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0402Y1 - 자동차용 배터리 고정 구조물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배터리 고정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0402Y1
KR200150402Y1 KR2019960048431U KR19960048431U KR200150402Y1 KR 200150402 Y1 KR200150402 Y1 KR 200150402Y1 KR 2019960048431 U KR2019960048431 U KR 2019960048431U KR 19960048431 U KR19960048431 U KR 19960048431U KR 200150402 Y1 KR200150402 Y1 KR 2001504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flange portion
fixing
present
fixing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84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5458U (ko
Inventor
김현식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600484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0402Y1/ko
Publication of KR1998003545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545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04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040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4Arrangement of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배터리 고정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양측벽 하부에 플랜지부(12)가 연장 형성되고, 전면에 고정된 고정 브래킷(26)에 탄성고정클립(14)이 부착되는 배터리(24)와; 상기 플랜지부(12)가 끼워지도록 상면 양측위로 폭방향을 따라 걸림턱(16)이 형성되고, 상기 탄성고정 클립(14)이 탄성적으로 계합되도록 전방 단부측에 계합홀(20)이 형성되는 고정판(2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배터리 고정 구조물
본 고안은 배터리 고정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별도의 공구나 체결부재를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 배터리의 장착 및 탈거작업이 간단하고 용이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정비성이 개선되는 자동차용 배터리 고정 구조물(Battery Fastening Structure For Automobile)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배터리는 화학적 에너지를 전기적 에너지로, 전기적 에너지를 화학적 에너지로 바꿀 수 있도록 만든 장치로서, 자동차의 엔진룸에 설치되어 엔진 시동에 필요한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며; 엔진 정지시 또는 발전기 고장시 자동차 전기장치에 전기에너지를 공급하고; 발전기로 부터 보내오는 전기에너지를 화학에너지로 변환, 저장시켰다가 필요한 때에 이를 방출하므로써, 발전기의 출력과 부하 사이의 시간적 불균형을 조절한다. 자동차용 배터리로서는 납산 축전지와 알칼리 축전지가 사용된다.
배터리는 여러개의 셀로 구성되며, 하나의 셀은 양극판과 음극판과 격리판과 전해액과 셀 케이스를 갖는다. 극판은 경납의 격자에 작용물질을 압착시킨 것으로, 충전 및 방전시에는 작용물질만이 화학적으로 변환된다. 작용물질은 과산화납 또는 납가루에 합성섬유, 접착제, 황산 첨가제 등을 혼합, 반죽한 것으로 극판격자에 압입된다. 기전력을 얻기 위해서는 양극판과 음극판의 작용물질은 서로 달라야 하고, 양극판의 작용물질로는 과산화납이 사용되며, 음극판의 작용물질로는 해면상의 납이 사용된다. 양극판과 음극판의 사이에는 절연 격리판이 설치되어 양극판과 음극판을 전기적으로 격리시키고, 상기 절연 격리판에는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어 충방전시에 전해액을 통한 극판의 화학변화가 방해를 받지 않도록 한다.
배터리 양단의 셀에는 외부의 전원 또는 부하와 연결시키기 위한 전극이 설치된다. 제 4 도를 참조하면, 종래기술에 따른 배터리 고정 구조물(50)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를 도시하며, 상기 배터리 고정 구조물(50)은 지지브래킷(52)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브래킷(52)은, 도시한 바와 같이, 배터리(64)의 컨테이너 상면에 배치되고, 상기 배터리(64)의 저면을 지지하는 고정판(62)위로 돌출된 볼트(54)의 태핑부가 상기 지지브래킷(52)의 양단에 형성된 홀속에 삽입되어 너트(56)로 체결됨으로써, 상기 배터리(64)가 상기 고정판(62)상에서 고정된채 유지되는 것이다. 도면 부호 68은 상기 접속단자(70)에 연결되는 케이블을 나타낸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배터리 고정 구조물(50)에 있어서는, 배터리(64)를 고정판(62)상에 고정장착하기 위해서는 렌치 등의 공구를 이용하여 보울트(54)와 너트(56)를 조여야 하기 때문에, 장착 및 탈거작업이 매우 성가시게 되며, 시간이 많이 소모되는 등의 정비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선행기술에 따른 배터리 단자 접속용 구조물에 내재되었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별도의 공구나 체결부재를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 배터리의 장착 및 탈거작업이 간단하고 용이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부품수가 감소되고 정비성이 개선되는 배터리 고정 구조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배터리 고정 구조물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선을 취한 종단면도.
도 3은 도 1의 B-B선을 취한 종단면도.
도 4는 종래기술에 따른 배터리 고정 구조물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50: 배터리 고정 구조물, 12: 플랜지부,
14:고정 클립, 16: 걸림턱,
18: 계합돌부, 20: 계합홀,
22,62: 고정판, 24,64: 배터리,
26: 고정 브래킷, 28,68: 케이블,
30,70: 단자, 32: 밴트 플러그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그 일면에 따라, 배터리 고정 구조물이 제공되고; 상기 구조물은 양측벽 하부에 플랜지부가 연장 형성되고, 전면에 고정된 고정 브래킷에 탄성고정클립이 부착되는 배터리와; 상기 플랜지부가 끼워지도록 상면 양측위로 폭방향을 따라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탄성고정 클립이 탄성적으로 계합되도록 전방 단부측에 계합홀이 형성되는 고정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탄성고정 클립은 상기 플랜지부의 전면으로 부터 전방으로 연장하면서 절곡형성된 계합돌기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상기 특성들에 따라,상기 배터리의 플랜지부를 상기 고정판의 상면에 형성된 걸림턱에 끼운채 활주시키면서 고정클립을 고정판의 계합홀에 계합시킴으로써, 별도의 공구나 체결부재가 필요없이 배터리의 장착 및 탈거작업이 간단하고 용이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술하며,도면전체를 통하여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배터리 고정 구조물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를 도시한다. 상기 배터리 고정 구조물(10)은 배터리(24)와 고정판(22)을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24)의 양측 하부에는 그측벽으로 부터 예각을 이룬채 배터리(24)의 하부 저면의 외향 연장선을 향해 하향 연장되는 플랜지부(1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배터리(24)의 전면 하부에는 "ㄱ"자 형상의 고정브래킷(26)이 고착되어 있고, 상기 고정브래킷(26)에 탄성고정 클립(14)이 부착되는데, 이 탄성고정 클립(14)은 상기 고정브래킷(26)으로 부터 직선 하향 연장되어 전방을 향해 곡선으로 절곡형성된 계합돌부(18)를 갖는다.
상기 고정판(22)의 양측 상면에는 상기 배터리(24)의 하부폭과 동일한 폭길이가 되는 지점에 그 폭방향으로 장방형의 개구를 절췌하여 상기 플랜지부(12)가 삽입되어 활주할 경우 도 2와 같이,플랜지부(12)의 경사도와 일치하도록 걸림턱(16)이 상향으로 돌출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판(22)의 전방단부 근방에 장방형의 계합홀(20)이 형성되어, 도 3과 같이, 상기 플랜지부(12)가 상기 걸림턱(16)에 끼워져 전방으로 활주되면서 상기 탄성고정 클립(14)의 계합돌부(18)가 계합홀(20)에 스냅결합하여 상기 배터리(24)가 상기 고정판(22)에 고정 유지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한 작용을 설명한다.
배터리(24)의 플랜지부(12)를 고정판(22)의 걸림턱(16)에 끼워 배터리(24)를 전방을 향해 밀면, 상기 플랜지부(12)가 걸림턱(22)의 내측면을 따라 전방으로 활주하면서 탄성고정 클립(14)의 계합돌부(18)가 고정판(22)의 계합홀(20)속에 끼워지면서 결합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별도의 공구나 체결부재를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 배터리의 장착 및 탈거작업이 간단하고 용이한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부품수의 감소로 인한 재료비가 절감되고,일정폭을 유지하는 한에서 다양한 크기의 배터리의 사용이 가능하며,정비성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하기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고안의 정신이나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

