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4364Y1 - 전자오락기용 의자의 작동장치 - Google Patents

전자오락기용 의자의 작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4364Y1
KR200144364Y1 KR2019960002448U KR19960002448U KR200144364Y1 KR 200144364 Y1 KR200144364 Y1 KR 200144364Y1 KR 2019960002448 U KR2019960002448 U KR 2019960002448U KR 19960002448 U KR19960002448 U KR 19960002448U KR 200144364 Y1 KR200144364 Y1 KR 2001443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r
support plate
cylinder
entertainmen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024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50808U (ko
Inventor
김성택
Original Assignee
김성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60844711&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144364(Y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김성택 filed Critical 김성택
Priority to KR20199600024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4364Y1/ko
Publication of KR97005080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080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43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4364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전자오락기의 전방에 설치된 의자의 작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오락기의 화면에 나타난 피조정체의 작동과 의자의 작동이 동일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고안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전자오락기용 의자는 고정설치 되어 있는 관계로 전자오락의 흥미를 반감시키는 문제점이 있는 것인 바, 삼차원적으로 디스플레이되는 오락프로그램의 입체적인 작동에 대응하여 의자의 작동이 입체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의자가 요구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의자(10)의 하부에 고정되는 지지판(21)이 고정대(41)의 볼샤프트(42)에 축설되어 자유롭게 기울기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한편, 좌대(43)에 장착된 제1실린더(31)와 제2실린더(31a)의 작동에 의하여 모니터(2)에 디스플레이 되는 피조정체의 기울기와 동일한 기울기로 의자(10) 전체를 작동 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의자(10)에 앉은 사람이 조작기(53)와 일체가 되어 보다 입체적으로 작동하면서 오락을 즐길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전자오락기용 의자의 작동장치(作動裝置)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의자가 전자오락기에 설치된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의자의 일부를 절결한 측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정면도.
제4도는 본 고안에 의한 좌대의 고정대와 실린더들이 장착된 상태를 예시한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전자오락기 2 : 모니터
10 : 의자 11 : 좌판
12 : 등판 13 : 팔걸이대
20 : 지지부 21 : 지지판
22 : 지지용 보스 23, 23a : 보스
30 : 작동부 31 : 제1실린더
31a : 제2실린더 32, 32a : 작동로드
33, 33a : 볼샤프트 34, 34a : 축
40 : 고정부 41 : 고정대
42 : 볼샤프트 43 : 좌판
44 : 절곡부 44a : 스크류
50 : 조작부 51 : 프레임
52 : 발판 53 : 조작기
본 고안은 전자오락기의 전방에 설치된 의자의 작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오락기의 화면에 나타난 피조종체의 작동과 의자의 작동이 동일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고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오락실에 구비된 전자오락기의 본체 전면에는 모니터와 조작기가 장착되어 있고, 그 전방에 구비된 의자에 앉아서 조작기를 조작하면, 미리 입력된 오락프로그램에 의하여 모니터에 디스플레이되는 오락을 즐길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전자오락기의 전방에 설치된 의자는 모니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게임 내용과는 관계없이 항상 고정되어 있으므로 일반적인 형태의 의자로 되어있다.
한편, 최근에 개발된 오락프로그램들은 수평이동되는 평면적인 동작을 벗어나 피조종체가 입체적으로 작동되는 삼차원적인 영상으로 디스플레이되어 다양한 소비자들의 욕구를 충족시키고 있다.
이에 반하여 오락기용 의자는 종래와 같이 고정설치 되어 전자오락의 흥미를 반감시키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따라서, 날로 발전되는 오락프로그램의 입체적인 작동에 대응하여 의자의 작동이 입체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전문적인 전자오락기용 의자가 요구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전자오락기의 모니터에서 입체적으로 작동되는 피조종체의 작동에 대응하여 의자의 구동이 전, 후, 좌, 우 사방으로 자유롭게 구동될 수 있는 전자오락기용 의자의 작동장치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전자오락기(1)의 전방에 설치되며, 좌판(11) 후방에 등판(12)이 구비된 통상의 의자(10)에 있어서,
