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3591B1 - 카 오디오용 프론트 패널의 착탈 구조 - Google Patents

카 오디오용 프론트 패널의 착탈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3591B1
KR0183591B1 KR1019960033776A KR19960033776A KR0183591B1 KR 0183591 B1 KR0183591 B1 KR 0183591B1 KR 1019960033776 A KR1019960033776 A KR 1019960033776A KR 19960033776 A KR19960033776 A KR 19960033776A KR 0183591 B1 KR0183591 B1 KR 01835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ont panel
escalation
car audio
push rod
coil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37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14685A (ko
Inventor
김지섭
Original Assignee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600337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83591B1/ko
Publication of KR199800146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46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35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35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12Disposition of constructional parts in the apparatus, e.g. of power supply, of modules
    • G11B33/121Disposition of constructional parts in the apparatus, e.g. of power supply, of modules the apparatus comprising a single recording/reproducing device
    • G11B33/123Mounting arrangements of constructional parts onto a chass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 오디오용 프론트 패널의 착탈 구조에 관한 것으로, 카 오디오의 전면부를 이루는 에스커션(10)의 전면 일측에 상.하로 작동공(11)이 형성되고, 그 일측 측면 전면에 수직방향으로 직사각형의 작동홈(12)이 형성되며, 이 작동홈(12)의 내측 전면에 복수개의 안내공(13)이 형성되고, 이 안내공(13)에 이젝트 노브(60)의 누름봉(61)이 안내되어 전.후로 조작되기 위한 공간부(14)와, 상기 누름봉(61)에 축설되어 이젝트 노브(60)에 탄성을 부여하는 제 1압축 코일스프링(62)과, 상기 누름봉(61)에 축설되어 제 1압축 코일스프링(62)의 일단을 지지하는 스톱퍼(63)와, 상기 누름봉(61)의 일단이 안내되도록 복수개의 가이드공(51)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14)의 후면에 고정되는 가이드판(50)과, 상기 에스커션(10)의 후면 수직방향 일측에 복수개 형성되는 지지리브(15)에 상.하 대향되게 설치되어 누름봉(61)의 가압 유무에 따라 프론트 패널(20)을 탈착하는 탈착수단(70)으로 구성하여 에스커션(10)에 설치된 이젝트 노브(60)와 프론트 패널(20)의 각 조작버튼이 혼동되지 않아 안정적인 조작이 이루어 지며, 카 오디오의 내부에 설치되는 기기등과의 간섭을 최소한으로 줄여 내부기기의 설치공간이 확보되어 작업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카 오디오용 프론트 패널의 착탈 구조
본 발명은 카 오디오용 프론트 패널의 착탈 구조에 관한 것으로, 카 오디오에 분리형으로 장착되는 프론트 패널을 에스커션에서 부드럽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하고, 프론트 패널을 지지하는 탈착부품을 에스커션의 측면 내측에 설치되도록 하여 에스커션의 후면에 조합되어 기기등이 설치되는 메인샤시의 내측공간을 좀더 확보하여 타 부품과 간섭을 없애며, 사용자로 하여금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한 카 오디오용 프론트 패널의 착탈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근래에 개발된 카 오디오는 각종 조작버튼이 부착된 프론트 패널을 본체로부터 분리되도록 구성하여 주차후 운전자가 카 오디오 본체로부터 프론트 패널을 분리하여 휴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카 오디오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이와같은 프론트 패널 분리형 카 오디오의 예로써 종래에는, 도 1과 같이, 카 오디오의 프론트 패널(2)을 수용하기 위해 전면에 설치되는 에스커션(1)의 후면에서 설치되어 프론트 패널(2)을 지지하기 위한 후크 조립체(5)와, 프론트 패널(2)의 분리를 돕는 탄성부재(3)와, 프론트 패널(2)의 일측 상.하단을 지지하는 힌지부재(4)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에스커션(1)의 내측 벽면에는 고정공(1a)이 형성되고, 이 고정공(1a)에 끼워져 지지되도록 상기 프론트 패널(2)의 일측에 끼움돌기(2a)가 형성되어 있고, 이 끼움돌기(2a)의 상.하측에는 상기 힌지부재(4)에 지지되기 위한 끼움홈(2b)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끼움홈(2b)의 타측면에는 상기 후크 조립체(5)에 조립되기 위한 걸림홈(2c)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에스커션(1)의 전면 일측에는 상기 후크 조립체(5)를 눌러 프론트 패널(2)을 해제 시키기 위한 이젝트 노브(6)가 탄력 설치되어 있다.
