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1403Y1 - 자동차 타이어 고임용 예비타이어 서포트 - Google Patents

자동차 타이어 고임용 예비타이어 서포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1403Y1
KR200151403Y1 KR2019960067320U KR19960067320U KR200151403Y1 KR 200151403 Y1 KR200151403 Y1 KR 200151403Y1 KR 2019960067320 U KR2019960067320 U KR 2019960067320U KR 19960067320 U KR19960067320 U KR 19960067320U KR 200151403 Y1 KR200151403 Y1 KR 2001514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re
support
vehicle
spare tire
spa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673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4128U (ko
Inventor
김주홍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600673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1403Y1/ko
Publication of KR1998005412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412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14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140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3/00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e.g. ch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Y2300/18175Preventing, or responsive to skidding of wheels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 타이어 고임장치용 예비타이어 서포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가 운행 중 타이어가 파손되어 이 파손된 타이어를 교환하고자 할 경우 예비타이어를 지지하고 있는 예비타이어 서포트를 이용하여 자동차가 움직이지 않게 고임장치로 사용할 수 있도록 자동차의 예비타이어(50)의 휠 하부에 안착되어 상기 예비타이어(50)를 지지하는 상측부재(21)가 휠 하부와 동일하게 형성되고, 이 상측부재(21)에는 동일하게 형성된 하측부재(22)가 융착되며, 이 하측부재(22)에는 예비타이어(50) 고정장치에 권취되어 있는 체인(30)에 걸려지는 걸고리(23)가 구속되어 상측부재(21)를 관통하여 상부로 돌출되어 있는 자동차의 예비타이어 서포트에 있어서, 상기 예비타이어 서포트(10)의 상측부재(11) 하부에는 자동차 타이어(60)의 고임장치로 사용되는 분할형 하측부재(12)가 안착되어 결합되며, 이 하측부재(12)의 상부에는 걸고리(13)의 하부가 구속되게 된 것으로서, 자동차에 별도의 타이어 고임장치를 구비하지 않으므로 인하여 곤란함을 겪지 않게 함과 더불어 안전조치를 취한 후 타이어 교환작업을 실시하게 하므로 운전자를 사고로부터 보호하며, 기존의 구성품을 활용도를 높일 수 있게 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 타이어 고임용 예비타이어 서포트
본 고안은 자동차 타이어 고임장치용 예비타이어 서포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가 운행 중 타이어가 파손되어 이 파손된 타이어를 교환하고자 할 경우에 예비타이어를 지지하고 있는 예비타이어 서포트를 이용하여 자동차가 움직이지 않게 고임장치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 타이어 고임용 예비타이어 서포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예비타이어는 자동차 운행 중 예기치 않은 상황에서 발생되는 타이어 파손에 대비하여 구비되어 있는 것으로, 이러한 예비타이어는 차체에 고정되어 있는 권취휠과 이 권취휠에 상단이 고정되면서 권취되는 체인 및 이 체인의 하단에 결합되면서 예비타이어의 휠을 지지하는 예비타이어 서포트로 구성된 예비타이어 고정장치에 의하여 차체에 고정되어 타이어 파손시 탈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한편, 상기한 예비타이어 고정장치 중에서 예비타이어의 휠에 안착되면서 상기 예비타이어가 낙하되지 않게 지지하는 예비타이어 서포트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예비타이어(50)의 휠(51) 하부에 안착되어 예비타이어(50)를 지지하는 상측부재(21)가 휠(51) 하부와 동일하게 형성되고, 이 상측부재(21)에는 상기 상측부재(21)와 동일하게 형성된 하측부재(22)가 융착고정되며, 이 하측부재(22)에는 권취휠(40)에 권취되어 있는 체인(30)에 걸려지는 걸고리(23)가 구속되어 상측부재(21)를 관통하여 상부로 돌출되게 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예비타이어 고정장치에 고정되어 있는 예비타이어(50)는 자동차 운행 중 타이어(60)가 파손되었을 때 고정되어 있는 예비타이어(50)를 탈착하여 파손된 타이어(60)와 교환하였다.
