼워지는 지지홈을 형성하며, 상기 지지홈 사이에는 상기 패널삽입부의 고정공에 끼워지는 걸림편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카오디오의 프론트 패널 착탈구조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카오디오의 프론트 패널 착탈구조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카오디오의 프론트 패널 착탈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이스커쳔 4 : 패널삽입부
6 : 고정공 8 : 지지돌기
12 : 후크부재 24 : 이젝트노브
28 : 프론트 패널 32 : 지지홈
34 : 걸림편
이하, 본 고안의 양호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실시 예의 구성을 설명한다.
본 고안에 의한 카오디오의 프론트 패널 착탈구조는 도 2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스커쳔(2)의 정면에 형성된 패널삽입부(4) 일측에 설치되어 이젝트노브(24)에 의하여 프론트 패널(28)의 일측을 착탈시키는 후크부재(12)와, 상기 이스커쳔(2)의 패널삽입부(4)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프론트 패널(28)의 하부를 지지하는 힌지부재(36)와, 상기 이스커쳔(2)의 패널삽입부(4) 내측에 설치되는 탄성부재(10)로 구성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카오디오의 프론트 패널 착탈구조를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후크부재(12)는 수직하게 형성된 회동축(14)의 양단에 상기 이스커쳔(2)의 후면에 형성된 리브(도시안됨)에 고정되는 결합단(20)이 형성되고, 상기 후크부재(12)의 회동축(14) 일측면에는 상기 이스커쳔(2)의 전면 일측에 설치된 이젝트노브(24)에 의하여 밀려 상기 회동축(14)을 중심으로 회동되는 가압편(16)이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후크부재(12)의 회동축(14)의 전면에는 상기 이젝트노브(24)에 의하여 가압편(16)이 회동함으로써 상기 이스커쳔(2)의 패널삽입부(4) 일측에 형성된 작동공(도시안됨)을 통하여 상기 이스커쳔(2)의 후면에서 상기 이스커쳔(2)의 패널삽입부(4)로 회동하여 상기 프론트 패널(28)의 일측에 형성된 걸림홈(30)에 착탈되는 후크(18)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후크부재(12)의 결합단(20)에는 스프링(22)이 설치됨으로써 상기 후크부재(12)에 복원력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힌지부재(36)는 상기 이스커쳔(2)의 패널삽입부(4) 하부 양측으로 상기 프론트 패널(28) 하부 양측에 형성된 지지홈(32)에 삽입되도록 돌출 형성된 지지돌기(8)와, 상기 프론트 패널(28)의 하면에 이스커쳔(2)의 패널삽입부(4) 하부 양측 지지돌기(8) 사이에 형성된 고정공(6)에 끼워지도록 돌출 형성된 걸림편(34)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프론트 패널(28) 상,하면 타측에 형성된 지지홈(32)은 상기 이스커쳔(2)의 패널삽입부(4) 지지돌기(8)가 원할하게 삽입되거나 이탈되도록 내측으로 함몰된 부위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10)는 이스커쳔(2)의 패널삽입부(4) 전면 가운데에 돌출되게 설치되어 프론트 패널(28)을 상기 이스커쳔(2)에서 분리할 경우 상기 프론트 패널(28)을 전방으로 밀어낼 수 있도록 내측에 탄성 스프링(도시안됨)이 설치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카오디오의 프론트 패널 착탈구조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이스커쳔(2)에 결합되어 있는 프론트 패널(28)을 분리시키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상기 이젝트노브(24)를 가압하면 상기 이젝트노브(24)는 상기 이스커쳔(2)의 일측에 설치된 후크부재(12)의 가압편(16)을 가압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후크부재(12)의 회동축(14)이 일측으로 회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프론트 패널(28)의 걸림홈(30)에 끼워져 있던 후크(18)가 상기 걸림홈(30)에서 빠지게 되면서 상기 프론트 패널(28)의 상측이 상기 이스커쳔(2)으로 부터 분리된다. 