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2464B1 - 카오디오의 프론트 패널 착탈 구조 - Google Patents

카오디오의 프론트 패널 착탈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2464B1
KR100222464B1 KR1019960050214A KR19960050214A KR100222464B1 KR 100222464 B1 KR100222464 B1 KR 100222464B1 KR 1019960050214 A KR1019960050214 A KR 1019960050214A KR 19960050214 A KR19960050214 A KR 19960050214A KR 100222464 B1 KR100222464 B1 KR 1002224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ont panel
hook
lever
escutcheon
bo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02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0746A (ko
Inventor
허희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10199600502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2464B1/ko
Publication of KR199800307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07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24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24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H05K5/0018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having an electronic displa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05K7/1401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comprising clamping or extrac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릴리즈 노브에 의해 프론트 패널을 착탈시키는 구조의 부품을 두께가 얇은 박편으로 제작함과 동시에 다수 개의 부품이 연계 작용에 의해 프론트 패널이 개방되게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에스커션(190)에 설치된 릴리즈 노브(180)를 누름에 따라 일정 각도로 회동하는 레버(110)와, 이 레버(110)의 회동에 의해 일정 각도로 회동하여 프론트 패널(200)의 체결을 해제하는 걸림 후크(120)와, 이 레버(110)와 걸림 후크(120)를 고정하여 에스커션(190)에 체결하는 지지대(150)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프론트 패널(200)은 릴리즈 노브(180)를 누름에 따라 레버(110) 및 걸림 후크(120)가 연계 동작으로 회동하여 프론트 패널(200)의 체결을 해제하므로 부드러운 동작이 이루어지며, 레버(110)와 걸림 후크(120) 및 지지대(150)를 두께가 얇은 박편의 몰드물로 제작함으로써, 에스커션(190)에 설치되는 공간을 적게하여 프론트 패널(200)의 크기 설정이 자유로워지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카오디오의 프론트 패널 착탈 구조
본 발명은 카오디오의 에스커션에 설치된 릴리즈 노브에 의해 프론트 패널을 착탈시키는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프론트 패널을 착탈시키는 구조의 부품을 두께가 얇은 박편으로 제작함과 동시에 다수 개의 부품이 연계 작용에 의해 프론트 패널이 개방되게 함으로써, 부품의 부피를 줄이고 프론트 패널이 부드럽게 탈거되게 하기 위한 카오디오의 프런트 패널 착탈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카오디오는 본체의 조작부인 프론트 패널이 상호 분리되도록 설치시킴으로써, 운전자가 차량을 주차시킨 후 카오디오 본체로부터 프론트 패널을 분리시켜 휴대함으로써, 카오디오 본체의 작동이 이루어지지 않게 하여 카오디오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프론트 패널이 카오디오 본체에 설치되는 종래의 구조는 도 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오디오의 프론트 패널(2)을 수용하기 위해 전면에 설치되는 에스커션(1)의 후면에 설치되어 프론트 패널(2)을 지지하기 위한 후크 조립체(5)와, 에스커션(1)의 전면에 설치되어 프론트 패널(2)의 탈거시 분리를 돕는 탄성부재(3)와, 에스커션(1)의 일 측에 설치되어 프론트 패널(2)의 일 측 상. 하단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부재(4)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후크 조립체(5)는 상하면에 수직으로 돌출 형성되는 회동축(5a)을 일체로 갖는 몸체가 에스커션의 내부 일 측에 형성된 리브의 고정홈(도면에서 생략함)에 회동축(5a)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각각 끼워지고, 후크(5b)와 걸림편(5d)이 몸체의 일 측에 각각 연장 형성되며, 복원 스프링(5c)이 후크 조립체(5)와 에스커션(1)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힌지부재(4)는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에스커션(1)의 후면부에서 끼움 조립되어 상하단이 돌출 되며, 후면 측에서 스크류(도면에서 생략함)로 고정 설치되고, 상. 하부의 일단에는 지지돌기(4a)가 부착 고정되어 있다.
