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3806Y1 - 링형부재 삽입장치 - Google Patents
링형부재 삽입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153806Y1 KR200153806Y1 KR2019960067469U KR19960067469U KR200153806Y1 KR 200153806 Y1 KR200153806 Y1 KR 200153806Y1 KR 2019960067469 U KR2019960067469 U KR 2019960067469U KR 19960067469 U KR19960067469 U KR 19960067469U KR 200153806 Y1 KR200153806 Y1 KR 200153806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ing
- pair
- members
- finger
- bushing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M1/00 - F01M9/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오일 씨일과 같은 링형부재를 실린더형 케이스 또는 환형의 슬릿홈에 삽입하기 위한 링형부재의 삽입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링형부재의 삽입장치는 액튜에이터 실린더에 의해 승강되는 푸셔부재와 가이드부재를 이용하여 핑거부재에 의해 클램핑된 링형부재를 가압함과 동시에 핑거부재를 벌어지도록 슬라이딩시켜 링형부재의 클램핑 상태가 해제되도록 함으로써 오일 씨-일이나 와샤 등과 같은 링형부재를 실린더 등의 용기 내부 또는 환형의 슬릿홈 등에 거의 자동화된 과정으로 연속하여 정밀하고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어서 그 작업효율을 대폭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예컨대, 오일 씨-일과 같은 링형부재를 실린더 등의 용기 내부 또는 환형의 슬릿홈 등에 삽입하기 위한 링형부재의 삽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자동차용 오일 필터는 실린더형 케이스에 수용된 오일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환형의 오일 씨일이 상기 실린더형 케이스 내부에 삽입된다. 이러한 오일 씨일과 같은 링형부재는 통상 수작업에 의해 실린더 등의 용기 내부 또는 환형의 슬릿홈 등에 삽입되므로, 정밀작업이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그 작업효율성이 매우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오일 씨-일이나 와샤 등과 같은 링형부재를 실린더 등의 용기 내부 또는 환형의 슬릿홈 등에 거의 자동화된 과정을 통하여 정밀하고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된 링형부재의 삽입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오일씨일과 같은 링형부재의 일예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링형부재 삽입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인 정면 구성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고안에 의한 링형부재 삽입장치의 개략적 측면 구성도, 그리고
도 4는 도 2 및 도 3의 요부에 대한 개략적 평면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링형부재 10..실린더 케이스
100..베이스 프레임 110..액튜에이터 실린더
120..푸셔부재 130..압입용 툴부재
140..가이드부재 200..핑거구동부
210, 220..샤프트 241, 242, 251, 252..부쉬부재
260, 270..연결부재 261, 271..로울러부재
280..인장스프링 310, 320..핑거부재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링형부재의 삽입장치는,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된 액튜에이터 실린더와, 상기 액튜에이터 실린더의 로드끝단에 설치된 푸셔부재와, 상기 푸셔부재에 대해 탄력적 유동이 가능하도록 탄성바이어스된 툴부재와, 상기 푸셔부재와 연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가이드부재와, 상호 대응되는 방향으로의 직선왕복운동에 의해 링형부재를 클램핑 및 디스클램핑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된 1쌍의 핑거부재와, 상기 가이드부재에 의해 간섭되어 상기 1쌍의 핑거부재를 상호 대응되는 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된 핑거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고안에 의한 링형부재 삽입장치에 있어서, 특히 상기 핑거구동부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된 샤프트와, 상호 탄성바이어스되어 상기 샤프트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1쌍의 부쉬부재와, 상기 가이드부재의 간섭에 의해 상기 1쌍의 부쉬부재와 핑거부재를 상호 대응되는 방향으로 직선왕복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1쌍의 부쉬부재 및 핑거부재와 각각 결합된 1쌍의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핑거구동부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나란하게 설치된 제1샤프트 및 제2샤프트와, 상호 탄성바이스되어 상기 제1샤프트 및 제2샤프트에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1쌍의 제1부쉬부재 및 제2부쉬부재와, 상기 가이드부재의 