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0697Y1 - 자동차의 축전지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축전지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0697Y1
KR200150697Y1 KR2019970019235U KR19970019235U KR200150697Y1 KR 200150697 Y1 KR200150697 Y1 KR 200150697Y1 KR 2019970019235 U KR2019970019235 U KR 2019970019235U KR 19970019235 U KR19970019235 U KR 19970019235U KR 200150697 Y1 KR200150697 Y1 KR 2001506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fixing bracket
screw
pedestal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92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5854U (ko
Inventor
이정인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700192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0697Y1/ko
Publication of KR1999000585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585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06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069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4Arrangement of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64Connection with the article
    • B60R2011/0071Connection with the article using latches, clips, clamps, strap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축전지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받침대에 올려진 축전지를 고정시키고자 사용되는 고정브라켓을 스크류로 취부하기 때문에 스크류를 사용함에 따른 원가가 상승하는 것이고, 또는 스크류 작업 하기 위해서는 일일이 체결공구를 이용하므로 번거로운 것은 물론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자동차의 축전지를 설치함에 있어서 고정브라켓(300)의 상면 압압하여 누름부(310)를 형성하고, 양측 하단부에는 걸림구(320)를 절곡 형성하며, 받침대(200)의 플랜지(210)에는 상기 걸림구(320)가 걸릴수 있도록 경사면(211)을 갖는 걸림턱(212)을 형성하여 된 것으로서 이러한 본 고안은 고정브라켓(300)을 스크류 작업 없이 취부할 수가 있어 스크류 삭제에 따른 원가절감은 물론 체결공구를 사용할 필요가 없어 그만큼 작업성이 향상되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축전지 설치구조
본 고안은 자동차의 축전지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고정브라켓을 사용하여 축전지를 받침대에서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하되 상기 고정브라켓을 스크류를 전혀 사용하지 않고 취부하므로서 스크류 삭제에 따른 원가절감은 물론 작업성을 향상시킨 자동차의 축전지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엔진룸에는 축전지(battery)가 설치되어 가동장치의 전기 부하를 부담하거나 발전기에 고장이 있을 경우 주행전원으로 작용하며 또한 주행상태에 따르는 발전기의 출력과 부하와의 언밸런스를 조정한다.
상기의 축전지는 화학적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켜 외부의 회로에 전원을 공급하기도 하고 방전 되었을 때 외부의 전원을 공급받아 전기적 에너지를 화학적 에너지로 바꾸어 전기를 저장할수 있는 2 차 전지로서 축전지의 종류로는 납 산 축전지와 알칼리 축전지등이 있으나 자동차에는 값이 싼 납산축전지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의 축전지는 납 및 납산화물로 된 분말을 페이스트형으로 하고, 케이스와 납합금의 격자형 판으로 충전한 양극판, 음극판, 합성수지 섬유를 주원료로 한 격리판, 합성수지를 사용한 전조, 뚜껑, 액구의 마개, 묽은 황산을 사용한 전해액, 납함금제의 접속 부단자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의 케이스는 각 셀에 극판군을 넣은다음 합성수지 또는 에보나이트, 경고무등으로 성형 하고 있으며, 케이스의 밑부분 엘리먼트 레스트(element rest)는 극판작용 물질의 탈락이나 침전 불순물의 축적에 의한 단락을 방지하며 커버의 중앙부에는 전해액이나 증류수를 주입하기 위한 주입구가 있고 플러그의 가운데 부분이나 영부분에 작은 통기구멍이 있으며, 이 구멍은 축전지 내부에서 발생하는 수소가스나 산소가스를 방출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양극판은 과산화납을 묽은 황산에 반죽하여 격자에 발라놓은 것으로서 화학작용에 의해 양이온이 발생되며, 다공성(多孔性)으로 전해액의 확산 및 침투가 잘되고, 결합력이 약하며, 사용함에 따라 결정성 입자가 탈락되므로 축전지의수명이 단축되며, 극판의 수가 많으면 용량이 증대되어 이용전류가 많아진다.
또한 음극판은 납분말을 묽은황산에 반죽하여 격자에 발라놓은 것으로서 화학작용에 의해 음이온이 발생되며 다공성이고 반응성이 풍부하며 결합력이 강하기 때문에 결정성 입자가 탈락되지는 않으나 사용함에 따라 결정이 성장하여 다공도가 감소되어 수명이 단축되며 양극판이 음극판보다 활성적이기 때문에 화학적 평형을 고려하여 음극판을 양극판 보다 1 장 더 많게 한다.