상기 힌지부재(4)는 ㄷ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에스커션(1)의 후면부에서 끼움 조립되어 상.하단이 돌출되며, 후면측에서 스크류(도면에서 생략함)로 고정 설치되고, 상.하부의 일단에는 프론트 패널(2)의 끼움홈(2b)에 안내되어 지지되기 위한 지지돌기(4a)가 부착 고정되어 있다.
또, 상기 힌지부재(4)의 상.하단은 프론트 패널(2)의 끼움홈(2b)이 탄력적으로 끼워져 지지되도록 판스프링의 두께와 같은 박판으로 제작된다.
한편, 상기 탄성부재(3)는 에스커션(1)의 전면에 돌출되게 설치되어 프론트 패널(2)의 분리시 프론트 패널(2)의 후면을 밀어낼 수 있도록 내측에 탄성 스프링(도면에서 생략함)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후크 조립체(5)는 상.하면에 수직으로 돌출 형성되는 회동축(5a)을 일체로 갖는 몸체가 에스커션(1)의 내부 일측에 형성된 리브의 고정홈(도면에서 생략함)에 상기 회동축(5a)에 의해서 회동가능하게 각각 끼워지고, 후크(5b)가 몸체의 일측에 연장 형성되며, 토션스프링(5c)이 후크 조립체(5)와 에스커션(1)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 카 오디오의 프론트 패널(2)을 장착하기 위해서는 프론트 패널(2)의 일측에 형성된 끼움돌기(2a)를 에스커션(1)의 고정공(1a)에 끼우되, 프론트 패널(2)을 소정각도로 기울여 상기 고정공(1a)에 안내시킨 다음, 프론트 패널(2)을 선회시켜 에스커션(1)에 전면으로 밀착시켜 가압하면, 프론트 패널(2)의 끼움홈(2b)은 힌지부재(4)의 양단에 부착 설치된 지지돌기(4a)에 끼워지고, 상기 에스커션(1)의 전면부에 설치된 후크 조립체(5)는 토션스프링(5c)의 순간 탄력을 받음과 동시에 후크(5b)는 프론트 패널(2)의 측면에 형성된 걸림홈(2c)에 걸려져 프론트 패널(2)을 지지해 준다.
한편, 프론트 패널(2)이 장착되는 상태에서 에스커션(1)의 전면에 설치된 탄성부재(3)는 프론트 패널(2)의 후면부위에 소정면적으로 밀착되어 가압된 상태로 프론트 패널을 후크 조립체(5)와 상대적으로 지지하는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는 프론트 패널(2)이 에스커션(1)에 장착된 상태로서, 미도시된 접속단자가 접속된 상태가 되어 프론트 패널(2)에 설치된 다수개의 조작버튼을 눌러 카 오디오를 조작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카 오디오의 에스커션(1)으로부터 프론트 패널(2)을 분리하기 위해서는 에스커션(1)의 전면 일측에 설치된 이젝트 노브(6)를 눌러 가압시켜 주면, 이젝트 노브(6)는 후크 조립체(5)의 일부분을 눌러주며, 이때의 후크 조립체(5)는 회동축(5a)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토션스프링(5c)을 가압하며 후크(5b)를 프론트 패널(2)의 걸림홈(2c)으로 부터 해제시켜 준다.