이때 파손된 타이어(60)를 교환하기 위해서는 자동차를 세우고 움직이지 않도록 파손되지 않은 타이어(60)를 고여야 한다. 그러나 거의 대부분의 운전자들이 자동차에 타이어(60)를 고일 수 있는 고임장치를 구비하고 있지 않으므로 노상에 방치된 돌을 이용하거나 이러한 돌이 없을 때는 타이어(60)를 고이지 않고 교체작업을 실시하는데 이는 사고를 자초하는 행동으로서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높다.
이에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이 타이어를 고이기 위한 고임장치가 구비되지 않으므로 인한 불편함과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기존에 구비된 장치를 이용하여 고임장치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을 본 고안의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자동차의 예비타이어의 휠 하부에 안착되어 상기 예비타이어를 지지하는 상측부재가 휠 하부와 동일하게 형성되고, 이 상측부재의 하부에는 상기 상측부재와 동일한 형상의 하측부재가 융착 고정되며, 이 하측부재에는 예비타이어 고정장치에 권취되어 있는 체인에 걸려지는 걸고리가 구속되어 상기 상측부재를 관통하여 상부로 돌출되어 있는 종래의 예비타이어 서포터에 있어서, 상기 예비타이어 서포트를 이용하여 자동차가 움직이지 않게 타이어를 고일 때 상기 예비타이어 서포트의 상측부재 하부에는 자동차 타이어의 고임장치로 사용되는 분할형 하측부재가 안착되어 결합되며, 이 하측부재의 상부에는 걸고리의 하부가 구속되게 된 것으로서, 자동차가 운행 중 타이어가 파손되었을 때 자동차에 구비된 예비타이어를 탈착함과 더불어 상기 예비타이어를 지지하고 있었던 서포트의 상측부재 하부에 결합되어 걸고리를 구속하고 있는 고임장치를 파손되지 않은 타이어에 고여 자동차가 움직이지 않게 안전조치를 취한다.
그러므로, 별도의 고임장치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며, 타이어 파손되었을 때 타이어 고임작업을 실시하지 않고 타이어 교환 작업을 실시하므로 인하여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제1도는 종래의 타이어 예비타이어의 고정상태의 상세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예비타이어 서포트 고정상태의 상세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예비타이어 서포트의 분해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예비타이어 서포트 11 : 상측부재
12 : 하측부재 13 : 걸고리
이하 첨부된 예시도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예비타이어 서포트 고정상태의 상세도이고,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예비타이어 서포트의 분해 사시도이며, 제4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로서, 본 고안은 자동차의 예비타이어(50)의 휠 하부에 안착되어 상기 예비타이어(50)를 지지하는 상측부재(21)가 휠 하부와 동일하게 형성되고, 이 상측부재(21)의 하부에는 동일한 형상의 하측부재(22)가 융착고정되어 있으며, 이 하측부재(22)에는 예비타이어(50) 고정장치에 권취되어 있는 체인(30)에 걸려지는 걸고리가 구속되어 상측부재(21)를 관통하여 상부로 돌출되어 있는 종래의 예비타이어 서포트(20)에 있어서, 자동차가 움직이지 않게 파손되지 않은 타이어(60)에 고임작업을 상기 예비타이어 서포트(10)를 이용하여 고임작업을 실시할 수 있도록 상기 예비타이어 서포트(10)의 상측부재(11) 하부에는 자동차 타이어(60)의 고임장치로 사용되는 분할형 하측부재(12)가 안착되어 결합되며, 이 하측부재(12)의 상부에는 걸고리(13)의 하부가 구속되게 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사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바와 같이된 본 고안에 따른 타이어 고임장치용 예비타이어 서포트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 운행 중 타이어(60)가 파손되어 이 파손된 타이어(60)를 교환하고자 할 경우 예비타이어(50) 고정장치에 고정되어 있는 예비타이어(50)를 탈착함과 더불어 예비타이어 서포트(10)의 상측부재(11) 하부에 결합되어 있던 분할형의 하측부재(12)를 파손되지 않은 타이어(60)에 고여 자동차가 움직이지 않게 한 후 안전한 작업조건 하에서 파손된 타이어(60)를 교환한다.
이상과 같이 된 본 고안에 따른 타이어 고임장치용 예비타이어 서포트에 있어서, 자동차에 별도의 타이어 고임용을 구비하지 않으므로 인하여 곤란함을 겪지 않게 함과 더불어 안전조치를 취한 후 타이어 교환작업을 실시하게 하므로 운전자를 사고로부터 보호하며, 기존의 구성품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것이다.