상기 격리판의 기능은 음.양극판 사이에 끼워져 단락을 발지하는데 그 종류로는 강화섬유격리판, 비공성 고무 격리판, 합성수지 격리판이 있는데 홈이 있는 면이 양극판쪽으로 끼워져 있고, 단독 또는 글래스 매트와 함께 사용하며 글래스매트는 양극판의 양면에 끼워져 어떤 일정압력으로 눌러 진동에 의한 작용물질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축전지는 엔진 구동시 알터네이터의 작동으로 인해 발생하는 교류전압을 직류전압으로 발생시켜 충전을 하게 되고, 그 충전된 전압으로 다시 자동차를 구동시키거나 각종 램프 등의 점등 전원으로 공급하는 것이다.
그런데 종래의 축전지를 설치시에는 많은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서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2 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축전지(10)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우선 엔진룸(도면중 미도시)내의 소정위치에 받침대(20)를 설치하고, 상기 받침대(20)에 축전지(10)를 올려 놓토록 하는데, 상기 받침대(20)에 올려진 축전지(10)가 충격으로 인하여 유동되거나 받침대(2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크류공(31)이 천공된 고정브라켓(30)을 구비하여 축전지(10)의 양측 상면을 감싸준후 고정브라켓(30)의 스크류공(31)과 받침대(20)의 체결공을 관통되게 스크류(40)로서 체결토록 하여 축전지(10)를 고정 설치하는 것인바 이는 스크류(40)를 사용함에 따라 원가가 상승되는 것이고, 또한 일일이 체결공구를 사용하여 스크류(40)를 회동시키는 작업을 하여야 하므로 번거로운 것은 물론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고정브라켓을 사용하여 축전지를 받침대에 견고하게 설치되도록 하되 상기 고정브라켓을 스크류를 사용치 않고 체결하므로서 스크류 삭제에 따른 원가절감은 물론 그만큼 작업성이 향상되는 자동차의 축전지 설치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이와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고정브라켓의 상면을 압압하여 누름부를 형성하고, 양측 하단부에는 걸림구를 절곡 형성하며, 받침대의 플랜지에는 상기 걸림구가 걸릴수 있도록 경사부를 갖는 걸림턱을 형성하므로서 달성된다.
이러한 본 고안은 고정브라켓을 취부시 고정브라켓으로 축전지의 상면을 감싼후 고정브라켓을 하향으로 내려 고정브라켓 상면에 형성된 누름부가 축전지의 상면에 밀착되도록 하면 고정브라켓의 하단에 형성된 걸림부가 받침대의 플랜지에 형성된 걸림턱에 걸리도록 하므로서 스크류 사용을 전혀 하지 않고서도 고정브라켓을 취부할 수가 있으므로서 상기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수 있다.
도 1 은 종래의 기술구성을 도시한 요부 분리사시도
도 2 는 종래 결합 일부 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의 기술구성을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4 는 본 고안의 결합 일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축전지 110a,110b : 돌턱
200 : 받침대 210 : 플랜지
211 : 경사면 212 : 걸림턱
300 : 고정브라켓 310 : 누름부
320 : 걸림구
이하 본 고안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그 기술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된 별첨의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은 본 고안의 기술구성을 도시한 요부 분리사시도이고 도 4 는 본 고안의 결합 일부 단면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자동차의 축전지를 설치함에 있어서 고정브라켓(300)의 상면을 압압하여 누름부(310)를 형성하고, 양측 하단부에는 걸림구(320)를 절곡 형성하며, 받침대(200)의 플랜지(210)에는 상기 걸림구(320)가 걸릴수 있도록 경사면(211)을 갖는 걸림턱(212)을 형성하여 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축전지(100)의 상면에 소정간격을 유지한 한쌍의 돌턱(110a)(110b)을 형성한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자동차의 엔진룸(도면중 미도시)내에 축전지(100)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우선 엔진룸내의 소정위치에 받침대(200)를 설치하고 상기 받침대(200)에 축전지(100)를 올려놓은후 상기 축전지(100)가 유동되지 않도록 별도의 고정브라켓(300)을 사용하여 고정시켜야 하는데, 상기 고정브라켓(300)의 양측 하단부에는 걸림구(320)가 절곡 형성되어 있고, 받침대(200)의 플랜지(210)에는 상기 걸림구(320)가 걸릴수 있는 걸림턱(212)이 형성되어있다.