간섭에 의해 상기 1쌍의 제1부쉬부재 및 제2부쉬부재와 상기 핑거부재를 상호 대응되는 방향으로 직선왕복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1쌍의 제1부쉬부재 및 제2부쉬부재와 핑거부재와 각각 결합된 1쌍의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1쌍의 부쉬부재는 상기 1쌍의 연결부재에 양단이 고정된 인장스프링에 의해 상호 탄성바이스되도록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1쌍의 핑거부재를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정렬시킬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마련된 스토퍼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스토퍼부재는 상기 1쌍의 부쉬부재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수직돌출되게 결합된 돌출부재와, 이 돌출부재의 양측부에 접촉가능하도록 상기 1쌍의 연결부재에 각각 마련되는 볼트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푸셔부재는 실린더형 관부재, 다각형의 기둥형상을 가지는 바아, 원기둥형상의 바아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어 상기 링형부재의 외주면을 압입할 수 있도록 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툴부재는 상기 푸셔부재에 결합된 압축스프링에 의해 탄력적 유동이 가능하도록 탄성바이어스되고, 실린더형 관부재, 다각형의 기둥형상을 가지는 바아, 원기둥형상의 바아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어 상기 링형부재의 내경부에 압입될 수 있도록 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핑거구동부의 연결부재와 접촉되는 선단부의 양측이 그 중심선쪽으로 점차 축소되어 이루어진 대칭의 경사부를 가지는 삼각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몸체에 마련된 다수의 장공에 결합된 볼트부재의 위치이동에 의해 상기 푸셔부재에 결합되는 위치 조정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고안의 링형부재삽입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본 고안에 의한 링형부재의 삽입장치는,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오일 씨-일이나 와샤부재와 같은 링형부재를 액튜에이터 실린더에 의해 승강되는 푸셔부재를 통하여 실린더형 케이스 등의 용기 내부 또는 환형의 슬릿홈 등에 거의 자동화된 과정으로 정밀하고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점에 특징이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링형부재 삽입장치를 나타내 보인 개략적 구성도로서, 각각 정면도, 측면도 및 요부 평면도이다.
먼저, 상기 도 1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링형부재 삽입장치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수평지지대(101)와 수직지지대(102)를 가지는 베이스 프레임(100)과, 상기 수직지지대(102)에 수직상태로 설치된 액튜에이터 실린더(110)와, 상기 수평지지대(101)에 대해 승강가능하도록 상기 액튜에이터 실린더(110)의 로드끝단에 설치된 중공형의 푸셔부재(120)와, 이 푸셔부재(120)의 중공부에 삽입된 압축스프링(121)에 의해 하방으로 탄성바이어스되어 상방향의 외력에 의해 탄력 유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푸셔부재(120)의 중공부에 결합된 2단구조의 원기둥형 또는 실린더형의 압입용 툴부재(130)와, 상기 푸셔부재(120)와의 연동이 가능하도록 그 일측에 결합된 플레이트형의 가이드부재(140)와, 상호 대응되는 방향으로의 직선왕복운동에 의해 링형부재를 클램핑 및 디스클램핑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의 수평지지대(101)에 설치된 1쌍의 핑거부재(301)(302)와, 상기 가이드부재(140)에 의해 간섭되어 상기 1쌍의 핑거부재(310)(320)를 상호 대응되는 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의 수평지지대(101)에 설치된 핑거구동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의 링형부재 삽입장치에 있어서, 상기 핑거구동부(200)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의 수평지지대(101)로부터 소정 높이 부상되도록 양단이 지지블럭(210)에 지지되어 상하 나란한 위치에 설치된 제1샤프트(210) 및 제2샤프트(220)와, 인장스프링(280)에 의해 상호 탄성바이스되어 상기 제1샤프트(210) 및 제2샤프트(220)에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1쌍의 제1부쉬부재(241)(242) 및 제2부쉬부재(251)(252)와, 상기 가이드부재(140)의 승강운동에 따른 간섭에 의해 상기 1쌍의 제1부쉬부재(241)(242) 및 제2부쉬부재(251)(252)와 상기 핑거부재(310)(320)를 상호 대응되는 방향으로 직선왕복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1쌍의 제1부쉬부재(241)(242), 제2부쉬부재(251)(252) 및 핑거부재(310)(320)를 연결하는 1쌍의 연결부재(260)(2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각 쌍의 부쉬부재(241)(242)(251)(252)는 상기 1쌍의 연결부재(260)(270)에 양단이 고정된 인장스프링(280)에 의해 상호 