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4034Y1 - 자동차용 애쉬 트레이 장착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애쉬 트레이 장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4034Y1
KR200154034Y1 KR2019970012498U KR19970012498U KR200154034Y1 KR 200154034 Y1 KR200154034 Y1 KR 200154034Y1 KR 2019970012498 U KR2019970012498 U KR 2019970012498U KR 19970012498 U KR19970012498 U KR 19970012498U KR 200154034 Y1 KR200154034 Y1 KR 2001540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instrument panel
ash tray
stopper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24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7878U (ko
Inventor
김동철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700124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4034Y1/ko
Publication of KR1998006787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787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40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403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8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refuse, e.g. ash-tr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용이하게 애쉬 트레이를 인스투루먼트패널에 장착할 수 있음은 물론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애쉬 트레이 장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소정의 수용공간(52)이 형성되고, 이 수용공간(52)의 상단부분에 한쌍의 결합공(54)이 형성되며, 수용공간(52)의 내측 상단에 압입돌기(56)가 하향경사지게 돌출구성된 인스투루먼트패널(50)과, 상기 인스투루먼트패널(50)의 결합공(54)에 고정수단에 의하여 밀착고정되는 고정편(60)이 상향경사지게 절곡되고, 하단 양측에 안내편(62)이 절곡되며, 상단 양측에 장방형의 형상을 갖는 멈춤홈(66)이 형성된 하우징(64)과, 전면에 사용자가 용이하게 권취할 수 있도록 손잡이(72)가 형성되고, 상단 양측에 상기 하우징(64)의 안내편(62)에서 선택적으로 슬라이딩되는 가이드편(74)이 돌출구성되며, 상부 양측에 하우징(64)의 멈춤홈(66)에 선택적으로 삽입고정되는 멈춤돌기(80)를 갖는 스톱퍼(78)가 상단에 상부로 탄성지지된 홀더(7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애쉬 트레이 장착구조
본 고안은 자동차용 애쉬 트레이 장착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용이하게 애쉬 트레이를 인스투루먼트패널에 장착할 수 있음은 물론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애쉬 트레이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현대 생활에 있어서 자동차는 실생활과 매우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으며, 그에 따라서 자동차는 단순한 운송 수단의 개념에서 벗어나, 하나의 독립된 생활 공간으로서 인식되기에 이르렀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주행 안전성이나 승차감과 같은 차량의 기술적인 사항 못지 않게 중요시되고 있는 것 중의 하나가 탑승자에게 편의성과 안락성을 줄 수 있는 각종 편의장치의 제공에 있다고 하겠다.
차량에 제공되는 편의장치로는 담뱃불을 붙일 때 사용하는 시가라이터나, 담뱃재를 떨어 놓는 애쉬 트레이 또는 음료수나 컵 등을 고정하는데 이용하는 컵 홀더가 있으며, 그 밖에도 운전자의 취미나 관심에 따라서 여러 가지의 편의장치를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애쉬 트레이가 인스투루먼트패널에 장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애쉬 트레이의 홀더가 하우징에 결합되는 상태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애쉬 트레이의 홀더가 하우징에 결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설명하면, 애쉬 트레이(40)는 하우징(20)과 홀더(30)로 구성된다. 하우징(20)은 상부하우징(2)과 하부하우징(4)으로 구분되고, 이 상부하우징(2)과 하부하우징(4)은 볼트 등의 체결수단에 의하여 결합된다. 상부하우징(2)과 하부하우징(4)의 결합으로 인하여 상부하우징(2)과 하부하우징(4)의 사이에 수용공간(6)이 형성되고, 이 수용공간(6)의 양측 바닥면에는 종방향으로 수개의 판스프링(8)이 구비된다. 하부하우징(4)의 양측에 체결공(10)을 갖는 제 1고정편(12)이 경사지게 돌출구성되고, 이 상부하우징(2)의 배면에는 체결공(14)을 갖는 제 2고정편(16)이 돌출구성된다.