또, 상기 힌지부재(4)의 상하단은 프론트 패널(2)의 끼움홈(2b)이 탄력적으로 끼워져 지지되도록 박판으로 제작된다.
그리고, 상기 에스커션(1)의 내측 벽면에는 고정공(1a)이 형성되고, 이 고정공(1a)에 끼워져 지지되도록 상기 프론트 패널(2)의 일 측에 끼움돌기(2a)가 형성되어 있고, 이 끼움돌기(2a)의 상하 측에는 상기 힌지부재(4)의 지지돌기(4a)에 끼워져 지지되기 위한 끼움홈(2b)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끼움홈(2b)의 타측면에는 상기 후크 조립체(5)의 후크(5b)에 조립되기 위한 걸림홈(2c)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에스커션(1)의 전면 일 측에는 후크 조립체(5)를 눌러 후크(5b)가 프론트 패널(2)의 걸림홈(2c)에서 빠지게 하여 체결을 해제시키기 위한 이젝트 노브(6)가 탄력을 가지도록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탄성부재(3)는 에스커션(1)의 전면에 돌출 되게 설치되어 프론트 패널(2)의 탈거시 프론트 패널(2)의 후면을 밀어낼 수 있도록 내측에 탄성 스프링(도면에서 생략함)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카오디오의 프론트 패널(2)을 장착하기 위해서는 프론트 패널(2)의 일 측에 형성된 끼움돌기(2a)를 에스커션(1)의 고정공(1a)에 끼우되, 프론트 패널(2)을 소정 각도로 기울여 고정공(1a)에 안내시킨 다음, 프론트 패널(2)을 선회시켜 에스커션(1)의 전면으로 밀착시켜 가압하면, 프론트 패널(2)의 끼움홈(2b)은 힌지부재(4)의 양단에 부착 설치된 지지돌기(4a)에 끼워지고, 상기 에스커션(1)의 전면부에 설치된 후크 조립체(5)는 복원 스프링(5c)의 순간 탄력을 받음과 동시에 후크(5b)는 프론트 패널(2)의 측면에 형성된 걸림홈(2c)에 삽입되어 프론트 패널(2)을 지지해 준다.
한편, 프론트 패널(2)이 장착된 상태에서 에스커션(1)의 전면에 설치된 탄성부재(3)는 프론트 패널(2)의 후면 부위에 밀착되어 가압된 채로 프론트 패널(2)을 후크 조립체(5)와 상대적으로 지지되는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는 프론트 패널(2)이 에스커션(1)에 장착된 상태로서, 미도시된 접속단자가 접속된 상태가 되어 프론트 패널(2)에 설치된 다수 개의 조작노브를 눌러 카오디오를 조작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카오디오의 에스커션(1)으로부터 프론트 패널(2)을 탈거하기 위해서는 에스커션(1)의 전면 일 측에 설치된 이젝트 노브(6)를 눌러 가압시키면, 이젝트 노브(6)는 후크 조립체(5)의 걸림편(5d)을 눌러 주며, 이때의 후크 조립체(5)는 회동축(5a)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복원 스프링(5c)을 가압하며 후크(5b)를 프론트 패널(2)의 걸림홈(2c)으로부터 해제시켜 준다.
