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2293Y1 - 배터리 단자 접속용 구조물 - Google Patents

배터리 단자 접속용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2293Y1
KR200142293Y1 KR2019950037564U KR19950037564U KR200142293Y1 KR 200142293 Y1 KR200142293 Y1 KR 200142293Y1 KR 2019950037564 U KR2019950037564 U KR 2019950037564U KR 19950037564 U KR19950037564 U KR 19950037564U KR 200142293 Y1 KR200142293 Y1 KR 2001422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battery
terminal
connection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375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5932U (ko
Inventor
임문수
Original Assignee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성원
Priority to KR20199500375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2293Y1/ko
Publication of KR97002593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593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22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2293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6Connections in which at least one of the connecting parts has projections which bite into or engage the other connecting part in order to improve the contact

Landscapes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터리 단자 접속용 구조물(10)에 관한 것이다. 접속용 구조물(10)은, 일단부가 케이블에 연결되면서 다른단부는 배터리에 형성되는 제1개구부를 통하여 삽입되어 상기 제1개구부내에 배설되는 전극에 접속되면서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사각형 구멍이 형성되는 접속단자, 및 상기 제1개구부와 연통되는 제2개구부에 선회가능한 방식으로 설치되면서 그 내측단부에는 상기 접속단자의 상기 사각형 구멍에 계합되는 다수의 치부들이 형성되는 스토퍼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배터리 단자 접속용 구조물
제1도는 선행기술에 따른 배터리 단자 접속용 구조물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배터리 단자 접속용 구조물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제3도는 제2도의 구조물의 접속구조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접속용 구조물 12 : 배터리
14 : 접속단자 16 : 힌지축
18 : 더스트 커버 20 : 리턴 스프링
22 : 스토퍼 24 : 치부(teeth)
26 : 전극 28 : 장방형 구멍
30, 30a : 개구부(opening) 50 : 접속용 구조물
52 : 배터리 54 : 전극
56 : 접속단자 58 : 케이블
60 : 보울트 62 : 너트
본 고안은 배터리 단자 접속용 구조물에 관한 것이고, 특히 별도의 공구를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 배터리 단자의 접속이 간단하고 용이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배터리 단자 접속용 구조물(structure for connecting a battery terminal)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배터리는 엔진 시동에 필요한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며; 엔진정지시 또는 발전기 고장시 자동차 전기장치에 전기에너지를 공급하고; 발전기로부터 보내오는 전기에너지를 화학에너지로 변환, 저장시켰다가 필요한 때에 이를 방출하므로써, 발전기의 출력과 부하 사이의 시간적 불균형을 조절한다. 자동차의 배터리로서는 산납축전지가 많이 사용된다.
배터리는 여러개의 셀로 구성되며, 하나의 셀은 양극판과 음극판과 격리판과 전해액과 셀 케이스를 갖는다. 극판은 경납의 격자에 작용물질을 압착시킨 것으로, 충전 및 방전시에는 작용물질만이 화학적으로 변환된다. 작용물질은 과산화납 또는 납가루에 합성섬유, 접착제, 황산 첨가제 등을 호합, 반죽한 것으로 극판격자에 압입된다. 기전력을 얻기 위해서는 양극판과 음극판의 작용물질은 서로 달라야 하고, 양극판의 작용물질로는 과산화납이 사용되며, 음극판의 작용물질로는 해면상의 납이 사용된다. 양극판과 음극판의 사이에는 절연 격리판이 설치되어 양극판과 음극판을 전기적으로 격리시키고, 상기 절연 격리판에는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어 충방전시에 전해액을 통한 극판의 화학변화가 방해를 받지 않도록 한다.
배터리 양단에 셀에는 외부의 전원 또는 부하와 연결시키기 위한 전극이 설치된다. 제1도를 참조하면, 선행기술에 따른 배터리 단자 접속용 구조물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를 도시하며, 단자 접속용 구조물(50)은 접속단자(56)를 포함한다. 상기 접속단자(56)는, 도시한 바와 같이, 배터리(52)의 전극(54)을 둘러싸고; 상기 접속단자(56)가 보울트(60)와 너트(62)에 의해 전극(54)에 체결되므로써, 상기 접속단자(56)의 전극(54)에 대한 접속은 완료된다. 도면 부호 58은 상기 접속단자(56)에 연결되는 케이블을 나타낸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선행기술에 따른 배터리 단자 접속용 구조물(50)에 있어서는, 접속단자(56)를 전극(54)에 접속시키기 위해서는 렌치 등의 공구를 이용하여 보울트(60)와 너트(62)를 조여야 하기 때문에, 접속작업이 매우 성가시게 되며, 시간이 많이 소모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선행기술에 따른 배터리 접속용 구조물에 내재되었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별도의 공구를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 배터리 단자와 접속이 간단하고 용이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배터리 단자 접속용 구조물을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일면에 따라, 배터리 단자 접속용 구조물이 제공되고; 상기 구조물은, 일단부가 케이블에 연결되면서 다른단부는 배터리에 형성되는 제1개구부를 통하여 삽입되어 상기 제1개구부내에 배설되는 전극에 접속되는 접속단자, 및 상기 접속단자를 상기 전극에 접속된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한 스토퍼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접속단자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사각형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스토퍼 수단은, 상기 제1개구부와 연통되는 제2개구부에 선회가능한 방식으로 설치되면서 그 내측단부에는 상기 접속단자의 상기 사각형 구멍에 계합되는 다수의 치부들이 형성되는 스토퍼로 구성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제1개구부의 상단부에 근접하여 더스트 커버가 부착된다.
본 고안의 상기 특성들에 따라, 상기 접속단자를 상기 제1개구부내로 삽입시키고 상기 스토퍼를 선회시킴으로서 접속단자가 전극에 접속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게 되므로, 별도의 공구를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 배터리 단자의 접속이 간단하고 용이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술하며, 도면 전체를 통하여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제2도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배터리 단자 접속용 구조물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를 도시하고; 제3도에는 제2도의 구조물의 접속구조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를 도시한다. 본 고안에 따른 접속용 구조물(10)은 접속단자(14)를 가지며, 접속단자(14)는 도시한 바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형상을 취하게 된다. 접속단자(14)에는 다수의 장방형 구멍(28)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접속단자(14)의 일단부는 케이블(도시안됨)에 연결된다.
본 고안에 따라, 배터리(12)에는 서로 연통되는 두개의 개구부(30,30a)가 마련되며, 제1개구부(30)는 수직방향으로 형성되고, 제2개구부(30a)는 수평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접속단자(14)의 다른 단부는 상기 제1개구부(30)를 통하여 배터리(12)의 내부로 삽입된다. 상기 제1개구부(30)의 하단부에는 전극(26)이 배설되며, 상기 전극(26)의 주위에는 리턴스프링(20)이 제공된다. 상기 제2개구부(30a)에는 스토퍼(22)가 힌지축(16)에 의해 선회가능한 방식으로 설치되고, 상기 스토퍼(22)의 내측단부는 대체로 원판형의 형상을 취하게 되며, 상기 스토퍼(22)의 외측단부는 핸들과 같은 형상으로 성형된다.
상기 스토퍼(22)의 상기 내측단부에는 다수의 치부(teeth)(24)가 형성되고; 상기 접속단자(14)가 상기 제1개구부(30)를 통하여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스토퍼(22)를 선회시키면, 상기 치부(24)가 접속단자(14)에 형성되는 상기 장방형 구멍(28)에 계합되면서 상기 접속단자(14)를 하방으로 밀면서 전극(26)에 접속시키게 된다.
접속단자(14)를 상기 배터리(12)로부터 분리시키고자 하는 경우에, 상기 스토퍼(22)를 반대방향으로 선회시키면, 상기 장방향 구멍(28)에 대한 상기 치부(24)의 계합상태가 해제되어, 상기 리턴 스프링(20)이 상기 접속단자(14)를 상방향으로 밀어올리면서 접속단자(14)는 배터리(12)로부터 이탈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개구부(30)의 상단부에 근접한 배터리(12)의 부분에는 더스트 커버(18)가 부착되어 외부의 이물질이 상기 제1개구부(3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본 고안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에 따라, 접속단자를 제1개구부내로 삽입시키고 스토퍼를 선회시킴으로써 접속단자가 전극에 접속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게 되므로, 별도의 공구를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 배터리 단자의 접속이 간단하고 용이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고안의 정신이나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다.