전면에 사용자가 용이하게 권취할 수 있도록 손잡이(22)가 형성된 홀더(30)가 구비되고, 이 홀더(30)는 하우징(20)의 수용공간(6)에서 선택적으로 슬라이딩된다. 홀더(30)의 상단에 상부로 탄성지지된 스톱퍼(26)가 구비되고, 이 스톱퍼(26)의 상단 양측에는 멈춤돌기(28)가 돌출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애쉬 트레이가 인스투루먼트패널에 장착되는 상태를 간략하게 설명하면, 인스투루먼트패널(32)에 형성된 체결홈(미도시)에 상부하우징(2)과 하부하우징(4)이 결합된 하우징(20)을 대응되게 위치시킨 상태에서 하우징(20)을 인스투루먼트패널(32)로 이동시킨다. 하우징(20)이 인스투루먼트패널(32)로 이동됨에 따라 하우징(20)이 인스투루먼트패널(32)의 체결홈(미도시)에 삽입고정된다. 이때 상부하우징(2)의 배면과 하부하우징(4)의 양측에 돌출구성된 고정편(12),(16)의 체결공(10),(14)이 인스투루먼트패널(32)에 형성된 결합공(미도시)에 대응되게 위치된다. 하우징(20)의 고정편(12),(16)에 형성된 체결공(10),(14)이 인스투루먼트패널(32)의 결합공(미도시)에 대응되게 위치되면 볼트를 이용하여 하우징(20)을 인스투루먼트패널(32)에 결합시킨다. 하우징(20)이 인스투루먼트패널(32)에 결합되면 스톱퍼(26)를 하부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홀더(30)를 하우징(20)의 수용공간(6)으로 삽입한다. 이에 따라 홀더(30)가 하우징(20)의 수용공간(6)에 삽입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애쉬 트레이를 사용하여 용이하게 담뱃재를 처리할 수 있었지만, 이러한 애쉬 트레이는 인스투루먼트패널에 장착하기가 매우 불편한 문제가 있었다. 즉, 애쉬 트레이를 인스투루먼트패널에 장착하기 위하여는 상부하우징과 하부하우징을 체결수단으로 결합하여야 하며 동시에 별도의 장비를 이용하여 인스투루먼트패널에 수개의 결합공을 형성하여야 함으로 작업자가 작업하기가 번거로움은 물론 생산성 및 작업성이 저하되는 요인이 되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를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용이하게 애쉬 트레이를 인스투루먼트패널에 장착할 수 있음은 물론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애쉬 트레이 장착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애쉬 트레이가 인스투루먼트패널에 장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애쉬 트레이의 홀더가 하우징에 결합되는 상태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애쉬 트레이의 홀더가 하우징에 결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애쉬 트레이의 홀더가 하우징에 결합되는 상태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애쉬 트레이가 인스투루먼트패널에 장착되는 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애쉬 트레이가 인스투루먼트패널에 장착된 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0 : 인스투루먼트패널52 : 수용공간
54 : 결합공56 : 압입돌기
58 : 체결공60 : 고정편
62 : 안내편64 : 하우징
66 : 멈춤홈68 : 압입공
70 : 지지편72 : 손잡이
74 : 가이드편76 : 홀더
78 : 스톱퍼80 : 멈춤돌기