한편, 이와 연계 동작으로 에스커션(1)에 설치된 탄성부재(3)는 프론트 패널(2)을 급격히 외측으로 밀어내며, 프론트 패널(2)은 힌지부재(4)의 지지돌기(4a)를 중심으로 급격히 회동되어 탈거하기에 용이한 위치로 이동되는 상태가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로 된 종래의 프론트 패널 착탈 구조에 있어서는 후크 조립체(5)가 다소의 두께를 가지고 있어서, 설치 장소가 일정한 공간을 확보해야 하므로 프론트 패널(2)의 크기를 설정하는데 제한을 받게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프론트 패널 착탈 구조에 있어서는 후크 조립체(5)가 복원 스프링(5c)에 의해 급격하게 회동하여 프론트 패널(2)을 개방시키므로 탈거하기가 부드럽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의 후크 조립체(5)에는 돌출 형성된 후크(5b)가 있어서 비교적 복잡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몰드물로 제작하는데 제조 비용이 높다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릴리즈 노브에 의해 프론트 패널을 착탈시키는 구조의 부품을 두께가 얇은 박편으로 제작함과 동시에 다수 개의 부품이 연계 작용에 의해 프론트 패널을 개방시킴으로써, 프론트 패널의 크기 설정을 자유로이 하고 프론트 패널이 부드럽게 탈거되게 하기 위한 카오디오의 프런트 패널 착탈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카오디오의 에스커션에 설치된 릴리즈 노브에 접촉되는 접촉편이 일 측에 형성되고 이 접촉편의 일 측에 걸림턱이 형성되며 상측에 보스공이 형성되고 하측에 제 1 장공이 형성되어 에스커션의 내부에 설치된 레버와, 상기 레버의 걸림턱이 슬라이드 되는 빗면이 형성되고 이 빗면의 하단에 걸림돌기가 형성되며 상측에 제 2 장공이 형성되고 하단에 보스공이 형성되며 하단 일 측의 돌출부에 스프링홈이 형성되어 레버의 일 측에 설치되는 걸림 후크와, 상기 걸림 후크의 스프링홈에 일 측이 걸리고 카오디오 본체에 형성된 걸림고리에 타측이 걸려지는 인장 스프링과, 상기 걸림 후크의 일 측에 설치되고 상측에 레버의 보스공과 걸림 후크의 제 2 장공에 끼워져 에스커션에 설치되는 스크류에 체결되는 스크류공을 갖는 제 1 보스가 형성되며 하측에 레버의 제 1 장공과 걸림 후크의 보스공에 끼워져 에스커션에 설치되는 스크류에 체결되는 스크류공을 갖는 제 2 보스가 형성된 지지대로 구성된 카오디오의 프론트 패널 착탈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은 종래 카오디오의 프론트 패널 착탈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론트 패널 착탈 구조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론트 패널 착탈 구조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론트 패널 착탈 구조의 요부를 절개 도시한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론트 패널 착탈 구조의 평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론트 패널 착탈 구조의 사용 상태 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론트 패널 착탈 구조의 사용 상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레버 114 : 걸림턱
120 : 걸림 후크 124 : 걸림돌기
140 : 인장 스프링 150 : 지지대
160 : 제 1 보스 170 : 제 2 보스
180 : 릴리즈 노브 190 : 에스커션
200 : 프론트 패널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론트 패널 착탈 구조의 양호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실시 예의 구성을 설명한다.
본 실시 예는 도 2 와 도 3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릴리즈 노브(180)를 누름에 따라 일정 각도로 회동하는 레버(110)와, 이 레버(110)의 회동에 의해 일정 각도로 회동하여 프론트 패널(200)의 체결을 해제하는 걸림 후크(120)와, 이 레버(110)와 걸림 후크(120)를 고정하여 카오디오 본체(210)에 체결되는 지지대(150)로 이루어지는데 더욱 상세히는 다음과 같다.
상기 레버(110)는 두께가 얇은 박편으로 형성되는데, 카오디오의 프론트 패널(200)에 설치된 릴리즈 노브(180)에 접촉되는 접촉편(112)이 일 측에 형성되고, 이 접촉편(112)의 일 측에 걸림턱(114)이 형성되며, 상측에 보스공(116)이 형성되고, 하측에 제 1 장공(118)이 형성되어 에스커션(190)의 내부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의 걸림 후크(120)도 두께가 얇은 박편으로 형성되는데, 레버(110)의 걸림턱(114)이 걸려져 슬라이드 되는 빗면(122)이 형성되고, 이 빗면(122)의 하단에 걸림돌기(124)가 돌출 형성되며, 상측에 제 2 장공(126)이 형성되고, 하단에 보스공(128)이 형성되며, 하단 일 측의 돌출부에 스프링홈(130)이 형성되어 레버(110)의 일 측에 설치된다.