좀더 상세히 언급하면 우선 축전지(100)를 받침대(200)에 올려 놓은후 고정브라켓(300)을 축전지(100)의 상면으로 씌우게 되면 고정브라켓(300)의 하단부에 형성된 걸림구(320)가 받침대(200)의 플랜지(210)와 접면되는 것이고, 이후 고정브라켓(300)을 상측에서 하측으로 내리 누르면 상기 걸림구(320)는 플랜지(210)의 경사면(211)을 따라 내려가는데 이때 고정브라켓(300)은 차체 탄성력으로 인해 양단이 벌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플랜지(210)의 경사면(211)을 따라 이동되는 걸림구(320)가 완전히 경사면(211)을 벗어나게 되면 탄성력에 의해 벌어졌던 고정브라켓(300)의 양단이 원상태로 복귀됨과 동시에 상기 걸림구(320)는 플랜지(210)의 걸림턱(212)저면으로 위치되면서 상기 걸림턱(212)에 걸리게 되므로서 고정브라켓(300)이 취부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브라켓(300)의 상면에는 누름부(310)를 압압 형성하였기 때문에 고정브라켓(300)의 걸림구(320)가 받침대(200)의 플랜지(210)에 형성된 걸림턱(212)에 걸리게 되면 상기 누름부(310)가 축전지(100)의 상면에 밀착되므로서 더욱 축전지(100)를 견고하게 고정시켜 주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축전지(100)의 상면에는 돌턱(110a)(110b)을 형성하여 고정브라켓(300)의 누름부(310)가 축전지(100)의 상면과 밀착시 상기 돌턱(110a)(110b)내에 위치되도록 하므로서 고정브라켓(300)이 상기 돌턱(110a)(110b)에 의해 전,후 유동될 우려가 전혀 없어 더욱더 체결력을 향상시킬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받침대위에 올려진 축전지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고정브라켓을 스크류를 전혀 사용하지 않고 취부하므로서 스크류 삭제에 따른 원가절감은 물론 체결공구를 사용할 필요가 없어 작업성이 향상되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2)

  1. 자동차의 축전지를 설치함에 있어서 고정브라켓(300)의 상면을 압압하여 누름부(310)를 형성하고, 양측 하단부에는 걸림구(320)를 절곡 형성하며, 받침대(200)의 플랜지(210)에는 상기 걸림구(320)가 걸릴수 있도록 경사면(211)을 갖는 걸림턱(212)을 형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축전지 설치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축전지(100)의 상면 양측에는 소정간격을 유지한 한쌍의 돌턱(110a)(110b)을 형성하여 상기 돌턱(110a)(110b)내에 고정브라켓(300)의 누름부(310)가 위치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축전지 설치구조
KR2019970019235U 1997-07-21 1997-07-21 자동차의 축전지 설치구조 KR2001506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9235U KR200150697Y1 (ko) 1997-07-21 1997-07-21 자동차의 축전지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9235U KR200150697Y1 (ko) 1997-07-21 1997-07-21 자동차의 축전지 설치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5854U KR19990005854U (ko) 1999-02-18
KR200150697Y1 true KR200150697Y1 (ko) 1999-07-01

Family

ID=19506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9235U KR200150697Y1 (ko) 1997-07-21 1997-07-21 자동차의 축전지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069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7603Y1 (ko) * 2010-12-07 2015-07-01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건설중장비의 배터리 커버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5861B1 (ko) * 2000-03-27 2002-07-2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배터리 고정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7603Y1 (ko) * 2010-12-07 2015-07-01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건설중장비의 배터리 커버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5854U (ko) 1999-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8406B1 (ko) 내진동 인터셀 접속기를 갖는 다중셀 재결합형 납 축전지
KR200150697Y1 (ko) 자동차의 축전지 설치구조
KR100612393B1 (ko) 이차 전지 모듈
KR200150698Y1 (ko) 자동차의 축전지 설치구조
KR19990005856U (ko) 자동차의 축전지 설치구조
CN213212293U (zh) 一种便于更换的电池装置
KR200169665Y1 (ko) 배터리 단자연결장치
KR200162475Y1 (ko) 배터리의 단자이탈방지장치
CN113258177A (zh) 耐振动蓄电池及制作方法
KR100251972B1 (ko) 자동차의 배터리 고정장치
KR200150402Y1 (ko) 자동차용 배터리 고정 구조물
KR19980017979U (ko) 배터리 착탈장치
CN217848202U (zh) 电池卡扣结构、电池安装座以及发电体
CN216529198U (zh) 一种可更换电芯的锂电池结构
CN217281055U (zh) 一种锂电池座及其电源转换器
JP2003249203A (ja) 蓄電池ホルダ
KR19980040844U (ko) 차량용 밧데리 취부구조
CN211670246U (zh) 一种电池模组用电芯支架护栏结构
CN215266371U (zh) 极群固定机构及蓄电池
KR200142293Y1 (ko) 배터리 단자 접속용 구조물
CN219203331U (zh) 电池包
CN214672823U (zh) 一种蓄电池保护装置及蓄电池
CN214380698U (zh) 一种内藏变压器的压电驱动式振动机
KR19980031685U (ko) 배터리 고정용 구조물
JPH08287941A (ja) バッテ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