한편, 이와 연계동작으로 에스커션(1)에 설치된 탄성부재(3)는 프론트 패널(2)을 급격히 외측으로 밀어 내며, 프론트 패널(2)은 힌지부재(4)의 지지돌기(4a)를 중심으로 급격히 회동되어 분리하기에 용이한 위치로 이동되어 사용자가 프론트 패널을 쥐고 프론트 패널(2)의 끼움돌기(2a)부분을 에스커션(1)의 고정공(1a)으로부터 이격시켜 프론트 패널(2)을 완전히 분리하여 휴대가 가능하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프론트 패널(2)을 분리하기 위한 이젝트 노브(6)는 에스커션(1)의 전면 일측에 설치되고, 그 후면으로는 후크 조립체(5)가 설치됨에 있어, 디자인 설계상에서 프론트 패널(2)의 두께나 길이에 제약을 받게되어 에스커션(1)의 후면에 조합되는 메인샤시의 내측으로 설치되는 기기등의 설치공간이 협소해지는 단점이 있으며, 긍극적으로는 운전자가 이젝트 노브(6)를 누르는 과정에서 프론트 패널(2)에 설치된 타 조작버튼을 오조작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되어 조작이 원활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카 오디오에 착탈되도록 구성된 프론트 패널을 분리하는 이젝트 노브 및 그 구성품을 에스커션의 측면 내측에 조합하여 카 오디오의 내부 기기부분과의 간섭을 없애고, 사용자로 하여금 이젝트 노브를 오조작함이 없이 안정되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한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는, 카 오디오의 에스커션에 설치되어 프론트 패널의 분리를 돕는 탄성부재와, 프론트 패널의 일측 상.하단을 지지하는 힌지부재로 설치된 프론트 패널의 착탈구조에 있어서, 상기 에스커션의 전면 일측에 상.하로 작동공이 형성되고, 그 일측 측면 전면에 수직방향으로 직사각형의 작동홈이 형성되며, 이 작동홈의 내측 전면에 복수개의 안내공이 형성되고, 이 안내공에 이젝트 노브의 누름봉이 안내되어 전.후로 조작되기 위한 공간부와, 상기 누름봉에 축설되어 이젝트 노브에 탄성을 부여하는 제 1압축 코일스프링과, 상기 누름봉에 축설되어 제 1압축 코일스프링의 일단을 지지하는 스톱퍼와, 상기 누름봉의 일단이 안내되도록 복수개의 가이드공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의 후면에 고정되는 가이드판과, 상기 에스커션의 후면 수직방향 일측에 복수개 형성되는 지지리브에 상.하 대향되게 설치되어 누름봉의 가압 유무에 따라 프론트 패널을 탈착하는 탈착수단으로 설치된 카 오디오용 프론트 패널의 착탈구조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도 1은 종래 카 오디오의 프론트 패널 착탈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프론트 패널의 착탈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프론트 패널의 전면 케이스와 후면 케이스의 결합상태를 나 타낸 일부분 확대 분해 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론트 패널의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로서, 도 4a는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4b는 도 3의 B-B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에스커션 11 : 작동공
12 : 작동홈 13 : 안내공
14 : 공간부 15 : 지지리브
20 : 프론트 패널 21 : 후면 케이스
22 : 경사부 23 : 지지공
30 : 탄성부재 40 : 힌지부재
50 : 가이드판 51 : 가이드공
60 : 이젝트 노브 61 : 누름봉
62 : 제 1압축 코일스프링 63 : 스톱퍼
70 : 탈착수단 71 : 작동봉
71a : 걸림턱 72 : 제 2압축 코일스프링
73 : 이동체 73a : 경사면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프론트 패널의 착탈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인 프론트 패널의 전면 케이스와 후면 케이스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일부분 확대 분해 사시도이며, 도 4 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론트 패널의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 3의 A-A선 단면도 및 B-B선 단면도로서, 본 발명에 의한 카 오디오용 프론트 패널의 착탈 구조는, 카 오디오의 에스커션(10)에 설치되어 탄성에 의해 전방으로 돌출됨으로써 프론트 패널(20)의 분리를 돕는 탄성부재(30)와, 프론트 패널(20)의 일측 상.하단을 지지하는 힌지부재(40)로 설치된 프론트 패널(20)의 착탈구조에 있어서, 상기 에스커션(10)의 전면 일측에는 상.하로 작동공(11)이 형성되고, 그 일측 측면 전면에 수직방향으로 직사각형의 작동홈(12)이 형성되며, 이 작동홈(12)의 내측 전면에 복수개의 안내공(13)이 형성되고, 이 안내공(13)의 후면으로는 이젝트 노브(60)의 누름봉(61)이 안내되어 전.후로 조작되기 위한 공간부(1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이젝트 노브(60)의 누름봉(61)에는 이젝트 노브(60)에 탄성을 부여하는 제 1압축 코일스프링(62)이 축설되고, 이 누름봉(61)에 축설되어 제 1압축 코일스프링(62)의 일단을 지지하는 스톱퍼(63)가 축설된다.
