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1685U - 배터리 고정용 구조물 - Google Patents

배터리 고정용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1685U
KR19980031685U KR2019960044848U KR19960044848U KR19980031685U KR 19980031685 U KR19980031685 U KR 19980031685U KR 2019960044848 U KR2019960044848 U KR 2019960044848U KR 19960044848 U KR19960044848 U KR 19960044848U KR 19980031685 U KR19980031685 U KR 1998003168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bracket
bolt
base plate
n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48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창재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600448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31685U/ko
Publication of KR1998003168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1685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4Arrangement of batte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터리 고정용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구조물은, 베이스 플레이트(12);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2)에 안착되는 배터리(26)의 하단부를 고정적으로 유지시키기 위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2)에 고정되는 제 1브라켓(14); 상기 제 1브라켓(14)을 관통하여 상방향으로 연장되는 볼트(18); 상기 볼트(18)에 끼워지면서 상기 배터리(26)의 상단부를 고정적으로 유지시키게 되는 제 2브라켓(16); 상방향으로부터 상기 볼트(18)에 체결되는 너트(20); 및 상기 너트(20)의 체결방향 이동거리를 특정정도로 제한하기 위해 상기 볼트(18)의 외면상에 끼워지는 스토퍼 부재(28);를 포함하여 베이스 플레이트에 배터리를 고정시킬 때 너트의 체결방향 이동거리를 규제하므로써 배터리의 손상을 방지토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배터리 고정용 구조물
본 고안은 자동차용 배터리 고정용 구조물에 관한 것이고, 특히 베이스 플레이트에 배터리를 고정시킬 때 너트의 체결방향 이동거리를 규제하므로써 배터리의 손상을 방지하게 되는 배터리 고정용 구조물(Battery Fixing Structure)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배터리는 엔진 시동에 필요한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며; 엔진 정지시, 또는, 발전기 고장시 자동차 전기장치에 전기에너지를 공급하고; 발전기로 부터 보내오는 전기에너지를 화학에너지로 변환, 저장시켰다가 필요한 때에 이를 방출하므로써, 발전기의 출력과 부하 사이의 시간적 불균형을 조절한다. 자동차의 배터리로서는 산납축전지가 많이 사용된다. 배터리는 여러개의 셀로 구성되며, 하나의 셀은 양극판과 음극판과 격리판과 전해액과 셀 케이스를 갖는다. 극판은 경납의 격자에 작용물질을 압착시킨 것으로 충전 및 방전시에는 작용물질만이 화학적으로 변환된다. 작용물질은 과산화납 또는 납가루에 합성섬유, 접착제, 황산 첨가제 등을 혼합, 반죽한 것으로 극판격자에 압입된다. 기전력을 얻기 위해서는 양극판과 음극판의 작용물질은 서로 달라야 하고, 양극판의 작용물질로는 과산화납이 사용되며, 음극판의 작용물질로는 해면상의 납이 사용된다. 양극판과 음극판의 사이에는 절연 격리판이 설치되어 양극판과 음극판을 전기적으로 격리시키고, 상기 절연 격리판에는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어 충방전시에 전해액을 통한 극판의 화학변화가 방해를 받지 않도록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선행기술에 따른 배터리 고정용 구조물에 의해 배터리가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를 도시하며; 도 2에는 도 1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배터리 고정용 구조물(50)은 베이스 플레이트(52)를 포함하고, 베이스 플레이트(52)로서는 샤시 프레임이 사용될 수 있게 된다. 베이스 플레이트(52)에는 배터리(66)가 안착되며, 배터리(66)의 하단부에는 걸림턱(64)이 형성된다. 배터리(66)의 측방에서, 베이스 플레이트(52)에는 제 1브라켓(54)의 일단부가 고정되고, 제 1브라켓(54)의 다른단부는 상기 일단부로부터 절곡되어 배터리(66)에 형성되는 상기 걸림턱(64)을 하방으로 압압하게 된다. 