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7869Y1 - 버스의 계기판 성에제거용 덕트의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버스의 계기판 성에제거용 덕트의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7869Y1
KR200147869Y1 KR2019970020358U KR19970020358U KR200147869Y1 KR 200147869 Y1 KR200147869 Y1 KR 200147869Y1 KR 2019970020358 U KR2019970020358 U KR 2019970020358U KR 19970020358 U KR19970020358 U KR 19970020358U KR 200147869 Y1 KR200147869 Y1 KR 2001478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connector
bus
instrument panel
warm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03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6865U (ko
Inventor
손성규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700203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7869Y1/ko
Publication of KR1999000686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686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78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786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1/3407Nozzles; Air-diffusers providing an air stream in a fixed direction, e.g. using a grid or porous pan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357Air-condition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s
    • B60H1/00371Air-condition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s for vehicles carrying large numbers of passengers, e.g. bu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57Details of ducts or cables
    • B60H1/00564Details of ducts or cables of air duc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버스의 계기판 성에제거용 덕트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은 종래의 성에제거장치가 윈드실드 글라스나 운전자측 창문에만 온풍을 공급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발생하였던 문제점, 즉 계기판으로 덕트가 연결되어 있지 않음으로써, 운전자가 격어야했던 불편한 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이다.
이러한 종래 고안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버스의 대시패널(1) 내측에 설치된 히터장치(10)로부터 공급되는 온풍이 계기판(3)의 전방으로 토출되도록 히터장치(10)의 일측에 형성된 댐퍼(12)의 공급관(18)에 3방향으로 형성된 제 1 연결구(40)를 연결하여 공급되는 온풍이 양방향으로 분기되도록 하고, 상기 제 1 연결구(40)의 일측에 제 2 덕트(50)의 일단을 연결하여 고정하고, 그 타단은 제 2 연결구(60)의 일단에 연결하여 제 2 덕트(50)로 공급된 온풍이 다시 양방향으로 분기되도록 하며, 상기 제 2 연결구(60)의 상부 각 단을 좌.우측 덕트(72,82)의 각 일단과 연결하고, 상기 좌.우측 덕트(72,82)의 각 끝단은 다수개의 토출공(76,86)이 형성된 좌.우측 노즐(70,80)의 각 끼움단(74,84)과 연결한 것으로, 히터장치(10)로부터 공급된 온풍이 계기판(3)의 전방이나 유리면에 토출됨으로써, 운전자에게 온풍을 공급할 수 있고, 계기판(3)에 생성되는 성에를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버스의 계기판 성에제거용 덕트의 연결구조
본 고안은 버스 운전석측 성에제거용 덕트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버스의 히터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온풍이 운전자용 창문에 공급되도록 설치된 공급관에 3방향 연결구를 설치하고, 계기판 내부에 좌.우측 노즐을 설치하며, 상기 3방향 연결구와 좌.우측 노즐을 덕트와 3방향 연결구로 연결하여 상기 히터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온풍이 계기판에 토출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윈드실드 글라스는 물론, 운전석측 창문유리와 계기판에 생성되는 성에를 제거하여 운전자의 안전운전을 도모할 수 있는 버스의 계기판 성에제거용 덕트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버스의 대시패널 내부에는 버스의 전방부, 즉 윈드실드 글라스와 운전자측 창문유리에 성에, 또는 습기가 결빙되어 운전자가 전방시계를 확보할 수 없을 경우에 이를 제거할 수 있도록 성에제거장치(DEFROSTER)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성에제거장치는 히터장치로부터 발생되어 공급되는 온풍이 윈드실드 글라스와 운전자용 창문유리에 골고루 토출될 수 있도록 여러덕트가 각각의 노즐에 연결되어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성에제거장치는 버스의 윈드실드 글라스와 운전자측 창문유리에만 온풍이 토출되도록 설치되어 있었고, 대시패널 상면에 설치되어 운전자에게 각종 정보를 제공하는 계기판에는 온풍이 토출되도록 덕트나 노즐이 설치되어 있지 않았던 것이다.