탄성바이스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푸셔부재(120)는 상기 링형부재의 형상에 따라 예컨대, 실린더형 관부재, 다각형의 기둥형상을 가지는 바아, 원기둥형상의 바아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어, 환형 또는 링형부재를 포함하여 다각형의 와샤부재 등의 외주면 즉, 상면을 하방으로 압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툴부재(130)는 상기 푸셔부재(120)의 중공부에 삽입된 압축스프링(121)에 의해 상대적인 탄력 유동이 가능하도록 탄성바이어스되어 있고, 상기 링형부재의 형상에 따라 예컨대, 실린더형 관부재, 다각형의 기둥형상을 가지는 바아, 원기둥형상의 바아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어, 환형 또는 링형부재를 포함하여 다각형의 와샤부재 등의 내주면에 삽입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재(140)는 상기 핑거구동부(200)의 연결부재(260)(270)와 각각 접촉되는 선단부의 양측이 그 중심선쪽으로 점차 축소되어 이루어진 대칭의 경사부(141)(142)를 가지는 삼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몸체에 마련된 다수의 장공(143)에 결합된 볼트부재(144)의 위치이동에 의해 상기 푸셔부재(120)에 결합되는 위치의 조정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도면 부호 261 및 271은 상기 가이드부재(140)와 접촉되도록 상기 연결부재(260)(270)의 상단부에 설치된 로울러부재이다. 그리고, 290은 상기 1쌍의 핑거부재(310)(320)를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정렬시킬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의 수평지지대(101)에 돌출 형성된 스토퍼부재로서, 상기 1쌍의 부쉬부재(251)(252)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1쌍의 연결부재(260)(270)에 각각 마련된 볼트부재(291)(292)와 접촉된다. 또한, 330은 상기 핑거부재(310)(320)의 직선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LM가이드이고, 400은 상기 링형부재(1)를 상기 핑거부재(310)(320)의 사이에 안착시키기 위해 외부로부터 상기 링형부재(1)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장치의 일부로서 안착 스테이션을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10은 상기 링형부재(1)가 삽입되는 제품의 본체로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의 수평지지대(101)의 하방에 마련된 지지프레임(11)에 의해 상기 핑거부재(310)(320)의 직하방에 위치하도록 고정된다.
상기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의 링형부재 삽입장치의 작동관계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예컨대, XY로봇 등과 같은 통상의 부품공급장치(미도시)에 의해 상기 링형부재(1)가 상기 스테이션(400)으로 공급되면 상기 부품공급장치에 마련된 푸셔(미도시) 등이 상기 링형부재(1)를 푸쉬하여 상기 핑거부재(310)(320)의 사이에 안착시킨다. 이러한 동작은 통상적인 자동화설비에서와 같이 상기 링형부재(1)의 공급위치에 마련된 센서의 발광부(s1) 및 수광부(s2)를 통해 그 안착유무를 감지하여 시퀀스적으로 제어될 수 있도록 작동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각 구성요소간의 동작 또한 시퀀스적 제어에 의해 연결되며, 그와 관련된 센서의 부착 위치, 콘트롤러와의 회로적 연결관계 등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핑거부재(310)(320)의 사이에 링형부재(1)가 안착되면, 상기 액튜에이터 실린더(110)의 작동에 의해 그 로드 끝단에 설치된 중공형의 푸셔부재(120)가 하강하게 된다. 상기 푸셔부재(120)가 하강함에 따라 상기 압입용 툴부재(130)와 가이드부재(140)도 연동하여 하강하게 된다. 이러한 하강운동에 의해 상기 압입용 툴부재(130)는 상기 링형부재(1)의 내경부에 삽입되고, 상기 푸셔부재(120)의 끝단부는 상기 링형부재(1)의 상면과 접촉하여 상기 링형부재(1)를 가압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계속적인 하강운동이 진행되면, 상기 푸셔부재(120)는 그 중공부에 삽입된 압축스프링(121)을 탄압하면서 더욱 하강하게 되는데, 이때 그 일측에 결합된 상기 가이드부재(140)의 선단 경사부(141)(142)가 상기 연결부재(260)(270)의 상단부에 설치된 로울러부재(261)(271)와 접촉된 상태로 하강하게 된다. 이로써, 상기 각 쌍의 부쉬부재(241)(242)(251)(252)가 상기 제1샤프트(210) 및 제2샤프트(220)를 따라 상호 대향된 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벌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연결부재(260)(270)에 의해 상기 각 쌍의 부쉬부재(241)(242)(251) (252)와 연결되어 있는 상기 핑거부재(310)(320)가 상호 대향된 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벌어진다. 이로써, 상기 링형부재(1)는 그 클램핑상태가 해제됨과 동시에 상기 푸셔부재(120)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수평지지대(101)의 하방에 위치한 지지프레임(11)에 위치결정되어 있는 실린더 케이스(10)에 삽입된다. 