또한, 상기 누름봉(61)의 일단이 안내되도록 복수개의 가이드공(51)이 형성된 가이드판(50)이 상기 공간부(14)의 후면에 부착 고정되고, 상기 에스커션(10)의 후면 수직방향 일측에 복수개 형성되는 지지리브(15)에 상.하 대향되게 설치됨으로써 누름봉(61)의 가압 유무에 따라 프론트 패널(20)을 탈착하기 위한 탈착수단(70)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탈착수단(70)은 프론트 패널(20)을 지지하기 위해 일측에 걸림턱(71a)이 형성되어 직각으로 절곡 형성된 작동봉(71)에 축설되어 탄성을 부여하는 제 2압축 코일스프링(72)이 축설되며, 또 누름봉(61)에는 누름봉(61)의 누름에 따라 작동봉(71)을 상.하로 조작하기 위해 일측에 경사면(73a)이 형성된 이동체(73)가 축설된다.
또한, 상기 프론트 패널(20)은 에스커션(10)에 수용되기에 용이하도록 후면 케이스(21)의 상.하.좌.우측면에 경사부(22)를 형성하고, 이 경사부(22)에는 탈착수단(70)의 걸림턱(71a)에 걸려 지지되도록 지지공(23)이 형성된다.
미설명 부호 (15a)은 지지리브(15)에 탈착수단(70)의 작동봉(71)이 끼워져 유동되기 위해 형성된 통공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인 카 오디오용 프론트 패널 착탈구조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종래와 동일하게 프론트 패널(20)을 고정 또는 분리시키기 위한 탄성부재(30) 및 힌지부재(40)를 설치한 상태에서 에스커션(10)의 일측에 형성된 작동홈(12)의 내측에 형성된 안내공(13)에 이젝트 노브(60)의 누름봉(61)을 관통시켜 준다.
그리고, 상기 작동홈(12)의 반대측인 공간부(14)로 돌출된 이젝트 노브(60)의 누름봉(61)에는 스톱퍼(63)를 끼워 고정한 다음, 여기에 제 1압축 코일스프링(62)을 끼우고, 이 누름봉(61)의 일단이 관통되도록 가이드판(50)에 형성된 가이드공(51)을 끼워 가이드판(50)의 테두리 부위를 강력 접착제를 이용하여 부착 고정하거나 융착방법에 의해 견고히 고정시켜 준다.
상기와 같은 작업이 완성되면, 에스커션(10)의 후면으로 소정간격을 갖고 복수개 형성된 지지리브(15)에 상.하측에서 지지리브(15)에 형성된 통공(15a)에 착탈수단의 작동봉(71)을 끼우되, 이 작동봉(71)의 일측에 형성된 걸림턱(71a) 부분은 에스커션(10)의 전면에 형성된 작동공(11)의 후면측에서 관통되도록 끼워, 상기 걸림턱(71a)부분이 에스커션(10)의 전면측으로 돌출되어 상호 대응되게 가설치한 후 지지리브(15)에 관통되는 작동봉(71)에는 제 2압축 코일스프링(72)을 축설하고, 또 이동체(73)를 누름봉(61)에 축설하여 고정시켜 지지리브(15)에 탄지되도록 설치한다.
