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7919Y1 - 충격을 완화하는 시트벨트 버클 - Google Patents

충격을 완화하는 시트벨트 버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7919Y1
KR200147919Y1 KR2019960060384U KR19960060384U KR200147919Y1 KR 200147919 Y1 KR200147919 Y1 KR 200147919Y1 KR 2019960060384 U KR2019960060384 U KR 2019960060384U KR 19960060384 U KR19960060384 U KR 19960060384U KR 200147919 Y1 KR200147919 Y1 KR 2001479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seat belt
belt buckle
floor panel
imp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603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47228U (ko
Inventor
김은영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600603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7919Y1/ko
Publication of KR1998004722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722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79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791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055Padded or energy-absorbing fittings, e.g. seat belt anch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0Anchoring devices adjustable in position, e.g. in height
    • B60R22/201Anchoring devices adjustable in position, e.g. in height with the belt anchor connected to a slider movable in a vehicle-mounted tr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2Anchoring devices secured to the vehicle fl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022/1806Anchoring devices for buck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0Anchoring devices adjustable in position, e.g. in height
    • B60R2022/207Horizontally or transversally adjus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시트의 측면에 플로어 패널과 체결되는 가이드 레일을 형성하고 이에 안내되는 시트벨트 버클을 형성하여 전후로 이동되는 시트를 따라 시트벨트 버클의 위치가 이동되며 플로어 패널로 하중을 분산하여 충격을 완화하는 시트벨트 버클에 관한 것으로 종래와 같이 시트의 측면에 고정되는 시트벨트 버클은 충격발생시 시트 벨트에 작용하는 하중을 시트벨트 버클이 고정된 시트에서 모두 흡수하여야 하므로써 적절한 하중분산이 이루어지지 않고 시트부위에 집중적으로 하중이 작용하여 시트의 손상에 의한 부상의 위험성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어왔던바 본 고안은 플로어 패널의 상측에 가이드 레일을 형성하여 이에 안내되는 동시에 시트 쿠션의 측면에 결합되어 시트와 전후로 연동하는 시트벨트 버클을 형성하여 차량의 충격 발생시 시트 벨트를 거쳐 시트와 플로어 패널에 하중을 분산하여 단시간에 충격을 완화하므로써 시트의 손상을 방지하는 것은 물론 탑승자에게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는 효과가 있는 시트벨트 버클이다.

