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9610U - 카 오디오 - Google Patents

카 오디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9610U
KR20000009610U KR2019980021637U KR19980021637U KR20000009610U KR 20000009610 U KR20000009610 U KR 20000009610U KR 2019980021637 U KR2019980021637 U KR 2019980021637U KR 19980021637 U KR19980021637 U KR 19980021637U KR 20000009610 U KR20000009610 U KR 2000000961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ob
car audio
bracket
pull
esca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16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현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20199800216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09610U/ko
Publication of KR2000000961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9610U/ko

Links

Landscapes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카오디오가 개시된다. 상기 카오디오는 몸체,상기 몸체의 전면부에 장착되는 에스커션, 제1 단부는 상기 에스커션의 중간부에 형성된 홈을 통과하여 상기 에스커션의 전면부로 돌출되고, 상기 제1 단부의 반대방향에 위치하는 제2 단부는 상기 몸체의 내부에 위치하는 노브풀, 상기 에스커션의 후면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노브풀의 제2 단부를 삽입 가능하게 지지하는 브라켓, 그 양단부에 제1 및 제2 훅크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에스커션의 후면에 돌출 형성된 돌출부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노브풀이 작동할 때, 회전하는 연결부재, 상기 노브폴에 장착되어 상기 노브풀을 전방으로 부세시키는 스프링 부재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카오디오
본 고안은 카오디오(Car Audio)에 관한것이며, 더욱 자세하게는 조작판넬을 카오디오에 고정시키는 훅크 조립체에 있어서, 노브풀을 지지하는 브라켓에 관한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라디오, 카세트 플레이어, 또는 컴팩트 디스크 등의 오디오 장치가 제공된다. 이러한 카오디오는 자동차의 대시보드에 고정부재에 의하여 장착된다. 그러나, 상기 카오디오는 고가이므로 도난의 위험이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운전자가 차를 떠나있는 동안 상기 카오디오의 도난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카오디오의 조작 패널만 몸체로부터 분리하여 운전자가 소지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카오디오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상기 조작패널은 상기 카오디오에 장착된 훅크에 의하여 상기 카오디오에 결합된다. 사용자가 상기 조작패널을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카오디오의 조작패널의 전면부에 장착된 노브(Knob)를 누르므로써 상기 훅크를 해제시키고 상기 조작패널을 분리하게되는데, 이러한 훅크가 상기 카오디오의 몸체에 고정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고안된다.
도1 에는 이러한 훅크 조립체(105)가 에스커션(110)에 고정된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가 도시된다. 도시된바와 같이, 상기 훅크 조립체(105)는 제1 및 제2 훅크(125,126), 상기 제1 및 제2 훅크(125,126)를 서로 일체로 연결시키는 연결부재(150), 노브(도시안됨)의 작동에 의하여 상기 연결부재(150)를 회전시키는 노브풀(135), 상기 노브풀(135)을 지지하는 브라켓(140), 그리고 상기 노브풀(135)을 전방으로 부세시키는 스프링(155)으로 구성된다.
상기 노브풀(135)은 제1 단부(136)는 상기 에스커션(110)의 전면내부에 형성된 전면 플레이트(116)의 중간부에 형성된 홈(138)을 통과하여 전방으로 돌출형성된다. 상기 노브풀(135)의 중간부에는 걸림턱(137)이 형성되어, 상기 노브풀(135)이 전방으로 소정거리이상 돌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제1 단부(136)의 반대방향에 위치하는 제2 단부(139)는 상기 브라켓(140)에 형성된 관통홀(142)에 지지된다. 상기 걸림턱(137)과 상기 브라켓(140)의 사이에는 스프링(155)이 배치되어, 상기 노브풀(135)을 전방으로 부세시킨다.
상기 브라켓(140)은 "」"자 형상이며, 일단부는 상기 전면 플레이트(116)의 후면에 돌출형성된 제1 및 제2 리브(159,160)에 스크류(145)에 의하여 각각 고정된다. 또한, 상기 브라켓(140)의 타단부는 상기 전면 플레이트(116)의 후면에 고정된다.
상기와같은 구조의 훅크 조립체는 조립시, 상기 브라켓을 장착하기 위하여 복수개의 리브에 스크류를 체결해야 하므로 조립공정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것으로서, 노브풀을 지지하는 브라켓을 전면 플레이트의 후면에 일체로 형성한 훅크 조립체를 제공한다.
도1 은 종래 릴리이즈 장치의 훅크 조립체의 구조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2 는 종래 카오디오의 릴리이즈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3 은 본 고안에 따른 릴리이즈장치의 훅크 조립체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
시도.
도4 는 도3 의 A-A 부분을 보여주는 측면도.
도5 는 본 고안에 따른 릴리이즈장치의 훅크 조립체가 작동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0 : 카오디오 305 : 몸체