Claims (3)

  1. 배터리 단자 접속용 구조물에 있어서, 일단부가 케이블에 연결되면서 다른단부는 배터리에 형성되는 제1개구부를 통하여 삽입되어 상기 제1개구부내에 배설되는 전극에 접속되는 접속단자, 및 상기 접속단자를 상기 전극에 접속된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한 스토퍼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단자 접속용 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단자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사각형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스토퍼 수단이, 상기 제1개구부와 연통되는 제2개구부에 선회가능한 방식으로 설치되면서 그 내측단부에는 상기 접속단자의 상기 사각형 구멍에 계합되는 다수의 치부들이 형성되는 스토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단자 접속용 구조물.
  3.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개구부의 상단부에 근접하여 더스트 커버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단자 접속용 구조물.
KR2019950037564U 1995-11-30 1995-11-30 배터리 단자 접속용 구조물 KR2001422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7564U KR200142293Y1 (ko) 1995-11-30 1995-11-30 배터리 단자 접속용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7564U KR200142293Y1 (ko) 1995-11-30 1995-11-30 배터리 단자 접속용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5932U KR970025932U (ko) 1997-06-20
KR200142293Y1 true KR200142293Y1 (ko) 1999-06-01

Family

ID=19431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37564U KR200142293Y1 (ko) 1995-11-30 1995-11-30 배터리 단자 접속용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229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5932U (ko) 1997-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23146A (en) Battery system electrical connection apparatus and method
KR19990082935A (ko) 배터리 팩, 배터리 충전기 및 배터리 팩을 사용하는 전자장치
KR200142293Y1 (ko) 배터리 단자 접속용 구조물
KR19980045743U (ko) 배터리 단자 접속용 구조물
KR19980052488U (ko) 배터리 단자 접속 구조물
KR200169665Y1 (ko) 배터리 단자연결장치
KR19980031685U (ko) 배터리 고정용 구조물
KR100228093B1 (ko) 배터리 방전방지장치
US5023154A (en) Battery terminal protector
KR100251972B1 (ko) 자동차의 배터리 고정장치
KR20010027275A (ko) 밀폐전지
KR200150402Y1 (ko) 자동차용 배터리 고정 구조물
KR200150697Y1 (ko) 자동차의 축전지 설치구조
JPH0332041Y2 (ko)
JPH0625883Y2 (ja) 組電池
KR100192676B1 (ko) 배터리액 보충시기 표시장치
KR200162475Y1 (ko) 배터리의 단자이탈방지장치
KR20130017920A (ko) 푸쉬너트를 이용한 전지 극주 조립체
KR200148784Y1 (ko) 차량의 배터리단자 체결장치
KR200160060Y1 (ko) 차량용 배터리 단자 체결장치
KR200180580Y1 (ko) 배터리 단자연결장치
KR19980036205U (ko) 배터리 단자 연결장치
KR19980010664U (ko) 배터리 전원장치
KR200148781Y1 (ko) 차량의 배터리단자 체결장치
CN114142582A (zh) 一种适用于多通道直流电源并联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