이때, 상기 링형부재(1)가 압입되어 있는 상기 압입용 툴부재(130)의 선단부는 상기 실린더 케이스(10)의 상부로 진입되어 있어서 상기 링형부재(1)의 안착위치를 가이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프레임(11)은 상기와 같은 링형부재(1)의 삽입 동작과 동시에 상승가능하도록 설치함으로써 상기 링형부재(1)가 상기 실린더 케이스(11)에 보다 원할하게 삽입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링형부재(1)의 삽입동작이 끝나고 나면, 상기 핑거부재(310)(320)는 상기 인장스프링(280)의 인장력에 의해 새로이 공급되는 링형부재를 클램핑할 수 있도록 다시 원상태로 오므라지게 된다. 이때, 상기 1쌍의 연결부재(260)(270)에 각각 마련된 볼트부재(291)(292)가 상기 스토퍼부재(290)의 양측에 접촉 간섭됨으로써 상기 1쌍의 핑거부재(310)(320)가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정렬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실린더 액튜에이터(110)의 작동에 의해 상기 푸셔부재(120) 및 가이드부재(140)가 상승하게 되면서 상기 압축스프링(121)의 압축상태가 서서히 해제되어 상기 압입용 툴부재(130)도 원상태로 상승, 복귀하게 된다.
한편, 상기 가이드부재(140)는 그 몸체에 마련된 다수의 장공(143)에 결합된 볼트부재(144)의 위치를 적절하게 이동시켜 결합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푸셔부재(120)에 결합되는 위치의 조정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링형부재의 높이에 따라 상기 로울러부재(261)(271)와의 접촉점을 조정할 수 있으므로 상기 푸셔부재(120)가 상기 링형부재를 가압하기 시작하는 시점과 상기 핑거부재(310)(320)가 벌어지는 시점을 시계열적으로 이루어지게 조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링형부재의 삽입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은 동작과정의 반복에 의해 오일 씨-일이나 와샤 등과 같은 링형부재를 실린더 등의 용기 내부 또는 환형의 슬릿홈 등에 거의 자동화된 과정으로 연속하여 정밀하고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링형부재의 삽입장치에 의하면, 오일 씨-일이나 와샤 등과 같은 링형부재를 실린더 등의 용기 내부 또는 환형의 슬릿홈 등에 거의 자동화된 과정으로 연속하여 정밀하고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으므로 작업 효율성 및 정밀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18)
- 베이스 프레임과,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된 액튜에이터 실린더와,상기 액튜에이터 실린더의 로드끝단에 설치된 푸셔부재와,상기 푸셔부재에 대해 탄력적 유동이 가능하도록 탄성바이어스된 툴부재와,상기 푸셔부재와 연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가이드부재와,상호 대응되는 방향으로의 직선왕복운동에 의해 링형부재를 클램핑 및 디스클램핑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된 1쌍의 핑거부재와,상기 가이드부재에 의해 간섭되어 상기 1쌍의 핑거부재를 상호 대응되는 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된 핑거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형부재의 삽입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핑거구동부는,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된 샤프트와,상호 탄성바이어스되어 상기 샤프트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1쌍의 부쉬부재와,상기 가이드부재의 간섭에 의해 상기 1쌍의 부쉬부재와 핑거부재를 상호 대응되는 방향으로 직선왕복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1쌍의 부쉬부재 및 핑거부재와 각각 결합된 1쌍의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형부재의 삽입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핑거구동부는,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나란하게 설치된 제1샤프트 및 제2샤프트와,상호 탄성바이스되어 상기 제1샤프트 및 제2샤프트에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1쌍의 제1부쉬부재 및 제2부쉬부재와,상기 가이드부재의 간섭에 의해 상기 1쌍의 제1부쉬부재 및 제2부쉬부재와 상기 핑거부재를 상호 대응되는 방향으로 직선왕복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1쌍의 제1부쉬부재 및 제2부쉬부재와 핑거부재와 각각 결합된 1쌍의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형부재의 삽입장치.
-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상기 1쌍의 부쉬부재는 상기 1쌍의 연결부재에 양단이 고정된 인장스프링에 의해 상호 탄성바이스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형부재의 삽입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1쌍의 핑거부재를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정렬시킬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마련된 스토퍼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형부재의 삽입장치.