한편, 상기 걸림 후크(120)에는 일 측이 스프링홈(130)에 걸리고 타 측이 카오디오 본체(210)의 내부에 형성된 걸림고리(192)에 걸려 인장력을 발생시키는 인장 스프링(140)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150)도 박편으로 형성되어 걸림 후크(120)의 일 측에 설치되는데, 상측에 레버(110)의 보스공(116)과 걸림 후크(120)의 제 2 장공(126)에 끼워져 에스커션(190)에 설치되는 스크류(194)에 체결되는 스크류공(162)을 갖는 제 1 보스(160)가 형성되고, 하측에 레버(110)의 제 1 장공(118)과 걸림 후크(120)의 보스공(116)에 끼워져 에스커션(190)에 설치되는 스크류(195)에 체결되는 스크류공(172)을 갖는 제 2 보스(170)가 형성된다.
또한 에스커션(190)의 내측면에는 걸림 후크(120)의 걸림돌기(124)가 외부로 돌출되어 슬라이드 되는 슬라이드홈(196)이 형성된다. 또 프론트 패널(200)의 일측면, 즉 걸림 후크(120)의 돌기가 접촉하는 부분에 하방으로 길게 형성되다가 다시 절곡되어 상방으로 길게 형성된 돌기홈(202)이 천공된다.
한편, 상기의 레버(110)와 걸림 후크(120) 및 지지대(150)는 제작하기가 간편하므로, 모두 몰드물로 제작될 수 있으며 그 제조 비용도 저렴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프론트 패널 착탈 구조의 조립 과정을 도 4 와 도 5 에 의해 설명한다.
먼저, 지지대(150)에 형성된 제 1 보스(160)를 걸림 후크(120)의 제 2 장공(126)과 레버(110)의 보스공(116)에 삽입 시키고, 지지대(150)의 제 2 보스(170)를 걸림 후크(120)의 보스공(128)과 레버(110)의 제 1 장공(118)에 삽입시킨다. 이때 레버(110)의 걸림턱(114)이 걸림 후크(120)의 빗면(122)에 걸쳐지게 한다.
상기와 같이 지지대(150)에 의해 고정된 걸림 후크(120)와 레버(110)를 에스커션(190)의 내부에 설치하는데, 카오디오 본체(210)에 설치되는 스크류(195)를 지지대(150)의 제 1 보스(160)와 제 2 보스(170)에 각각 체결하여 지지대(150)와 걸림 후크(120) 및 레버(110)가 상호 접촉된 상태에서 고정되게 한다.
그 다음, 걸림 후크(120)의 스프링홈(130)에 인장 스프링(140)의 일측을 걸고 카오디오 본체(210)에 형성된 걸림고리(192)에 인장 스프링(140)의 타측을 걸어 걸림 후크(120)가 탄력을 가지게 한다.
상기와 같이 조립이 완료된 프론트 패널 착탈 구조의 작용을 도 6 과 도 7 에 의해 설명한다.
걸림 후크(120)의 걸림돌기(124)가 프론트 패널(200)의 돌기홈(202)에 끼워져 프론트 패널(200)이 에스커션(190)에 설치된 상태에서 프론트 패널(200)을 분리시키려면, 에스커션(190)의 전면에 설치된 릴리즈 노브(180)를 손으로 누른다. 이에 따라 릴리즈 노브(180)는 에스커션(190)의 내부에 설치된 레버(110)의 접촉편(112)을 밀게 되고, 이 누름에 의해 레버(110)는 보스공(116)에 끼워진 지지대(150)의 제 1 보스(160)에 의해 하방으로 회동한다. 이때 레버(110)는 제 1 장공(118)에 끼워진 지지대(150)의 제 2 보스(170)에 의해 회동이 제한 되므로, 레버(110)의 회동 각도는 제 1 장공(118)의 길이에 비례한다.