310 : 에스커션(Escutcheon) 315 ; 조작패널
316 : 전면 플레이트 320 : 노브
325 : 훅크(Hook) 335 ; 노브풀(Knob Pull) 340 : 브라켓 342 : 홀
350 : 연결부재 355 : 스프링
360 : 릴리이즈 장치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몸체, 상기 몸체의 전면부에 장착되는 에스커션, 제1 단부는 상기 에스커션의 중간부에 형성된 홈을 통과하여 상기 에스커션의 전면부로 돌출되고, 상기 제1 단부의 반대방향에 위치하는 제2 단부는 상기 몸체의 내부에 위치하는 노브풀,상기 에스커션의 후면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노브풀의 제2 단부를 삽입 가능하게 지지하는 브라켓, 그 양단부에 제1 및 제2 훅크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에스커션의 후면에 돌출 형성된 돌출부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노브풀이 작동할 때, 회전하는 연결부재, 그리고 상기 노브폴에 장착되어 상기 노브풀을 전방으로 부세시키는 스프링 부재를 구비한 카오디오의 훅크 조립체를 제공한다. 상기 브라켓은 상기 에스커션의 후면에 돌출 형성된 제1 및 제2 부재, 상기 제1 및 제2 부재를 서로 연결시키는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의 중간부에 형성된 관통홀을 구비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2 는 본 고안에 따른 카오디오(300)의 릴리이즈장치(326)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3 은 본 고안에 따른 릴리이즈장치의 훅크 조립체의 고정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4 는 도3 의 A-A 부분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시된바와같이, 상기 카오디오(300)는 몸체(305), 상기 몸체(305)의 전면부에 장착되는 에스커션(Escutcheon;310), 상기 에스커션(310)의 전면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카오디오(300)를 작동시키는 조작패널(315), 상기 조작패널(315)을 상기 몸체(305)에 결합 및 분리시키는 릴리이즈 장치(360)로 구성된다.
상기 릴리이즈 장치(360)는 상기 조작패널(315)의 일측에 장착된 노브(Knob;320)와 상기 몸체(305)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형성된 훅크 조립체(328)로 구성된다. 상기 노브(320)는 누름방식이고, 상기 노브(320)가 노브풀(335)을 밀므로써 상기 훅크 조립체(328)가 작동하게 된다.
상기 훅크 조립체(328)는 제1 및 제2 훅크(325,326), 상기 제1 및 제2 훅크(325,326)를 서로 일체로 연결시키는 연결부재(350), 상기 노브(335;도3)의 작동에 의하여 상기 연결부재(350)를 회전시키는 노브풀(335), 상기 노브풀(335)을 지지하는 브라켓(345), 그리고 상기 노브풀(335)을 전방으로 부세시키는 스프링(355)으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부재(350)는 그 양단부가 상기 전면 플레이트(316)의 후면에 돌출 형성된 돌출부(312)의 홀(314)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연결부재(350)가 회전하게되면, 상기 제1 및 제2 훅크(325,326)가 연동한다.
상기 노브풀(335)은 제1 단부(336)는 전면 플레이트(316)의 중간부에 형성된 홀(338)을 통과하여 전방으로 돌출형성된다. 상기 노브풀(335)의 중간부에는 걸림턱(337)이 형성되어, 상기 노브풀(335)이 전방으로 소정거리이상 돌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제1 단부(336)의 반대방향에 위치하는 제2 단부(339)는 상기 브라켓(345)에 형성된 관통홀(342)에 지지된다. 상기 걸림턱(337)과 상기 브라켓(345)의 사이에는 스프링(355)이 배치되어, 상기 노브풀(335)을 전방으로 부세시킨다.
상기 브라켓(345)은 상기 연결부재(350)에 돌출 형성된 제1 및 제2 부재(340,343), 상기 제1 및 제2 부재(340,343)를 서로 연결시키는 제3 부재(344), 상기 제3 부재(344)의 중간부에 형성된 관통홀(342)로 구성된다. 상기 관통홀(342)의 주위는 상기 제3 부재(344)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노브풀(335)의 제2 단부(339)가 상기 관통홀(342)에 지지될 때, 충분한 지지력을 갖는다.
사용자가 상기 조작패널(315;도3)의 전면부에 형성된 상기 노브(320;도3)을 누르게 되면, 도5 에 도시된바와 같이, 상기 노브풀(335)이 화살표 방향(357)으로 밀리게된다. 그리고, 상기 노브풀(335)은 상기 브라켓(345)의 제3 부재(344)에 형성된 상기 관통홀(342)을 관통하여 몸체의 내부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 훅크(325,326)를 서로 연결시키는 연결부재(350)는 상기 노브풀(335)의 운동에 의하여 화살표 방향(360)으로 회전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상기 제1 및 제2 훅크(325,326)가 상기 조작패널(315;도3)의 배면에 형성된 걸림홈으로부터 이탈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조작패널(315;도3)은 상기 카오디오(300)로부터 분리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훅크 조립체는 상기 노브풀을 삽입가능하게 지지하는 브라켓을 상기 연결부재에 일체로 형성하므로써 상기 훅크 조립체의 조립공수를 줄이고, 또한 조립시간을 줄인 장점이 있다.
이상, 본 고안의 기술 내용을 상세히 기술하였다. 그러나, 본 고안은 상술한 본 고안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본 고안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여러가지 변형 및 변경이 가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기술한 실시예 또는 도면에만 제한되지 않으며, 그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제한된다.

