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2212Y1 - 자동차용 스페어타이어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스페어타이어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2212Y1
KR920002212Y1 KR2019890019606U KR890019606U KR920002212Y1 KR 920002212 Y1 KR920002212 Y1 KR 920002212Y1 KR 2019890019606 U KR2019890019606 U KR 2019890019606U KR 890019606 U KR890019606 U KR 890019606U KR 920002212 Y1 KR920002212 Y1 KR 9200022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re
bolt
support member
spare tire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196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1436U (ko
Inventor
민한기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이범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이범창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900196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2212Y1/ko
Publication of KR91001143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143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22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221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3/00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 B62D43/02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external to the vehicle body
    • B62D43/04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external to the vehicle body attached beneath the vehicle bod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차용 스페어타이어 고정장치
제 1 도는 본 고안 스페어타이어 고정장치의 평단면도.
제 2 도는 본 고안 스페어타이어 고정장치의 정면도.
제 3 도는 제 1도의 요부확대 우측단면도.
제 4 도는 제 1도의 요부확대 정면도.
제 5 도는 종래 기술에 따른 스페어타이어 고정장치 요부확대 정면도.
제 6 도는 제 5 도의 VI-VI 선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프레임 2 : 타이어 지지부재
2a : 후미부 3 : 체결장치
4 : 플로어 5 : 보강부재
6a, 6b : 가로부재 7 : 후미가로 보강부재
8 : 범퍼 9 : 브라켓
10 : 핀 11 : 타이어
12 : 스토퍼 13 : 수직부재
14 : 돌출부 15 : 레인프
16 : 보울트 17 : 너트
18 : 후크 19 : 홈
20 : 핀 21 : 호울더
22 : 스프링
본 고안은 자동차용 스페어타이어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페어타이어를 신속하게 꺼내거나 넣어 고정시켜줄 수가 있음과 더불어 타이머 미장착시 또는 펑크타이어 장착시에 차체흔들림에 의한 진동을 흡수시켜 줄 수 있도록된 자동차용 스페어타이어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스페어타이어 고정장치의 체결구조는 제 5 도 및 제 6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플로어의 후미가로 보강부재(51)에 보울트(52)가 관통되고, 이 보울트(52)의 나사부에는 너트(53)가 선단에 일체로 고정된 후크(54)가 끼워지며, 이 후크(54)의 아랫쪽 홈(55)에는 "ㄷ"자 형상으로 만곡지고서 양쪽선단이 차체의 가로부재에 브라켓을 매개로 핀회동되는 타이어 지지대(56)의 후미부가 관통되는 구조로 되어, 상기 보울트(52)를 회전시켜 줌으로써 타이어지지대(56)와 연결된 후크(54)와 고정부착된 너트(53)를 분리시켜 주거나, 또는 보울트(52)와 후크(54)가 연결된 상태로 상기 타이어 지지대(56)의 후미부를 상기 후크(54)의 홈(55)으로 부터 해제시켜 줌으로써, 스페어타이어를 차량에 장착 또는 분리시켜 줄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타이어를 차제로 부터 분리시켜주기 위해서는, 보울트(52)를 너트(53)로 풀어주거나 또는 상기 보울트(52)를 타이어지지대(56)의 단면 지름 이상으로 풀어준 다음 이 타이어지지대(56)에 무리한 힘을 가하여 후크(54)의 좁은 간격(C)으로 부터 빠져나가도록 해주어야 하므로 그 작업이 불편하고, 또 타이어를 장착시켜 주지 않게되면 주행중 노면에서 발생되는 충격과 진동이 전달되어 상기 보울트(52)가 헐겁게 되면서 크랙이 발생됨으로써 부품이 파손되며, 이와 같은 충격하중이 반복되면 체결상태가 헐거워게 되므로써 타이러를 적절하게 지지해주지 못해 분실당할 수 있는 위험이 있는 한편, 상기 후미가로 보강부재(51)와 타이어지지대(56) 사이의 폭이 일정(보울트 길이)하게 되어 정상타이어보다 폭이 작은 펑크타이어를 고정시켜 줄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스페어타이어를 신속하게 분리시켜주거나 고정시켜 줄 수 이음과 더불어 차체의 진동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보다 안정되게 스페어타이어를 지지해 줄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스페어타이어 고정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스페어타이어를 받쳐주는 "ㄷ"자형상으로 만곡진 타이어지지대의 양쪽선단이 차체의 앞쪽 가로부재에 고정된 2개의 브라켓에 핀 연결되어 회동되도록 되는 한편, 이 브라켓 반대쪽 타이어지지부재의 후미부가 차체에 보울트로 연결된 후크에 걸려질 수 있는 핀을 구비한 호울더에 끼워진 구조로 되어, 상기 보울트를 후크에 대해 체결되는 반대방향으로 회동시켜 주면 타이어지지부재와 연결된 후크에 구비된 핀이 쉽게 분리될 수 있어 타이어를 쉽게 꺼내주거나 고정시켜줄 수가 있고, 또한 상기 보울트와 후크의 결합길이를 조절해줌으로써 타이어장착폭을 조절해 줄 수 있게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스페어타이어 고정장치는 평면도와 정면도를 도시한 제 1 도 및 제 2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차체프레임(2)에 연결되어 회동되면서 타이어를 고정시켜 줄 수 있는 "ㄷ"자형상으로 만곡형성된 타이어 지지부재(2)와 상기 프레임(1)에 설치되면서 상기 타이어 지지부재(2)를 걸어줄 수 있는 체결장치(3)를 갖추고 있다.