82 : 볼트90 : 애쉬 트레이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소정의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이 수용공간의 상단부분에 한쌍의 결합공이 형성되며, 수용공간의 내측 상단에 압입돌기가 하향경사지게 돌출구성된 인스투루먼트패널과, 상기 인스투루먼트패널의 결합공에 고정수단에 의하여 밀착고정되는 고정편이 상향경사지게 절곡되고, 하단 양측에 안내편이 절곡되며, 상단 양측에 장방형의 형상을 갖는 멈춤홈이 형성된 하우징과, 전면에 사용자가 용이하게 권취할 수 있도록 손잡이가 형성되고, 상단 양측에 상기 하우징의 안내편에서 선택적으로 슬라이딩되는 가이드편이 돌출구성되며, 상부 양측에 하우징의 멈춤홈에 선택적으로 삽입고정되는 멈춤돌기를 갖는 스톱퍼가 상단에 상부로 탄성지지된 홀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애쉬 트레이 장착구조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애쉬 트레이 장착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애쉬 트레이의 홀더가 하우징에 결합되는 상태를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애쉬 트레이가 인스투루먼트패널에 장착되는 상태를 보인 측단면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애쉬 트레이가 인스투루먼트패널에 장착된 상태를 보인 측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설명하면, 인스투루먼트패널(50)의 하단에 소정의 수용공간(52)이 형성되고, 이 수용공간(52)의 상단부분에는 한쌍의 결합공(54)이 형성된다. 수용공간(52)의 내측 상단에는 상향에서 하향으로 테이퍼진 압입돌기(56)가 하향경사지게 돌출구성된다. 인스투루먼트패널(50)에 수용공간(52)이 형성됨에 있어서는 조향핸들과 글로브박스가 장착된 사이 하단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쌍의 체결공(58)이 형성된 고정편(60)이 상향경사지게 절곡되고, 하단 양측에 안내편(62)이 절곡된 하우징(64)이 구비된다. 하우징(64)의 상단 양측에 장방형의 형상을 갖는 멈춤홈(66)이 형성되고, 이 멈춤홈(66)의 일측에는 압입공(68)이 형성된 지지편(70)이 경사지게 고정된다. 지지편(70)이 하우징(64)에 고정됨에 있어서는 용접 또는 볼트 등의 고정수단를 이용한다. 전면에 사용자가 용이하게 권취할 수 있도록 손잡이(72)가 형성되고, 상단 양측에 하우징(64)의 안내편(62)에서 선택적으로 슬라이딩되는 가이드편(74)이 돌출구성된 홀더(76)가 구비된다. 홀더(76)의 상단에 상부로 탄성지지된 스톱퍼(78)가 구비되고, 이 스톱퍼(78)의 상단 양측에는 선택적으로 하우징(64)의 멈춤홈(66)에 삽입고정되는 멈춤돌기(80)가 돌출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애쉬 트레이가 인스투루먼트패널에 장착되는 상태 및 이에 따른 효과를 설명한다.
인스투루먼트패널(50)의 수용공간(52) 내측 상단에 하향경사지게 돌출구성된 압입돌기(56)에 지지편(70)에 형성된 압입공(68)을 대응되게 위치시킨 상태에서 하우징(64)을 일측으로 이동시킨다. 하우징(64)을 일측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압입돌기(56)가 지지편(70)의 압입공(68)에 압입된 상태로 체결된다. 압입돌기(56)가 지지편(70)의 압입공(68)에 압입됨에 따라 하우징(64)의 상향경사지게 절곡된 고정편(60)이 인스투루먼트패널(50)의 상단에 밀착된다. 이때 하우징(64)의 고정편(60)에 형성된 체결공(58)과 인스투루먼트패널(50)의 상단 부분에 형성된 결합공(54)이 동일선상에 위치하게 된다. 고정편(60)의 체결공(58)과 인스투루먼트패널(50)의 결합공(54)이 동일선상에 위치되면 체결공(58)과 결합공(54)으로 볼트(82)를 삽입하여 하우징(64)을 인스투루먼트패널(50)에 결합시킨다.
하우징(64)이 인스투루먼트패널(50)에 장착되면 홀더(76)의 상단 양측에 돌출구성된 가이드편(74)을 하우징(64)의 안내편(62)에 대응되게 위치시킨 상태에서 홀더(76)를 하우징(64)의 내측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홀더(76)의 상단에 상부로 탄성지지된 스톱퍼(78)를 하부로 이동시킨다. 스톱퍼(78)를 하부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홀더(76)를 하우징(64)의 내측으로 이동시키면 홀더(76)의 가이드편(74)이 하우징(64)의 안내편(62)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홀더(76)가 하우징(64)에 결합된다.