상기 좌판(11)의 저면에 고정되는 지지판(21)의 저면 중앙에는 그 내부에 삽지홈을 가진 지지용 보스(22)가 돌출형성되고, 지지판(21) 전방과 측방에는 삽지홈을 가진 보스(23)(23a)가 각각 돌출형성된 지지부(20)와, 좌대(43) 중앙에 입설되는 고정대(41) 상부의 볼샤프트(42)가 지지용 보스(22)의 삽지홈에 삽입자재 되는 고정부(40)와,
상기 좌대(43)의 전방과 측방에 장착된 제1실린더(31)와 제2실린더(31a)의 작동로드(32)(32a) 상단에 축 이음되는 볼샤프트(33)(33a)들이 보스(23)(23a)의 삽지홈에 각각 삽착되는 작동부(30)와,
상기 지지판(21)의 저면에 그 일단이 고정되어 하향 절곡되는 프레임(51)에는 발판(52)이 구비되고, 그 상부에는 조작기(53)가 장착된 조작부(50)에 의하여 구성되어 짐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 내지는 제4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오락기(1)의 케이싱 상부 전면에는 모니터(2)가 장착되어 있고, 그 내부에는 프로그램을 구동시킬 수 있는 하드웨어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한 전자오락기(1)의 전방에는 좌판(11) 후방에 등받이용 등판(12)이 구비된 의자(10)가 설치되어 있으며, 좌판(11)의 양측에는 팔걸이대(13)가 구비되어 있다. 물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이 의자(10)에는 안전을 위하여 안전벨트를 장착할 수 도 있다.
상기 좌판(11)의 저면에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지지판(21)이 고정설치 되어 있고, 이 지지판(21)이 작동되면 의자(10)를 구성하는 좌판(11)과 등판(12)이 작동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지지판(21)의 저면 중앙에는 지지용 보스(22)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이 지지용 보스(22)의 내부에는 구형으로 형성된 삽지홈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판(21) 저면의 전방과 일측방에는 보스(23)(23a)들이 돌출 형성되어 있고, 이 보스(23)(23a)의 내부에는 구형으로 형성된 삽지홈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 지지판(21)과 지지용 보스(22)와 보스(23)(23a)들은 전체적인 지지부(20)를 형성한다.
좌대(43)의 중앙에는 일정높이를 갖는 고정대(41)가 입설되어 있고, 이 고정대(41) 상부 중앙에는 볼샤프트(42)가 고정되어 있다. 이 볼샤프트(42)는 지지판(21) 하부에 돌출된 지지용 보스(22)의 삽지홈에 삽입자재 되어 있는 관계로 지지판(21)이 전, 후, 좌, 우 사방으로 자유롭게 기울기가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상기 좌대(43)와 볼샤프트(42)가 장착된 고정대(41)는 전체적인 고정부(40)를 형성한다.
상기 좌대(43)의 전방과 측방에는 제1실린더(31)와 제2실린더(31a)가 장착되어 있고, 이 실린더들에 각각 축설된 작동로드(32)(31a)들의 상단에는 볼샤프트(33)(33a)들이 축(34)(34a)에 의하여 축 이음되어 있다. 이 볼샤프트(33)(33a)는 지지판(21) 저면에 돌출 형성된 보스(23)(23a)들의 삽지홈에 각각 삽착되어, 제1실린더(31)와 제2실린더(31a)에 의하여 작동되면서 지지판(21)을 원하는 방향과 경사각으로 기울기가 이루어 지도록 되어 있다. 상기 실린더들은 공기의 압력에 의하여 작동되는 공압실린더로 되어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유압실린더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상기한 제1실린더(31)와 제2실린더(31a)는 지지판(21)을 작동시키는 작동부(30)를 이루게 된다.
상기 지지판(21)의 저면에는 한쌍의 프레임(51)이 고정되어 있고, 이 프레임(51)의 하향 절곡된 절곡부에는 발판(52)이 장착되어 있다. 이 발판(52)에 고정되어 상향절곡된 프레임(51)의 상부에는 조작기(53)가 장착되어 전체적인 조작부(50)를 형성하게 된다.
전술한 기술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의하면, 지지판(21) 저면 중앙의 지지용 보스(22)에 고정대(41)의 볼샤프트(42)가 삽지되어 지지판(21)이 전, 후, 좌, 우 사방으로 자유롭게 기울기가 이루어 지도록 되어 있고, 좌대(43)에 장착된 제1실린더(31)와 제2실린더(31a)의 작동에 의하여 지지판(21)이 원하는 방향으로 경사를 이루도록 할 수 있는 것인 바, 이 지지판(21)에 고정된 의자(10)와 발판(52) 및 조작기(53)가 전체적으로 함께 작동되는 것이며, 의자(10)에 앉은 사람이 조작기(53)와 일체가 되어 작동되면 서 보다 입체적인 오락을 즐길 수 있는 것이다.
즉, 제2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판(21) 저면 중앙의 지지용 보스(22)에는 좌대(43)에 입설된 고정대(41)의 볼샤프트(42)가 삽지되어 지지판(21)이 어느 방향으로든 기울기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 조작기(53)를 조작하여 모니터(2)에 나타난 피조종체를 전방으로 숙이게 하면, 조작기(53)의 신호가 솔레노이드(도시하지 않았음)를 통해 실린더에 전달된다. 따라서, 좌대(43) 전방에 장착된 제1실린더(31)의 작동로드(32)가 하강되어 지지판(21)을 전방으로 잡아 당기므로 지지판(21) 전체가 고정대(41)에 삽지된 볼샤프트(42)를 중심으로 전방으로 경사지게 기울어지는 것인데, 이 지지판(21)의 기울기는 모니터(2)의 피조정체가 기울어지는 기울기와 동일하게 이루어 진다.