여기서, 상기 차체프레임(1)은 플로어(4)에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부착된 2개의 보강부재(5)와 이 보강부재(5) 사이에 고정 부착된 가로부재(6a,6b) 상기 보강부재(5) 후단에 부착된 후미가로 보강부재(7) 및 이 후미가로 보강부재(7)에 연결된 범퍼(8)가 갖추어져 있고, 상기 앞쪽 가로부재(6a)에는 양쪽사이드에 브라켓(9)가 구비되어 있다.
또, 상기 타이어지지부재(2)는 양쪽선단이 앞쪽 가로부재(6a)의 브라켓(9)에 핀 (10)을 매개로 회동될 수 있도록 연결되고, 이 핀(10)의 안쪽 타이어지지부재(2)에는 타이어(11)가 장착될때 타이어(11)의 이동을 제한 해주는 스토퍼(12)가 부착되며, 이 타이어지지부재(2)의 중간부위에는 타이어(11)의 중심(0)을 지나면서 상기 가로부재(6a,6b)와 나란히 수직부재(13)가 고정부착되어 있는 한편, 상기 스토퍼(12)의 반대쪽 타이어지지부재(2)에 타이어(11)를 받쳐둘 수 있도록 돌출부(1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타이어지지부재(2)의 후미부(2a)를 붙잡아 차체(1)에 걸어주는 체결장치(3)는 제 3 도 및 제 4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후미가로 보강부재(7)에 레인프(15)를 매개로 끼워지는 보울트(16)와, 이 보울트(16)의 나사부분에 채워지는 너트(17)와 고정부착된 후크(18) 및 이 후크(18)에 형성된 홈(19)을 관통하여 돌출된 핀(20)의 양쪽 선단부에 끼워지면서 다른쪽 선단에 상기 타이어지지부재(2)가 관통삽입 된 호울더(21)가 갖추어져 있고, 상기 후미가로보강부재(7)와 너트(17)사이에서 상기 보울트(16) 주위에는 스프링(22)이 탄력설치 되어 있다.
다음은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제 4 도에 도시된 체결된 상태에서 이 체결상태를 해제시켜 줄 경우에는, 상기 후미가로보강부재(7)에 끼워진 보울트(16)를 너트(17)에 대해 풀어주면, 스프링(22)이 인장되면서 후크(18)에 형성된 홈(19)의 입구가 개방되고 이 상태에서 타이어지지부재(2)와 연결된 호울더(21)의 핀(20)을 상기 후크(18)의 홈(19)으로 부터 빼내어 주면 체결장치(3)가 해제됨으로써, 상기 타이어지지부재(2)에 의해 고정된 타이어(11)를 꺼내어 줄 수 있게된다.
이와 같이 해제된 타이어지지부재(2)에 타이어(11)를 얹어놓고서 체결장치(3)를 체결시켜줄 경우에는, 상기 해제시켜주는 순서와 역순으로 타이어지지부재(2)에 연결된 호울터(21)의 핀(20)을 상기 후크(18)의 홈(19)에 끼워 걸어주고서 보울트(16)를 후크(18)에 고정된 너트(17)에 대해 체결시켜주면, 상기 홈(19)의 입구가 보울트(16)에 의해 막혀져 이 홈(19)내에 삽입된 핀(20)이 보울트(16)에 의해 홈(19)내에서 안정되게 수납됨에 따라, 이 핀(20)에 걸려진 호울더(21)에 의해 타이어지지부재(2)가 걸려져 지지되는바, 이때 상기 타이어지지부재(2)위에 있는 타이어(11)는 타이어지지부재(2)에 고정된 2개의 스토퍼(12)와 돌출부(14) 및 후미가로 보강부재(7)에 의해 고정되게 된다.