Claims (2)

  1. 몸체;
    상기 몸체의 전면부에 장착되는 전면플레이트;
    상기 전면플레이트의 내부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되며 노브가 관통하여 장착되며, 그 배면에는 걸림홈이 형성되는 조작패널;
    제1 단부는 상기 전면 플레이트의 중간부에 형성된 홈을 통과하여 상기 전면 플레이트의 전면부로 돌출되어 상기 노브와 접촉가능하며, 상기 제1 단부의 반대방향에 위치하는 제2 단부는 상기 몸체의 내부에 위치하는 노브풀;
    상기 노브풀에 장착되어 상기 노브풀을 전방으로 부세시키는 스프링 부재;
    그 양단부에 제1 및 제2 훅크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전면 플레이트의 후면에 돌출 형성된 돌출부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연결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걸림홈에 결합가능한 훅크 조립체;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노브풀의 제2 단부를 삽입 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노브풀이 작동할 때 소정각도 회전하므로써 상기 연결부재를 소정각도 회전시켜 상기 훅크 조립체를 상기 걸림홈으로부터 해제시키는 브라켓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오디오.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연결부재에 일체로 돌출 형성된 제1 및 제2 부재,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부재를 서로 연결시키는 제3 부재, 그리고 상기 제3 부재의 중간부에 형성된 관통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오디오.
KR2019980021637U 1998-11-07 1998-11-07 카 오디오 KR2000000961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1637U KR20000009610U (ko) 1998-11-07 1998-11-07 카 오디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1637U KR20000009610U (ko) 1998-11-07 1998-11-07 카 오디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9610U true KR20000009610U (ko) 2000-06-05

Family

ID=69517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1637U KR20000009610U (ko) 1998-11-07 1998-11-07 카 오디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09610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58308A (en) U-type lock supporter
KR100242773B1 (ko) 카 오디오용 컨트롤 패널의 결합구조
KR20000009610U (ko) 카 오디오
US5697693A (en) Switch mounting system
KR0130842B1 (ko) 분리형 카오디오의 프론트 패널 착탈장치
KR0183604B1 (ko) 카 오디오용 프론트 패널의 착탈 구조
KR200206480Y1 (ko) 조작패널을 착탈할 수 있는 카 오디오
KR19990025914U (ko) 카오디오의 컨트롤패널 착탈구조
JP2589262Y2 (ja) 操作部着脱装置
KR19980050143U (ko) 카오디오의 전면 패널 착탈구조
KR200152090Y1 (ko) 카오디오의 프론트 패널 착탈 구조
KR19990051129A (ko) 카오디오의 프런트 패널 착탈구조
KR200157021Y1 (ko) 카오디오용 릴리이스 버튼의 스프링 고정구조
KR19980050849U (ko) 카 오디오의 탄성부재 고정장치
KR19990051122A (ko) 카오디오의 프런트 패널 착탈구조
KR970069608A (ko) 카오디오의 탈, 장착구조
KR200184827Y1 (ko) 카 오디오의 프론트 패널 탈착 장치
KR200156201Y1 (ko) 카오디오용 컨트롤 패널의 결합구조
KR200146346Y1 (ko) 카 오디오용 컨트롤 패널의 분할구조
KR200146339Y1 (ko) 카오디오의 분리형 프론트패널 록킹 구조
KR980011396A (ko) 카 오디오용 조작패널의 착탈 구조
KR200147220Y1 (ko) 카오디오의 프론트패널 착탈장치
KR0127543B1 (ko) 착탈식 카오디오의 착탈 장치
KR0128333Y1 (ko) 자동차용 보조매트 고정장치
KR200245196Y1 (ko) 파킹브레이크용어저스터와파킹케이블의조립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