이와는 반대로 조작기(53)를 작동시켜 모니터(2)에 나타난 피조정체가 후방으로 기울어 지게 하면, 제1실린더(31)의 작동로드(32)가 상승되어 지지판(21)을 후방으로 밀게되므로 지지판(21) 전체가 고정대(41)에 삽지된 볼샤프트(42)를 중심으로 후방으로 경사지게 기울어지는 것이다. 이때에도 지지판(21)의 기울기는 모니터(2)의 피조종체가 기울어지는 기울기와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한편, 제3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기(53)를 작동시켜 모니터(2)에 나타난 피조종체를 좌측으로 기울어지게 하면, 좌대(43) 측방에 장착된 제2실린더(31a)의 작동로드(32a)가 하강되어 지지판(21)을 좌측으로 잡아당기게 되므로 지지판(21) 전체가 고정대(41)에 삽지된 볼샤프트(42)를 중심으로 좌측으로 경사지게 기울어지는 것이며, 조작기(53)를 작동시켜 모니터(2)에 나타난 피조정체를 우측으로 기울어지게 하면, 제2실린더(31a)의 작동로드(32a)가 상승되어 지지판(21)을 우측으로 밀게되므로 지지판(21) 전체가 고정대(41)에 삽지된 볼샤프트(42)를 중심으로 우측으로 경사지게 기울어지는 것이다.
또한, 제1실린더(31)와 제2실린더(31a)의 작동로드(32)(32a)들을 동시에 하강시키면, 지지판(21)이 대각선 방향으로 앞으로 숙여지게 되고, 이와는 반대로 제1실린더(31)와 제2실린더(31a)의 작동로드(32)(32a)들을 동시에 상승시키면, 지지판(21)이 대각선 방향으로 뒤로 넘어지게 되는 것으로서, 대각선 방향으로도 기울기가 이루어 지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제1실린더(31)와 제2신린더(31a)에 승, 하강되는 작동로드(32)(32a)들의 높이들을 서로 다르게하여 적절하게 조절하면 지지판(21)이 다양한 방향을 이루면서 다양한 경사각으로 자유롭게 기울기가 이루어 지는 것이다.
물론, 제1실린더(31)와 제2실린더(31a)에서 출몰되는 작동로드(32)(32a)들의 상단에 장착되는 볼샤프트(33)(33a)들이 축(34)(34a)에 의하여 일방향으로 꺽여지도록 축 이음되어 있고, 이 볼샤프트(33)(33a)들은 구형으로 형성된 보스(23)(23a)들의 삽지홈에 삽착되어 회전 및 기울기가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는 바, 작동로드(32)(32a)들이 승강될 때 지지판(21)의 기울기가 자유롭게 이루어 지더라도 작동로드(32)(32a)들의 상단에 축설된 볼샤프트(33)(33a)들이 무리없이 꺽여지면서 회전되어 안정적인 작동을 이룰 수 있는 것이다.
전술한 본 고안에 의하면, 조작기(53)의 조작에 의하여 모니터(2)에 나타난 피조종체가 연속적으로 기울기를 변화 시키면서 작동되면, 미리 입력된 프로그램에 의하여 조작기(53)의 신호가 계속적으로 제1실린더(31)와 제2실린더(31a)에 전달되어 피조정체의 작동과 동일한 기울기로 지지판(21)이 연속적으로 작동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지지판(21)에는 의자(10), 발판(52), 조작기(53)가 일체적으로 고정되어 지지판(21)과 함께 작동되는 것인 바, 의자(10)에 앉은 사람이 기울어 지더라도 조작기(53)도 함께 기울어져 조작이 간편한 것이며, 의자(10)에 앉은 사람이 조작기(53)와 일체가 되어 보다 입체적으로 작동되면서 삼차원적인 화면이 디스플레이 되는 오락을 즐길 수 있는 것으로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이 완벽하게 해소되는 것이다.
상기 고정대(41)는 좌대(43)에 고정되어 그 상부에 위치한 의자(10)와 지지부(20), 조작부(50) 전체를 안정적으로 지지토록 되어 있는 관계로 좌대(43) 일측 절곡부(44)를 지면에 접면 시키고 별도의 고정용 스크류(44a)에 의하여 지면에 고착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의자(10)의 하부에 고정되는 지지판(21)이 고정대(41)의 볼샤프트(42)에 축설되어 자유롭게 기울기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한편, 좌대(43)에 장착된 제1실린더(31)와 제2실린더(31a)의 작동에 의하여 모니터(2)에 디스플레이 되는 피조종체의 기울기와 동일한 기울기로 의자(10) 전체를 작동 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의자(10)에 앉은 사람이 조작기(53)와 일체가 되어 보다 입체적으로 작동하면서 오락을 즐길 수 있는 것인 바, 오락의 흥미가 배가되어 소비자의 욕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전자오락기(1)의 전방에 설치되며, 좌판(11) 후방에 등판(12)이 구배된 통상의 의자(10)에 있어서, 상기 좌판(11)의 저면에 고정되는 지지판(21)의 중앙에는 그 내부에 삽지홈을 가진 지지용 보스(22)가 돌출형성 되고, 지지판(21) 전방과 측방에는 삽지홈을 가진 보스(23)(23a)가 각각 돌출형성된 지지부(20)와, 좌대(43) 중앙에 입설되는 고정대(41) 상부의 볼샤프트(42)가 지지용 보스(22)의 삽지홈에 삽입자재 되는 고정부(40)와, 상기 좌대(43)의 전방과 측방에 장착된 제1실린더(31)와 제2실린더(31a)의 작동로드(32)(32a) 상단에 축 이음되는 볼샤프트(33)(33a)들이 보스(23)(23a)의 삽지홈에 각각 삽착되는 작동부(30)와, 상기 지지판(21)의 저면에 그 일단이 고정되어 하향 절곡되는 프레임(51)에는 발판(52)이 구비되고, 그 상부에는 조작기(53)가 장착된 조작부(50)에 의하여 구성되어 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오락기용 의자의 작동장치.
KR2019960002448U 1996-02-16 1996-02-16 전자오락기용 의자의 작동장치 KR2001443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2448U KR200144364Y1 (ko) 1996-02-16 1996-02-16 전자오락기용 의자의 작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2448U KR200144364Y1 (ko) 1996-02-16 1996-02-16 전자오락기용 의자의 작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0808U KR970050808U (ko) 1997-09-08
KR200144364Y1 true KR200144364Y1 (ko) 1999-06-15