- 제5항에 있어서,상기 스토퍼부재는 상기 1쌍의 부쉬부재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수직돌출되게 결합된 돌출부재와, 이 돌출부재의 양측부에 접촉가능하도록 상기 1쌍의 연결부재에 각각 마련되는 볼트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형부재의 삽입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툴부재는 상기 푸셔부재에 결합된 압축스프링에 의해 탄력적 유동이 가능하도록 탄성바이어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형부재의 삽입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1쌍의 부쉬부재는 상기 1쌍의 연결부재에 양단이 고정된 인장스프링에 의해 상호 탄성바이스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형부재의 삽입장치.
- 제1항 내지 제3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핑거구동부의 연결부재와 접촉되는 선단부의 양측이 그 중심선쪽으로 점차 축소되어 이루어진 대칭의 경사부를 가지는 삼각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형부재의 삽입장치.
- 제1항 내지 제3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1쌍의 연결부재에는 상기 가이드부재의 양측과 각각 접촉되는 로울러부재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형부재의 삽입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푸셔부재에 결합되는 위치의 조정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형부재의 삽입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가이드부재는 다수의 장공을 가지고, 상기 장공에 결합된 볼트부재의 위치이동에 의해 상기 푸셔부재에 결합되는 위치 조정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형부재의 삽입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푸셔부재는 중공부가 형성된 관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형부재의 삽입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푸셔부재는 실린더형 관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형부재의 삽입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툴부재는 중공부가 형성된 관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형부재의 삽입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툴부재는 실린더형 관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형부재의 삽입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툴부재는 기둥형상의 바아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형부재의 삽입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툴부재는 원기둥형상의 바아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형부재의 삽입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60067469U KR200153806Y1 (ko) | 1996-12-31 | 1996-12-31 | 링형부재 삽입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60067469U KR200153806Y1 (ko) | 1996-12-31 | 1996-12-31 | 링형부재 삽입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80054277U KR19980054277U (ko) | 1998-10-07 |
KR200153806Y1 true KR200153806Y1 (ko) | 1999-08-02 |
Family
ID=19488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60067469U KR200153806Y1 (ko) | 1996-12-31 | 1996-12-31 | 링형부재 삽입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153806Y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77314B1 (ko) * | 2016-03-09 | 2018-07-11 | (주)삼호정기 | 스냅링 체결장치와 피스톤팔레트용 승강식 수평 및 정렬장치를 구비한 피스톤핀 조립시스템 |
-
1996
- 1996-12-31 KR KR2019960067469U patent/KR200153806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80054277U (ko) | 1998-10-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AU2005201101B2 (en) | Clamping apparatus with a chuck and a pallet releasably attachable thereto | |
KR880002270B1 (ko) | 전기 및 전자부품 이동 장치 | |
JP5580432B2 (ja) | ピストン組付け装置 | |
CN117428455B (zh) | 折叠屏铰链弹性零件压装设备 | |
KR200153806Y1 (ko) | 링형부재 삽입장치 | |
KR100887504B1 (ko) | 원통형 부재의 실링재 삽입장치 | |
CN109277805B (zh) | 分段式压装设备及分段式压装方法 | |
CN107791010B (zh) | 一种密封圈套装机构 | |
CN211554144U (zh) | 一种电阻测量装置 | |
KR930010588B1 (ko) | 반송가공물의 클램프장치 | |
CN109659791B (zh) | 一种上尾插内芯机构 | |
CN210254665U (zh) | 一种大功率磁保持继电器电阻焊焊接装置 | |
CN114055131A (zh) | 限位板压入装置 | |
CN220008877U (zh) | 电子换挡器中的磁铁压铆工装 | |
SU1581557A1 (ru) | Устройство дл сборки деталей запрессовкой | |
KR100731499B1 (ko) | 인풋샤프트의 오링 조립장치 및 방법 | |
CN113635012A (zh) | 装配设备 | |
CN220635954U (zh) | 用于护栏生产的冲床用冲压端头 | |
CN213289342U (zh) | 衬套压入装置 | |
CN114012407B (zh) | 一种离合器从动盘减震弹簧同步压装机构 | |
JP2522740Y2 (ja) | 板状物の小径穴打抜き装置 | |
CN213289343U (zh) | 衬套组件夹持治具 | |
CN218926800U (zh) | 取料夹具 | |
CN221716157U (zh) | 一种密封件组装装置 | |
CN217008625U (zh) | 钢琴击弦机轴架自动组装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70427 Year of fee payment: 9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