베이스 플레이트(52)와 제 1브라켓(54)의 사이에는 볼트(58)의 헤드부분이 위치되며, 볼트(58)의 몸통부분은 제 1브라켓(54)을 관통하여 상방향으로 연장된다. 볼트(58)의 상단부에는 제 2브라켓(56)이 끼워지고, 제 2브라켓(56)에는 수직하방으로 연장되는 하방 돌출부(62)가 형성된다. 제 2브라켓(56)이 도시한 바와 같이 배터리(66)의 상면에 대해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볼트(58)에는 너트(60)가 체결되며, 너트(60)가 체결되면서 제 2브라켓(56)을 누르는 힘에 의해 제 2브라켓(56)은 배터리(66)의 상단부를 하방으로 하방으로 압압하므로써 배터리(66)를 고정적으로 유지시키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조되는 선행기술에 따른 배터리 고정용 구조물(50)에 있어서는, 너트(60)의 체결방향 이동거리를 규제하기 위한 특정의 수단이 제공되지 않기 때문에, 너트(60)가 볼트(58)에 과도하게 체결되는 경우에는 제 1브라켓(54) 및 제 2브라켓(56)의 압압력에 의해 배터리(66)가 손상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선행기술에 따른 배터리 고정용 구조물에 내재되었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베이스 플레이트에 배터리를 고정시킬 때 너트의 체결방향 이동거리를 규제하므로써 배터리의 손상을 방지하게 되는 배터리 고정용 구조물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선행기술에 따른 배터리 고정용 구조물에 의해 배터리가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배터리 고정용 구조물에 의해 배터리가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50: 배터리 고정용 구조물12, 52: 베이스 플레이트
14, 54: 제 1브라켓16, 56: 제 2브라켓
18, 58: 볼트20, 60: 너트
22, 62: 하방 돌출부24, 64: 걸림턱
26, 66: 배터리28: 스토퍼 부재
본 고안에 따라, 배터리 고정용 구조물이 제공되고; 상기 구조물은,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안착되는 배터리의 하단부를 고정적으로 유지시키기 위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제 1브라켓; 상기 제 1브라켓을 관통하여 상방향으로 연장되는 볼트; 상기 볼트에 끼워지면서 상기 배터리의 상단부를 고정적으로 유지시키게 되는 제 2브라켓; 상방향으로부터 상기 볼트에 체결되는 너트; 및 상기 너트의 체결방향 이동거리를 특정정도로 제한하기 위해 상기 볼트의 외면상에 끼워지는 스토퍼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상기 특성에 따라, 볼트의 외면에 너트의 체결방향 이동거리를 규제하기 위한 스토퍼 부재가 끼워지게 되므로써 배터리의 고정력이 소정정도로 제한되므로, 배터리의 손상이 방지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술하며, 도면 전체를 통하여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배터리 고정용 구조물에 의해 배터리가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를 도시한다.
본 고안에 따른 배터리 고정용 구조물(10)은 베이스 플레이트(12)를 포함하고, 베이스 플레이트(12)로서는 샤시 프레임이 사용될 수 있게 된다. 베이스 플레이트(12)에는 배터리(26)가 안착되고, 배터리(26)의 하단부에는 걸림턱(24)이 형성된다. 배터리(26)의 측방에서, 베이스 플레이트(12)에는 제 1브라켓(14)의 일단부가 고정되며, 제 1브라켓(14)의 다른단부는 상기 일단부로부터 절곡되어 배터리(26)에 형성되는 상기 걸림턱(24)을 하방으로 압압하게 된다. 베이스 플레이트(12)와 제 1브라켓(14)의 사이에는 볼트(18)의 헤드부분이 위치되고, 볼트(18)의 몸통부분은 제 1브라켓(14)을 관통하여 상방향으로 연장된다. 볼트(18)의 상단부에는 제 2 브라켓(16)이 끼워지며, 제 2브라켓(16)에는 수직하방으로 연장되는 하방 돌출부(22)가 형성된다. 제 2브라켓(16)이 도시한 바와 같이 배터리(26)의 상면에 대해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볼트(18)에는 너트(20)가 체결되고, 너트(20)가 체결되면서 제 2브라켓(16)을 누르는 힘에 의해 제 2브라켓(16)은 배터리(26)의 상단부를 하방으로 하방으로 압압하므로써 배터리(26)를 고정적으로 유지시키게 된다.
본 고안에 따라, 상기 볼트(18)의 상단부로부터 소정거리만큼 이격된 지점에서, 볼트(18)의 외면에는 스토퍼 부재(28)가 끼워지며, 스토퍼 부재(28)는 너트(20)의 체결방향 이동거리를 특정 정도로 제한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따라서, 너트(20)가 볼트(18)에 과도하게 체결되는 일이 없게 되어 배터리(26)의 손상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본 고안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에 따라, 볼트의 외면에 너트의 체결방향 이동거리를 규제하기 위한 스토퍼 부재가 끼워지게 되므로써 배터리의 고정력이 소정정도로 제한되므로, 배터리의 손상이 방지된다.