Family

ID=60844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02448U KR200144364Y1 (ko) 1996-02-16 1996-02-16 전자오락기용 의자의 작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436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4034Y1 (ko) 2010-12-24 2012-12-06 홍동기 입체적 체감이 가능한 극장용 의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4034Y1 (ko) 2010-12-24 2012-12-06 홍동기 입체적 체감이 가능한 극장용 의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0808U (ko) 1997-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160716B (zh) 一种可调节靠背位置的椅架
US4860733A (en) Oscillating reclining chair
JP2000079034A (ja) 椅 子
KR20110122607A (ko) 전자동 리클라이너 소파
JP6157292B2 (ja) 椅子型マッサージ機
KR200144364Y1 (ko) 전자오락기용 의자의 작동장치
JP3730405B2 (ja) 椅子
CA1324313C (en) Rocking chair
CN110720775A (zh) 一种动态托盘的倾仰锁定控制装置
KR200215795Y1 (ko) 체감 게임용 의자
JPH0534449Y2 (ko)
CN2261765Y (zh) 椅具扶手的调整装置
US5810431A (en) Low profile recliner and reclining mechanism
JP2000342373A (ja) 多目的チェアのフレーム
KR200362249Y1 (ko) 다기능 쇼파
JPH0114214Y2 (ko)
JP3436786B2 (ja) 机と椅子との組合わせ
WO2014006768A1 (ja) 椅子型マッサージ機
JP2004065507A (ja) 理美容用椅子
JPH11123218A (ja) マッサージ機能付きシート
JP3986745B2 (ja) 椅子
CN211092875U (zh) 座具单元及座具
JPH09313563A (ja) 椅子式マッサージ機
JP3037496U (ja) 家 具
JPS5929585Y2 (ja) 椅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000617

Effective date: 20010427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010213

Effective date: 20011023

J2X2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011107

Effective date: 20020830

J303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SUPREME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020917

Effective date: 20040227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070918

Effective date: 20080220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080310

Effective date: 2008100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115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