이는 히터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온풍을 안내하는 덕트가 일방향의 연결구에 결합되어 있었기 때문이고, 계기판에는 온풍이 토출되는 노즐이 설치되어있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종래 고안의 문제점을 첨부도면을 토대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운전석측 성에제거용 덕트 연결구조는 버스 대시패널(A)의 내측에 설치된 히터장치(B)의 상부에 장착되고, 제 1 공급관(C-1)과 제 2 공급관(C-2)과 제 3 공급관(C-3)이 형성된 댐퍼(C)와, 상기 댐퍼(C)의 일측으로 형성된 제 1 공급관(C-1)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제 1 노즐(D)에 연결된 제 1 덕트(E)와, 제 2 공급관(C-2)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제 2 노즐(F)에 연결된 제 2 덕트(G)와, 제 3 공급관(C-3)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운전자측 창문에 설치된 제 3 노즐(H)과 연결된 제 3 덕트(I)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운전석측 성에제거용 덕트 연결구조는 히터장치(B)로부터 공급되는 온풍이 제 1 공급관(C-1)과 제 1 덕트(E), 그리고 제 1 노즐(D)과; 제 2 공급관(C-2)과 제 2 덕트(G), 그리고 제 2 노즐(F)을 통하여 윈드실드 글라스에 토출되고 있었고, 또한 히터장치(B)로부터 공급되는 온풍은 제 3 공급관(C-3)과 제 3 덕트(I), 그리고 운전자측 창문에 설치된 제 3 노즐(H)를 통하여 운전자측 창문유리에 토출되고 있었던 것이다.
이와 같이 히터장치(B)로부터 공급되는 온풍이 윈드실드 글라스와 운전자측 창문에만 토출되고 있었고, 운전자에게 차체의 각종 정보를 제공하는 즉, 버스의 주행속도나, 엔진회전속도, 또는 엔진의 냉각수온도나, 연료잔량 등이 표시되는 계기판(J)에는 토출되지 않았던 것이다.
이는 상기 계기판(J) 내부에 온풍이 토출될 수 있는 부품이 설치되어 있지 않았기 때문이며, 습한 날씨나 겨울철에 유리로 형성된 계기판(J)에 성에가 생성되면 운전자는 주행중에 이를 제거하고 있었고, 이러한 행동은 안전사고의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었던 것이다.
또한, 겨울철이나 혹한 지역에서 운전자가 운행을 할 경우에 운전자를 위한 별도의 온풍토출구가 설치되어 있지 않음으로써, 운전자는 추위에 노출된 상태에서 운행을 하게 되어 안전사고의 위험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고안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버스의 히터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온풍이 운전자의 전면에 위치하여 운전자에게 각종정보를 제공하는 계기판에 토출될 수 있도록 3방향 연결구를 설치하고 덕트로 연결하여 계기판의 내부에 복수개의 노즐을 내설함으로써, 계기판에 생성되는 성에를 제거함과 동시에 운전자에게 온풍을 제공할 수 있는 버스의 계기판 성에제거용 덕트의 연결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버스 대시패널의 내측에 설치된 히터장치의 상부에 장착된 댐퍼의 일측에 형성된 제 3 공급관의 일측이 삽입되어 클램프로 고정되고, 타측에 제 1 연결관이 형성된 제 1 연결구와; 상기 제 연결관에 일단이 삽입되어 고정된 제 4 덕트와; 상기 제 4 덕트의 타단이 삽입되어 고정되고, 제 2 연결관과 제 3 연결관이 형성된 제 2 연결구와; 상기 제 3 연결관과 좌측덕트로 연결되고, 상기 대시패널의 상면에 설치되는 계기판 내부 좌측에 설치되는 좌측노즐과; 상기 제 4 연결관과 우측덕트로 연결되고, 상기 계기판의 내부 우측에 설치되는 우측노즐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의 계기판 성에제거용 덕트의 연결구조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좌측노즐과 우측노즐은 그 하부에 좌측덕트와 우측덕트의 각 일단이 끼워지는 끼움단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끼움단의 상부에는 다수개의 토출공이 천공된 안내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성에제거용 덕트가 버스의 대시패널 내부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성에제거용 덕트가 버스의 대시패널 내부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각 연결구와 덕트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로 3a는 제 1 연결구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고, 3b는 제 2 연결구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노즐을 도시한 확대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대시패널 3 : 계기판
10 : 히터장치 12 : 댐퍼
15 : 제 1 덕트 17 : 제 1 노즐
18 : 공급관 19 : 클램프
40 : 제 1 연결구 42 : 제 1 연결관
50 : 제 2 덕트 60 : 제 2 연결구
62 : 제 2 연결관 64 : 제 3 연결관
70 : 좌측노즐 72 : 좌측덕트
80 : 우측노즐 82 : 우측덕트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한 도면을 토대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와 3a 및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버스 대시패널(1)의 내측에 설치된 히터장치(10)로부터 공급되는 온풍이 댐퍼(12)와 연결된 공급관(18)과, 이 공급관(18)과 연결된 제 1 덕트(15)와, 이 제 1 덕트(15)와 연결된 제 1 노즐(17)을 통하여 윈드실드 글라스와 운전자측 창문에 토출되도록 구성된 버스의 성에제거구조에 있어서, 상기 공급관(18)의 일측이 삽입되어 클램프(19)로 고정되는 제 1 연결구(40)의 타측에는 제 1 연결관(42)이 형성되고, 이 제 1 연결관(42)에는 제 2덕트(50)의 일단이 삽입되어 고정된다.