한편, 상기 이동체(73)의 일측면에 형성된 경사면(73a)에는 이젝트 노브(60)의 누름봉(61) 일단을 접촉시켜 주면, 이젝트 노브(60)는 제 1압축 코일스프링(62)에 의해 탄력지지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에스커션(10)의 후면으로는 메인 인쇄회로 기판, 내부 기기등을 설치하고, 메인샤시를 설치하여 카 오디오의 본체를 완성하여 차량의 대시 보드에 설치시켜 준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카 오디오의 에스커션(10)에 프론트 패널(20)을 장착시키기 위해서는 에스커션(10)에 형성된 고정공(10a)에 프론트 패널(20)의 끼움돌기(20a)를 끼우고, 프론트 패널(20)의 끼움홈(20b)을 힌지부재(40)에 끼워 선회시켜 밀착 가압하면, 에스커션(10)에 설치된 탄성부재(30)는 프론트 패널(20)의 밀착되는 후면에 대해 상대적으로 가압하며, 프론트 패널(20)의 후면 케이스(21)에 형성된 경사부(22)는 에스커션(10)에 수용되면서 상기 경사부(22)에 형성된 지지공(23)은 탈착수단(70)의 작동봉(71)에 형성된 걸림턱(71a)에 순간 탄력적으로 걸려 에스커션(10)에 장착된 상태로서, 접속단자가 상호 도통되는 상태가 되어 프론트 패널(20)에 설치된 다수개의 조작버튼을 눌러 카 오디오에 설치된 기기를 조작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카 오디오의 에스커션(10)로 부터 차량의 장기간 주차시나 도난의 방지하여 카 오디오를 보호하기 위한 목적으로 프론트 패널(20)을 분리하기 위해서는 전면에 설치된 이젝트 노브(60)를 눌러 주면, 이젝트 노브(60)의 누름봉(61)에 축설된 제 1압축 코일스프링(62)은 스톱퍼(63)에 의해 소정 가압되고, 이때의 누름봉(61)은 가이드판(50)의 가이드공(51)을 통해 에스커션(10)의 후면에 형성된 지지리브(15)에 설치된 이동체(73)의 경사면(73a)을 가압하며, 이때 이동체(73)는 누름봉(61)에 의해 가압되어 지지리브(15)의 통공(15a)으로부터 상호 상.하로 간격이 벌어지면서 이동된다.
이와 연계동작으로 작동봉(71)에 축설된 제 2압축 코일스프링(72)이 가압되고, 작동봉(71)의 걸림턱(71a)은 프론트 패널(20)의 후면 케이스(21)에 형성된 지지공(23)으로부터 이격되며, 이때 에스커션(10)의 전면에 설치되어 프론트 패널(20)의 후면을 가압하고 있던 탄성부재(30)는 프론트 패널(20)을 급격히 밀어내어 종래와 같이 프론트 패널(20)을 분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분리되는 프론트 패널(20)은 사용자의 손 위치가 프론트 패널(20)이 이격되는 부위와 근접되는 위치에서 분리되는 부분을 필요에 따라서는 프론트 패널(20)을 잡을 수 있기 때문에 급격한 분리시에도 미리 프론트 패널(20)을 안정되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카 오디오용 프론트 패널의 착탈 구조는 카 오디오의 에스커션(10) 일측으로 이젝트 노브(60)를 설치함으로써, 에스커션(10)에 설치된 이젝트 노브(60)와 프론트 패널(20)상의 각 조작버튼이 혼동되지 않아 안정적인 조작이 이루어 지며, 프론트 패널(20)의 기능적인 설치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또한, 이젝트 노브(60)의 후면으로 설치되는 구성품의 설치는 에스커션(10)의 측면측에 근접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카 오디오의 내부에 설치되는 기기등과의 간섭을 최소한으로 줄여 내부기기의 설치공간을 확보하여 조립시 작업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카 오디오의 에스커션(10)에 설치되어 탄성에 의해 전방으로 돌출됨으로써 프론트 패널(20)의 분리를 돕는 탄성부재(30)와, 프론트 패널(20)의 일측 상.하단을 지지하는 힌지부재(40)로 설치된 프론트 패널(20)의 착탈구조에 있어서,
    상기 에스커션(10)의 전면 일측에 상.하로 작동공(11)이 형성되고, 그 일측 측면 전면에 수직방향으로 작동홈(12)이 형성되며, 이 작동홈(12)의 내측 전면에 복수개의 안내공(13)이 형성되고, 이 안내공(13)에 이젝트 노브(60)의 누름봉(61)이 안내되어 전.후로 조작되기 위한 공간부(14)와, 상기 누름봉(61)에 축설되어 이젝트 노브(60)에 탄성을 부여하는 제 1압축 코일스프링(62)과, 상기 누름봉(61)에 축설되어 제 1압축 코일스프링(62)의 일단을 지지하는 스톱퍼(63)와, 상기 누름봉(61)의 일단이 안내되도록 복수개의 가이드공(51)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14)의 후면에 고정되는 가이드판(50)과, 상기 에스커션(10)의 후면 수직방향 일측에 복수개 형성되는 지지리브(15)에 상.