  1. 양측벽 하부에 플랜지부가 연장 형성되고, 전면에 고정된 고정 브래킷에 탄성고정클립이 부착되는 배터리와;
    상기 플랜지부가 끼워지도록 상면 양측위로 폭방향을 따라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탄성고정 클립이 탄성적으로 계합되도록 전방 단부측에 계합홀이 형성되는 고정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고정 구조물.
  2. 상기 탄성고정 클립은 상기 플랜지부의 전면으로 부터 전방으로 연장하면서절곡형성된 계합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고정 구조물.
KR2019960048431U 1996-12-12 1996-12-12 자동차용 배터리 고정 구조물 KR2001504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8431U KR200150402Y1 (ko) 1996-12-12 1996-12-12 자동차용 배터리 고정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8431U KR200150402Y1 (ko) 1996-12-12 1996-12-12 자동차용 배터리 고정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5458U KR19980035458U (ko) 1998-09-15
KR200150402Y1 true KR200150402Y1 (ko) 1999-07-01

Family

ID=19478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8431U KR200150402Y1 (ko) 1996-12-12 1996-12-12 자동차용 배터리 고정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040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8847B1 (ko) 2007-07-06 2008-05-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배터리 고정 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0543B1 (ko) * 2005-12-07 2007-0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배터리 마운팅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8847B1 (ko) 2007-07-06 2008-05-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배터리 고정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5458U (ko) 1998-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50402Y1 (ko) 자동차용 배터리 고정 구조물
KR19980045743U (ko) 배터리 단자 접속용 구조물
KR200150697Y1 (ko) 자동차의 축전지 설치구조
KR100251972B1 (ko) 자동차의 배터리 고정장치
KR200142293Y1 (ko) 배터리 단자 접속용 구조물
KR200190991Y1 (ko) 배터리 접속 단자구조
CN216819731U (zh) 一种逆变器
CN215343806U (zh) 线束接线端子保护盒
KR19980052488U (ko) 배터리 단자 접속 구조물
KR980007638U (ko) 자동차의 축전지 장착구조
KR19990026639U (ko) 자동차 밧데리의 클램핑 장치
KR19980031685U (ko) 배터리 고정용 구조물
KR200150698Y1 (ko) 자동차의 축전지 설치구조
KR19980066054U (ko) 배터리 고정장치
KR100228093B1 (ko) 배터리 방전방지장치
KR19980017979U (ko) 배터리 착탈장치
KR200180580Y1 (ko) 배터리 단자연결장치
KR0132937Y1 (ko) 자동차용 배터리 터미널구조
KR0140646Y1 (ko) 자동차용 뱃터리의 취부구조
KR19990031311U (ko) 배터리 접속 단자구조
KR100507014B1 (ko) 자동차의 축전지 및 그 연결구조
KR19980012346U (ko) 자동차의 밧데리 고정구조
KR200155735Y1 (ko) 자동차용 축전지 터미널의 단자 장착 구조
KR100252520B1 (ko) 전기자동차의 집전체와 단자의 연결구조
KR200402602Y1 (ko) 하이브리드 모터 컨트롤 유니트의 쇼트방지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3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