상기 제 2 덕트(50)의 타단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 2 연결구(60)의 양측에는 제 2 연결관(62)과 제 3 연결관(64)이 형성된다.
또한, 버스의 계기판(3) 내부 좌측에 설치되는 좌측노즐(70)은 상기 제 3 연결관(62)과 좌측덕트(72)로 연결되고, 상기 계기판(3) 내부 우측에 설치되는 우측노즐(80)은 상기 제 4 연결관(64)과 우측덕트(82)로 연결된다.
한편, 상기 좌측노즐(70)과 우측노즐(80)은 그 하부에 좌측덕트(72)와 우측덕트(82)의 각 일단이 끼워지는 끼움단(74,84)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끼움단(74,84)의 상부에는 다수개의 토출공(76,86)이 천공된 안내부재(78,88)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버스의 계기판(3)에 온풍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덕트를 설치한다.
도 2 및 3a,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터장치(10)의 상부에 설치된 댐퍼(12)의 일측에 형성되고 제 1 덕트(15)와 연결되어 윈드실드 글라스(미도시 됨)측으로 온풍을 전달하는 공급관(18)을 제 1 연결구(40)의 일측에 삽입하고, 클램프(19)로 고정한다. 상기 제 1 연결구(40)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3방향이 연통되도록 형성된 것이다.
이때, 상기 공급관(18)에 일측이 고정된 제 1 연결구(40)의 일단은 제 1 덕트(15)와 연결하여 고정하고, 타단은 제 2 덕트(50) 일단과 연결하여 고정한다.
즉, 제 1 덕트(15)와 연결되어 있던 공급관(18)에서 상기 제 1 덕트(15)를 분리하고, 제 1 연결구(40) 일측을 고정한 다음, 제 1 연결구(40)의 상부일단에 제 1 덕트(15)를 연결하고, 상부타단에는 제 2 덕트(50)를 연결하여 히터장치(10)로부터 공급되는 온풍의 일부는 제 1 덕트(15)로 공급되게 하여, 대시패널(1) 상면에 장착된 제 1 노즐(17)로 토출되게 하고, 다른 일부는 제 2 덕트(50)로 공급되게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덕트(50)의 타단에 제 2 연결구(60)를 연결하여 고정한다.
즉, 3방향으로 연통되게 형성된 제 2 연결구(60)의 일단을 제 2 덕트(50) 타단과 연결하여 고정하고, 그 상부일단은 우측덕트(82) 일단과 연결하여 고정하며, 상부타단은 좌측덕트(72) 일단과 연결하여 고정한다.
상기 제 2 연결구(60)의 3방향에 각각의 덕트(50,72,82)가 연결되어 고정되면, 상기 좌측덕트(72)의 타단에 계기판(3)의 내부에 설치되는 좌측노즐(70)의 끼움단(74)을 삽입하여 고정하고, 상기 우측덕트(82)의 타단에 계기판(3)의 내부에 설치되는 우측노즐(80)의 끼움단(84)을 삽입하여 고정한다.
상기와 같이 공급관(18)과 연결구(40,60)을 연결하여 고정하거나, 상기 연결구(40,60)에 각 덕트(15,50,72,82)를 연결할 경우에는 통상적인 클램프(19)를 이용하여 공급되는 온풍이 유출되지 않도록 한다.
이때, 상기 좌,우측 노즐(70,80)의 끼움단(74,84) 상부에는 다수개의 토출공(76,86)이 천공된 안내부재(78,88)를 경사지게 형성한다.