상기와 같이 레버(110)가 하방으로 회동하면, 레버(110)의 걸림턱(114)이 걸림 후크(120)의 빗면(122)을 따라 슬라이드 되며 걸림 후크(120)를 보스공(128)에 끼워진 지지대(150)의 제 2 보스(170)를 중심으로 하방으로 회동시킨다. 따라서 걸림 후크(120)의 하방에 형성된 걸림돌기(124)를 하방으로 회동시키고, 후단에 형성된 스프링홈(130)을 상방으로 회동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걸림 후크(120)의 걸림돌기(124)가 프론트 패널(200)의 돌기홈(202)에서 하방으로 내려가 체결을 해제하는데, 이때 에스커션(190)에 설치되어 프론트 패널(200)에 접촉되어 있는 탄성부재(198)의 탄력에 의해 프론트 패널(200)이 전면으로 미끄러져 나오게 되어 프론트 패널(200)을 에스커션(190)에서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프론트 패널(200)은 릴리즈 노브(180)를 누름에 따라 레버(110) 및 걸림 후크(120)가 연계 동작으로 회동하여 프론트 패널(200)의 체결을 해제하므로 부드러운 동작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릴리즈 노브(180)에서 손을 떼면 걸림 후크(120)의 스프링홈(130)에 설치된 인장 스프링(140)의 인장력에 의해 걸림 후크(120)가 다시 상방으로 회동하고, 이 걸림 후크(120)의 빗면(122)에 접촉하고 있는 레버(110)의 걸림턱(114)이 다시 전방으로 이동하여 레버(110)가 원상 복귀하게 된다.
한편 분리된 상태의 프론트 패널(200)을 에스커션(190)에 결합하려면, 먼저 프론트 패널(200)을 에스커션(190)의 일측(도면에서 좌측)을 종래와 동일한 방법으로 결합시키고, 프론트 패널(200)의 타측을 에스커션(190)으로 민다.
그러면, 프론트 패널(200)의 일측면에 형성된 돌기홈(202)에 에스커션(190)의 슬라이드홈(196)에 돌출된 걸림 후크(120)의 걸림돌기(124)가 밀려 하방으로 슬라이드 되다가 걸림 후크(120)의 스프링홈(130)에 걸려진 인장 스프링(140)의 탄력에 의해 걸림돌기(124)가 다시 상측으로 올라갈 때, 걸림 후크(120)의 걸림돌기(124)가 프론트 패널(200)의 돌기홈(202)에 체결되어 프론트 패널(200)을 에스커션(190)에 고정한다.
상기의 실시 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에스커션(190)에 설치된 릴리즈 노브(180)를 누름에 따라 일정 각도로 회동하는 레버(110)와, 이 레버(110)의 회동에 의해 일정 각도로 회동하여 프론트 패널(200)의 체결을 해제하는 걸림 후크(120)와, 이 레버(110)와 걸림 후크(120)를 고정하여 카오디오 본체(210)에 체결하는 지지대(150)로 이루어진 구조로서, 프론트 패널(200)은 릴리즈 노브(180)를 누름에 따라 레버(110) 및 걸림 후크(120)가 연계 동작으로 회동하여 프론트 패널(200)의 체결을 해제하므로 부드러운 동작이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의 레버(110)와 걸림 후크(120) 및 지지대(150)를 두께가 얇은 박편으로 제작함으로써, 에스커션(190)에 설치되는 공간을 적게하여 프론트 패널(200)의 크기 설정이 자유로워지며, 상기의 부품 들은 간단하게 몰드물로 제작할 수 있게 되어 제조 비용이 절감되므로 카오디오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카오디오의 에스커션(190)에 일 측이 회동 가능하게 걸쳐진 프론트 패널(200)의 타측을 에스커션(190)에 설치된 릴리즈 노브(180)에 의해 탈착시키는 구조에 있어서,