Description

충격을 완화하는 시트벨트 버클
본 고안은 충격을 완화하는 시트벨트 버클(Seat belt buckle)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시트의 측면에 플로어 패널과 체결되는 가이드 레일을 형성하고 이에 안내되는 시트벨트 버클을 형성하여 전후로 이동되는 시트를 따라 시트벨트 버클의 위치가 이동되며 플로어 패널로 하중을 분산하여 충격을 완화하는 시트벨트 버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트의 저면에는 시트를 전후로 이동시키는 위치조절장치가 형성되며 도 1 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시트 쿠션의 일측면에는 시트 벨트의 텅이 삽입되어 시트 벨트를 고정하는 시트벨트 버클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의 시트벨트 버클은 시트가 전후로 이동되면 시트벨트 버클도 이동되어 시트 벨트를 체결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와 같이 시트의 측면에 고정되는 시트벨트 버클은 충격발생시 시트 벨트에 작용하는 하중을 시트벨트 버클이 고정된 시트에서 모두 흡수하여야 하므로써 적절한 하중분산이 이루어지지 않고 시트부위에 집중적으로 하중이 작용하여 시트의 손상에 의한 부상의 위험성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어왔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플로어 패널의 상측에 가이드 레일을 형성하여 이에 안내되는 동시에 시트 쿠션의 측면에 결합되어 시트와 전후로 연동하는 시트벨트 버클을 형성하여 차량의 충격 발생시 시트 벨트를 거쳐 시트와 플로어 패널에 하중을 분산하여 충격을 완화하는 시트벨트 버클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시트 저부 측면에 위치하여 양측단이 볼트에 의하여 플로어 패널에 고정되고 상부 내측에 가이드 턱을 형성하며 내부저면에 완충패드가 형성되는 가이드 레일과, 하측단이 양측으로 다단 절곡되며 끝단에 완충패드가 부착되는 안내턱을 형성하여 상기 가이드 턱을 따라 안내되며 중단이 시트의 일측면에 형성된 마운팅 브라켓에 볼팅되어 결합하는 시트벨트 버클로 구성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시트벨트 버클을 도시한 정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시트, 5 : 볼트,
9 : 안내턱, 13 : 마운팅 브라켓,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과 도 2는 본 고안의 시트벨트 버클을 도시한 정단면도와 사용상태도로써 차량의 시트(1) 저부 측면에 가이드 레일(3)이 형성된다. 이러한 가이드 레일(3)은 양측단이 볼트(5)에 의하여 플로어 패널(2)에 고정되고 내측으로 상부면이 절곡되어 가이드 턱(7)을 형성한다.
상기 가이드 레일(3)의 내측저면에는 일정한 탄성력을 갖는 완충부재(11)가 임의두께로 적층되어 형성된다.
한편 하측단이 양측으로 분기되고 그 끝단이 각각 상측으로 절곡되는 안내턱(9)을 형성하며 중단 일측에 볼트(17)가 삽입되어 시트(1)의 측면에 형성된 마운팅 브라켓(13)과 결합되는 시트벨트 버클(15)을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을 참조하면 차량에 충격이 발생하여 시트벨트(미도시)를 착용한 탑승자가 관성력에 의하여 전방으로 쏠리면 탑승자를 구속하는 시트벨트(미도시)에 충격력에 의한 하중이 작용한다. 이러한 하중은 시트벨트 버클(15)로 전달되고 일측이 시트(1)에 연결되며 플로어 패널(2)에 하측이 체결되는 시트벨트 버클(15)에 의하여 분산된다. 따라서 하중에 견디는 시트벨트 버클(15)의 항복강도가 증가되는 것은 물론 탑승객에게 전달되는 충격도 급속한 충격력 해소에 의하여 감소된다.
한편 상기 시트(1)는 운전자의 체형에 따라 위치조절장치에 의하여 전후로 이동되므로 플로어 패널(2)에 고정되는 시트벨트 버클(15)도 시트(1)와 연동하여야 한다. 따라서 상기 시트(1)가 전후로 이동되어 위치가 조절될 때 상기 시트벨트 버클(15)은 중단이 시트(1)의 측면에 연결되고 하측의 안내턱(9)이 시트(1)의 측면저부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3)의 가이드 턱(7)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시트(1)와 연동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 레일(3)의 저부와 안내턱(9)의 끝단에 형성된 완충패드(11)에 의하여 시트벨트 버클(15)의 슬라이딩을 원활하게 한다.
이러한 시트벨트 버클(15)은 충격발생시에는 상방으로 당겨지는 힘이 작용하고 이러한 힘에 의하여 시트벨트 버클(15)의 안내턱(9)은 상측의 가이드 턱(7)과 순간적으로 맞물려 고정되므로 가이드 레일(3)을 따라 안내턱(9)이 수평 이동되지 않는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플로어 패널의 상측에 가이드 레일을 형성하여 이에 안내되는 동시에 시트 쿠션의 측면에 결합되어 시트와 전후로 연동하는 시트벨트 버클을 형성하여 차량의 충격 발생시 시트 벨트를 거쳐 시트와 플로어 패널에 하중을 분산하여 단시간에 충격을 완화하므로써 시트의 손상을 방지하는 것은 물론 탑승자에게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시트 저부 측면에 위치하여 양측단이 볼트(5)에 의하여 플로어 패널(2)에 고정되고 상부 내측에 가이드 턱(7)을 형성하며 내부저면에 완충패드(11)가 형성되는 가이드 레일(3)과;
    하측단이 양측으로 다단 절곡되며 끝단에 완충패드(11)가 부착되는 안내턱(9)을 형성하여 상기 가이드 턱(7)을 따라 안내되며 중단이 시트(1)의 일측면에 형성된 마운팅 브라켓(13)에 볼트(17)로 결합되어 결합하는 시트벨트 버클(15)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충격을 완화하는 시트벨트 버클.
KR2019960060384U 1996-12-28 1996-12-28 충격을 완화하는 시트벨트 버클 KR2001479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0384U KR200147919Y1 (ko) 1996-12-28 1996-12-28 충격을 완화하는 시트벨트 버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0384U KR200147919Y1 (ko) 1996-12-28 1996-12-28 충격을 완화하는 시트벨트 버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7228U KR19980047228U (ko) 1998-09-25
KR200147919Y1 true KR200147919Y1 (ko) 1999-06-15

Family

ID=19485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60384U KR200147919Y1 (ko) 1996-12-28 1996-12-28 충격을 완화하는 시트벨트 버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791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02994B2 (en) 2010-03-08 2012-11-06 Hyundai Motor Company Shield cover assembly for vehicle interlocking with seat height adjustment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02994B2 (en) 2010-03-08 2012-11-06 Hyundai Motor Company Shield cover assembly for vehicle interlocking with seat height adjustment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7228U (ko) 1998-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08802B1 (ko) 충돌하는자동차내의탑승자를안전하게억제하는방법및상기방법을수행하기위해구성된시트
US5137244A (en) Vehicle seat
US20020026685A1 (en) Collapsible hood hinge
EP0990553B1 (en) Vehicle seat with occupant protection devices
KR100416647B1 (ko)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완충장치
JP4121276B2 (ja) 走行車座席におけるチャイルドシートの配置
JPH04126665A (ja) 車両乗員保護装置
US7651157B2 (en) Safety device
KR200147919Y1 (ko) 충격을 완화하는 시트벨트 버클
JPS63106150A (ja) 車両シート用シートレール構造
JPH09136612A (ja) 3点ベルトマウントシート
KR102468607B1 (ko) 차량용 시트벨트의 버클장치
KR0159167B1 (ko) 자동차 프론트 시트용 안티-서브머리닝바의 충격 감쇠장치
KR100208203B1 (ko) 자동차의 안전벨트 완충장치
KR200260710Y1 (ko) 충격흡수식루프어시스트핸들
KR200366668Y1 (ko) 안전벨트용 가이드 앵커
KR100288304B1 (ko) 자동차 시트벨트의 하중조절장치
KR200154967Y1 (ko) 충격 완충식 안전벨트
JPH106919A (ja) シート・ベルトの取付け構造
KR200221986Y1 (ko) 자동차 급제동시의 운전자 전방쏠림완화장치
KR20050040340A (ko) 시트벨트 하이어드져스트 일체형 로드리미트 장치
JPH0544193Y2 (ko)
KR100482965B1 (ko) 차량용 범퍼
KR0134776Y1 (ko) 자동차용 시트트랙의 이탈방지 구조
KR0135354Y1 (ko) 자동차의 시트 벨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