이때, 상기 이스커쳔(2)의 후크부재(12)와 힌지부재(36) 사이에서 상기 프론트 패널(28)의 후면에 의하여 눌려져 있던 탄성부재(10)가 탄력적으로 전면으로 돌출되면서 프론트 패널(28)을 전방으로 밀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상기 이젝트노브(24)에서 손을 띠게 되면, 상기 후크부재(12)의 가압편(16)을 가압하고 있는 이젝트노브(24)가 스프링(도시안됨)의 탄성력에 의하여 외측으로 돌출되면서 상기 이젝트노브(24)의 선단이 상기 후크부재(12)의 가압편(16)에서 떨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후크부재(12)의 가압편(16)은 결합단(20)에 설치된 스프링(22)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후크부재(12)의 회동축(14)을 중심으로 전방으로 이동하고 상기 회동축(14)에 설치된 후크(18)는 상기 이스커쳔(2)의 패널삽입부(4) 작동공을 통하여 돌출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와 같이 일측이 이스커쳔(2)의 패널삽입부(4)에서 분리된 프론트 패널(28)을 잡고 상기 이스커쳔(2)의 하부 힌지부재(36)를 중심으로 상측에서 하측으로 회동시키면 상기 이스커쳔(2)의 고정공(6)에 끼워진 프론트 패널(28)의 걸림편(34)을 중심으로 프론트 패널(28)이 외측으로 회동되면서 상기 프론트 패널(28)의 지지홈(32)에 끼워져 있던 상기 지지돌기(8)가 상기 프론트 패널(28)의 지지홈(32)에서 이탈된다.
그런 다음 사용자가 상기 프론트 패널(28)을 파지하고 상기 프론트 패널(28)을 상측으로 빼내면 상기 이스커쳔(2)의 고정공(6)에 끼워져 있던 프론트 패널(28)의 걸림편(34)이 빠지면서 상기 프론트 패널(28)은 상기 이스커쳔(2)의 패널삽입부(4)로부터 완전히 분리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차량의 주차중 카오디오의 이스커쳔(2)에서 분리한 프론트 패널(28)을 휴대하게 됨으로써 카오디오의 도난을 방지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휴대하고 있던 프론트 패널(28)을 상기 카오디오의 이스커쳔(2)에 결합시키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는 상기 프론트 패널(28) 하단면의 걸림편(34)을 상기 이스커쳔(2)의 패널삽입부(4) 고정공(6)에 끼운 다음, 상기 프론트 패널(28)의 상측을 상기 이스커쳔(2)의 패널삽입부(4) 내측으로 회동시키면 상기 프론트 패널(28)의 걸림편(34)의 양측으로 형성된 지지홈(32)에 상기 이스커쳔(2) 힌지부재(36)의 지지돌기(8)가 결합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프론트 패널(28)의 회동을 계속하게 되면, 상기 프론트 패널(28)의 후면이 상기 이스커쳔(2)의 패널삽입부(4) 전면 가운데에 형성된 탄성부재(10)를 가압하게 되고, 상기 이스커쳔(2)의 작동공을 통하여 패널삽입부(4)내로 돌출된 후크부재(12)의 후크(18)가 상기 프론트 패널(28)에 의하여 이스커쳔(2)의 작동공을 통하여 이스커쳔(2)의 후면측으로 밀린다. 상기와 같이 이스커쳔(2)의 후면측으로 밀리던 후크부재(12)의 후크(18)가 상기 프론트 패널(28)의 걸림홈(30)에 닿으면 상기와 같이 이스커쳔(2)의 후부로 밀렸던 후크(18)가 결합단(20)에 설치된 스프링(22)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이스커쳔(2)의 작동공을 통하여 패널삽입부(4)로 돌출되면서 상기 프론트 패널(28)의 걸림홈(30)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프론트 패널(28)이 상기 이스커쳔(2)의 패널삽입부(4)에 결합된다.