하 대향되게 설치되어 누름봉(61)의 가압 유무에 따라 프론트 패널(20)을 탈착하는 탈착수단(7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 오디오용 프론트 패널의 착탈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탈착수단(70)은 프론트 패널(20)을 지지하기 위해 일측에 걸림턱(71a)이 형성되고, 직각으로 절곡 형성된 작동봉(71)과, 상기 작동봉(71)에 축설되어 탄성을 부여하는 제 2압축 코일스프링(72)과, 상기 작동봉(71)에 축설되어 이젝트 노브(60)의 누름봉(61)의 누름에 따라 상하로 조작되도록 일측에 경사면(73a)이 형성된 이동체(7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 오디오용 프론트 패널의 착탈구조.
  3. 제 1항,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패널(20)은 에스커션(10)에 수용되기에 용이하도록 후면 케이스(21)의 상.하.좌.우측면에 경사부(22)를 형성하고, 이 경사부(22)에는 탈착수단(70)의 걸림턱(71a)에 걸려 지지되도록 지지공(23)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 오디오용 프론트 패널의 착탈구조.
KR1019960033776A 1996-08-14 1996-08-14 카 오디오용 프론트 패널의 착탈 구조 KR01835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3776A KR0183591B1 (ko) 1996-08-14 1996-08-14 카 오디오용 프론트 패널의 착탈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3776A KR0183591B1 (ko) 1996-08-14 1996-08-14 카 오디오용 프론트 패널의 착탈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4685A KR19980014685A (ko) 1998-05-25
KR0183591B1 true KR0183591B1 (ko) 1999-04-15

Family

ID=19469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3776A KR0183591B1 (ko) 1996-08-14 1996-08-14 카 오디오용 프론트 패널의 착탈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8359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4685A (ko) 1998-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06220B1 (ko) 전자장치
US5862468A (en) Device for moving and detaching a panel
US5953302A (en) Recorded medium playback device with removable panel and having a lever contacting panel and detection switch
JP3645786B2 (ja) 機器ユニット係止装置
KR20030046188A (ko) 컴퓨터
US20080142651A1 (en) Cradle for Mobile Phones and Ejector Device Thereof
KR0183591B1 (ko) 카 오디오용 프론트 패널의 착탈 구조
JP3930242B2 (ja) 電子機器
KR0183604B1 (ko) 카 오디오용 프론트 패널의 착탈 구조
KR100190583B1 (ko) 카오디오의 프런트 패널 착탈구조
KR19980050144U (ko) 카오디오용 프론트 패널의 착탈구조
KR19980050212U (ko) 카 오디오용 프론트 패널의 착탈구조
KR0147086B1 (ko) 카 오디오용 프론트 패널의 착탈구조
KR0135915Y1 (ko) 카 오디오용 프론트 패널의 착탈구조
JPH1051154A (ja) 押しボタン機構及びロック解除押しボタン機構
JP2589262Y2 (ja) 操作部着脱装置
JP4071216B2 (ja) 電子機器
CN113741639B (zh) 硬盘托架
JP2571365Y2 (ja) 着脱式操作部のロック機構
KR100207257B1 (ko) 카오디오용 프론트 패널의 착탈구조
KR100668914B1 (ko) 닥킹 스테이션의 확장기기 분리장치
JP3103871B2 (ja) 周辺機器脱着機構
KR200293958Y1 (ko) 휴대폰의 배터리팩 착탈장치
JP3630548B2 (ja) 電子機器の操作装置
KR200152090Y1 (ko) 카오디오의 프론트 패널 착탈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1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