인스투루먼트패널(50)의 압입돌기(56)에 지지편(70)을 체결한 상태에서 하우징(64)의 고정편(60)을 볼트(82)를 이용하여 인스투루먼트패널(50)에 밀착고정시키면 간단하게 하우징(64)을 인스투루먼트패널(50)에 장착할 수 있는 것이다. 압입돌기(56)에 지지편(70)을 압입한 상태에서 볼트(82)를 이용하여 하우징(64)을 인스투루먼트패널(50)에 결합함으로 애쉬 트레이(90)가 외부의 충격이나 진동에 의하여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인스투루먼트패널(50)에 형성되는 결합공(54)의 수가 상대적으로 감소되고, 결합공(54)이 형성되는 위치가 인스투루먼트패널(50)의 전방부분임으로 작업자가 용이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애쉬 트레이 장착구조는 인스투루먼트패널의 내측 상단에 하향경사지게 돌출구성된 압입돌기에 삽입고정되는 지지편이 상단 일측에 고정되고, 하단 양측에 안내편이 절곡되며, 상단 양측에 장방형의 형상을 갖는 멈춤홈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단 양측에 상기 하우징의 안내편에서 선택적으로 슬라이딩되는 가이드편이 돌출구성되며, 상부 양측에 하우징의 멈춤홈에 선택적으로 삽입고정되는 멈춤돌기가 돌출구성된 스톱퍼가 상단에 상부로 탄성지지된 홀더를 구비하여 간편하고 신속하게 애쉬 트레이를 인스투루먼트패널에 장착할 수 있음은 물론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Claims (3)

  1. 소정의 수용공간(52)이 형성되고, 이 수용공간(52)의 상단부분에 한쌍의 결합공(54)이 형성되며, 수용공간(52)의 내측 상단에 압입돌기(56)가 하향경사지게 돌출구성된 인스투루먼트패널(50)과,
    상기 인스투루먼트패널(50)의 결합공(54)에 고정수단에 의하여 밀착고정되는 고정편(60)이 상향경사지게 절곡되고, 하단 양측에 안내편(62)이 절곡되며, 상단 양측에 장방형의 형상을 갖는 멈춤홈(66)이 형성된 하우징(64)과,
    전면에 사용자가 용이하게 권취할 수 있도록 손잡이(72)가 형성되고, 상단 양측에 상기 하우징(64)의 안내편(62)에서 선택적으로 슬라이딩되는 가이드편(74)이 돌출구성되며, 상부 양측에 하우징(64)의 멈춤홈(66)에 선택적으로 삽입고정되는 멈춤돌기(80)를 갖는 스톱퍼(78)가 상단에 상부로 탄성지지된 홀더(7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애쉬 트레이 장착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하우징(64)의 상단 일측에 상기 인스투루먼트패널(50)의 압입돌기(56)에 압입되는 압입공(68)이 형성된 지지편(70)이 경사지게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애쉬 트레이 장착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입돌기(56)가 상향에서 하향으로 테이퍼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애쉬 트레이 장착구조.
KR2019970012498U 1997-05-30 1997-05-30 자동차용 애쉬 트레이 장착구조 KR2001540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2498U KR200154034Y1 (ko) 1997-05-30 1997-05-30 자동차용 애쉬 트레이 장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2498U KR200154034Y1 (ko) 1997-05-30 1997-05-30 자동차용 애쉬 트레이 장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7878U KR19980067878U (ko) 1998-12-05
KR200154034Y1 true KR200154034Y1 (ko) 1999-08-02

Family

ID=19501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2498U KR200154034Y1 (ko) 1997-05-30 1997-05-30 자동차용 애쉬 트레이 장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403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7878U (ko) 1998-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44853B2 (ja) コンソールの取付構造
KR200154034Y1 (ko) 자동차용 애쉬 트레이 장착구조
US6437265B1 (en) Arrangement with device for aligning two adjacent parts
KR100203160B1 (ko) 자동차 축전지의 취부구조
KR200143822Y1 (ko) 자동차용 글로브박스 장착구조
KR0139094Y1 (ko) 자동차용 티켓 홀더
JPH0231812Y2 (ko)
KR100435270B1 (ko) 차량의 글러브 박스 조립구조
KR100379968B1 (ko) 자동차용 애쉬 트레이
KR0130805Y1 (ko) 자동차용 레터링 취부기
KR0133546Y1 (ko) 컵 홀더가 구비된 자동차용 콘솔박스
KR100203041B1 (ko) 자동차용 동전수납함
JPH0214216Y2 (ko)
KR200151130Y1 (ko) 고정장치가 부착된 러그게이지 매트
KR200219636Y1 (ko) 자동차용 컵홀더
KR970000413Y1 (ko) 자동차의 크러시 패드 고정구조
KR0136830Y1 (ko) 카 오디오용 원격 조정기의 설치구조
KR0128333Y1 (ko) 자동차용 보조매트 고정장치
KR200174347Y1 (ko) 자동차의 보조 브레이크등
JP2837053B2 (ja) 蛍光灯ユニットにおける蛍光ランプの取付構造
KR200143820Y1 (ko) 글로브박스의 스트라이커 이탈방지구조
KR0170141B1 (ko) 자동차용 애쉬 트레이
KR970037018A (ko) 자동차의 재떨이 장치(An ashtray device of a car)
KR960017310A (ko) 차량의 음료용기 고정용구
KR19980021469U (ko) 자동차의 콘솔 암레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27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