그리하여 사용자는 상기와 같이 이스커쳔(2)의 패널삽입부(4)에 결합된 프론트 패널(28)의 조작버튼을 작동시켜 카오디오를 작동시킨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카오디오의 프론트 패널 착탈구조는 상기 프론트 패널(28)을 분리시 지지하는 힌지부재(36)를 상기 이스커쳔(2)의 패널삽입부(4) 하부에 설치하여 상기 프론트 패널(28)이 상기 이스커쳔(2)으로부터 상하측으로 회동하여 분리되도록 함으로써 상기와 같이 회동시 길이가 짧은 프론트 패널(28)의 세로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하여 종래와 같이 프론트 패널(28)이 이스커쳔(2)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프론트 패널(28)이 바닥에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카오디오의 프론트 패널 착탈구조는 상기 프론트 패널(28)을 이스커쳔(2)에 조립시 상기 프론트 패널(28)의 하부를 상기 이스커쳔(2)에 조립한 다음 상기 프론트 패널(28)의 하부를 중심으로 상부를 회동시키므로 그 회동반경이 짧아져 조립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일측의 이젝트노브(24)를 가압하여 카오디오의 이스커쳔(2) 패널삽입부(4)에 설치된 후크부재(12)를 회동시켜 상기 이스커쳔(2)의 패널삽입부(4)에 결합된 프론트 패널(28)을 분리하는 카오디오의 프론트 패널 착탈구조에 있어서,
    상기 이스커쳔(2)에는, 상기 패널삽입부(4)의 하부 양측에 지지돌기(8)를 형성하고, 상기 패널삽입부(4)의 상기 지지돌기(8) 사이에 고정공(6)을 형성하며;
    상기 프론트 패널(28)에는, 하면의 양측에 함몰부분을 형성하고 상기 함몰부분에는 상기 패널삽입부(4)의 지지돌기(8)가 끼워지는 지지홈(32)을 형성하며, 상기 지지홈(32) 사이에는 상기 패널삽입부(4)의 고정공(6)에 끼워지는 걸림편(34)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오디오의 프론트 패널 착탈구조.
KR2019970010199U 1997-05-09 1997-05-09 카오디오의 프론트 패널 착탈구조 KR2001571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0199U KR200157169Y1 (ko) 1997-05-09 1997-05-09 카오디오의 프론트 패널 착탈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0199U KR200157169Y1 (ko) 1997-05-09 1997-05-09 카오디오의 프론트 패널 착탈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5857U KR19980065857U (ko) 1998-12-05
KR200157169Y1 true KR200157169Y1 (ko) 1999-09-15

Family

ID=19500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0199U KR200157169Y1 (ko) 1997-05-09 1997-05-09 카오디오의 프론트 패널 착탈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716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5857U (ko) 1998-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26078B1 (ko) 착탈성이 우수한 이동식 막사의 결합부재
KR200157169Y1 (ko) 카오디오의 프론트 패널 착탈구조
KR100190583B1 (ko) 카오디오의 프런트 패널 착탈구조
KR200152090Y1 (ko) 카오디오의 프론트 패널 착탈 구조
KR0183604B1 (ko) 카 오디오용 프론트 패널의 착탈 구조
KR200146346Y1 (ko) 카 오디오용 컨트롤 패널의 분할구조
KR0125091Y1 (ko) 파킹 케이블의 가이드 홀더 지지장치
KR19990051129A (ko) 카오디오의 프런트 패널 착탈구조
KR200184827Y1 (ko) 카 오디오의 프론트 패널 탈착 장치
KR0183591B1 (ko) 카 오디오용 프론트 패널의 착탈 구조
KR19990025919U (ko) 카오디오용 컨트롤패널의 분할구조
KR200147220Y1 (ko) 카오디오의 프론트패널 착탈장치
JPH08172686A (ja) リモコン装置
KR200146339Y1 (ko) 카오디오의 분리형 프론트패널 록킹 구조
KR200157021Y1 (ko) 카오디오용 릴리이스 버튼의 스프링 고정구조
KR200146345Y1 (ko) 카 오디오용 컨트롤 패널의 분할구조
JP2002043765A (ja) 電子機器
KR100287840B1 (ko) 청소기용다단연장관의흡입브러쉬체결구조
KR19990025918U (ko) 카오디오의 컨트롤패널 착탈구조
KR20000009610U (ko) 카 오디오
JPS6041884Y2 (ja) 電気掃除機
KR19990025914U (ko) 카오디오의 컨트롤패널 착탈구조
JPH10266494A (ja) 竪樋控え具
KR19990051122A (ko) 카오디오의 프런트 패널 착탈구조
KR19990016859U (ko) 자동차의 스페어타이어 고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