    상기 릴리즈 노브(180)에 접촉되는 접촉편(112)이 일 측에 형성되고 이 접촉편(112)의 일 측에 걸림턱(114)이 형성되며 상측에 보스공(116)이 형성되고 하측에 제 1 장공(118)이 형성되어 에스커션(190)의 내부에 설치된 레버(110)와, 상기 레버(110)의 걸림턱(114)이 슬라이드 되는 빗면(122)이 형성되고 이 빗면(122)의 하단에 걸림돌기(124)가 형성되며 상측에 제 2 장공(126)이 형성되고 하단에 보스공(128)이 형성되며 하단 일 측의 돌출부에 스프링홈(130)이 형성되어 레버(110)의 일 측에 설치되는 걸림 후크(120)와, 상기 걸림 후크(120)의 스프링홈(130)에 일 측이 걸리고 카오디오 본체(210)에 형성된 걸림고리(192)에 타측이 걸려지는 인장 스프링(140)과, 상기 걸림 후크(120)의 일 측에 설치되어 상측에 레버(110)의 보스공(116)과 걸림 후크(120)의 제 2 장공(126)에 끼워져 카오디오 본체(210)에 설치되는 스크류(194)에 체결되는 스크류공(162)을 갖는 제 1 보스(160)가 형성되며 하측에 레버(110)의 제 1 장공(118)과 걸림 후크(120)의 보스공(128)에 끼워져 카오디오 본체(210)에 설치되는 스크류(194)에 체결되는 스크류공(172)을 갖는 제 2 보스(170)가 형성된 지지대(15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오디오의 프론트 패널 착탈 구조.
KR1019960050214A 1996-10-30 1996-10-30 카오디오의 프론트 패널 착탈 구조 KR1002224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0214A KR100222464B1 (ko) 1996-10-30 1996-10-30 카오디오의 프론트 패널 착탈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0214A KR100222464B1 (ko) 1996-10-30 1996-10-30 카오디오의 프론트 패널 착탈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0746A KR19980030746A (ko) 1998-07-25
KR100222464B1 true KR100222464B1 (ko) 1999-10-01

Family

ID=19479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0214A KR100222464B1 (ko) 1996-10-30 1996-10-30 카오디오의 프론트 패널 착탈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246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0746A (ko) 1998-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305104B2 (ja) 電子機器の操作装置
EP0899162B1 (en) A handset holder
JPH1128985A (ja) オーディオ装置の着脱装置
JPH09180570A (ja) スイッチボックスの取付構造
KR100222464B1 (ko) 카오디오의 프론트 패널 착탈 구조
JP2882778B2 (ja) オーバセンタトグル式ラッチ
JP2560562Y2 (ja) コントロールユニットの着脱構造
KR19980057945A (ko) 카오디오의 프런트 패널 착탈구조
KR0147086B1 (ko) 카 오디오용 프론트 패널의 착탈구조
JPH0135505Y2 (ko)
KR19980050143U (ko) 카오디오의 전면 패널 착탈구조
KR200152090Y1 (ko) 카오디오의 프론트 패널 착탈 구조
JPS6342412Y2 (ko)
JP3262144B2 (ja) 電子機器の着脱機構
KR0135915Y1 (ko) 카 오디오용 프론트 패널의 착탈구조
JP2589262Y2 (ja) 操作部着脱装置
JPS635273Y2 (ko)
JP3630548B2 (ja) 電子機器の操作装置
KR100207257B1 (ko) 카오디오용 프론트 패널의 착탈구조
KR0183604B1 (ko) 카 오디오용 프론트 패널의 착탈 구조
JP3600429B2 (ja) 電子機器の操作装置
JPH1131409A (ja) 天井直付け照明器具の取付用下アダプタ
KR0160263B1 (ko) 카 오디오의 탈,장착구조
JPH0530998Y2 (ko)
JP2003120080A (ja) 扉錠の台座取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6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