Claims (1)

  1. 자동차의 예비타이어(50)의 휠 하부에 안착되어 상기 예비타이어(50)를 지지하는 상측부재(21)가 휠 하부와 동일하게 형성되고, 이 상측부재(21)에는 동일하게 형성된 하측부재(22)가 융착되며, 이 하측부재(22)에는 예비타이어(50) 고정장치에 권취되어 있는 체인(30)에 걸려지는 걸고리(23)가 구속되어 상측부재(21)를 관통하여 상부로 돌출되어 있는 자동차의 예비타이어 서포터에 있어서 ; 상기 예비타이어 서포트(10)의 상측부재(11) 하부에는 자동차 타이어(60)의 고임장치로 사용되는 분할형 하측부재(12)가 안착되어 결합되며, 이 하측부재(12)의 상부에는 걸고리(13)의 하부가 구속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타이어 고임용 예비타이어 서포트.
KR2019960067320U 1996-12-31 1996-12-31 자동차 타이어 고임용 예비타이어 서포트 KR2001514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7320U KR200151403Y1 (ko) 1996-12-31 1996-12-31 자동차 타이어 고임용 예비타이어 서포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7320U KR200151403Y1 (ko) 1996-12-31 1996-12-31 자동차 타이어 고임용 예비타이어 서포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4128U KR19980054128U (ko) 1998-10-07
KR200151403Y1 true KR200151403Y1 (ko) 1999-07-15

Family

ID=19488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67320U KR200151403Y1 (ko) 1996-12-31 1996-12-31 자동차 타이어 고임용 예비타이어 서포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140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4128U (ko) 1998-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68855A (en) Vehicle protection bumper assembly
KR200151403Y1 (ko) 자동차 타이어 고임용 예비타이어 서포트
KR100680831B1 (ko) 와이어 타입 스페어 타이어 캐리어 장치
KR19980054127U (ko) 자동차 타이어 고임장치용 예비타이어 서포트
KR100471818B1 (ko) 상용차용 스페어타이어 고정장치
KR940002596B1 (ko) 6륜이상자동차의 륜석제거장치
CN208897040U (zh) 故障轮胎自救器
CN114701445B (zh) 一种汽车侧翻预警和防护装置
KR102507724B1 (ko) 타이어 탈착용 고정장치
KR0116026Y1 (ko) 자동차의 견인고리장치
KR0138443B1 (ko) 크레인의 부움탈거장치
KR200239158Y1 (ko) 도로에 설치하는 충격완화장치
KR100507002B1 (ko) 차량의 토크로드 제거용 지지부재 및 이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장치
KR100387683B1 (ko) 상용차용 액슬의 인양잭 세트장치
KR19980052643U (ko) 스페어 타이어 캐리어
KR0137399Y1 (ko) 스페어 타이어 캐리어
CN109131262A (zh) 一种故障轮胎自救器
KR920002212Y1 (ko) 자동차용 스페어타이어 고정장치
KR200171193Y1 (ko) 자동차의 스페어 타이어 탈거장치
CN114043929A (zh) 一种可渐变的车尾灯光示警装置
KR970003975Y1 (ko) 자동차 견인용 훅 커버의 설치구조
KR960031266A (ko) 중장비의 트랙주행장치
KR200299680Y1 (ko) 셀프로다의 타이어 고정장치
KR19980036577U (ko) 잭을 이용한 차량 리프트시 사용되는 안전지그
JPH07304395A (ja) 車両用サイクルラッ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