이는 대시패널(1)의 상면에 계기판(3)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로써, 본 고안에 의한 계기판 성에제거용 덕트의 연결은 완료되는 것이고, 상기 제 2 덕트(50)로부터 공급된 온풍이 좌.우측 덕트(72,82)를 통하여 계기판(3)내부에 내설된 좌.우측 노즐(70,80)로 공급되어 계기판(3)의 전방 또는 유리면에 토출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버스의 계기판 성에제거용 덕트의 연결구조는 버스의 대시패널 내측에 설치된 히터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온풍이 계기판의 전방으로 토출되도록 히터장치의 일측에 형성된 댐퍼의 공급관에 3방향으로 형성된 제 1 연결구를 연결하여 공급되는 온풍이 양방향으로 분기되도록 하고, 상기 제 1 연결구의 일측에 제 2 덕트의 일단을 연결하여 고정하고, 그 타단은 제 2 연결구의 일단에 연결하여 제 2 덕트로 공급된 온풍이 다시 양방향으로 분기되도록 하며, 상기 제 2 연결구의 상부 각 단을 좌.우측 덕트의 각 일단과 연결하고, 상기 좌.우측 덕트의 각 끝단은 다수개의 토출공이 형성된 좌.우측 노즐의 각 끼움단과 연결한 것으로, 히터장치로부터 공급된 온풍이 계기판의 전방이나 유리면에 토출됨으로써, 운전자에게 온풍을 공급할 수 있고, 계기판에 생성되는 성에를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Claims (2)

  1. 버스 대시패널(1)의 내측에 설치된 히터장치(10)로부터 공급되는 온풍이 댐퍼(12)와 연결된 공급관(18)과, 이 공급관(18)과 연결된 제 1 덕트(15)와, 이 제 1 덕트(15)와 연결된 제 1 노즐(17)을 통하여 윈드실드 글라스와 운전자측 창문에 토출되도록 구성된 버스의 성에제거구조에 있어서, 상기 공급관(18)의 일측이 삽입되어 클램프(19)로 고정되고, 타측에 제 1 연결관(42)이 형성된 제 1 연결구(40)와; 상기 제 1 연결관(42)에 일단이 삽입되어 고정된 제 2 덕트(50)와; 상기 제 2 덕트(50)의 타단이 삽입되어 고정되고, 제 2 연결관(62)과 제 3 연결관(64)이 형성된 제 2 연결구(60)와; 상기 제 3 연결관(62)과 좌측덕트(72)로 연결되고, 상기 대시패널(1)의 상면에 설치되는 계기판(3) 내부 좌측에 설치되는 좌측노즐(70)과; 상기 제 4 연결관(64)과 우측덕트(82)로 연결되고, 상기 계기판(3)의 내부 우측에 설치되는 우측노즐(8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의 계기판 성에제거용 덕트의 연결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노즐(70)과 우측노즐(80)은 그 하부에 좌측덕트(72)와 우측덕트(82)의 각 일단이 끼워지는 끼움단(74,84)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끼움단(74,84)의 상부에는 다수개의 토출공(76,86)이 천공된 안내부재(78,88)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의 계기판 성에제거용 덕트의 연결구조.
KR2019970020358U 1997-07-30 1997-07-30 버스의 계기판 성에제거용 덕트의 연결구조 KR2001478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0358U KR200147869Y1 (ko) 1997-07-30 1997-07-30 버스의 계기판 성에제거용 덕트의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0358U KR200147869Y1 (ko) 1997-07-30 1997-07-30 버스의 계기판 성에제거용 덕트의 연결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6865U KR19990006865U (ko) 1999-02-25
KR200147869Y1 true KR200147869Y1 (ko) 1999-06-15

Family

ID=19506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0358U KR200147869Y1 (ko) 1997-07-30 1997-07-30 버스의 계기판 성에제거용 덕트의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786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6865U (ko) 1999-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4314930A (ja) 車両用霜取装置
KR200147869Y1 (ko) 버스의 계기판 성에제거용 덕트의 연결구조
CN205417534U (zh) 防冻高效雨刮器
KR100476751B1 (ko) 크러쉬 패드 고정 구조
KR19990006817U (ko) 버스의 운전자 창문용 디프로스터 구조
KR19980012192U (ko) 자동차용 김,성에 제거장치
KR100577806B1 (ko) 자동차용 디프로스터덕트의 풍량분배구조
KR19980039661A (ko) 차량용 유리의 서리나 성애발생 방지기능을 갖춘 냉난방장치
KR200165737Y1 (ko) 자동차의 유리성에 제거장치
CN213594100U (zh) 一种仪表板除霜风道总成
KR19990015707U (ko) 리어 윈도우 디프로스터
JP3027338U (ja) 自動車用雪溜り防止具
KR0112833Y1 (ko) 자동차용 아웃사이드 미러의 구조
KR0140005B1 (ko) 자동차의 온풍식 디프로스터
KR980007729U (ko) 자동차의 윈드쉴드 글래스용 성에제거장치
KR200194407Y1 (ko) 중장비용 전면유리창 성애방지장치
JPH04136980U (ja) 自動車のデフロスター装置
JPH1035422A (ja) 車両用ワイパー装置
KR20030051007A (ko) 직접 분사식 성애제거장치
KR0184412B1 (ko) 자동차의 도어글래스 습기제거장치
KR19990025175U (ko) 에이필라 트림에 설치된 디프로스터
KR20000003151U (ko) 자동차의 전면 유리의 열선장치
KR100222889B1 (ko) 자동차용 에어 컨디션 시스템
KR19980049666A (ko) 자동차의 윈드쉴드 글래스 제방장치
KR19980042404U (ko) 자동차용 백미러의 성애 제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