Claims (1)

  1. 베이스 플레이트(12);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2)에 안착되는 배터리(26)의 하단부를 고정적으로 유지시키기 위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2)에 고정되는 제 1브라켓(14);
    상기 제 1브라켓(14)을 관통하여 상방향으로 연장되는 볼트(18);
    상기 볼트(18)에 끼워지면서 상기 배터리(26)의 상단부를 고정적으로 유지시키게 되는 제 2브라켓(16);
    상방향으로부터 상기 볼트(18)에 체결되는 너트(20); 및 상기 너트(20)의 체결방향 이동거리를 특정정도로 제한하기 위해 상기 볼트(18)의 외면상에 끼워지는 스토퍼 부재(28);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고정용 구조물.
KR2019960044848U 1996-11-30 1996-11-30 배터리 고정용 구조물 KR1998003168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4848U KR19980031685U (ko) 1996-11-30 1996-11-30 배터리 고정용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4848U KR19980031685U (ko) 1996-11-30 1996-11-30 배터리 고정용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1685U true KR19980031685U (ko) 1998-08-17

Family

ID=539867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4848U KR19980031685U (ko) 1996-11-30 1996-11-30 배터리 고정용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31685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3850B1 (ko) * 2000-03-27 2002-04-25 류정열 자동차 배터리 고정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3850B1 (ko) * 2000-03-27 2002-04-25 류정열 자동차 배터리 고정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14655A (ko) 이차 전지 모듈과 이에 적용되는 단위 전지 고정용연결로드
KR100612393B1 (ko) 이차 전지 모듈
KR100590049B1 (ko) 이차 전지 모듈과 이에 적용되는 단위 전지 고정용앤드플레이트
KR19980031685U (ko) 배터리 고정용 구조물
KR200142293Y1 (ko) 배터리 단자 접속용 구조물
CN212485479U (zh) 一种端部连接结构的电池模组及电池包
KR19980045743U (ko) 배터리 단자 접속용 구조물
KR19980052488U (ko) 배터리 단자 접속 구조물
KR100251972B1 (ko) 자동차의 배터리 고정장치
KR200150697Y1 (ko) 자동차의 축전지 설치구조
KR200150402Y1 (ko) 자동차용 배터리 고정 구조물
KR100228093B1 (ko) 배터리 방전방지장치
JP2001068163A (ja) 捲回式二次電池
KR200169665Y1 (ko) 배터리 단자연결장치
KR200150698Y1 (ko) 자동차의 축전지 설치구조
KR100192676B1 (ko) 배터리액 보충시기 표시장치
CN212434734U (zh) 一种新型蓄电池槽盖
KR19980036594U (ko) 밧데리 고정구조
KR200162475Y1 (ko) 배터리의 단자이탈방지장치
CN212499922U (zh) 一种适用于电动车的简易式充电装置
KR980007638U (ko) 자동차의 축전지 장착구조
KR19980010664U (ko) 배터리 전원장치
KR19980036593U (ko) 밧데리 고정구조
KR200160060Y1 (ko) 차량용 배터리 단자 체결장치
SE2150717A1 (en) A cylindrical secondary cell with a terminal surface with different roughne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