한편, 타이어지지부재(2)에 펑크타이어를 고정시켜줄 경우에는 이 타이어가 상기 후미가로 보강부재(7)에 고정되지 않게되나, 상기 보울트(16)를 더욱 조여줌으로써 타이어의 림이 뒤쪽 가로부재(6b)와 접촉되어 견고하게 고정되게 되고, 만약 이 타이어지지부재(2)에 타이어(11)를 고정시켜줄 필요가 없을 경우에 상기 보울트(16)와 너트(17)가 체결되어 있기만 하면 이 보울트(16) 주위에 끼워진 스프링(22)이 차량이 주행중 노면에서 발생된 충격을 흡수시켜주게 되어, 이 고정장치의 유동이 억제되게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 스페어타이어 고정장치는, 호울더(21)에 연결된 핀(20)을 보울트(16)로 연결되면서 스프링(22)의 탄력을 받는 후크(18)에 걸어주거나 또는 해제시켜줌으로써, 상기 호울더(21)에 지지된 타이어지지부재(2)에 타이어(11)를 장착하고서 신속하게 체결시켜주거나 해제시켜 줄수가 있음과 더불어, 이 타이어지지부재(2)에 펑크아이어의 장착시 또는 타이어 미장착시에도 노면에서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시켜 부품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한편, 상기 보울트(16)와 후크(18)의 결합길이를 조절해 줌으로써 타이어장착폭을 조절하여 펑크타이어도 견고하게 고정시켜줄 술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차체프레임(1)의 앞쪽가로부재(6a)에 브라켓(9)을 매개로 핀회동되도록 연결된 타이어지지부재(2)의 후미부(2a)를 후미가로 보강부재(7)에 끼워지는 보울트(16)로 걸어주도록 된 자동차용 스페어타이어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울트(16)에는 외주면 둘레로 스프링(22)이 끼워지면서 너트(19)와 일체로 고정된 후크(18)가 체결되고, 이 후크(18)에는 외부면상에서 몸체안쪽으로 홈(19)이 형성되며, 또한 이 홈(19)에는 상기 타이어지지부재(2)의 후미부(2a)가 끼워진 호울더(21)를 관통하는 핀(20)이 삽입되어 상기 보울트(16)에 의해 선택적으로 고정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스페어타이어 고정장치.
KR2019890019606U 1989-12-22 1989-12-22 자동차용 스페어타이어 고정장치 KR9200022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19606U KR920002212Y1 (ko) 1989-12-22 1989-12-22 자동차용 스페어타이어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19606U KR920002212Y1 (ko) 1989-12-22 1989-12-22 자동차용 스페어타이어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1436U KR910011436U (ko) 1991-07-29
KR920002212Y1 true KR920002212Y1 (ko) 1992-04-02

Family

ID=19293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19606U KR920002212Y1 (ko) 1989-12-22 1989-12-22 자동차용 스페어타이어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221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1436U (ko) 1991-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23566A (en) Adjustable trailer hitch
US3401953A (en) Detachable supporting arm assembly for mudflaps
US7198443B2 (en) Motorcycle transport system and method therefor
US5549231A (en) Bicycle carrier for motor vehicles
US5476203A (en) Bicycle crank shaft support carrier
US11660916B2 (en) Multiple hitch assembly
US11964523B2 (en) Hitch vibration dampener
CA2775120C (en) Vacuum mounted carrier for a vehicle
CA3003935A1 (en) Vacuum mounted carrier for a vehicle
SK284045B6 (sk) Zariadenie na uvoľniteľné upevnenie doplnkového kolesa na kolese vozidla
KR100902984B1 (ko) 트럭장착용 충격흡수시설
KR920002212Y1 (ko) 자동차용 스페어타이어 고정장치
US4073461A (en) Fender-mount rear view mirror support
EP3581436B1 (en) Extension module for a load carrier
US6164679A (en) Spare wheel assembly for trailers
KR200161908Y1 (ko) 강성이 보강된 차량 번호판의 차체 체결구조
KR0128155B1 (ko) 자동차의 스페어 타이어 탈착 장치
US3702197A (en) Trailer hitch
KR200143954Y1 (ko) 차량의 후방 타이 후크 장착구조
KR0121598Y1 (ko) 차량용 견인고리
KR960003556Y1 (ko) 자동차용 리어 언더 미러
KR20070112917A (ko) 차량용 미끄럼 방지 장치
KR19980037838A (ko) 풀림 방지식 로워암 고정장치
KR970003975Y1 (ko) 자동차 견인용 훅 커버의 설치구조
KR100680333B1 (ko) 차량용 헤드램프 마운팅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2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